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072B1 -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072B1
KR101715072B1 KR1020150128882A KR20150128882A KR101715072B1 KR 101715072 B1 KR101715072 B1 KR 101715072B1 KR 1020150128882 A KR1020150128882 A KR 1020150128882A KR 20150128882 A KR20150128882 A KR 20150128882A KR 101715072 B1 KR101715072 B1 KR 10171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terial
mounting groove
mirror mounting
molding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래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to KR102015012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재를 절단하지 않고, 미러장착홈의 측면과 바닥면에 표피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표피재 부착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러장착홈의 측면과 바닥에 표피재가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미러장착홈 주변에 주름이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피재 부착작업을 작업자의 수공에 의하지 않고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러장착홈을 가지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를 구성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조체에 형성된 미러장착홈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표피재를 씌워 부착하고, 상기 미러장착홈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열을 가하여 표피재의 조직을 연화(軟化)시키고, 상기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가압하여 미러장착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경화(硬化)시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UN VISOR SKIN OF VEHICLE, AND SUN VISO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Skin)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바이저 내부구조체의 표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를 완성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선바이저는 차량의 실내에서 태양광을 차단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 몸체(1)의 한쪽면에는 미러장착홈(3a)이 형성되어 미러조립체(2)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바이저 몸체(1)는 내부구조체(3)의 외면에 합성수지제의 표피재, 예들 들면 PVC(polyvinyl chloride)재의 표피재(4)를 씌워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종래의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은,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 몸체(1)를 구성하는 내부구조체(3)의 미러장착홈(3a)을 포함하는 외면 전체를 표피재(4)로 씌워 부착한다. 이때, 미러장착홈(3a)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미러장착홈(3a) 바닥면과 표피재(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장착홈(3a)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 부분의 표피재(4)를 칼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미러장착홈(3a)의 대각선 방향, 즉 X 자 형태로 절단함으로써 미러장착홈(3a) 상의 표피재(4)를 4부분으로 분할한다.
이어서, 도 2의 (c)에서와 같이 4분할 된 표피재(4)를 작업자가 손으로 미러장착홈(3a)의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도 1에서와 같이 표피재(4)가 들뜨지 않도록 4분할 된 표피재(4)를 접착제 또는 스테이플러 등의 고정수단으로 미러장착홈(3a) 바닥에 고정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표피재(4)의 부착 작업이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은, 미러장착홈(3a)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분의 표피재(4)를 작업자가 칼과 같은 절단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절단하는 것이므로, 작업자에 따라 절단 길이가 일정치 않다. 따라서, 절단 길이가 너무 짧을 경우에는, 4분할된 표피재(4)를 미러장착홈(3a)의 측면과 바닥에 밀착시키기 어렵고, 반대로 절단 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미러조립체(2)를 미러장착홈(3a)에 장착한 상태에서 절단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4분할된 표피재(4)를 미러장착홈(3a) 바닥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4분할된 표피재(4)를 미러장착홈(3a)의 측면과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시키기 어려워 부분적으로 들뜸 현상을 발생하고, 이로 인해 미러장착홈(3a)에 미러조립체(2)를 장착한 후에도 미러조립체(2) 주변에 들뜸 현상에 의한 주름이 형성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미러장착홈(3a)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표피재 부착작업이 작업자의 수공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숙련에 따라 품질이 일정치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표피재를 절단하지 않고, 미러장착홈의 측면과 바닥면에 표피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표피재 부착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러장착홈의 측면과 바닥에 표피재가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미러장착홈 주변에 주름이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피재 부착작업을 작업자의 수공에 의하지 않고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러장착홈을 가지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를 구성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조체에 형성된 미러장착홈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표피재를 씌워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미러장착홈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열을 가하여 표피재의 조직을 연화(軟化)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표피재의 연화된 성형부분을 가압하여 미러장착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경화(硬化)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단계는,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외부와 차단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단계에서의 경화는 미러장착홈에 밀착된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냉풍을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선바이저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장착홈을 가지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를 구성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장착홈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표피재를 부착한 선바이저 몸체를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선바이저 몸체의 미러장착홈에 끼워지도록 미러장착홈과 일치하는 형상의 가압부를 형성한 성형블럭; 상기 성형블럭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미러장착홈을 덮는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블럭을 상기 선바이저 몸체의 미러장착홈에 끼워져 밀착하는 가압위치와 미러장착홈으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러장착홈에 밀착된 표피재에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풍공급부를 더 구비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블럭의 외측에 설치되어 성형블럭의 하강시 표피재의 성형부분 둘레에 밀착하여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블럭; 상기 성형블럭과 차단블럭 사이에 설치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형블럭에 구비되고 성형블럭의 가압부가 미러장착홈에 끼워져 밀착되는 가압위치에서 차단블럭에 접촉하여 성형블럭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성형블럭은, 가압부 내부에 열원공급부 또는 냉풍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 또는 냉풍이 유입되는 열원유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부에는 열원유입공간부 내의 열원 또는 냉풍을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분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구멍이 형성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성형블럭은, 상기 열원유입공간부를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분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판에는 다수개의 확산구멍을 형성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장착홈을 덮는 표피재를 절단하지 않고, 가열에 의해 표피재를 연화시킨 후 가압에 의한 성형을 통해 미러장착홈에 밀착시켜 부착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표피재를 절단함에 따른 불량 발생 및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미러장착홈 부분에서의 표피재 부착작업이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생산된 선바이저 몸체의 품질도 양호한 상태로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바이저 몸체와 미러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의 (a) 내지 (c)는 종래의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피재 부착방법은, 미러장착홈(3a)을 가지는 내부구조체(3)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4)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구조체(3) 외면에 표피재(4)를 부착하는 제1 단계(S10)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열하는 제2 단계(S20)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압 및 냉각시키는 제3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단계(S10)의 표피재 부착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장착홈(3a)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3) 외면에 표피재(4)를 씌워 부착하는 단계로서, 미러장착홈(3a)과 표피재(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미러장착홈(3a)의 개방된 상부에 위치한 표피재(4) 부분이 성형부분(4a)이 된다.
이어서 제2 단계(S20)의 표피재 가열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열을 가하여 표피재(4)의 조직을 연화(軟化)시키는 단계로서, 표피재(4)의 조직이 연화되면, 연화된 부분의 유연성이 좋아지고 외력에 의해 쉽게 늘어나기 때문에 임의 형상으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대한 가열은 외부와 차단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피재(4)의 가열온도는 60-120℃ 범위로 하고, 가열시간은 표피재(4)를 임의 형상으로 성형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연화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3 단계(S30)의 표피재 가압 및 경화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성형블럭(20)으로 가압하여 미러장착홈(3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8의 (b)와 같이 성형블럭(20)을 제거하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이 경화되어 조직이 다시 단단해지게 되므로 미러장착홈(3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표피재(4) 부착 작업은 종료된다.
이때, 표피재(4)의 경화는, 성형블럭(20)으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압하여 미러장착홈(3a)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 방치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지만,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냉풍을 공급하여 급랭시키는 것에 의해 경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와 같은 선바이저 표피재 부착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는, 미러장착홈(3a)을 가지는 내부구조체(3)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4)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1)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미러장착홈(3a)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3) 외면에 표피재(4)를 부착한 선바이저 몸체(1)를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10)를 구비한다.
받침대(10) 상에는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압하여 미러장착홈(3a)에 밀착시키기 위한 성형블럭(20)이 설치된다. 성형블럭(20)의 하부에는 가압부(21)가 형성되고, 가압부(21)는 상기 선바이저 몸체(1)의 미러장착홈(3a)에 끼워지도록 미러장착홈(3a)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미러장착홈(3a)의 측면 및 바닥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은 미러장착홈(3a)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부분이다.
성형블럭(20)은 받침대(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기둥(31)으로 받침대(10)와 연결된 지지대(30)에 설치되고, 또한 지지대(30)에 설치된 승강기구(5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기구(5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승강기구(50)는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도 6의 (a) 위치)에서 하강하여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근접한 중간이동위치(도 6의 (b) 위치)와, 선바이저 몸체(1)의 미러장착홈(3a)에 끼워져 밀착하는 가압위치(도 7의 (a) 위치)에 있도록 성형블럭(20)을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원공급부(40)로서 보일러를 사용하여 보일러에서 발생된 열원, 즉 증기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열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성형블럭(20)에 적외선 히터나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열원을 증기로 하는 경우, 성형블럭(20)에는 열원이 유입되는 열원유입공간부(23)를 형성하고, 열원공급부(40)와 연결된 성형블럭(20)의 열원유입포트(24)를 통해 열원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열원유입공간부(23)는 가압부(21)와 근접한 내부에 형성하고, 가압부(21)에는 열원유입공간부(23) 내의 열원을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분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구멍(21a)을 형성한다.
또한 성형블럭(20)의 열원유입공간부(23)는 분리판(26)에 의해 상하로 분리형성하고, 분리판(26)에는 다수개의 확산구멍(26a)을 형성하여 열원을 확산시킴으로써 분출구멍(21a)을 통해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풍공급부(60)를 더 구비한다. 냉풍공급부(60)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성형블럭(20)에 의해 성형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신속하게 경화시켜 성형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기 또는 에어콤프레셔로 구성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냉풍공급부(60)는 성형블럭(20)의 냉풍유입포트(25)와 연결되어 열원유입공간부(23) 내로 냉풍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열원과 마찬가지로 가압부(21)의 분출구멍(21a)을 통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블럭(20)에는 성형블럭(20) 외측을 둘러싸는 차단블럭(70)이 설치된다. 차단블럭(70)은 성형블럭(20)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표피재(4)의 성형부분(4a) 가장자리를 고정함과 동시에,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표피재(4)의 가열 및 냉각시 열원이나 냉풍이 외부로 빠져나가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성형블럭(20)으로 가압할 때 미러장착홈(3a)의 가장자리부 상의 표피재(4)가 미러장착홈(3a) 내측으로 당겨져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성형블럭(20)과 차단블럭(70) 사이에는 완충수단,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8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80)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성형블럭(20)에 지지시키고, 다른 일단은 차단블럭(70)에 지지시킴으로써 표피재(4)와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차단블럭(70)에 부여할 수 있다. 차단블럭(70)이 탄성부재(80)의 탄성력으로 선바이저 몸체(1)와 밀착하는 것에 의해 무리한 가압에 의한 선바이저 몸체(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수단으로서, 탄성부재(8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압장치나 댐퍼를 적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블럭(20)과 차단블럭(70)이 대향하는 부분에는 걸림턱(27)과 걸림돌출부(71)가 형성되어 성형블럭(20)에 대하여 차단블럭(70)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성형블럭(20)에는 스토퍼(22)가 구비되어 있고, 스토퍼(22)는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미러장착홈(3a)에 끼워져 밀착되는 성형위치에서 차단블럭(70)에 접촉하여 성형블럭(20)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선바이저 몸체(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미러장착홈(3a)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3) 외면에 표피재(4)를 씌워 부착한 선바이저 몸체(1)를 받침대(10) 상에 올려놓고, 승강기구(50)를 구동하여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에 근접한 중간이동위치에 오도록 성형블럭(20)을 이동시키게 되면, 차단블럭(70)도 함께 하강하여 도 6의 (b)에서와 같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 가장자리에 밀착하게 되고, 이로써 표피재(4)의 성형부분(4a) 가장자리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원공급부(40)로부터 열원을 성형블럭(20) 내의 열원유입공간부(23)로 공급하게 되면, 열원은 분기판의 확산구멍(26a)을 통해 확산되어 가압부(21)의 분출구멍(21a)을 통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으로 분출된다. 열원에 의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이 가열되면 조직이 연화되어 부드러워지므로 유연성이 좋아지고 외력에 의해 쉽게 늘어나기 때문에 임의 형상으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열원공급부(40)의 열원 공급을 중단하고, 도 7의 (a)에서와 같이 승강기구(50)를 구동하여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가압위치로 이동하도록 성형블럭(20)을 더욱 하강시키게 되면, 차단블럭(70)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표피재(4)의 유동을 방지한 상태에서 성형블럭(20)의 가압부(21)가 미러장착홈(3a)에 끼워지면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압하여 미러장착홈(3a)의 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7의 (b)에서와 같이 냉풍공급부(60)로부터 냉풍을 성형블럭(20)의 열원유입공간부(23)로 공급하게 되면, 냉풍은 분리판(26)의 확산구멍(26a)을 통해 확산되어 가압부(21)의 분출구멍(21a)을 통해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으로 분출되므로,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써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은 냉각에 의해 경화되어 조직이 단단해지게 되므로, 도 8의 (a)에서와 같이 승강기구(50)를 구동하여 성형블럭(20)을 중간이동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가압부(21)를 미러장착홈(3a)으로부터 빼내어도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이 미러장착홈(3a)의 측면 및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 더욱 냉풍을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승강기구(50)를 구동하여 성형블럭(20) 및 차단블럭(70)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표피재(4) 부착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피재(4)의 성형부분(4a)을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가압에 의해 미러장착홈(3a)에 밀착시켜 부착하고, 다시 냉각시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표피재(4) 부착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부착 작업이 성형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양호한 상태로 일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선바이저 몸체 3 : 내부구조체
3a : 미러장착홈 4 : 표피재
4a : 성형부분 10 : 받침대
20 : 성형블럭 21 : 가압부
22 : 스토퍼 23 : 열원유입공간부
26 : 분리판 30 : 지지대
40 : 열원공급부 50 : 승강기구
60 : 냉풍공급부 70 : 차단블럭
80 : 탄성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미러장착홈을 가지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합성수지재의 표피재를 부착하여 선바이저 몸체를 구성하기 위한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장착홈을 포함하는 내부구조체 외면에 표피재를 부착한 선바이저 몸체를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선바이저 몸체의 미러장착홈에 끼워지도록 미러장착홈과 일치하는 형상의 가압부를 형성한 성형블럭;
    상기 성형블럭을 받침대 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블럭의 가압부가, 표피재의 성형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대기위치에서 하강하여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근접한 중간이동위치와, 선바이저 몸체의 미러장착홈에 끼워져 밀착하는 가압위치에 있도록 성형블럭을 이동시키는 승강기구;
    상기 성형블럭의 외측에 설치되어 성형블럭의 하강시 표피재의 성형부분 둘레에 밀착하여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블럭;
    상기 미러장착홈을 덮는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 및
    미러장착홈에 밀착된 표피재에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풍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럭은, 가압부 내부에 열원공급부 또는 냉풍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 또는 냉풍이 유입되는 열원유입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부에는 열원유입공간부 내의 열원 또는 냉풍을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분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분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원은 차단블럭이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고 성형블럭의 가압부가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근접한 중간이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블럭의 열원유입공간부를 통해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공급되고,
    상기 냉풍공급부의 냉풍은 차단블럭이 표피재의 성형부분을 외부와 차단하고 성형블럭의 가압부가 선바이저 몸체의 미러장착홈에 끼워져 밀착하는 가압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블럭의 열원유입공간부를 통해 표피재의 성형부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블럭과 차단블럭 사이에 설치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블럭에 구비되고 성형블럭의 가압부가 미러장착홈에 끼워져 밀착되는 가압위치에서 차단블럭에 접촉하여 성형블럭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블럭은, 상기 열원유입공간부를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분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판에는 다수개의 확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표피재 성형장치.
KR1020150128882A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KR10171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82A KR101715072B1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82A KR101715072B1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072B1 true KR101715072B1 (ko) 2017-03-10

Family

ID=5841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82A KR101715072B1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0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324A (ja) * 1986-11-14 1988-05-28 Kasai Kogyo Co Ltd ユニツト付サンバイザにおける表皮材の貼着加工方法
JPH0724861A (ja) * 1991-06-28 1995-01-27 Centro Sviluppo Settori Impiego Srl 断熱性および/または構造用2重壁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る製品
JPH1120014A (ja) * 1997-07-02 1999-01-26 Araco Corp 樹脂製の複合製品の製造方法
KR100576287B1 (ko) * 2004-02-27 2006-05-04 영보화학 주식회사 스팀을 이용한 플라스틱발포체 재활용 판넬 제조방법 및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324A (ja) * 1986-11-14 1988-05-28 Kasai Kogyo Co Ltd ユニツト付サンバイザにおける表皮材の貼着加工方法
JPH0724861A (ja) * 1991-06-28 1995-01-27 Centro Sviluppo Settori Impiego Srl 断熱性および/または構造用2重壁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得られる製品
JPH1120014A (ja) * 1997-07-02 1999-01-26 Araco Corp 樹脂製の複合製品の製造方法
KR100576287B1 (ko) * 2004-02-27 2006-05-04 영보화학 주식회사 스팀을 이용한 플라스틱발포체 재활용 판넬 제조방법 및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23B1 (ko) 원단 트리밍수단이 포함된 자동차 내장재 인서트 사출금형 및 사출방법
US119319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osetting a knitted fabric
US97010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member
KR101715072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표피재 부착방법 및 성형장치, 그 방법으로 제조된 선바이저
KR102299492B1 (ko) 절단 가공 장치
US6440353B1 (en) Vertical twin-sheet vacuum forming method
KR20120002925U (ko) 차량용 내장재 진공성형장치
US200901527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door trim and vehicle door trim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KR100945848B1 (ko) 표피재가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사출성형방법
KR101405540B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 자동 감싸기
KR101841546B1 (ko) 자동차용 성형 사출성형장치
KR20190052355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방법
KR100957746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20040100733A (ko) 차량의 내장 판넬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 판넬의제조방법
KR101387026B1 (ko) 일체성형용 스킨셋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일체성형 방법
KR100574797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방법및 성형장치
KR100454169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사출 성형방법
KR101457408B1 (ko) 자동차 필러 트림의 제작 금형
KR200493943Y1 (ko) 원단 접합 장치
CN213107819U (zh) 一种遮阳板海绵发泡装置
JP3255013B2 (ja) 表皮一体成形方法及び表皮一体成形金型
CN212041235U (zh) 贴胶装置
KR20160123663A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20160123664A (ko) 표피재의 커팅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JPH06238695A (ja) 積層成形体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