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87B1 -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 Google Patents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87B1
KR101857487B1 KR1020160126032A KR20160126032A KR101857487B1 KR 101857487 B1 KR101857487 B1 KR 101857487B1 KR 1020160126032 A KR1020160126032 A KR 1020160126032A KR 20160126032 A KR20160126032 A KR 20160126032A KR 101857487 B1 KR101857487 B1 KR 101857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itch
built
unit
stit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017A (ko
Inventor
고현덕
유재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2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4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5/00Machines for sewing leather goo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티치라인 가공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어 및 내장시트가 안착되는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의 일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클램핑유닛; 상기 제1클램핑유닛과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유닛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의 타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클램핑유닛; 상기 거치유닛의 상부영역으로 투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장시트의 스티치라인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티치압착금형을 구비하는 스티치셋팅유닛; 상기 거치유닛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의 일측 영역을 상기 코어에 압착시키는 제1시트압착금형; 및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유닛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의 타측 영역을 상기 코어에 압착시키는 제2시트압착금형;을 포함하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PROCESSING SYSTEM FOR STITCH LINE}
본 발명은 가공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장재에 사용되는 스티치라인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설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의 암레스트, 도어 이너트림 등에는 스티치라인(stitch line)이 적용될 수 있다. 스티치라인은 가죽, 합성피혁 등의 내장시트 이음부위에 적용되어 내장시트가 봉제를 통해 연결된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실내 미관을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최근 들어 차량의 실내 마감 품질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이와 같은 스티치라인의 적용범위는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스티치라인은 일정한 경도를 갖는 질감을 제공하기 위해 암레스트 등의 외관을 이루도록 사출된 코어에 내장시트를 씌운 구조로 이뤄질 수 있는데, 이때, 내장시트에 미리 형성된 스티치라인이 코어 모서리 등 기 설정된 위치로 정렬되도록 내장시트가 씌워짐으로써, 내장시트가 씌워진 표면에 스티치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암레스트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먼저 코어 사출시 스티치라인의 정렬 기준이 되는 일종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리 스티치라인이 형성된 내장시트가 홈을 기준으로 코어에 씌워지게 된다. 이때, 내장시트의 단부는 홈으로 삽입되어 스티치라인이 홈을 따라 나란히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코어의 홈을 경계로 양쪽으로 스티치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치라인의 형성은 통상 수작업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즉, 작업자가 코어에 내장시트를 접착한 후, 홈으로 내장시트의 단부를 손으로 밀어 넣어 스티치라인을 정렬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스티치라인의 가공은 양산성이 떨어지는 공정으로, 비교적 고가의 차량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결과로, 스티치라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스티치라인이 모서리나 이음부위를 따라 나란히 정렬되지 못하고, 비뚤어진 형태로 정렬됨으로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암레스트, 도어 이너트림 등 스티치라인이 적용되는 차실 내부부품의 경우, 대부분 모서리나 이음부위 등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이나 육안 판별로는 일정수준 이상의 품질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5-229244호(2015. 12. 21.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00487호(2003. 07. 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내장재에 사용되는 스티치라인의 가공을 자동화 구현하여 양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공 완료된 스티치라인의 품질을 개선시키고, 품질 산포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어 및 내장시트가 안착되는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의 일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클램핑유닛; 상기 제1클램핑유닛과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유닛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의 타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클램핑유닛; 상기 거치유닛의 상부영역으로 투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장시트의 스티치라인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티치압착금형을 구비하는 스티치셋팅유닛; 상기 거치유닛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의 일측 영역을 상기 코어에 압착시키는 제1시트압착금형; 및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유닛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의 타측 영역을 상기 코어에 압착시키는 제2시트압착금형;을 포함하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는 거치유닛, 제1, 2클램핑유닛, 스티치셋팅유닛 및 제1, 2시트압착금형을 통해 코어에 내장시트를 압착하고,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는 스티치라인 가공에 필요한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종래 고급 내장기법의 일종인 스티치라인이 보다 폭넓은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는 스티치라인의 가공이 자동화 공정을 거쳐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티치라인에 대한 품질 산포도를 줄이고 일정수준 이상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종래에 비해, 스티치라인의 정렬 등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내장시트의 주름 발생 등을 방지하여 가공된 스티치라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3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4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5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6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7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8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9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제10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티치라인 가공설비의 작동순서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거치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유닛(11)은 스티치라인 형성을 위한 코어(C) 및 내장시트(S)를 안착 및 거치시킬 수 있다. 거치유닛(11)의 안착면은 코어(C) 형상 등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코어(C), 내장시트(S) 등이 적절히 안착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코어(C)는 암레스트, 도어 이너트림 등 내장부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사출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내장시트(S)는 코어(C) 표면에 씌워지는 가죽, 합성피혁 등의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장시트(S)는 스티치라인이 미리 가공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코어(C) 및 내장시트(S)는 접착면에 미리 본드가 도포 또는 스프레이 되고, 소정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쳐 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로 투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제1, 2클램핑유닛(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클램핑유닛(12, 13)은 거치유닛(11)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내장시트(S)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2클램핑유닛(12, 13)은 각각 상하 및 좌우로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후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작동상태의 경우, 코어(C)는 거치유닛(11)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어(C) 표면에는 다시 내장시트(S)가 안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내장시트(S)는 스티치라인이 미리 가공된 것으로, 내장시트(S)의 배치는 스티치라인을 기준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내장시트(S)의 양단은 각각 제1, 2클램핑유닛(12, 13)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 본 제1작동상태에서 내장시트(S)의 각 단부는 제1, 2클램핑유닛(12, 13)에 의해 클램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면 무방하며, 제1, 2클램핑유닛(12, 13)에 의해 각 단부가 클램핑 또는 고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스티치셋팅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치셋팅유닛(14)은 거치유닛(11)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거치유닛(11) 상부영역으로 투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레일, 겐트리 등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치셋팅유닛(14)은 스티치압착금형(141)을 구비할 수 있다. 스티치압착금형(141)은 하부의 거치유닛(11)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실린더(142)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치압착금형(141)은 거치유닛(11) 또는 이에 안착된 내장시트(S)를 향해 하강되어 내장시트(S)의 스티치라인을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치압착금형(141)은 스티치라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블록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바에서 제1, 2클램핑유닛(12, 13)의 배치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지칭할 때, 스티치라인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티치압착금형(141) 또한 전후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스티치압착금형(141)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작동상태에서 거치유닛(11)에 코어(C) 및 내장시트(S)가 안착되면, 본 제2작동상태에서는 스티치셋팅유닛(14)이 거치유닛(11) 상부영역으로 투입되어 스티치압착금형(141)이 내장시트(S)의 스티치라인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3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4작동상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2작동상태와 같이 스티치셋팅유닛(14)이 투입되면, 제3작동상태에서 스티치압착금형(141)이 내장시트(S)를 향해 하강될 수 있으며, 제4작동상태와 같이 스티치압착금형(141)이 스티치라인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스티치라인을 코어(C)에 압착시키게 된다. 즉, 스티치압착금형(141)이 스티치라인을 코어(C)에 미리 형성된 홈 등으로 밀어 넣어 스티치라인을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스티치라인의 압착 고정은 스티치셋팅유닛(14)에 구비된 실린더(142)를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제4작동상태가 완료되면 내장시트(S)는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스티치압착금형(14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4작동상태에서 내장시트(S)의 각 단부는 제1, 2클램핑유닛(12, 13)에 의해 고정되기 전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5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4작동상태와 같이 스티치압착금형(141)에 의해 스티치라인이 압착 고정되면, 본 제5작동상태에서는 제1, 2클램핑유닛(12, 13)이 내장시트(S)의 양단을 클램핑하게 된다. 따라서 내장시트(S)는 중단부의 스티치라인이 스티치압착금형(141)에 의해 압착 고정된 상태로, 양단이 각각 제1, 2클램핑유닛(12, 13)에 의해 다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클램핑유닛(12)은 내장시트(S)의 일측 단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소정정도 상승 이동되거나, 거치유닛(11)의 외측(도면상, 좌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내장시트(S)에 소정정도의 텐션을 주고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6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제1시트압착금형(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시트압착금형(15)은 거치유닛(11)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시트압착금형(15)은 스티치압착금형(141)에 의해 압착 고정된 스티치라인을 기준으로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을 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면에 형성되는 압착면은 코어(C)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시트압착금형(15)은 내장시트(S)를 향해 하강되어 스티치라인으로부터 제1클램핑유닛(12)에 의해 고정된 내장시트(S)의 일측 단부에 이르는 영역을 압착시키게 된다.
제6작동상태에서, 제1시트압착금형(15)은 하부의 내장시트(S)를 향해 하강될 수 있으며, 내장시트(S) 표면을 접촉 가압하여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을 코어(C)에 압착시키게 된다.
이때, 제1클램핑유닛(12)은 전술한 제5작동상태와 같이 소정정도 상승 또는 내장시트(S)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시트압착금형(15)이 내장시트(S)를 접촉 가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강 또는 내장시트(S) 쪽으로 미세하게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제6작동상태에서 제1클램핑유닛(12)은 제1시트압착금형(15)의 가압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7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6작동상태와 같이 제1시트압착금형(15)이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을 코어(C)에 압착시키면, 스티치압착금형(141)이 상승되어 스티치라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스티치셋팅유닛(14)은 거치유닛(11) 상부영역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치셋팅유닛(14)이 이탈되면, 내장시트(S)는 제1시트압착금형(15)에 의해 일측 영역이 압착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8작동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의 제7작동상태와 같이 내장시트(S)가 제1시트압착금형(15)에 의해 고정 지지되면, 본 제8작동상태에서는 내장시트(S)의 반대쪽 단부를 클램핑하는 제2클램핑유닛(13)이 소정정도 상승되거나, 내장시트(S)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클램핑유닛(12)과 유사하게 내장시트(S)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고,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9작동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제2시트압착금형(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시트압착금형(16)은 제1시트압착금형(15)과 인접하도록 거치유닛(11)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시트압착금형(16)은 제1시트압착금형(15)과 대응하여 내장시트(S)의 반대측 영역을 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면에 형성되는 압착면은 코어(C)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장시트(S)는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일측 영역에 대하여는 제1시트압착금형(15)에 의해, 반대측 영역에 대하여는 제2시트압착금형(16)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제9작동상태에서, 제2시트압착금형(16)는 내장시트(S)를 향해 하강되어, 스티치라인에서부터 제2클램핑유닛(13)에 의해 클램핑된 내장시트(S)의 단부에 이루는 영역을 코어(C)에 압착시키게 된다.
이때, 제2클램핑유닛(13)은 제2시트압착금형(16)의 가압력에 의해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클램핑유닛(13)은 수동적으로 자연스럽게 하강 또는 내장시트(S) 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의 제10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9작동상태와 같이 내장시트(S)의 반대측 영역에 대하여도 압착이 이뤄지면, 제1, 2시트압착금형(15, 16)은 다시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2클램핑유닛(12, 13)은 내장시트(S)의 각 단부에 대한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2시트압착금형(15, 16) 및 제1, 2클램핑유닛(12, 13)이 이탈 및 클램핑 해제되면, 내장시트(S)가 표면에 압착된 코어(C)가 거치유닛(11)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코어(C)가 취출되면, 작업자는 내장시트(S)의 테두리를 컷팅 및 부착하는 과정을 거쳐 스티치라인 가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거치유닛(11), 제1, 2클램핑유닛(12, 13), 스티치셋팅유닛(14) 및 제1, 2시트압착금형(15, 16)을 통해 코어(C)에 내장시트(S)를 압착하고, 스티치라인을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스티치라인 가공에 필요한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종래 고급 내장기법의 일종인 스티치라인이 보다 폭넓은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치라인 가공설비(1)는 스티치라인의 가공이 자동화 공정을 거쳐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티치라인에 대한 품질 산포도를 줄이고 일정수준 이상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종래에 비해, 스티치라인의 정렬 등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내장시트의 주름 발생 등을 방지하여 가공된 스티치라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11: 거치유닛
12: 제1클램핑유닛 13: 제2클램핑유닛
14: 스티치셋팅유닛 15: 제1시트압착금형
16: 제2시트압착금형 C: 코어
S: 시트

Claims (5)

  1. 코어(C) 및 내장시트(S)가 안착되는 거치유닛(11);
    상기 거치유닛(11)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클램핑유닛(12);
    상기 제1클램핑유닛(12)과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유닛(11)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장시트(S)의 타측 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소정정도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클램핑유닛(13);
    상기 거치유닛(11)의 상부영역으로 투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장시트(S)의 스티치라인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 스티치압착금형(141)을 구비하는 스티치셋팅유닛(14);
    상기 거치유닛(11)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을 상기 코어(C)에 압착시키는 제1시트압착금형(15); 및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15)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유닛(11) 상부에 배치되며, 승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경계로 한 상기 내장시트(S)의 타측 영역을 상기 코어(C)에 압착시키는 제2시트압착금형(16);을 포함하되,
    상기 스티치셋팅유닛(14)은,
    상기 내장시트(S)의 양단이 구속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티치압착금형(141)을 하강시켜 상기 스티치라인을 압착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2클램핑유닛(12, 13)은,
    상기 스티치압착금형(141)이 상기 스티치라인을 압착 고정시키면, 상기 내장시트(S)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15)은,
    상기 내장시트(S)의 각 단부가 클램핑된 상태에서, 상기 내장시트(S)로 하강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한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을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시트압착금형(16)은,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이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15)에 의해 가압 고정되고, 상기 스티치셋팅유닛(14)이 상기 스티치라인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내장시트(S)로 하강되어 상기 스티치라인을 중심으로 한 상기 내장시트(S)의 나머지 영역을 상부에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핑유닛(12)은,
    상기 스티치압착금형(141)이 상기 스티치라인을 압착 고정시키면,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단부를 클램핑하고 소정정도 상승 이동되어, 상기 내장시트(S)에 소정정도의 텐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핑유닛(13)은,
    상기 제1시트압착금형(15)에 의해 상기 내장시트(S)의 일측 영역이 압착 고정되면, 상기 내장시트(S)의 타측 단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소정정도 상승 이동되어, 상기 내장시트(S)이 소정정도의 텐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KR1020160126032A 2016-09-30 2016-09-30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KR101857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32A KR101857487B1 (ko) 2016-09-30 2016-09-30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32A KR101857487B1 (ko) 2016-09-30 2016-09-30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17A KR20180036017A (ko) 2018-04-09
KR101857487B1 true KR101857487B1 (ko) 2018-05-14

Family

ID=6197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32A KR101857487B1 (ko) 2016-09-30 2016-09-30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4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0487A (ja) * 2001-10-23 2003-07-15 T S Tec Kk ステッチ意匠を備えた表皮材,車両用シート,前記表皮材の成形金型,前記車両用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15229244A (ja) * 2014-06-03 2015-12-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長尺体付き内装部品の真空成形型及びその真空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0487A (ja) * 2001-10-23 2003-07-15 T S Tec Kk ステッチ意匠を備えた表皮材,車両用シート,前記表皮材の成形金型,前記車両用シート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15229244A (ja) * 2014-06-03 2015-12-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長尺体付き内装部品の真空成形型及びその真空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17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CN106112481B (zh) 一种用于汽车座椅滑轨的装配机
KR101898014B1 (ko)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
DE3607647A1 (de) Verfahren zum kaschieren von formteilen und vorrichtung zu seiner durchfuehrung
KR101857487B1 (ko) 스티치라인 가공설비
US1094656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art and associated gripping device
JP4797258B2 (ja) ボード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CN107848164B (zh) 用于生产层压模制件的方法和装置
WO2012130472A1 (de) Umbugverfahren, umbugvorrichtung sowie bauteil mit umbug
US58402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lly attaching a cover material to a foamed article
DE10201003843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Kunststoffteils
KR100957746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101806444B1 (ko) 차량용 내장부품의 표피재 압착 장치 및 그의 압착방법
KR101687600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JPH1177818A (ja) 成形用金型装置及び成形品の成形方法
DE102010062707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sterteilen, insbesondere für Fahrzeugsitze, Polsterteil und Werkzeug
KR101457408B1 (ko) 자동차 필러 트림의 제작 금형
KR20150144050A (ko) 자동차 시트백의 외장보드 제조방법
DE10201712428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Umbugs
DE29617600U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aschierten Formteilen
KR101588407B1 (ko) 신축성 매트원단의 끝단 마감방법
CN105927730A (zh) 一种具有同步打开机构的汽车排挡球头皮革自动包覆工装
CN113382840B (zh) 带表层部件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DE10201400517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schieren eines Fahrzeugteils der Innenausstattung mit einem Lederbezug
KR102518663B1 (ko)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