KR20120003899A -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 - Google Patents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899A
KR20120003899A KR1020117024926A KR20117024926A KR20120003899A KR 20120003899 A KR20120003899 A KR 20120003899A KR 1020117024926 A KR1020117024926 A KR 1020117024926A KR 20117024926 A KR20117024926 A KR 20117024926A KR 20120003899 A KR20120003899 A KR 2012000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polypropylene
ethylene
bl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칭 오 장
완팡 에스 딩
마이클 티 링
존 더블유 푸트남
잔-클로드 본트
패트릭 알 발테아우
Original Assignee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57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박리 시일(seal)층 및/또는 장벽층을 갖는 필름이 제공된다. 일반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NON-PVC FILMS HAVING PEEL SEAL LAYER}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물은 신규한 박리 시일(seal)층 및/또는 장벽층을 포함하는 비-PVC 중합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다중층 공압출 필름은,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의료용 용액 포장을 위한 용기에 사용하는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필름으로 압출된 다중층의 목적하는 특성 중 하나는 인성, 또는 사용중 또는 운송중 손상에 저항하는 능력이다. 또다른 목적하는 특성은 용도에 적합한 목적하는 강도의 박리 시일 뿐만 아니라, 용기를 영구적으로 밀봉하는 영구 시일을 모두 제조하는 능력이다. 추가의 목적하는 특성은 기체, 예컨대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여 함유된 용액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종래 가요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물질은 또한, 전형적으로 의료 등급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는 이러한 장치를 제조하는데 비용 효율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PVC는 소각시 부적절한 양의 염화수소 (또는 물과 접촉했을 때 염산)를 생성할 수 있다. PVC는 때때로, PVC 제제와 접촉하는 약물 또는 생물학적 유체 또는 조직으로 침출될 수 있는 가소제를 함유한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박리 시일층 및/또는 장벽층을 갖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PP)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블렌드는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렌드는 약 70 중량%의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약 22.5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7.5 중량%의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를 포함한다. LLDPE는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skin)층 및 장벽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은 장벽층에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은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은 폴리아미드 (나일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 비정질 폴리아미드, 고무 개질된 나일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tie)층을 포함한다. 타이층은 말레에이트화 LLDPE,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말레에이트화 TPO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블렌드는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층, 시일층 및 장벽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은 장벽층에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은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폴리아미드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나일론), 예컨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아미드, 고무 개질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벽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은 약 7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및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비정질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은 약 87.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및 약 12.5 중량%의 비정질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층을 갖는 필름은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은 장벽층에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은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폴리아미드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박리 시일층은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사이, 예를 들어 스킨층과 장벽층 사이, 또는 박리 시일층과 장벽층 사이에 위치한 코어(core)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층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프로필렌 기재 엘라스토머, 에틸렌 기재 엘라스토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제약용 또는 의료용 화합물 또는 용액과 같은 물질을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유체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연부를 따라 함께 밀봉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의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1)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2)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3)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필름에 의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다중 챔버 용기를 제공한다. 본체는 박리가능한 시일에 의해 분리된 2개 이상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1)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2)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3)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장점은 개선된 비-PVC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물의 또다른 장점은 중합체 필름을 위한 개선된 박리 시일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물의 또다른 장점은 중합체 필름을 위한 개선된 장벽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물의 또다른 장점은 비-PVC 필름의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물의 또다른 장점은 비-PVC 필름을 포함하는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특성 및 장점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으며,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단일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5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6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다중 챔버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중층 필름에 대한 박리 시일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다중층 필름에 대한 박리 시일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여러가지 필름 제제에 대한 전형적인 박리 시일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c)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양태의 다중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박리 시일층 및/또는 장벽층을 갖는 비-PVC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물은 포장 용도에 유용한 단일층 필름 뿐만 아니라, 다중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의 필름은, 양호한 기체 장벽 특성을 유지하면서, 개선된 인성 및 박리 시일 능력을 갖는다. 이것은, 필름의 인성을 개선시키는 스킨층의 선택과 함께, 적절한 박리 시일 범위 뿐만 아니라 인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시일층을 제공하기 위한 물질의 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박리 시일층 및 장벽층 필름은 인성, 또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 121℃에서의 살균성, 낮은 헤이즈, 기체에 대한 장벽, 가열 밀봉기를 사용한 박리 밀봉성 및 가격 적정성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PP),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10)을 제공한다. 적합한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으로는 상표명 헌츠만(HUNTSMAN)하에 플린트 힐즈 리소시즈(Flint Hills Resources)에 의해 시판되는 것 및 상표명 보레알리스(BOREALIS) 및 토탈(TOTAL)하에 보레알리스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는 상표명 크라톤(KRATON)하에 크라톤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적합한 LLDPE로는 상표명 엑손(EXXON)하에 엑손에 의해 시판되는 것 및 상표명 다우렉스(DOWLEX)하에 다우(Dow)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박리 시일층 블렌드는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를 함유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블렌드는 약 70 중량%의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약 22.5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7.5 중량%의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를 함유한다. LLDPE는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층(20), 장벽층(24) 및 박리 시일층(28)을 갖는 5층 필름이다. 예를 들어, 스킨층(20) 및 박리 시일층(28)은 장벽층(24)에 장벽층(24)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20)은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장벽층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나일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로는 상표명 헌츠만하에 플린트 힐즈 리소시즈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나일론으로는 상표명 그리보리(GRIVORY) 및 그릴론(GRILON)하에 EMS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로는 상표명 젤라스(ZELAS)하에 미쯔비시(Mitsubishi)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다중층 필름은 스킨층(20) 및/또는 박리 시일층(28)을 장벽층(24)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22 및 26)을 포함한다. 타이층(22 및 26)은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 물질, 예를 들어 말레에이트화 LLDPE,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블렌드는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및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한 필름은 스킨층 및 장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은 장벽층에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은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기재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장벽층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나일론),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의 장벽층을 포함하는 필름은 의료용 용액 용기 용도를 위한 다중층 필름에 사용하기 위한 양호한 기체 장벽 저항성 및 적절한 인성을 갖는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종래부터, 나일론-6 (폴리아미드-6) 또는 나일론-6 기재 블렌드가 기체 장벽과 내충격성의 양호한 조합을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나일론-6은 그의 약전 요건으로 인하여, 일본, 대한민국 및 중국과 같은 특정 국가에서 플라스틱 용액 용기 용도에 사용될 수 없다. 이들 국가의 약전 요건은 용기 필름 물질로부터 용액으로 추출되는 화합물의 UV/가시광 파장에 대한 제한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한은 용기 필름 중 카프로락탐의 허용량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폴리아미드-6이 카프로락탐으로부터 합성되기 때문에, 그의 존재는, 용기 필름이 유용한 장벽 특성을 제공하는 두께로 사용될 경우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할 것이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즉, 폴리아미드 또는 PA) 화합물을 함유하는 장벽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은 약 7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및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비정질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은 약 87.5 중량%의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및 약 12.5 중량%의 비정질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정질 폴리아미드는 비제한적으로 폴리아미드 6I/6T 및 폴리아미드 MXD6/MXDI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스킨층(30),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층(36) 및 박리 시일층(40)을 포함한다. 스킨층(30) 및 박리 시일층(40)은 장벽층(36)에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 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스킨층(30)은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폴리아미드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박리 시일층(40)은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함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은 스킨층(30)과 장벽층(36) 사이에 위치한 코어층(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층(32)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신디오택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프로필렌 기재 엘라스토머, 에틸렌 기재 엘라스토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는 상표명 비스타맥스(VISTAMAXX)하에 엑손에 의해 시판되는 것, 상표명 버시파이(VERSIFY)하에 다우에 의해 시판되는 것, 상표명 아토피나(ATOFINA)하에 토탈에 의해 시판되는 것 및 상표명 프로팍스(PROFAX)하에 바젤(Basell)에 의해 시판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스킨층(30), 박리 시일층(40), 장벽층(36) 및/또는 코어층(34)을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34 및 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의 필름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제약용 또는 의료용 화합물 또는 용액과 같은 물질을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주변 시임(seam)(54)을 따라 함께 밀봉되어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제1 측벽(52) 및 제1 측벽의 반대편의 제2 측벽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용기(50)를 제공한다. 용기(50)는, 용기(50)의 내용물을 충전시키고 비우기 위하여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포트 관(56 및 58)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하나 이상의 측벽이 상기한 단일층 또는 다중 층상 필름 중 하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그의 개방 말단부에서 밀봉되는 압출된 관형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 경우, 주변 시임(54)은 관의 대항 말단부 상 2개의 시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는 시임이 용기의 상부 및 하부에 또는 그의 수직변을 따라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제1 측벽 및/또는 제2 측벽은 1)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2)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3)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필름이다.
도 5에 도시된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물은 필름에 의해 형성된 본체(72)를 포함하는 다중 챔버 용기(70)를 제공한다. 다중 챔버 용기(70)는 2개의 챔버(74 및 76)를 포함한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2개 초과의 챔버가 용기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챔버(74 및 76)는 물질 및/또는 용액의 분리된 저장을 위해 설계된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용기(70)의 임의의 부분은 1)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2)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3)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장벽층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된다.
용기(70)는, 예를 들어 연부(80, 82, 84 및 86)를 따라 가열 밀봉되어 영구 시일을 형성한 필름의 2개의 시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필름의 2개의 시트가 사용된다. 시트는 연부(80, 82, 84 및 86)에서 용기(70)의 주변부 둘레에서 밀봉된다. 별법으로, 용기는, 그의 개방 말단부에서 밀봉되는 압출된 관형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의 단지 2개의 대항 연부 (예를 들어, 연부(82 및 86))만이 밀봉되도록 요구된다. 박리가능한 시일(88)은 필름의 시트 사이에 제공되어 챔버(74 및 76)를 형성한다. 물론, 추가의 챔버가 제공될 경우, 추가의 박리가능한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용기(70) 및 박리가능한 시일(88)은 본 개시물의 실시양태에 따라 박리 시일층을 갖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박리 시일층은 박리가능한 시일과 영구 시일이 모두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 측면 시일(80, 82, 84 및 86) 뿐만 아니라, 박리가능한 시일(88)이 필름의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70)는 하나 이상의 포트(90, 92, 94 및 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트(90, 92, 94 및 96)는 챔버(74 및 76)의 내부와의 소통을 제공하지만, 용기(7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포트는 유체가 챔버(74 및 76)로 첨가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포트(90, 92, 94 및 96)는, 예를 들어 투여 세트의 캐뉼라 또는 스파이크(spike)에 의해 천공된 막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트가, 시트 사이에서(이 경우, 포트 구조는 때때로 "곤돌라(gondola)"로 칭해짐), 또는 직접적으로 벽으로 용기에 대해 밀봉되기에 특히 적합한 표면을 갖는 성형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포트가 단순한 막보다는 밸브 또는 유사한 클로저(closure)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이러한 별법의 포트 구조물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6,994,699호에 도시된 약물 포트 및 미국 특허 공보 제2005/0083132호에 도시된 다양한 접근 포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문헌 각각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방법에 따라, 충전 포트가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가 플라스틱 필름의 연속적인 롤로부터 제조될 경우, 필름을 세로로 접고, 제1 영구 시일을 생성하고, 제1 구획을 용액으로 충전시킨 후, 박리가능한 시일을 생성하고, 제2 구획을 충전시키고, 영구 시일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예로서, 비제한적으로, 본 개시물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실시예 1
코-폴리프로필렌, SEBS 블록 공중합체 및 LLDPE를 함유하는 블렌드를 단일층 필름으로 압출시켰다. 후-오토클레이브 필름의 시일 성능을 (표면 외관에 대한 관찰을 통해) 투명성 (헤이즈), 인장 및 오토클레이브성(autoclavability)과 같은 몇가지 다른 특성과 함께 평가하였다. 시판품 (카위톤(CAWITON; 등록상표) PR4581A - 비교예-1)을 포함하는 필름 및 60%/25%/15%의 코-폴리프로필렌/SEBS/LLDPE의 조성을 갖는 2개의 필름 (비교예-2 및 비교예-3)의 비교 시험을 본 개시물의 제제화된 블렌드와 함께 수행하였다. 또한, 본 개시물의 박리 시일층 블렌드의 일부를 다른 층과 공압출시켜 다중 층상 필름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박리 시일 성능을 평가하였다.
I. 단일층 필름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시일 블렌드 제제 31-19, 34-9, 34- 10, 36-8, 36-9, 36-10 및 36-11은 다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 박리 시일력에 대한 광범위한 범위: 약 3 내지 30 N/15 mm
2. 오토클레이빙 온도(121℃)에서 낮은 박리력: <3 N/15 mm
3. 3가지 비교예 제제의 것보다 높은 영구 시일력
4. 3가지 비교예 제제의 것보다 높은 투명성
5. 오토클레이브성
Figure pct00004
II. 기체 장벽층을 갖지 않는 다중층 필름
제제 36-9를 공압출 필름, 비스타필(VistaPeel)-2 (표 4 참조)에서 박리 시일층으로 사용하였다. 반면, Z코어(Zcore)-1 및 비스타(Vista)-1에 대한 박리 시일층은 각각 비교예-2 및 비교예-3이었다.
Figure pct00005
다중층 필름에 대한 박리 시일 성능을 표 5 및 도 6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5 및 도 6은 비스타필-2가 오토클레이빙 온도 근처에서 낮은 박리 시일력을 갖고, 넓은 박리 시일 범위 (약 30 Nt/15 mm 이하)를 갖고, 최고의 영구 시일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III. 기체 장벽층을 갖는 다중층 필름
제제 36-9를 박리 시일층으로서 공압출 필름: 나일론필-2 (표 6 참조)에 적용하였다. 반면, 심레다드(Symredad) 및 NB-1에 대한 박리 시일층은 각각 비교예-1 및 비교예-3이었다.
Figure pct00008
다중층 필름에 대한 박리 시일 성능을 표 7 및 도 7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7 및 도 7은 NP-2가 오토클레이빙 온도 근처에서 낮은 박리 시일력을 갖고, 광범위한 박리 시일 범위 (약 50 N/15 mm 이하)를 갖고, (147 내지 155℃의 시일 온도에서) 최고의 영구 시일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SEBS/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제제가 다수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박리 시일층을 제공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엘라스토머 물질 및/또는 저 융점 폴리올레핀을 다중층 필름의 적절한 층으로 배합함으로써, 박리 시일 특성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필름의 인성을 개선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제는 다양한 다중층 공압출 필름의 박리층 및/또는 스킨층으로 배합되는 물질을 포함하였다. 또한, PCCE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 글리콜 및 산 공단량체)를 새로 배합된 박리 시일층과 조합하여 인성 스킨층으로 또한 사용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구조물을 ASTM D3763, "하중 및 변위 센서를 사용한 플라스틱의 고속 천공 특성(High Speed Puncture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Load and Displacement Sensors)" 및/또는 기능성 용기 적하 시험을 사용하여 박리 시일, 헤이즈, 인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4가지 상이한 박리 시일 접근법을 시도하고, 카위톤 기준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박리 시일층 접근법을 위한 전형적인 제제를 하기에 제공하였다.
1. 샘플 1 : 이러한 박리 시일 제제는 약 60%의 PP, 25%의 SEBS 및 15%의 PE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사용된 PP는 약 145℃에서 용융되었다.
2. 샘플 2: 이러한 박리 시일 제제는 약 60%의 토탈(등록상표) 8573 PP, 25%의 SEBS 및 15%의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토탈(등록상표) 8573 PP는 약간의 인성을 부가한 연성의 약간 더 낮은 융점의 물질(135℃)이었다.
3. 샘플 3: 이러한 박리 시일 제제는 약 60%의 헌츠만(등록상표) 43M5A PP, 25%의 SEBS 및 15%의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헌츠만(등록상표) 43M5A는 약간 더 높은 융점의 PP (148℃)이어서 박리 시일 곡선을 일본 박리 요건에 대한 고온으로 이동시켰다.
4. 샘플 4: 이러한 박리 시일 제제는 약 60%의 헌츠만(등록상표) 43M5A PP, 25%의 크라톤(등록상표) G1643 SEBS(더 고도로 분지화되고 PP와 더 상용성임) 및 15%의 LLDPE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5. 샘플 5: 이러한 박리 시일 제제는 약 70%의 젤라스 7023 (폴리프로필렌-기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30%의 헌츠만 43M5A의 블렌드를 포함하였다. 젤라스(등록상표) 7023은 약 161℃에서 용융되었으며, 이는 일본 박리 요건을 용이하게 충족시켰다.
이러한 박리 시일층은 거의 동일한 박리 시일 곡선 결과를 갖는 몇가지 다중층 구조물로 압출되었다. 여러가지 샘플 제제에 대한 전형적인 박리 시일 곡선을 도 8에 제공하였다. 도 8은 샘플 3, 샘플 4 및 샘플 5가 모두 목적하는 특성을 충족시키는 박리 시일 특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제를 사용하여 121℃ 초과의 온도에서 약 4 N/15 mm 내지 약 30 N/15 mm의 박리 시일을 생성할 수 있다.
나일론 장벽층 및 샘플 3, 샘플 4 및 샘플 5 박리 시일층을 함유하는 필름의 3가지 상이한 반복의 별법의 실시양태를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제1 필름 반복은 샘플 3 박리층 및/또는 PCCE 스킨층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하였으며, 다음의 순서: 스킨층(20)/타이층(22)/장벽층(24)/타이층(26)/시일층(28)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5층 구조물의 별법의 실시양태로 도시되어 있다. 필름 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표 8에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층의 마지막에서의 단위는 상기 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제2 필름 반복의 별법의 실시양태는 샘플 3 또는 샘플 4 박리층 및 2개의 구조물에서 PP/SEBS 스킨층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하였다. 제2 반복 필름 구조물은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단일중합체 (아드머(ADMER; 등록상표) QF300E 및 QB510A) 및 공중합체 (아드머(등록상표) 551A) 타이층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필름 구조물의 모든 실시양태는 다음의 순서: 스킨층(20)/타이층(22)/장벽층(24)/타이층(26)/시일층(28)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5층 구조물이었다. 필름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표 9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12
제3 반복 필름 구조물의 별법의 실시양태는 PCCE 또는 PP/SEBS 스킨층과 함께 샘플 3, 샘플 4 또는 샘플 5 블렌딩된 시일층을 포함하였다. 또한, PT-4는 구조물을 더 강인화시키기 위하여 SEBS와 블렌딩된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단일중합체 PP를 포함하였다. 모든 제3 반복 필름 구조물은 다음의 순서: 스킨층(20)/타이층(22)/장벽층(24)/타이층(26)/시일층(28)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5층 구조물이었다. 필름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표 10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13
충격 시험 및 헤이즈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표준 EMS FG40NL 나일론 (TP-4 및 N-1 내지 N-5)을 갖는 반복 #2 및 #3의 실시양태를 함유하는 필름이 시판용 마에스트로(Maestro) 필름보다 개선된 충격 인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결과는 PCCE 스킨층 및 표준 EMS FG40NL 나일론을 함유하는 필름 역시 마에스트로 필름보다 개선된 충격 인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igure pct00014
생성된 물질 화합물 및 생성된 필름 구조물 및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한 박리 시일 화합물 뿐만 아니라, 다중층 필름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박리 시일 화합물 및 필름 구조물의 예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박리 시일층 필름은, 다중층 압출 필름에서 가열된 다이에 의해, 잔해를 생성하지 않고 박리되어 떨어질 수 있는 시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3 N/15 mm 내지 30 N/15 mm의 박리력은 다양한 필름 구조물 및 두께에서 동일한 박리층 화합물에 대해 생성될 수 있어야 한다. 박리 시일은 122℃ 초과의 온도에서 생성되어야 한다. 시일층은 박리력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121℃에서 살균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물질의 한 예는 60%의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PP 랜덤 공중합체, 25%의 SEBS 및 15%의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이다. 제2 예는 60% 내지 80%의 PP 기재 TPO, 예컨대 젤라스 7023과 20% 내지 40%의 13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랜덤 공중합체 PP의 블렌드이다. 제3 예는 70%의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PP 랜덤 공중합체, 22.5%의 SEBS 및 7.5%의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LLDPE의 블렌드이다.
상기한 실시양태는 박리 시일층을 함유하는 강인하고 투명한 다중층 필름에 관한 것이었다. 필름의 다트 내충격성은 제품에서 용기 손상 저항성과의 양호한 상관 관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실시양태에서, 목적하는 다트 내충격성은 다중층 필름에 대해 7 J/mm 초과이다. 또한, 한 표면 상에서 습윤된 필름에 대해 20% 미만의 헤이즈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필름에 대한 CO2 투과성은 200 cm3/m2 일 at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의 예는 TP-4, N-1, N-3, N-4, N-5, PT-1, PT-3 및 FGN-2이다.
실시예 3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6,6/6,10 공중합체 (EMS-그리보리로부터의 BM20SBG)는 다중층 장벽 필름에 대한 압출 관점에서 양호한 후보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필름은 나일론-6 기재 장벽층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필름보다 상당히 불량한 적하 저항성, 다트 충격 특성 및 기체 (O2 및 CO2) 투과성을 나타내었다. 비정질 나일론은 본질적으로 상당히 개선된 기체 장벽 특성을 가졌다. (적절한 기체 장벽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 블렌드 수준은 투과성 데이터 및 혼합 규칙을 사용하여 제공된 등급에 대해 계산될 수 있음)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접근법은 적절한 수준의 비정질 나일론을 나일론-6,6/6,10 공중합체와 블렌딩하여, 허용가능한 투명성 뿐만 아니라, 세계 의료 규제 요건에 허용되는 UV 흡수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 및 기체 장벽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이었다.
비정질 나일론을 나일론-6,6/6,10 공중합체와 블렌딩하고, 단일층으로서 압출시켜 내충격성, 투명성 및 투과성의 우수한 균형을 발견하였다. 유망한 블렌드를 확인하고,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필름 구조물 중 하나 이상에 도입하였다. 도 9(a)는 다음의 순서: 스킨층(110)/타이층(120)/장벽층(130)/타이층(140)/시일층(150)을 갖는 다중층 필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9(b)는 다음의 순서: 스킨층(210)/타이층(220)/장벽층(230)/타이층(240)/코어층(250)/시일층(260)을 갖는 다중층 필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9(c)는 다음의 순서: 스킨층(310)/코어층(320)/타이층(330)/장벽층(340)/타이층(350)/시일층(360)을 갖는 다중층 필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어서, 다중층 필름의 투과성, 물리적 특성 및/또는 적하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결과
EMS 그리보리(등록상표) G21 (나일론 6I/6T), EMS 그리보리(등록상표) HB5299 (나일론 MXD6/MXDI 공중합체), EMS 그리보리(등록상표) HB7103 (동일함) 및 듀폰(Dupont) 셀라(SELAR) PA (나일론 6I/6T)를 포함하는 이용가능한 등급의 비정질 나일론에 대해 소규모 공정 블렌딩 실험을 수행하였다. EMS 그리보리(등록상표) HB7103 비정질 나일론은 투명성, 내투과성 및 기계적 특성의 우수한 조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EMS 그릴론(등록상표) BM20SBG 나일론-6,6/6,10 공중합체와 EMS 그리보리(등록상표) HB7103 비정질 나일론의 50%:50% 및 85%:15% 블렌드를 사용하여 단일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단일층의 헤이즈, 다트 충격성 및 예상 투과성을 기준 EMS FG40NL(나일론-6 및 BM20SBG를 기재로 함)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의 결과를 하기 표 12에 제공하였다. 표 12에서, 투과성은, 이용가능한 공급자 데이터 또는 이용가능한 측정된 박스터(Baxter) 데이터를 사용하여 혼합 규칙을 바탕으로 상이한 상대 습도 조건하에 계산하였다. 또한, 과거의 산업적 경험은 CO2에 대한 투과성이 O2보다 약 4배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표 12의 결과는 우수한 블렌드가 BM20SBG와 HB7103의 85%:15% 블렌드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블렌드는 순수한 BM20SBG의 다트 내충격성의 거의 2배, 및 박스터의 마에스트로 필름에서 현재 사용되는 FG40NL 나일론과 거의 동등한 예상 투과성을 가졌다. 85%:15% 블렌드의 헤이즈는 순수한 화합물보다 높았지만, 다중층 필름에 사용하기에 여전히 허용가능하였다. 블렌드 비를 50%:50%로 변화시켰을 때, 다트 충격 특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단일층 필름이 탁해짐에 따라 헤이즈가 허용가능하지 않게 증가하였다. 블렌드 비의 최적화는 가능하였지만, 85%:15% 블렌드의 제공된 단일층 특성은 현재의 용도에 만족스러웠다. 또한, 시험은 비를 87.5% BM20SBG/12.5% HB7103으로 조정하면 약간 우수한 성능이 제공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igure pct00015
5층 공압출 필름 구조물에서 85%:15% 블렌딩된 나일론을 순수한 BM20SBG 또는 FG40NL과 비교함으로써 연구를 완결하였다. 연구된 필름의 구조물은 다음의 순서: 스킨층(20)/타이층(22)/장벽층(24)/타이층(26)/시일층(28)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5층 구조물이었다. 구조물은 하기 표 13에 나타낸 구조물과 함께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PT-3을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16
헤이즈 및 충격 시험의 결과를 표 14에 제공하였다. 85%:15% 나일론 블렌드를 함유하는 CF-1 및 CF-2 필름의 헤이즈 및 충격성은 유사한 구조물에서 순수한 BM20SBG를 함유하는 NB-1보다 우수하였다. CF-2의 내충격성은, 그것이 종래 작업에서 관찰되었던 추세와 일치하는 공중합체-기재 타이층보다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기재 타이층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CF-1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CF-3의 헤이즈는 시판용 마에스트로(FG40NL을 함유함)보다 상당히 우수하고, 충격성은 거의 동일하였다. PT-3(유사한 구조물에서 FG40NL을 함유함)의 헤이즈와 충격성은 모두 CF-3보다 우수하였다.
Figure pct00017
도 9(b) 및 9(c)에 도시된 6층 구조물은 5층 구조물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출된 샘플 다층 필름 구조물은 도 3에 제공되어 있다. 다중층 필름 구조물은 다음의 순서: 스킨층(30)/코어층(32)/타이층(34)/장벽층(36)/타이층(38)/시일층(40)을 가졌다. 필름층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표 15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18
생성된 물질 화합물, 생성된 필름 구조물 및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하는 용기 특성을 충족시키는 신규한 5층 및 6층 또는 그 이상의 나일론 장벽 필름 구조물을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블렌드를 도입하여 제조하였다. 일 실시양태에서, 목적하는 다트 내충격성은 다중층 필름에서 사용되는 나일론 장벽 물질에 대해 4.5 J/mm 초과이었다. 동시에, 나일론 장벽층은 130℃ 초과의 가열 밀봉 온도에 대한 양호한 내열성 및 양면 상에서 습윤될 경우, 15% 미만의 헤이즈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O2 투과성은 약 85% r.h.(상대 습도)에서 80 cm3/m2 일 25 um bar 미만이어야 한다.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층을 도입한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다중층 필름 및 그의 목적하는 특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일 실시양태에서, 다중층 필름은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층을 갖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5층 필름이다. 필름은 200 cm3/m2 일 atm 미만의 CO2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은 122℃ 초과의 온도에서 가열됨으로써, 4 N/15 mm 내지 30 N/15 mm로 생성될 수 있는 박리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다트 내충격성은 제품에서 용기 손상 저항성과의 양호한 상관 관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하는 다트 내충격성은 다중층 필름에 대해 6 J/mm 초과일 수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한 표면 상에서 습윤된 필름에 대해 20% 미만의 헤이즈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의 한 예가 CF-3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중층 필름은 카프로락탐-무함유 나일론 장벽층 및 인성 코어를 갖는 도 9(b) 내지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6층 필름이다. 필름은 200 cm3/m2 일 atm 미만의 CO2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은 122℃ 초과의 온도에서 가열됨으로써, 4 N/15 mm 내지 30 N/15 mm로 생성될 수 있는 박리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다트 내충격성은 제품에서 용기 손상 저항성과의 양호한 상관 관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하는 다트 내충격성은 다중층 필름에 대해 8 J/mm 초과일 수 있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한 표면 상에서 습윤된 필름에 대해 20% 미만의 헤이즈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의 예는 CF-4 내지 CF-7이다.
또한, 다중층 필름은 필름으로부터 침출되고/거나 침전되어 2 내지 10 범위의 pH를 갖는 용액에서 미립자 물질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에루카미드, 다른 지방산 등)을 함유하지 않는 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주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의 의도된 장점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1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seal)층을 포함하는 필름.
제1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2.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
제2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약 7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약 22.5 중량%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7.5 중량%의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이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스킨(skin)층 및 장벽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이 상기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에 부착된 필름.
제5항에 있어서, 스킨층이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5항에 있어서, 장벽층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5항에 있어서,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tie)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제8항에 있어서, 타이층이 말레에이트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에이트화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말레에이트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9항에 있어서, ASTM D3763에 따라 측정했을 때, 6 J/mm 초과의 다트(dart) 내충격성을 갖는 필름.
제9항에 있어서, 한 표면 상에서 습윤될 때 20%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필름.
14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을 포함하는 필름.
제12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필름.
제12항에 있어서, 스킨층 및 장벽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 및 박리 시일층이 상기 장벽층의 서로 반대 측에 부착된 필름.
제14항에 있어서, 스킨층이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나일론,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에스테르 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14항에 있어서, 장벽층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6,10 공중합체, 비정질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14항에 있어서, 스킨층과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장벽층에 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타이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제17항에 있어서, 타이층이 말레에이트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 기재 T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제18항에 있어서, ASTM D3763에 따라 측정했을 때, 6 J/mm 초과의 다트 내충격성을 갖는 필름.
제18항에 있어서, 한 표면 상에서 습윤될 때 20% 미만의 헤이즈를 갖는 필름.
1)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2)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에 의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
필름에 의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박리가능한 시일에 의해 분리된 2개 이상의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이 1)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20℃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선형 저 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및 2) 145℃ 초과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박리 시일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챔버 용기.
KR1020117024926A 2009-03-24 2009-03-26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 KR201200038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09,652 US20100247824A1 (en) 2009-03-24 2009-03-24 Non-pvc films having peel seal layer
US12/409,652 2009-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899A true KR20120003899A (ko) 2012-01-11

Family

ID=4061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926A KR20120003899A (ko) 2009-03-24 2009-03-26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47824A1 (ko)
EP (1) EP2411213A1 (ko)
KR (1) KR20120003899A (ko)
CN (1) CN102361749A (ko)
AU (1) AU2009343200A1 (ko)
BR (1) BRPI0924741A2 (ko)
CA (1) CA2756023A1 (ko)
MX (1) MX2011010057A (ko)
TW (1) TW201105503A (ko)
WO (1) WO2010110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414B1 (ko) *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도로 기상 정보에 따른 지능형 에어 충격 흡수 장치의 공기압 제어 시스 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공기압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9242A1 (de) * 2010-02-25 2011-08-25 Giesecke & Devrient GmbH, 81677 Coextrudiertes Folienverbundmaterial und seine Verwendung in Kartenkörpern
CN103702828B (zh) * 2011-08-10 2016-01-27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具有可去除涂层的涂布的热塑性制品
US20130095335A1 (en) * 2011-10-17 2013-04-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ilm Composition for Controlled Peelable Seal Film
US20140065397A1 (en) * 2012-08-28 2014-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extruded polymer film configured for successive irreversible delamination
CN108064203B (zh) * 2013-06-06 2020-12-01 3M创新有限公司 具有嵌入的抗微生物层的可依次剥离共挤出聚合物膜
US10696463B2 (en) * 2013-08-07 2020-06-30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for container
US20150202847A1 (en) * 2014-01-17 2015-07-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ccessively peelable coextruded polymer film with extended uv stability
US20170334175A1 (en) * 2014-10-31 2017-11-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hermoformable multilayer elastomeric barrier articles for microfluidic delivery systems
CN104354417B (zh) * 2014-11-21 2017-07-21 雷诺丽特朗活医药耗材(北京)有限公司 一种输液软袋用膜材料及其应用
CN104788805B (zh) * 2015-03-24 2017-11-14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ito专用pp保护膜配方
JP6661877B2 (ja) * 2015-03-30 2020-03-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
EP3112150A1 (en) 2015-06-30 2017-01-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of preparing a peelable seal layer
TWI635029B (zh) * 2016-01-27 2018-09-11 日商大塚科技股份有限公司 Complex container
US20210138771A1 (en) 2018-04-11 2021-05-13 Cryovac, Llc Autoclavable barrier film
US11628966B2 (en) * 2021-04-12 2023-04-18 Dart Industries Inc. Freezable and reusable bottle and method of making the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697A (en) * 1985-11-29 1988-10-18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Polymeric films
IT1230133B (it) *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sizioni polipropileniche plasto-elastiche
IT1243430B (it) * 1990-09-28 1994-06-10 Himont Inc Composizioni di polimeri cristallini del propilene aventi bassa temperatura
US5998019A (en) * 1993-11-16 1999-12-07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mer structure for medical products
DE4447626C5 (de) * 1994-03-29 2007-01-25 Fresenius Ag Medizinischer Mehrkammerbeutel
DE19515254C2 (de) * 1995-04-26 1998-06-04 Fresenius Ag PVC-freie Mehrschichtfol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deren Verwendung
DE29623683U1 (de) * 1996-04-09 1999-04-15 Bp Chemicals Plastec Gmbh Verpackung
SE9601348D0 (sv) * 1996-04-10 1996-04-10 Pharmacia Ab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JP2000230089A (ja) * 1998-10-16 2000-08-22 Mitsubishi Chemicals Corp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94060A1 (en) *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US7678097B1 (en) * 1999-11-12 2010-03-16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DE60009012T2 (de) * 1999-12-07 2005-01-20 Mitsubishi Chemical Corp. Copolymer-Zusammensetzung basierend auf Propen
US20020115795A1 (en) * 2000-03-16 2002-08-22 Sherwin Shang Autoclavable, non-adherent, heat sealable polymer films for fabricating monolayer and multiple layered films and containers
US6969483B1 (en) * 2000-03-16 2005-11-29 Baxter International Inc. Autoclavable, non-adherent, heat sealable polymer blends for fabricating monolayer and multiple layered films
JP4916609B2 (ja) * 2000-06-28 2012-04-1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液体容器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ES2266455T3 (es) * 2001-02-01 2007-03-01 American Renolit Corporation La Peliculas elastomeras flexibles monocapa que contienen sebs y bolsas para uso medico.
FI20011686A0 (fi) * 2001-08-22 2001-08-22 Wihuri Oy Hörysterilisoitava monikerroskalvo sekä siitä valmistettavat säilytysastiat
US6994699B2 (en) * 2002-06-12 2006-02-07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 a container and a method for accessing a port
US7175614B2 (en) * 2002-10-17 2007-02-13 Baxter International Inc. Peelable seal
JP2005124339A (ja) * 2003-10-17 2005-05-12 Sanken Electric Co Ltd ノイズ低減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4460372B2 (ja) * 2004-07-09 2010-05-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輸液バッグ
US9004761B2 (en) *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US20100247935A1 (en) * 2009-03-24 2010-09-30 Baxter International Inc. Non-pvc films having barrier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414B1 (ko) * 2020-03-09 2020-08-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도로 기상 정보에 따른 지능형 에어 충격 흡수 장치의 공기압 제어 시스 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충격 흡수 장치의 공기압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0057A (es) 2011-11-18
CN102361749A (zh) 2012-02-22
AU2009343200A1 (en) 2011-10-06
CA2756023A1 (en) 2010-09-30
BRPI0924741A2 (pt) 2016-01-26
WO2010110791A1 (en) 2010-09-30
US20100247824A1 (en) 2010-09-30
EP2411213A1 (en) 2012-02-01
TW201105503A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899A (ko) 박리 시일층을 갖는 비-pvc 필름
US11806446B2 (en) Odor barrier film
KR20110131304A (ko) 장벽층을 갖는 비-pvc 필름
ES2535721T3 (es) Película barrera de EVOH con choque de autoclave reducido
ES2626617T3 (es) Composición tratable en retorta
KR20110131303A (ko) 인성 코어층을 갖는 비-pvc 필름
JP2008519147A (ja) 食品包装および健康管理用途向けの強化ポリアミド
US6713137B1 (en) Medical containers
WO2000030850A1 (en) Improvements related to medical containers
JP2002035084A (ja) 積層フィルム製の医療溶液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