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660B1 -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660B1
KR102604660B1 KR1020180072296A KR20180072296A KR102604660B1 KR 102604660 B1 KR102604660 B1 KR 102604660B1 KR 1020180072296 A KR1020180072296 A KR 1020180072296A KR 20180072296 A KR20180072296 A KR 20180072296A KR 102604660 B1 KR102604660 B1 KR 10260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ssence
solubilized
pressed toward
pa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238A (ko
Inventor
최성진
정용수
민영희
고숙량
Original Assignee
(주)코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바스 filed Critical (주)코바스
Priority to KR102018007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6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MASK PACK ASSEMBLY COMPRISING MULTIPLE CHAMBER}
본 발명은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의 밀폐 포장을 위해 라미네이트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에센스 등을 부직포 시트에 다량 흡수시킨 마사지 팩의 사용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사지 팩의 경우도 파우치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타입의 마스크 시트에 미용액을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 시트는 제작 과정 중에 마스크 시트를 미리 미용액에 함침하여 유통하게 되는데, 유통기간 중에 마스크 시트가 변질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라벤류 등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시트에 방부제가 첨가됨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 팩 어셈블리(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마스크 팩 어셈블리(100)는 에센스 등이 함침된 마스크 시트(50)가 수납된 파우치 형태로서, 단일 챔버(40)을 갖도록 가장자리 부분을 열접착한 실링부(3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실링부(30)는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의 마주댄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열압착 방식으로 압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마스크 팩 어셈블리(100)는 소비자가 실링부(30)의 일 측에 마련된 절개부(32)를 절개하여 챔버(40) 내 수용된 마스크 시트(50)를 꺼내어 사용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챔버(40) 내에는 마스크 시트(50) 뿐만 아니라, 마스크 팩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예를 들어, 에센스)이 수용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비타민 C, 레티놀 또는 EGF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첨가되는데 이러한 기능성 성분들은 수분, 열 또는 빛 등에 의해 변성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통기한을 짧게 하거나 장기간 유통을 위해 화장료 조성물 중에 방부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701호와 같이, 마스크 팩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과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다중 구획 파우치가 제공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다중 구획 파우치는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을 일일이 절개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기능성 성분의 물성 또는 품질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이 위치하는 챔버와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챔버를 분리시키되, 소비자가 사용시 소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두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여 유효 기능성 성분을 마스크 시트에 함침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크 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챔버에 포함된 가용화 에센스에 의해 다른 챔버에 위치하는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가용화 에센스에 혼합시켜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크 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화학적 방식으로 합성하거나 건조 원물로부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화학적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이 아닌 가용화 에센스에 의한 자연 추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천연 그대로의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크 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용화 에센스에 의한 건조 원물의 자연 추출 방식을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구성하는 원료 성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 원물이 위치하는 제1 챔버, 마스크 시트 및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조 원물 및 불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마스크 시트 및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2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자연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자연 추출 방식을 통해 형성된 기능성 성분은 가용화 에센스와 혼합되며, 다시 상기 제2 챔버로 이동한 후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 내에 오일 상의 불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별도로 방부 처리하거나 제1 챔버 내에 방부제를 포함시키지 않고도 장기간 보관시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2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용화 에센스와 상기 불용화 에센스는 서로 혼합되어 수중유형 조성물 또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에센스의 유화 작용에 따라, 단순히 가용화 에센스만을 사용하는 것 대비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의 피부 침투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건조 원물이 위치하는 제2 챔버,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제3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3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3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3 챔버 사이에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제1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1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자연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제3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이 위치하는 챔버와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챔버를 분리시키되, 소비자가 사용시 소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두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여 유효 기능성 성분을 마스크 시트에 함침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기능성 성분의 물성 또는 품질 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화학적 방식으로 합성하거나 건조 원물로부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화학적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이 아닌 가용화 에센스에 의한 자연 추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천연 그대로의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용화 에센스에 의한 건조 원물의 자연 추출 방식을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팩을 구성하는 원료 성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 팩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 원물이 위치하는 제1 챔버, 마스크 시트 및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조 원물 및 불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마스크 시트 및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2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자연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자연 추출 방식을 통해 형성된 기능성 성분은 가용화 에센스와 혼합되며, 다시 상기 제2 챔버로 이동한 후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 내에 오일 상의 불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별도로 방부 처리하거나 제1 챔버 내에 방부제를 포함시키지 않고도 장기간 보관시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2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용화 에센스와 상기 불용화 에센스는 서로 혼합되어 수중유형 조성물 또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에센스의 유화 작용에 따라, 단순히 가용화 에센스만을 사용하는 것 대비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의 피부 침투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건조 원물이 위치하는 제2 챔버,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제3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3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3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3 챔버 사이에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분리막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상기 제1 분리막이 파열됨에 따라 상기 제1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자연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제3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건조 원물 및 불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마스크 시트 및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막;
    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오일 상의 불용화 에센스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가용화 에센스와 상기 불용화 에센스가 혼합된 수중유형 조성물 또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제2 챔버 내의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1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형성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용화 에센스와 상기 불용화 에센스가 혼합되어 수중유형 조성물 또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형성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8. 가용화 에센스가 위치하는 제1 챔버;
    건조 원물이 위치하는 제2 챔버;
    마스크 시트가 위치하는 제3 챔버;
    상기 제1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1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분리막;
    상기 제2 챔버를 상기 제3 챔버를 향해 가압하거나 상기 제3 챔버를 상기 제2 챔버를 향해 가압시 파열되어 상기 제2 챔버와 상기 제3 챔버 사이에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분리막;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제2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제2 챔버 내의 건조 원물을 용해 또는 추출 추출시켜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용화 에센스가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제3 챔버 내로 흘러들어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며,
    상기 제3 챔버는 가용화 에센스 및 오일 상의 불용화 에센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파열시 상기 피부학적으로 유효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가용화 에센스와 상기 불용화 에센스가 혼합되어 수중유형 조성물 또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형성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KR1020180072296A 2018-06-22 2018-06-22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KR10260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96A KR102604660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96A KR102604660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38A KR20200000238A (ko) 2020-01-02
KR102604660B1 true KR102604660B1 (ko) 2023-11-23

Family

ID=6915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96A KR102604660B1 (ko) 2018-06-22 2018-06-22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47Y1 (ko) * 2021-11-26 2022-07-18 (주)에스엠팩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615A (ko) * 2014-05-14 2014-09-24 손미경 키토산을 이용한 diy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096A (ko) * 2014-11-05 2016-05-16 주식회사 위드엔젤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KR20170002626U (ko) * 2016-01-13 2017-07-21 강광호 미용팩 포장체
KR102012295B1 (ko) * 2016-10-06 2019-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38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CN105366172B (zh) 面膜套装
KR200378492Y1 (ko)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US3451540A (en) Disposable mixing capsule
KR102604660B1 (ko)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KR20100003862U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KR200464818Y1 (ko)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US20200262630A1 (en) Sealed package containing a squeezable product
US3028000A (en) Double channel plastic package
KR101962785B1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DE602004010496T2 (de) System zum halten und abgeben eines produkts, in dem gas gelöst ist
KR20180027036A (ko) 마유 정제방법과 정제마유 및 그 정제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5633490U (zh) 一种分隔式面膜袋
CN201021389Y (zh) 一种化妆品包装袋
EP0763477A1 (de) Behälter-Verschluss mit Trockenstoffkammer
KR20140137253A (ko) 다중 구획 파우치
KR20170087062A (ko) 마스크 팩 포장용기
KR20160054096A (ko) 비타민c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수납하는 파우치
KR20180044045A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US9969542B2 (en) Container
KR102094544B1 (ko) 마스크 팩 포장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0321A (ko) 스틱형 패키지 제조 장치 및 방법
DE112016000547T5 (de) Packung für Tabakwaren mit einer versiegelten Verpackung mit einem von dem atmosphärischen Druck verschiedenen Innendruck und zugehöriges Verpackungsverfahren
KR100856004B1 (ko) 트윈 밀폐용 포장용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