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925U -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925U
KR20120002925U KR2020100010747U KR20100010747U KR20120002925U KR 20120002925 U KR20120002925 U KR 20120002925U KR 2020100010747 U KR2020100010747 U KR 2020100010747U KR 20100010747 U KR20100010747 U KR 20100010747U KR 20120002925 U KR20120002925 U KR 201200029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ing
fabric
frame
vacuu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282Y1 (ko
Inventor
노한종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8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소재원단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소재원단을 예열하기 위한 히터부; 상기 소재원단을 내장부품에 덧붙여 진공 성형하기 위한 진공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부는 소재원단이 놓이는 클램핑 프레임과,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소재원단의 상부와 하부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소재원단의 일측부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프와, 상기 클램핑 프레임에 설치되어 클램핑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소재원단의 타측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3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소재원단을 진공성형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가 소재원단의 상부와 하부, 양측부를 모두 클램핑함으로써, 소재원단의 예열시 소재원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공성형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VACUUM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AUTOMOBILE INNER ELEMENT}
본 고안은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공급되는 원단을 클램핑시 진공성형부에 간섭되지 않고, 클램핑하여 원단의 예열시 원단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내장재의 진공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 장식마감재로 사용되는 트림(trim)은 합성수지제(PE 등)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되고, 이의 외면부에는 질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폴리에스텔을 기모한 원단층 이면에 폴리우레탄폼을 부착시킨 소재원단을 진공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부착함으로서 트림을 최종 완성하게 된다.
즉, 트림이 성형완료되면 통상 롤(roll) 단위로 공급시판되는 소재원단을 트림의 외면부에 성형부착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장치의 금형에 트림을 안치하되, 이의 표면부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의 상부에 소재원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히팅장치를 작동시켜 성형원단을 예열시킨 후에 트림이 안치된 금형을 상승시켜 성형원단에 연접시킨 후 진공장치를 가동하여 금형을 통하여 트림과 소재원단 상간에 체류하는 에어를 인출시키면 예열상태로 신축가변이 가능한 표면마감재가 트림의 형상에 부합되게 밀착되면서 트림표면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트림의 표면부에 접착상태로 성형된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냉각수를 소재원단에 살포하여 냉각시킨 후에 클램핑된 소재원단을 클램핑 상태에서 해제시킨 후 금형을 하강시켜 소재원단이 성형부착된 트림을 금형으로부터 인출하고 소재원단중 로스(loss)가 난 부분은 칼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한 후에 제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에서 소재원단이 롤 형태로 장착되어 트림이 안치되는 금형의 상측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소재원단은 이동되는 수평 방향으로 클램핑부에 의해 클램핑되기 때문에, 소재원단의 예열시 클램핑되지 않은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처지는 양만큼 소재원단의 로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원단의 예열시 소재원단의 처짐량이 일정하지 않아 진공성형시 다량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롤 형태의 소재원단을 길이방향과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를 구성하여, 소재원단의 예열시 소재원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공성형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소재원단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소재원단을 예열하기 위한 히터부; 상기 소재원단을 내장부품에 덧붙여 진공성형하기 위한 진공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부는 소재원단이 놓이는 클램핑 프레임과, 상기 클램핑 프레임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소재원단의 상부와 하부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소재원단의 일측부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프와, 상기 클램핑 프레임에 설치되어 클램핑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소재원단의 타측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3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클램프는 소재원단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재와, 상기 제1누름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클램프는, 소재원단의 일측부를 누르기 위한 제2누름부재와, 상기 제2누름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3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왕복이동되는 로드를 가지는 실리더; 상기 로드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누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3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되 작동시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되는 제3누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소재원단을 진공성형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클램핑하는 클램핑부가 소재원단의 상부와 하부, 양측부를 모두 클램핑함으로써, 소재원단의 예열시 소재원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공성형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중 일측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성형시 클램프가 진공성형부의 성형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의 클램핑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1클램프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2클램피를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3클램프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장치의 클램핑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1클램프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2클램피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의 제3클램프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는 도어의 트림에 소재 원단을 진공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부(100)와, 클램핑부(200)와, 히터부(300)와, 진공성형부(400)와, 제어부(500)로 크게 구성된다.
프레임부(100)는 지면에 대하여 진공성형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지지되는 다수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수직부재(110)에 연결되며 각 부품들이 설치되는 수평부재(120)로 구성된다.
클램핑부(200)는 일정 길이와 폭으로 공급되는 소재원단을 클램핑하고, 진공성형부(400) 쪽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소재원단을 진공성형부(400)의 성형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클램핑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소재원단를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프레임(210)과, 소재원단의 상하를 클램핑하기 위한 한 쌍의 제1클램프(220)와, 소재원단의 일측을 클램핑하기 위한 제2클램프(230)와, 사용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소재원단의 타측을 클램핑하는 제3클램프(240)로 구성된다.
제1클램프(220)는 소재원단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위에서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재(221)와, 소재원단의 누르기 위하여 제1누름부재(22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부(2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클램프(220)의 누름부재(221)는 상가 제1작동부(222)에 의해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되어 소재원단을 누르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되거나, 제1작동부(222)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어 소재원단을 누르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작동부(222)는 제1누름부재(221)의 도시하지 않은 회동축에 고정되고, 회동축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서 제1누름부재(221)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도록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작동부(222)는 제1누름부재(221)의 일측단부에 고정되어 제1누름부재(221)를 일정각도로 반복하여 왕복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클램프(230)는 소재원단의 일측부 즉 도 3에서 소재원단의 좌측부 윗면을 누르기 위한 제2누름부재(231)와, 제2누름부재(23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작동부(2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작동부(232)도 제1작동부(222)와 같이, 모터나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클램프(240)는 소재원단의 타측부 즉, 도 3에서 소재원단의 우측부 윗면을 눌러 클램핑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 제3누름부재(244)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소재원단의 타측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제3클램프(240)는 클램프 프레임(210)에 고정되는 브래킷(241)과, 브래킷(241)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왕복이동되는 로드(242a)를 가지는 실리더(242)와, 로드(242a)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링크(243)와, 링크(243)의 타단에 고정되어 클램프 프레임(210)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누름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누름부재(244)의 일측에는 고정돌부(244a)가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돌부(244a)가 링크의 타단에 고정되되, 클램프 프레임(210)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소재원단을 클램핑 하기 위하여 실린더(242)가 작동되어, 로드(242a)가 직진 운동하면, 로드(242a)의 끝단에 힌지 고정되는 링크(243)가 그 일단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링크(243)의 타단에 완전 고정되는 제3누름부재(244)는 고정돌부(244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3누름부재(244)는 클램프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부(244a)를 중심으로 링크(243)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제3클램프(240)는 클램프 프레임(210)의 상부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부(244a)를 가지는 제3누름부재(244)로 구성할 수도 있다.
히터부(300)는 소재원단이 클램핑되는 클램핑부(200) 상측이나 하측에 구비되어 클램핑부(200)에 의해 클램핑되는 소재원단을 일정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다.
진공성형부(400)는 클램핑부(200)나 히터부(300)의 근처에 구비되며, 차량용 내장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410)와, 안착부(410)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장부품의 위쪽으로 공급되는 소재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420)와, 상기 안착부(410)와 가압부(420)를 수직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승강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공성형부(400)는 클램핑부(200)에 클램핑된 소재원단이 히터부(300)에서 예열된 후에, 안착부(410)에 안착된 내장부품과 가압부(420) 사이로 공급되어, 승강부(430)에 의해 상승되는 안착부(410)에 안착된 내장부품에 소재원단을 가압부(420)가 가압하여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500)는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종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각 부품의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부(500)에는 각종 부품에 대한 작동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각종 설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설정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창 등을 갖추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200 : 클램핑부
210 : 클램핑 프레임 220 : 제1클램프
230 : 제2클램프 240 : 제3클램프
241 : 브래킷 242 ; 실린더
243 : 링크 244 : 제3누름부재
300 : 히터부 400 : 진공성형부
410 : 안착부 420 : 가압부
430 : 승강부

Claims (5)

  1. 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로 구성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며 소재원단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200); 상기 클램핑부(200)에 클램핑된 소재원단을 예열하기 위한 히터부(300); 상기 소재원단을 내장부품에 덧붙여 진공 성형하기 위한 진공성형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클램핑부(200)는 소재원단이 놓이는 클램핑 프레임(210)과,
    상기 클램핑 프레임(210)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소재원단의 상부와 하부를 클램핑하는 제1클램프(220)과,
    상기 소재원단의 일측부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프(230)과,
    상기 클램핑 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클램핑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소재원단의 타측부를 클램핑하기 위한 제3클램프(2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220)는 소재원단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누르기 위한 제1누름부재(221)와,
    상기 제1누름부재(22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부(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230)는, 소재원단의 일측부를 누르기 위한 제2누름부재(231)와,
    상기 제2누름부재(23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작동부(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240)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210)에 고정되는 브래킷(241);
    상기 브래킷(241)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왕복이동되는 로드(242a)를 가지는 실리더(242);
    상기 로드(242a)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는 링크(243);
    상기 링크(243)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 프레임(210)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누름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클램프(240)는, 상기 클램프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되 작동시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되는 제3누름부재(2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KR2020100010747U 2010-10-20 2010-10-20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KR200466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47U KR200466282Y1 (ko) 2010-10-20 2010-10-20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47U KR200466282Y1 (ko) 2010-10-20 2010-10-20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25U true KR20120002925U (ko) 2012-04-30
KR200466282Y1 KR200466282Y1 (ko) 2013-04-08

Family

ID=4660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47U KR200466282Y1 (ko) 2010-10-20 2010-10-20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110A (ko) *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클램프 및 조절장치를 가지는 금형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052B1 (ko) * 2014-04-17 2016-02-17 주식회사 아썬 진공성형장치
KR101571789B1 (ko) * 2014-04-17 2015-11-25 주식회사 아썬 진공성형장치용 클램프수단
KR102253431B1 (ko) 2020-02-03 2021-05-18 (주)건양아이티티 프리-블로잉 하부챔버 구비형 진공성형기
KR102350308B1 (ko) 2021-03-18 2022-01-12 (주)건양아이티티 4면 기밀형 폭가변 클램프가 구비된 하부 챔버형 진공성형기
KR102576579B1 (ko) * 2022-10-21 2023-09-11 (주)삼원 원단 파지용 클램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9685A (ja) 2007-05-11 2008-11-20 Asano Laboratories Co Ltd 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真空成形方法及び装置
KR200444456Y1 (ko) 2008-01-21 2009-05-14 한일이화주식회사 진공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110A (ko) *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클램프 및 조절장치를 가지는 금형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282Y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282Y1 (ko)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JP2004508978A (ja) 成形品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381787B1 (ko) 사출성형물의 냉각장치
KR101195552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101715362B1 (ko) 단열재용 유리섬유 매트 절단장치
EP1059156A2 (en) Equipment for moulding thermoplastic articles
KR102300281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진공 성형 장치
KR101387443B1 (ko) 면취장치
KR20090123374A (ko) 자동차용 내장재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828416B1 (ko) 차량용 천장내장재 트리밍 장치
KR100906240B1 (ko) 조립식 판넬의 성형장치
KR101007365B1 (ko) 열풍을 이용한 발포 성형 방법 및 장치
KR100307842B1 (ko) 자동차용 트림의 진공성형방법
KR101588407B1 (ko) 신축성 매트원단의 끝단 마감방법
JP4190313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CN116604800A (zh) 用于模内成型皮纹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KR200388271Y1 (ko) Hp스트립의 코어로드 탈형장치
KR20170001959U (ko) 내장재 원단 감싸기 장치
KR20100064662A (ko) 진공 씰링 수단을 구비하는 저압 진공 성형기
JP200711204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101857487B1 (ko)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JP2007313993A (ja) 貼り合わせ成形品における表皮の端末処理方法並びに端末処理装置
JP3681100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200164105Y1 (ko) 자동차용트림의진공성형장치
KR101715072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