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66U -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66U
KR20120002466U KR2020100010105U KR20100010105U KR20120002466U KR 20120002466 U KR20120002466 U KR 20120002466U KR 2020100010105 U KR2020100010105 U KR 2020100010105U KR 20100010105 U KR20100010105 U KR 20100010105U KR 20120002466 U KR20120002466 U KR 20120002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space
space
nonwoven fabric
packa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818Y1 (ko
Inventor
백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to KR2020100010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18Y1/ko
Priority to JP2011003429U priority patent/JP3170191U/ja
Publication of KR20120002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맞대고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과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포장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2 봉합선을 포함하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단위 포장 공간 중 하나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나머지 다른 단위 포장 공간에는 에센스가 포장되고, 에센스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제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부직포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과 연결되며,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는 하는 파우치가 제공된다.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게 되면,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산소와 접촉을 피할 수 있어 기능성 물질의 유효 성분의 효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센스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에 압력이 가해져 제2 봉합선이 붕괴되면 압력이 높은 상태에 있는 에센스가 압력이 낮은 상태에 있는 부직포로 스스로 이동하여 고루 섞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은 유효 성분의 효능이 바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Pouch Having Vacuum Package Space}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격리된 포장 공간 중 하나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킬 시 내용물이 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과 내용물의 밀폐 포장용으로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스크 팩용 포장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요즘 마스크 팩용 파우치 중 이중 포장 공간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한 쪽 포장 공간에는 건조한 상태의 부직포와 부직포에 도포되는 기능성 물질이 들어 있고, 다른 한 쪽 포장 공간에는 액상 형태의 에센스가 들어 있다. 그리고 비타민C, 레티놀과 같은 유효 성분으로 구성된 기능성 물질은 액상의 에센스와 접하게 되면 수분에 의해 유효 성분의 효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기능성 물질은 액상 형태의 에센스와 분리되어 포장되어 진다.
그리고 이중 포장 공간의 경계선은 열압착 방법으로 압착하여 봉합선을 형성하여 만들어지며, 봉합선은 완전히 압착되지 않은 반압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중 포장 공간에는 공기로 채워져 있다.
여기서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포장 공간 내의 산소와 접촉하게 되는데 기능성 물질의 유효 성분은 산소와 반응하여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유효 성분의 효능이 감소하게 되어 결국은 사용 기한의 단축을 가져 오게 된다.
그리고 마스크 팩을 사용하기 위해 공기가 채워진 이중 포장 공간을 가압하면, 반압착된 봉합선은 터지게 되고 부직포와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에 에센스가 스며들게 된다. 그러나 에센스가 이중 포장 공간 내에 들어 있는 공기로 인해 부직포로 빠르게 전이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에센스가 부직포에 충분히 스며들지 않아 마스크 팩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어 소비자가 사용함에 만족감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직포에 에센스가 고루 섞이고, 기능성 물질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파우치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맞대어 붙이고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 및 상기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2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단위 포장 공간 중 하나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나머지 다른 단위 포장 공간에는 에센스가 포장되고, 상기 에센스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부직포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과 연결되는 파우치로, 상기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로 관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부직포에 에센스가 고루 섞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이 공기와 접촉을 피할 수 있어, 유효 성분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반봉합선이 붕괴되어 에센스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봉합선이 붕괴되어 에센스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는 마스크 팩용으로 사용되며, 하부 필름(10), 상부 필름(20), 제1 봉합선 및 제2 봉합선을 포함한다.
하부 필름(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다.
상부 필름(20)은 하부 필름(10)과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가지며, 하부 필름(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 필름(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제1 봉합선(30)은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을 맞대고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되며 중심 부분에 하나의 포장 공간을 형성한다.
제2 봉합선(33)은 제1 봉합선(30)과 연결되어 하나의 포장 공간을 2개의 포장 공간 즉 제1 포장 공간(50)과 제2 포장 공간(53)으로 분할한다. 즉 제2 봉합선(33)은 이웃하는 양쪽의 제1 봉합선(30)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봉합선(33)으로 분할된 제2 포장 공간(53)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제2 봉합선(33)이 붕괴되어, 분할된 제1 및 제2 포장 공간(50,53)이 연통될 수 있도록 제2 봉합선(33)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된다. 즉 제1 봉합선(30)과 연결되는 부분은 완전히 제1 봉합선(30)과 같은 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중심 부분은 반열압착으로 형성된 반봉합선(33a)을 가진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봉합선(33)의 전체가 반열압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봉합선(30, 33)을 열압착 방법으로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봉합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포장 공간(53)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1 봉합선(3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봉합선(30)은 제2 봉합선(33)보다는 강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파우치(1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제1 포장 공간(50)의 제1 봉합선(30)의 일측에 노치(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포장 공간(50)에는 부직포(70)가 포장되어 있다. 여기서 부직포(70)는 얼굴에 사용하는 마스크 시트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장갑의 형상으로 제조되거나 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양말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직포(70)에는 에센스(80)와 혼합될 경우 기능성이 떨어지는 기능성 물질(73)이 부직포(70)에 도포된 상태로 제공된다. 기능성 물질(73)은 비타민C, 레티놀과 같은 유효 성분으로 구성되며,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제2 포장 공간(53)은 액상의 에센스(80)가 포장되어 있다. 액상의 에센스(80)는 부직포(70)와 섞여, 피부에 수분 공급과 탄력을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포장 공간(50)이 제2 포장 공간(53)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포장 공간(53)에 포장된 에센스(8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2 봉합선(33)을 붕괴할 수 있도록, 제2 포장 공간(53)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의 파우치(100)는 제2 포장 공간(53)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포장 공간(53)을 2개 이상으로 나눌 수 있고, 여러 개로 나누어진 공간에는 각각 제1 포장 공간(53)으로 연통될 수 있는 반봉합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노치(5)와 마주보는 제1 포장 공간(50)의 제1 봉합선(30)의 일측에 제1 포장 공간(50) 내부로 관통되는 개구부(3)를 형성하고, 개구부(3)를 통해 진공 포장기(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포장 공간(50) 내부에 형성된 공기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제거한 후 개구부(3) 안쪽 주위를 열압착하여 형성된 제3 봉합선(35)으로 밀봉시켜, 제1 포장 공간(5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장 공간(50)은 수축하여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이 부직포(70)와 밀착되어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포장 공간(50) 내부가 진공 상태이므로 공기가 들어 있는 제2 포장 공간(53)보다 낮은 압력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제1 포장 공간(50)과 제2 포장 공간(53)에 압력 차이를 형성시킴으로써 압력이 높은 제2 포장 공간(53)의 물질이 압력이 낮은 제1 포장 공간(50)으로 압력차에 의해 스스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포장 공간(50) 내의 부직포(70)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73)이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그 유효 성분이 오래 지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개구부(3)와 제3 봉합선(35)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포장 공간(50)에 부직포(70)가 삽입되는 제1 봉합선(30) 라인을 이용하여 진공을 한 후 그 개구된 제1 봉합선(30)을 열압착함으로서, 개구부(3)와 제3 봉합선(35)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포장 공간(53)에 압력이 가해져 제2 봉합선(33)의 반봉합선(33a)이 붕괴되면, 높은 압력을 가진 제2 포장 공간(53)에 포장된 에센스(80)는 반봉합선(33a)이 붕괴되어 형성된 액상 통로(7)를 통하여 이웃하는 진공 상태의 제1 포장 공간(50)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된다. 이 때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에센스(80)는 부직포(70)에 고루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포장 공간(50)이 진공이 됨으로써 부직포(70)에 도포되는 기능성 물질(73)이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제2 봉합선(33)의 반봉합선(33a)이 붕괴될 시, 제1 포장 공간(50)이 진공이 아닌 경우보다 부직포(70)에 에센스(80)가 고루 섞일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포장 공간(50,53)에 포함된 내용물과 제1 포장 공간(50)에서 부직포(70)에 에센스(80)가 균일하게 스며드는 지를 파우치(100)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 중 하나 이상은 일부분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부 필름(10) 또는 상부 필름(20) 및 하부 및 상부 필름(10,20)의 일부분에 투명한 필름이 사용되어 투시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포장 공간(50)과 제2 포장 공간(53)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한 필름은 투시창과 같이 일부분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필름(10) 또는 상부 필름(20) 및 하부 및 상부 필름(10,20) 전체가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투시창에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투시창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이는 투시창을 통해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파우치(100)의 제1 포장 공간(50)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진공이 형성된 제1 포장 공간(50)에 질소 가스를 충진 후 다시 진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포장 공간(50) 내부가 진공이 형성되었더라도 산소가 일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제1 포장 공간(50) 내부로 불어 넣음으로써 잔여 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기에 다시 진공을 행함으로써 진공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공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질소 가스를 충진 후 다시 진공이 이루어지는 상기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할 수도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우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 공간(50)에 기능성 물질(73)이 도포된 부직포(70)가 포장되고, 제2 포장 공간(53)에 에센스(80)가 포장된 상태로 파우치(100)가 제공된다. 이때 제1 포장 공간(50)은 진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직포(70)는 압착된 상태에 있으며, 부직포(70)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73)은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기능성 물질(73)의 유효 성분의 효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우치(100)에 포장된 부직포(70)를 사용하기 위해서, 에센스(80)가 포장된 제2 포장 공간(53)에 제2 봉합선(33)을 붕괴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 사이의 반봉합선(33a)은 붕괴되고 제1 포장 공간(50)과 제2 포장 공간(53)은 액상 통로(7)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포장 공간(53)의 에센스(80)가 제1 포장 공간(50)으로 주입되어 부직포(70)에 스며들게 된다. 이 때 제2 포장 공간(53)의 에센스(80)는 제2 포장 공간(53)보다 압력이 낮은 제1 포장 공간(50)으로 빠르게 스스로 이동하여, 부직포(70)에 고루 스며들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 포장 공간(50)의 제1 봉합선(30)에 형성된 노치(5) 부분을 따라서 파우치(100)를 절개하여 제1 포장 공간(50)에 있는 부직포(70)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70)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73)의 유효 성분의 효능이 바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하부 필름 20:상부 필름
30:제1 봉합선 33:제2 봉합선
50:제1 포장 공간 53:제2 포장 공간
70:부직포 73:기능성 물질
80:에센스 100:파우치

Claims (5)

  1.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맞대고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봉합선; 및
    상기 제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2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봉합선으로 분할된 단위 포장 공간 중 하나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나머지 다른 단위 포장 공간에는 에센스가 포장되고,
    상기 에센스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부직포가 포장되어 있는 단위 포장 공간과 연결되는 파우치로,
    상기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로 관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부직포가 포장되는 단위 포장 공간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기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2 봉합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제2 봉합선의 중심 부분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필름과 상기 상부 필름 중 하나 이상은 일부분 또는 전체가 상기 포장 공간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진공이 형성된 단위 포장 공간에 질소 가스를 충진 후 다시 진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KR2020100010105U 2010-09-30 2010-09-30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0464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05U KR200464818Y1 (ko) 2010-09-30 2010-09-30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JP2011003429U JP3170191U (ja) 2010-09-30 2011-06-17 パウ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05U KR200464818Y1 (ko) 2010-09-30 2010-09-30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66U true KR20120002466U (ko) 2012-04-09
KR200464818Y1 KR200464818Y1 (ko) 2013-01-21

Family

ID=4660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05U KR200464818Y1 (ko) 2010-09-30 2010-09-30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0191U (ko)
KR (1) KR2004648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40B1 (ko) * 2013-05-06 2015-02-23 (주)엔코스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
KR101865553B1 (ko) * 2016-11-02 2018-06-08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77Y1 (ko) * 2013-04-22 2014-12-03 윤지양행(주)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KR102129083B1 (ko) * 2014-12-15 2020-07-02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미용 팩용 패키지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244488A (zh) * 2017-07-17 2017-10-13 东莞市科妍化妆品有限公司 一种双袋面膜袋及面膜使用方法
KR101926046B1 (ko) 2018-07-02 2019-02-26 윤지양행(주) 개봉이 용이한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572A (ja) * 1995-09-21 1997-03-31 Maruha Corp 復元用水付き凍結乾燥食品包装体
JP2000344204A (ja) 1999-06-04 2000-12-12 Fuji Seal Inc 被充填物の充填方法
JP2004067232A (ja) 2002-08-09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酸素吸収性包装材料用包装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存方法
KR200378492Y1 (ko) 2004-12-08 2005-03-10 윤용만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040B1 (ko) * 2013-05-06 2015-02-23 (주)엔코스 접이 배출식 분리수용 파우치
KR101865553B1 (ko) * 2016-11-02 2018-06-08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18Y1 (ko) 2013-01-21
JP3170191U (ja)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818Y1 (ko)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KR200443405Y1 (ko)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KR200475477Y1 (ko)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KR101045245B1 (ko) 내용물 함침식 화장부재를 갖는 포장체
JP6025225B2 (ja) 皮膚用薬液保持体の包装体の製造方法
KR200455171Y1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200378492Y1 (ko)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CN110143364A (zh) 面膜片包装体
CN110395428A (zh) 生产用于医药产品的泡罩包装的方法以及泡罩包装
KR200476186Y1 (ko) 다회용 제품 포장 용기
KR20180131277A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CN110395484A (zh) 用于医药产品的泡罩包装以及用于生产泡罩包装的工具
JP3218475U (ja) 乾燥食品包装袋の包装保存容器
KR102604660B1 (ko)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JP2004001807A (ja) 化粧液及びシート材の包装体
KR101882462B1 (ko) 구근류 포장용백 및 구근류 포장용백을 이용한 포장방법
KR102072057B1 (ko) 분할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의 제조방법
KR101231908B1 (ko) 파우치
KR20170126206A (ko) 불활성가스 포장부를 갖는 파우치
KR20220147455A (ko) 겔포켓이 구비된 다수겹 마스크팩
CN206231841U (zh) 条式包装袋
KR101876542B1 (ko) 브리스터를 구비한 미용 팩용 이중 파우치
KR102312506B1 (ko) 휴대용 2형 화장료 파우치 및 그 파우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