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48U -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48U
KR20120003148U KR2020100011080U KR20100011080U KR20120003148U KR 20120003148 U KR20120003148 U KR 20120003148U KR 2020100011080 U KR2020100011080 U KR 2020100011080U KR 20100011080 U KR20100011080 U KR 20100011080U KR 20120003148 U KR20120003148 U KR 201200031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heating heater
oven
hol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호
Original Assignee
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호 filed Critical 강인호
Priority to KR202010001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148U/ko
Publication of KR20120003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숯불의 점화가 가열히터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10) 상면에 형성되며 화덕(20)이 안착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공(11)과, 상기 안착공(11)과 연통되어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12)와, 상기 화덕(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송풍기(30)로 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화덕(20) 내로 안내하는 안내관(31)이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31)에는 숯을 예열시켜 점화시키기 위한 가열히터(40)가 내장 구성되고; 상기 안착공(11) 상부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덕트(1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내덮개(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HEATER FOR ROASTER}
본 고안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을 일정시간 예열시간 후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열히터가 일체로 구비된 숯불구이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기는 대개 숯불통에 불이 피워진 숯을 담아 이 숯의 열기로써 고기를 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숯불고기구이기는 숯불통에 담겨진 숯을 착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2 가지로 구분 지워지는 바, 예컨대 숯불통에 담긴 숯을 외부에서 별도의 착화장치를 사용하여 착화시킨 다음 실내로 가져와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한 외부착화식과, 이 외부착화식에서 발전한 것이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에 숯불통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두고, 숯불통에 숯을 담은 다음 숯불통 아래에서 가스불을 피워 숯불통의 숯을 점화시키도록 하는 직접 점화식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바에 따른 직접 점화식 고기구이기에서, 식탁에 설치된 고기구이기 에서 직접 숯불통의 숯을 점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숯불통 아래에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점화장치는 숯불통 하부에 설치되어짐으로 인해 설치면적이 증가되어지고, 특히 사용자의 하체 부위와 근접되어 항상 화상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숯이 착화된 후에도 일정 시간동안 불필요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됨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숯불통 일측에서 송풍기와 함께 구성되어지며 점화 전에 숯을 예열시킨 상태에서 점화를 실시할 수 있는 점화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 상면에 형성되며 화덕이 안착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공과, 상기 안착공과 연통되어 연기를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와, 상기 화덕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송풍기로 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화덕 내로 안내하는 안내관이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에는 숯을 예열시켜 점화시키기 위한 가열히터가 내장 구성되고; 상기 안착공 상부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덕트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는, 숯불의 점화가 가열히터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제품의 신뢰성 및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숯불구이기의 전체적인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의 송풍기내에 가열히터 내장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가열히터와 안내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안내돌기가 구비된 화덕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안내돌기 미형성시 화덕에서의 공기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사시도.
6b는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테이블(10)의 중앙 상면에는 화덕(20)이 안착되어질 수 있는 안착공(1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안착공(11)에는 화덕(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4 설치되어져 있고, 지지프레임(5) 일측에는 배기덕트(12)가 연결되어 안착공(11)으로 부터 연기를 배기팬(미도시) 구동에 의해 강제 배출토록 하였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 타측에는 화덕(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송풍기(30)로 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화덕(20) 내로 안내하는 안내관(31)이 설치되었는데, 이러한 안내관(31)에는 숯을 예열시켜 점화시키기 위한 가열히터(40)가 내장 구성되었다.
가열히터(40)는 중심부위에 히팅봉(41)이 구성되고, 상기 히팅봉(41)을 감싸는 형태로 히팅코일(42)이 감겨져 구성되었으며, 안내관(31) 선단부에는 가열히터(40)의 히팅봉(41)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32)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32) 주변에는 숯이 히팅코일(4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33)이 구성되었다.
즉, 숯이 히팅코일(42)에 접촉되면 이물질 흡착에 따른 히팅코일(42)의 부식 및 단선현상이 발생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망(33)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망(33)에는 히팅코일(42)의 발생열의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카본층(34)이 코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착공(11) 상부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덕트(1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내덮개(13)가 설치되었다.
즉, 배기덕트(12)의 구동에 의해 안착공(11) 부위에서는 강제 흡기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안내덮개(13)를 설치함으로서 화덕(20)에서 상승하는 연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기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서 배기팬(미도시)과 송풍기(30) 그리고 가열히터(40)는 테이블(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별도의 제어판에 의해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 숯이 적재되어지는 적재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 숯불구이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화덕(20)내의 적재부(15)에 일정량의 숯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송풍기(30)와 가열히터(4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히팅코일(42)이 발열되어지면서 고온 발열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송풍기(30)에서 전달되는 바람이 안내관(3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되어 숯을 서서히 예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예열부위로 부터 착화가 이루어짐으로서 전체적으로 숯에 불이 붙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덕(20) 위에 불판(16)을 얹어서 고기 등의 육류를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숯이 착화된 후에는 가열히터(40)의 전원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송풍기(30)의 풍량만을 적절히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는 배기덕트(12)를 통해 강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안내덮게(13)에 의해 화덕(20) 상부 둘레를 따라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한층 효과적으로 연기 및 냄새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게 되면 숯불의 점화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의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화덕(20) 내주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관통공(21)과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관(31)을 통해 송풍되어지는 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안내돌기(22)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다.
즉, 화덕(20)의 일측에서 안내관(31)을 통해 전달되는 송풍 바람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안내관(31)과 맞은편으로 바람의 전달이 집중되고, 이에 따라 해당 부위에만 불균일하게 화력이 증가되어 고기가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를 좌우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다수의 안내돌기(22)를 높이를 달리하여 상호 교차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도 5에서와 같은 형태로 형성시키게 되면 보다 균일하게 화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테이블 11 : 안착공
12 : 배기덕트 13 : 안내덮게
14 : 지지프레임 15 : 적재부
20 : 화덕 21 : 관통공
30 : 송풍기 31 : 안내관
32 : 지지공 33 : 보호망
40 : 가열히터 41 : 히팅봉
42 : 히팅코일

Claims (5)

  1. 테이블(10) 상면에 형성되며 화덕(20)이 안착 가능하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공(11)과, 상기 안착공(11)과 연통되어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12)와, 상기 화덕(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송풍기(30)로 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화덕(20) 내로 안내하는 안내관(31)이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31)에는 숯을 예열시켜 점화시키기 위한 가열히터(40)가 내장 구성되고;
    상기 안착공(11) 상부 둘레에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기덕트(1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내덮개(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40)는 중심부위에 히팅봉(41)이 구성되고, 상기 히팅봉(41)을 감싸는 형태로 히팅코일(42)이 감겨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31) 선단부에는 가열히터(40)의 히팅봉(41)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32)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32) 주변에는 숯이 히팅코일(4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33)에는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카본층(34)이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덕(20) 내주면에는 관통공(21)과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관(31)을 통해 송풍되어지는 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안내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KR2020100011080U 2010-10-28 2010-10-28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KR201200031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80U KR20120003148U (ko) 2010-10-28 2010-10-28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080U KR20120003148U (ko) 2010-10-28 2010-10-28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48U true KR20120003148U (ko) 2012-05-08

Family

ID=4661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080U KR20120003148U (ko) 2010-10-28 2010-10-28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1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3376A1 (zh) 一种无烟烧烤炉
US5617778A (en) Gas Barbecue Assembly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BR112018011721B1 (pt) Charbroiler a carvão portátil livre de fumaça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US20150282668A1 (en) Barbeque oven
JP4967577B2 (ja) 加熱調理器とそれを備えた電磁誘導調理器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101561874B1 (ko) 조리효율 향상 구조형 화덕
JP3175791U (ja) 加熱装置
KR20120003148U (ko) 가열히터가 구비된 숯불구이기
JP3173613U (ja) 無煙炭火焼き器具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TWI548841B (zh) To burn and burn the fuel to burn the fire
CN111084559A (zh) 便携式野炊烧烤烤炉
JP7208716B2 (ja) 加熱調理器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CN205144354U (zh) 一种碳烤炉
CN205053843U (zh) 无烟燃气烧烤炉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140013856A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CN108523697A (zh) 烧烤炉
JP2007319494A (ja) 加熱調理器および電磁誘導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