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926U -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 Google Patents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926U
KR20120002926U KR2020100010748U KR20100010748U KR20120002926U KR 20120002926 U KR20120002926 U KR 20120002926U KR 2020100010748 U KR2020100010748 U KR 2020100010748U KR 20100010748 U KR20100010748 U KR 20100010748U KR 20120002926 U KR20120002926 U KR 20120002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anji
container
frame memb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926U/ko
Publication of KR20120002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지교체형 물류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일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제1부재(21)와, 양측면과 바닥면이 구비된 제2부재(22)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틀부재(31)와, 상기 틀부재(31)의 내측을 구획하여 다수의 수납공간(30a)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틀부재(31)의 내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로 구성되는 간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간지(30)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공간(30a)에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30a)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간지(30)가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간지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본체의 내측에 간지를 탈부착부로 분리가능하게 수용하여 물품을 이동시키거나 적재할 때 물품의 크기에 따라 물류용기를 각각 구비하지 않고, 간지를 교체함으로서 물류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류용기를 최소의 수량만을 제작하여 운영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DISTRIBUTION BOX HAVING EXCHANGE TYPE INSERT-PAPER}
본 고안은 물품을 운송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물류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이 담겨지는 박스체 내부에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간지를 교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박스체에 담기는 물품에 따라 간지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간지교체형 물류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용기는 박스체 형상의 공간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여 내부 물품을 보호하거나, 일정 단위의 물품을 포장하는 등의 물품의 효율적인 분배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물류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류용기는 같은 크기의 장방형 박스를 사용하거나 박스 형상의 상부에 덮개를 씌우거나,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해주는 구조로서 물품의 운송이나 적재시 박스 내부에 물품을 수납한 후 덮개를 덮거나 같은 크기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컨테이너 또는 화물 차량에 실어 운반하고 보관시에도 박스에 적층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류용기는 단단한 재질로 된 것으로, 박스체를 형성한 후에, 이 박스체의 내부에 박스체와 같은 재질로 된 칸막이를 넣어서 다수의 수납 공간을 만든 다음, 이 수납공간에 물품을 넣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박스체는 보통 단프라(DANPLA)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단프라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수지를 압출법에 의하여 일체 중공 구조식과 골판상 구조식 플라시틱 카본보드로써, 강하면서 가볍고 내수, 내유,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탄력성 유지 및 단열, 차음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물류용기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박스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가 박스체와 같은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별로 혼용 사용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크기별로 박스체와 칸막이를 제작하여야 함으로 제작비용이 추가로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물류용기의 박스체 내부의 칸막이를 부드러운 재질로 된 것으로 제작하되, 박스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의 박스 형태로 외형을 만든 후에, 재단과 봉재를 거친후에 칸막이를 형성하여, 박스체 내부에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함으로써, 박스체 내부에 수용되는 칸막이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물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간지교체형 물류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박스체 내측에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서 물품 용기의 전체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간지교체형 물류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와 일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제1부재와, 양측면과 바닥면이 구비된 제2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틀부재와, 상기 틀부재의 내측을 구획하여 다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틀부재의 내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구획부재와 제2구획부재로 구성되는 간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에 간지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간지가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간지에는 상기 간지를 본체의 내측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간지의 외주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품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간지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본체의 내측에 간지를 탈부착부로 분리가능하게 수용하여 물품을 이동시키거나 적재할 때 물품의 크기에 따라 물류용기를 각각 구비하지 않고, 간지를 교체함으로서 물류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류용기를 최소의 수량만을 제작하여 운영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에서 본체의 성형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의 간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에서 다른 형태의 간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의 본체 성형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의 간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에서 다른 형태의 간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용기(10)는, 단프라 원단을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접어서 서로 부착하여 박스 형태의 본체(20)를 성형하고, 천과 같은 부드러운 원단을 절단하고 봉재하여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성형한 후에, 간지(30)의 외측에 탈부착부(40)를 마련하여, 본체(20)의 내측에 간지(30)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구조이다.
본체(20)는 상부와 일면이 개구된 제1부재(21)를 서로 마주보고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측면과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제2부재(22)를 제1부재(21)의 상부에서 결합시켜서 형성하되,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체(20)의 양측면에는 물류용기(10)를 들어 옮기기 위한 손잡이(2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보강부재(24)와 제2보강부재(25)가 각각 구비된다.
제1보강부재(24)는 본체(20)의 상단 사방의 구석과 본체(20) 하단부 사방 구석에 고정되어, 사각 형태의 본체(20)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상단과 하단의 사방 구석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제2보강부재(25)는 본체(20)의 상단 사방 모서리에 끼워져 고정되어, 본체(20)의 상단이 날까로움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본체(20)의 상단부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간지(30)는 상부가 개구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용되는 틀부재(31)와, 틀부재(31)의 내측을 구획하여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로 구성된다.
이러한 간지(30)는 다수의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를 서로 봉재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후에, 이를 틀부재(31)의 사방 내측면에 봉재하여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지(30)의 원단은 질기면서 봉재하면 잘 분리되지 않고 부드러운 천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0)와 간지(30)에는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간지(3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부착시키거나 분리하기 위한 탈부착부(40)가 구비된다.
탈부착부(40)는 본체(20)의 내측면과 간지(30)의 외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탈부착부(40)는 본체(20)의 내주 상단부와 하단부 둘레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 테이프(41)와, 제1벨크로 테이프(41)의 위치와 대응되는 간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42)로 구성된다.
또한, 간지(30)는 그 내측에 다수의 수납공간(30a)을 형성하는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를 연결하는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납공간(30a)에 수납되는 물품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도 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지교체형 물류용기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정 길이와 면적의 평면으로 된 단프라 원단을 일부 절개하여, 일면부의 양측과 하측을 접어서 도 2a와 같이 양측면과 밑면을 형성하여, 상부와 일측부가 개구된 제1부재(21)를 형성한다.
이후에, 두 개의 제1부재(21)를 서로 개구된 방향이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단프라 원단을 접어서 전면부, 바닥부, 후면부를 형성한 제2부재(22)를 형성한 후에, 도 2b와 같이, 제2부재(22)의 상측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두개의 제1부재(21)를 내려서 제2부재(22)의 내측에 고정하여, 본체(20)를 형성하게 된다.
이 본체(20)의 상단과 하단의 사방 구석에 도 2c와 같이, 제1보강보재(24)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단 모서리에 제2보강부재(25)를 고정하여 본체(20)가 사각 박스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도 2d와 같이, 본체(2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끼움홀(20a)을 형성하여, 이 끼움홀(20a)에 손잡이부재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손잡이(23)를 형성함으로써, 도 2e와 같이, 본체(20)를 완성한다.
그런 다음, 부드러운 재질로 된 원단을 재단하고 봉재하여 상부가 개구된 틀부재(31)를 성형한다. 즉, 틀부재(31)는 본체(20)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단을 재단하여 크기가 다른 다수의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를 재단하여 형성한 후에,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를 서로 연결되도록 봉재하여 다수의 수납공간(30a)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를 틀부재(31)의 내측면에 봉재함으로써 간지(3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간지(30)의 수납공간의 형태는 도 4와 같이,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간지(30)의 외측면과 본체(20)의 내측면에 탈부착부(40)인 제1,2벨크로 테이프(41)(42)를 각각 부착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제2벨크로 테이프(42)는 간지(30)의 외측면 상단과 하단의 둘레에 부착하고, 제1벨크로 테이프(41)는 본체(20)의 내측면 상단과 하단의 둘레에 부착하여 구성한다.
그런 다음, 간지(30)를 본체(20)의 내측에 수용시키고 간지(30)의 제2벨크로 테이프(42)를 본체(20)의 제1벨크로 테이프(41)에 부착하여, 간지(30)가 본체(20) 내측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간지(30)를 본체(20)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물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수납공간(30a)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간지(30)를 구비한 후에 물품에 따라 간지(30)만을 교체하여 본체(20)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물류용기 20 : 본체
21 : 제1부재 22 : 제2부재
23 : 손잡이 24 : 제1보강부재
25 : 제2보강부재 30 : 간지
31 : 틀부재 32 : 제1구획부재
33 : 제2구획부재 40 : 탈부착부

Claims (3)

  1. 상부와 일측면이 개구된 한 쌍의 제1부재(21)와, 양측면과 바닥면이 구비된 제2부재(22)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틀부재(31)와, 상기 틀부재(31)의 내측을 구획하여 다수의 수납공간(30a)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어 상기 틀부재(31)의 내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제1구획부재(32)와 제2구획부재(33)로 구성되는 간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간지(30)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공간(30a)에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30a)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간지(30)가 다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교체용 물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와 간지(30)에는 상기 간지(30)를 본체(20)의 내측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교체용 물류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40)는 상기 본체(20)의 내주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 테이프(41)와,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41)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간지(30)의 외주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교체형 물류용기.
KR2020100010748U 2010-10-20 2010-10-20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KR201200029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48U KR20120002926U (ko) 2010-10-20 2010-10-20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48U KR20120002926U (ko) 2010-10-20 2010-10-20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26U true KR20120002926U (ko) 2012-04-30

Family

ID=4660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48U KR20120002926U (ko) 2010-10-20 2010-10-20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9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82B1 (ko) * 2018-07-11 2019-09-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온 보냉 단열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82B1 (ko) * 2018-07-11 2019-09-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온 보냉 단열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1820B2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US11001406B2 (en)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KR100942690B1 (ko)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US11731801B2 (en) Folded leak-proof container with side handles and a top handle
KR200491509Y1 (ko) 포장용 상자
KR20120002926U (ko) 간지 교체형 물류용기
JP6547246B2 (ja) 断熱容器、断熱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16093215A1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JP2014181073A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CN210823450U (zh) 一种多方式储运循环物流器具
CN206297841U (zh) 一种箱盖一体的折叠周转箱
JP5523818B2 (ja) 折りたたみ式通い箱
KR200467036Y1 (ko) 물품보관용 정사각형 수납박스
JP6451923B2 (ja) 保冷保温容器
JP2011073792A (ja) 粉末洗剤用包装容器
KR200149159Y1 (ko) 딸기 포장용 상자
CN206634402U (zh) 一种超耐磨可喷码uv逆向包装盒
US20040154944A1 (en) Quilter's block box
JP3242781U (ja) 物品保護体
KR101649681B1 (ko) 비닐 봉투
CN110949840B (zh) 门锁包装装置
JP2533161Y2 (ja) 収納ケース
CN211686027U (zh) 一种家庭储物纸箱
CN110562588A (zh) 一种多方式储运循环物流器具
KR102427314B1 (ko) 다기능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