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47Y1 -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47Y1
KR200495647Y1 KR2020210003600U KR20210003600U KR200495647Y1 KR 200495647 Y1 KR200495647 Y1 KR 200495647Y1 KR 2020210003600 U KR2020210003600 U KR 2020210003600U KR 20210003600 U KR20210003600 U KR 20210003600U KR 200495647 Y1 KR200495647 Y1 KR 200495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passage
cut
contents
ou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팩 filed Critical (주)에스엠팩
Priority to KR2020210003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은 제1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MODELING PACK FOR SKIN}
본 개시는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델링 팩은 파우더와 용액을 혼합하여 얼굴에 바르면 얼굴 굴곡에 맞게 입체적인 형태로 경화되는 팩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6772호에는 피부에 도포하는 팩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모델링 팩은 파우더와 용액이 만나면서 신속하게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파우더와 용액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이 불편한 면이 있었고, 제품 사용시 혼합된 반죽이 지나치게 걸쭉하거나 묽지 않은 상태로 피부에 펴 바르려면 파우더와 용액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혼합해야 하므로 모델링 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여러 가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최근에는 파우더와 용액이 일정한 용량으로 각 패키지 내에 저장된 상태의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제품 사용시 파우더 패키지와 용액 패키지를 각각 개봉하고 특정한 용기에 파우더와 용액을 넣은 상태에서 스틱으로 여러번 저어서 혼합하여야만 피부에 바를 수 있는 반죽의 형태가 완성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우더와 용액을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면서도 보관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파우더와 용액을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파우더와 용액의 혼합이 편리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로서,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은 제1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는 상기 제1내용물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바디부재; 및 상기 제1바디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바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만나면서 형성된 혼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2내용물이 상기 포켓부로부터 빠져나온 이후에 상기 제1바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1내용물과 혼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내용물은 글루코스, 규조토, 말토덱스트린, 실리카, 칼슘설페이트, 포타슘알지네이트, 일라이트, 테트라포타슘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새싹보리, 베타인 및 소듐벤조에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용물은 분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내용물은 산소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통로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1지점에는 제1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2지점에는 제2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홈과 제2절취홈은 상기 제1통로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3지점에는 제3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4지점에는 제4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절취홈과 제4절취홈은 상기 제2통로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내용물은 바디부에 보관되고, 제2내용물은 포켓부의 내부에 저장되므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별도의 공간에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일정한 함량으로 계량되어 각각 바디부와 포켓부의 내부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내용물을 계량할 필요가 없고,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제품을 사용하는 시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바디부를 가압하고 주무르면 포켓부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제2내용물이 포켓부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바디부의 내부에 있던 제1내용물과 혼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혼합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너비에 따라 복수개의 통로로 세분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혼합물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을 가압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을 가압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고안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10)은 바디부(100) 및 포켓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1내용물(111)을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바디부(100)는 두 장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갠 상태에서 테두리를 접착시킨 주머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1바디부재(110) 및 제2바디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재(110)에는 제1내용물(111)을 보관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용물(111)은 글루코스, 규조토, 말토덱스트린, 실리카, 칼슘설페이트, 포타슘알지네이트, 일라이트, 테트라포타슘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새싹보리, 베타인 및 소듐벤조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내용물(111)은 분말 형태로 마련되어 제1바디부재(11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는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를 상온(예를 들어, 20~23℃)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한 분쇄물로 적용되거나,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분쇄물에 정제수를 혼합하고 121℃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을 6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한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분말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 새싹보리는 보리를 발아시키고 5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새싹보리를 수확하여 동결 건조시킨 후에 분말화한 새싹보리 분말로 적용되거나, 새싹보리 분말에 용매(예를 들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등)를 가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수득한 액상 성분을 동결 건조한 새싹보리 추출물 분말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2바디부재(120)는 제1바디부재(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재(120)의 내부에는 제1내용물(111)과 제2내용물(210)이 만나면서 형성된 혼합물(30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배출통로(121)는 제1통로(1211) 및 제2통로(1212)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1통로(1211)는 제1바디부재(110)의 수용공간(112)과 연통될 수 있다. 제2통로(1212)는 제1통로(1211)와 연결되며, 제1통로(1211)의 너비(W1)보다 작은 너비(W2)를 갖는다.
제2바디부재(120)의 제1지점(126)에는 제1절취홈(127)이 형성되고, 제2바디부재(120)의 제2지점(128)에는 제2절취홈(129)이 형성되며, 제1절취홈(127)과 제2절취홈(129)은 제1통로(1211)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절취홈(127) 또는 제2절취홈(129)을 잡아당기거나 절개하면 제1통로(1211)가 개방되므로 혼합물(300)이 제1통로(1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바디부재(120)의 제3지점(122)에는 제3절취홈(123)이 형성되고, 제2바디부재(120)의 제4지점(124)에는 제4절취홈(125)이 형성되며, 제3절취홈(123)과 제4절취홈(125)은 제2통로(1212)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절취홈(123) 또는 제4절취홈(125)을 잡아당기거나 절개하면 제2통로(1212)가 개방되므로 혼합물(300)이 제2통로(1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3절취홈(123) 또는 제4절취홈(125)을 이용하여 제2통로(1212)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혼합물(300)의 배출량을 적게 조절할 수 있고, 제1절취홈(127) 또는 제2절취홈(129)을 이용하여 제1통로(1211)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혼합물(300)의 배출량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포켓부(200)는 제1바디부재(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서, 포켓부(200)는 두 장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갠 상태에서 테두리를 접착시킨 주머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포켓부(200)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210)이 저장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2내용물(210)은 산소수 및 1,2-헥산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켓부(20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산소수가 포켓부(2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에서 산소수는 100~200ppm의 용존 산소를 함유한 물로서, 산소 주입기를 이용하여 1~10kg/㎠의 압력으로 30~120분간 정제수에 산소를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을 가압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혼합물(300)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으로 제1바디부재(110)를 주무르거나 가압하게 되면 제1바디부재(110)의 내부로 압력이 가해져 포켓부(200)가 터지면서 포켓부(200)의 내부에 있던 제2내용물(210)이 포켓부(200) 밖으로 유출되고, 포켓부(200)로부터 빠져나온 제2내용물(210)이 제1바디부재(110)의 내부에서 제1내용물(111)과 혼합되면서 혼합물(30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바디부재(110)를 주무르는 동작만으로도 제1내용물(111)과 제2내용물(210)을 혼합하여 혼합물(30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1내용물(111)과 제2내용물(210)을 별도의 용기에 담고 스틱으로 휘젓지 않아도 손쉽게 혼합이 가능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20)은 바디부(1000) 및 포켓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0)는 제1바디부재(1100) 및 제2바디부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재(1100)에는 제1내용물(1111)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용물(1111)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바디부재(1200)는 제1바디부재(1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재(1200)의 내부에는 제1내용물(1111)과 제2내용물(2100)이 만나면서 형성된 혼합물(300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1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배출통로(1210)는 제1통로(12101) 및 제2통로(12102)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1통로(12101)는 제1바디부재(1100)의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제2통로(12102)는 제1통로(12101)와 연결되며, 제1통로(12101)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다. 제2바디부재(1200)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절취홈이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2000)는 제1바디부재(1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켓부(2000)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2100)이 저장될 수 있다. 제2내용물(21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바닥부재(2400)는 포켓부(2000)의 바닥면을 의미한다. 제1경사부재(2200)는 바닥부재(2400)의 일단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부재(2300)는 바닥부재(2400)의 타단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재(2200)와 제2경사부재(2300)는 혼합물(3000)의 배출시 혼합물(3000)이 제1경사부재(2200) 및 제2경사부재(2300)를 따라서 신속하게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혼합물(3000)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혼합물(3000)이 포켓부(2000)의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쉽게 흘러내리기 때문에 제1바디부재(1100) 내부에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격부재(2500)는 포켓부(2000)의 바닥부재(2400)와 제1바디부재(1100)의 바닥면(1110)을 연결할 수 있다. 포켓부(2000)와 배출통로(1210)는 이격부재(2500)에 의해 일정한 이격거리(D)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출통로(1210)가 하측 방향을 향할 때, 중력에 의해 포켓부(2000)가 아래로 처지면서 배출통로(1210)를 막는 것이 방지되며, 혼합물(300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을 가압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혼합물(3000)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으로 제1바디부재(1100)를 주무르거나 가압하게 되면 제1바디부재(1100)의 내부로 압력이 가해져 포켓부(2000)가 터지면서 포켓부(2000)의 내부에 있던 제2내용물(2100)이 포켓부(2000) 밖으로 유출되고, 포켓부(2000)로부터 빠져나온 제2내용물(2100)이 제1바디부재(1100)의 내부에서 제1내용물(1111)과 혼합되면서 혼합물(3000)을 형성하게 된다. 혼합물(3000)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통로(1210)가 아래를 향하게 될 때, 포켓부(2000)는 배출통로(1210)와 일정한 이격거리(D)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켓부(2000)에 의해 배출통로(1210)가 폐쇄되지 않으며, 혼합물(3000)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내용물은 바디부에 보관되고, 제2내용물은 포켓부의 내부에 저장되므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별도의 공간에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일정한 함량으로 계량되어 각각 바디부와 포켓부의 내부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내용물을 계량할 필요가 없고,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며, 제품을 사용하는 시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바디부를 가압하고 주무르면 포켓부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제2내용물이 포켓부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바디부의 내부에 있던 제1내용물과 혼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혼합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너비에 따라 복수개의 통로로 세분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혼합물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디부의 내부 공간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지 않으며, 제1바디부재의 내부에 포켓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품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공간을 격벽으로 구획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각각 보관할 경우에는 내용물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구획된 공간도 커질 수 밖에 없으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재의 내부에 포켓부를 배치하고 제1내용물도 제1바디부재의 내부에 보관되기 때문에 제1바디부재의 크기 내에서 제품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20 :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100, 1000 : 바디부
110, 1100 : 제1바디부재
111, 1111 : 제1내용물
112 : 수용공간
1110 : 바닥면
120, 1200 : 제2바디부재
121, 1210 : 배출통로
1211, 12101 : 제1통로
1212, 12102 : 제2통로
W1 : 제1통로의 너비
W2 : 제2통로의 너비
122 : 제3지점
123 : 제3절취홈
124 : 제4지점
125 : 제4절취홈
126 : 제1지점
127 : 제1절취홈
128 : 제2지점
129 : 제2절취홈
200, 2000 : 포켓부
210, 2100 : 제2내용물
2200 : 제1경사부재
2300 : 제2경사부재
2400 : 바닥부재
2500 : 이격부재
D : 이격거리
300, 3000 : 혼합물

Claims (4)

  1. 제1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내용물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바디부재; 및
    상기 제1바디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바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만나면서 형성된 혼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제2내용물이 상기 포켓부로부터 빠져나온 이후에 상기 제1바디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제1내용물과 혼합되면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1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1통로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1지점에는 제1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2지점에는 제2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홈과 제2절취홈은 상기 제1통로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3지점에는 제3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부재의 제4지점에는 제4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절취홈과 제4절취홈은 상기 제2통로와 수직을 이루는 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용물은 글루코스, 규조토, 말토덱스트린, 실리카, 칼슘설페이트, 포타슘알지네이트, 일라이트, 테트라포타슘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새싹보리, 베타인 및 소듐벤조에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용물은 분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내용물은 산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4. 삭제
KR2020210003600U 2021-11-26 2021-11-26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KR200495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00U KR200495647Y1 (ko) 2021-11-26 2021-11-26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600U KR200495647Y1 (ko) 2021-11-26 2021-11-26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647Y1 true KR200495647Y1 (ko) 2022-07-18

Family

ID=8260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600U KR200495647Y1 (ko) 2021-11-26 2021-11-26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4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62U (ko) * 2008-10-02 2010-04-12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KR20200000238A (ko) * 2018-06-22 2020-01-02 (주)코바스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KR20200107137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골든스트릿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미용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62U (ko) * 2008-10-02 2010-04-12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KR20200000238A (ko) * 2018-06-22 2020-01-02 (주)코바스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KR20200107137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골든스트릿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미용팩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7220B (zh) 用于饮料的胶囊
KR101683098B1 (ko)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KR200495647Y1 (ko) 피부 관리용 모델링 팩
WO2004078009A3 (en) Liquid infusion pods containing insoluble materials
NO313539B1 (no) Medikamentkammer i et inhalasjonsapparat som inkluderer en anordning for regulering av fuktighet
US10363375B2 (en) Pre-filled injection device
JPWO2012105524A1 (ja) 複室容器
EP3233258B1 (de) Zwei-komponenten-produkte in beuteln zur oxidativen farbveränderung von keratinischen fasern
CN109071069A (zh) 用于分配浸泡饮料的机器的一次性胶囊
KR20170002626U (ko) 미용팩 포장체
US8564436B2 (en) Wallet
JP2016026570A5 (ko)
KR20180131277A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20180001360U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RU2001113508A (ru) Пакет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терильных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и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в нем растворов указ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1857013B1 (ko)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조성물이 분리수용된 간편 화장품
CA2594271A1 (en) Hydrating anhydrous graft materials
KR20170050329A (ko) 마스크팩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JPH02142504A (ja) 複数色固形状化粧料の充填成形方法及び充填用容器
WO2007105987A2 (fr) Procédé permettant de mélanger manuellement des composants et récipient-mélangeur pelliculaire
JP7401930B2 (ja) 可撓性カートリッジに収容された注射剤を注入するための注射器
WO2007060538A3 (en)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KR102036801B1 (ko) 마스크 팩 포장체
US20060118197A1 (en) Process, apparatus and moulding container for the production of compact powder cosmetic products with various shapes
CN207871127U (zh) 一种传统养生药疗泡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