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492Y1 -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492Y1
KR200378492Y1 KR20-2004-0034820U KR20040034820U KR200378492Y1 KR 200378492 Y1 KR200378492 Y1 KR 200378492Y1 KR 20040034820 U KR20040034820 U KR 20040034820U KR 200378492 Y1 KR200378492 Y1 KR 200378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ackaging space
space
packaging
su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만
Original Assignee
윤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만 filed Critical 윤용만
Priority to KR20-2004-0034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파우치에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이 격리되게 포장하고 팩 사용시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을 혼합시켜 사용하기 위해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봉합선과; 상기 제 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 2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 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Pouch having multi packing room}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격리된 다수개의 포장 공간을 가지며 필요시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과 내용물의 밀폐 포장용으로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팩용 포장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50)이 포장된 파우치로서 단일 포장 공간(40)을 갖도록 가장자리 부분에 봉합선(3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파우치(100)는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으로 구성되고,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의 가장자리 부분은 열압착 방법으로 압착하여 봉합선(30)을 형성한다. 그리고 파우치(1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봉합선(30)의 일측에 노치(32; notch)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봉합선(30) 안쪽의 포장 공간(40)에 팩(50)이 내장된다.
그리고 팩(50)은 사용자가 파우치(100)를 개봉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우치(100)는 단일 포장 공간(40)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파우치(100)에 포장되는 팩(50)은 부직포(51)에 소정의 점도를 갖는 화장품(53)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최근에는 팩(50)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비타민C와 레티놀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55)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기능성 물질들(55) 중에는 화장품(53)에 포함된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성질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물질들도 있다. 예컨대 비타민C의 경우 수분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능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파우치는 단일 포장 공간 만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의 팩이 그대로 포장되어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의 기능성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떨어지기 때문에, 팩의 유통기한 또한 짧을 수밖에 없다.
물론 기능성 물질이 제거된 팩이 포장된 파우치와, 기능성 물질만을 별도로 포장한 파우치를 구비하여 팩 사용시, 팩이 포장된 파우치를 먼저 개봉한 다음 기능성 물질이 포장된 파우치를 개봉하여 팩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두 종류의 파우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팩과 기능성 물질이 들어 있는 파우치를 각기 개봉한 이후에, 사용자가 직접 팩에 기능성 물질을 일일이 도포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파우치에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이 격리되게 포장하고, 팩 사용시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을 파우치 내에서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우치의 포장 공간을 다수개로 격리되게 분할한 후 사용시 격리된 포장 공간을 연결시켜 다수개의 포장 공간에 내장된 내용물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봉합선과; 상기 제 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 2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 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우치에 있어서,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제 2 봉합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제 2 봉합선은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봉합선의 중심 부분은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 공간은 제 2 봉합선에 의해 두 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제 2 봉합선으로 분할된 일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타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화장품이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포장 공간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의 필름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포장 공간(140)을 갖는 파우치(2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200)는 팩 소재가 분리 포장된 파우치로서, 이중 포장 공간(140)을 갖도록 봉합선(131, 13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파우치(200)는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으로 구성되고,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의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여 이중 포장 공간(140)을 갖도록 열압착 방법으로 압착하여 봉합선(131, 1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우치(2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일측에 노치(13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봉합선(131, 133)은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140)을 형성하는 제 1 봉합선(131)과, 제 1 봉합선(131)과 연결되어 포장 공간(140)을 두 개의 단위 포장 공간(141, 143)으로 분할하는 제 2 봉합선(133)을 포함한다. 특히 제 2 봉합선(133)으로 분할된 단위 포장 공간(141, 143)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제 2 봉합선(133)이 붕괴되어 분할된 단위 포장 공간(141, 143)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포장 공간(140)은 제 2 봉합선(133)을 경계로 일측의 단위 포장 공간(141)을 제 1 포장 공간이라 하고, 타측의 단위 포장 공간(143)을 제 2 포장 공간이라 한다.
파우치의 포장 공간(141, 143)에는 팩 소재가 분리되어 포장되는 데, 종래에는 완제품 상태의 팩이 포장되었지만, 제 1 실시예에서는 부직포(151)와 화장품(153)이 분리되어 포장된다. 특히 화장품(153)과 혼합된 경우 기능성이 떨어지는 기능성 물질(155)은 부직포(151)에 도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부직포(151)는 제 1 포장 공간(141)에 포장되고, 화장품(153)은 제 2 포장 공간(153)에 포장될 수 있으며, 제 1 포장 공간(141)이 제 2 포장 공간(143)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포장 공간(143)에 포장된 화장품(153)이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제 2 봉합선(133)을 붕괴할 수 있도록, 도포될 화장품(153)을 포함하여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봉합선(131)과 제 2 봉합선(133)이 형성하는 제 2 포장 공간(143) 안에 볼록하게 화장품(153)이 포장되기 때문에, 제 2 포장 공간(143) 안쪽으로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접착 강도가 떨어지는 제 2 봉합부(133)쪽으로 가압력이 작용하여 제 2 봉합선(133)이 효과적으로 붕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봉합선(133)은 제 2 포장 공간(143)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붕괴될 수 있도록, 제 2 봉합선(133)의 적어도 일부분을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소정의 가압력이 제 2 포장 공간(143)에 작용하지 않는 한 제 2 봉합선(133)은 붕괴되지 않는다. 물론 제 2 포장 공간(143)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제 1 봉합선(131)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봉합선(131)은 제 2 봉합선(133)보다는 양호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봉합선(133)은 이웃하는 양쪽의 제 1 봉합선(131)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제 1 봉합선(131)과 연결되는 부분은 종래와 같이 완전히 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중심 부분만 반열압착으로 형성하였다. 즉 제 2 봉합선(133)은 마주보는 양쪽의 제 1 봉합선(133)과 연결되며 완전히 열압착된 완전 봉합선(134)과, 양쪽의 완전 봉합선(134)을 연결하되 반열압착된 반 봉합선(13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2 포장 공간(143)에 포장된 화장품(153)은 제 2 봉합선의 반 봉합선(136)을 통하여 제 1 포장 공간(141)으로 주입된다. 즉 반 봉합선(136)은 붕괴되어 제 1 포장 공간(141)과 제 2 포장 공간(143)의 연결 통로(도 4의 135)를 형성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는 봉합선(131, 133)을 열압착 방법으로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봉합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 봉합선(136)이 형성하기 위해서 반 봉합선이 형성되는 부분에 별도의 필름을 개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포장 공간(141, 143)에 포함된 내용물과 제 1 포장 공간(141)에서 부직포(151)에 화장품(153)이 균일하게 스며드는 지를 파우치(200) 밖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부 필름(110) 또는 상부 필름(120)으로 투명한 소재의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우치(200)에 포장된 팩(150)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 2 포장 공간(143)에 포장된 화장품(153)이 이웃하는 제 1 포장 공간(141)에 포장된 부직포(151)에 주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장 공간(141)에 기능성 물질(155)이 도포된 부직포(151)가 포장되고, 제 2 포장 공간(143)에 화장품(153)이 포장된 상태로 파우치(200)가 제공된다. 이때 화장품(153)과 부직포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155)은 제 2 봉합선(133)에 격리되어 포장되기 때문에, 화장품(153)에 의해 기능성 물질(155)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우치(200)에 포장된 팩(150)을 사용하기 위해서, 화장품(153)이 포장된 제 2 포장 공간(143)에 제 2 봉합선(133)을 붕괴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하부 필름(110)과 상부 필름(120) 사이의 접착 계면이 붕괴되면서 제 2 포장 공간의 화장품(153)이 제 1 포장 공간(141)으로 주입되어 부직포(151)에 스며들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포장 공간의 화장품(153)을 제 1 포장 공간(141)으로 밀어 넣은 다음 파우치(200)를 상하좌우로 흔들거나, 양손으로 파우치(200)의 양면을 문질러 주어 부직포(151)에 화장품(153)이 균일하게 스며들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팩(150)으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제 1 포장 공간의 제 1 봉합선(131)에 형성된 노치(132) 부분을 따라서 파우치(200)를 절개하여 제 1 포장 공간(141)에 있는 팩(150)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포장 공간을 이중으로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중으로 포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는 제 1 포장 공간(24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봉합선(233)을 경계로 제 2 및 제 3 포장 공간(243, 245)이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포장 공간(243, 245)을 분할되게 제 3 봉합선(237)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 1 포장 공간(24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봉합선(233)을 경계로 제 2 및 제 3 포장 공간(243, 245)이 형성되고, 제 1 포장 공간(241)과 제 2 포장 공간(243)의 경계의 제 2 봉합선(233) 부분과, 제 1 포장 공간(241)과 제 3 포장 공간(245)의 경계의 제 2 봉합선(233) 부분의 일부에 반 봉합선(236, 238)을 형성하였다. 이 경우 제 2 포장 공간(243)과 제 3 포장 공간(245)에 포장된 물질은 독립적으로 제 1 포장 공간(241)으로 주입된다. 도면부호 234는 제 2 봉합선(233)의 완전 봉합선을 나타낸다.
그 외 제 3 봉합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반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제 1 포장 공간과 제 2 포장 공간의 경계의 제 2 봉합선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반열압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 3 봉합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반열압착으로 형성하고, 제 1 포장 공간과 제 3 포장 공간의 경계의 제 2 봉합선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반열압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포장 공간과 제 3 포장 공간에 포장된 물질이 일차적으로 혼합된 이후에 제 2 봉합선의 반열압착된 부분을 통하여 제 1 포장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포장 공간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삼중으로 포장 공간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중 이상으로 포장 공간을 형성한다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따르면 파우치의 포장 공간을 다수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격리되게 분할하여 각각의 단위 포장 공간에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을 포장하고, 단위 포장 공간의 경계를 반열압착으로 봉합함으로써, 팩 사용시 소정의 가압력으로 반열압착된 계면을 붕괴시켜 단위 포장 공간을 연결하여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을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 부분에 완전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된 제 1 봉합선이 형성하는 포장 공간이 포장 공간을 경유하여 제 1 봉합선에 연결되는 제 2 봉합선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되고, 제 2 봉합선의 적어도 일부가 반열압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팩 사용시 파우치의 포장 공간 내에서 화장품과 기능성 물질을 혼합시킨 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일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포장 공간에 포장된 화장품이 이웃하는 제 2 포장 공간에 포장된 부직포에 혼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삼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0 : 하부 필름 120 : 상부 필름
130 : 봉합선 131 : 제 1 봉합선
132 : 노치 133 : 제 2 봉합선
134 : 완전 봉합선 136 : 반 봉합선
140 : 포장 공간 141 : 제 1 포장 공간
143 : 제 2 포장 공간 150 : 팩
151 : 부직포 153 : 화장품
155 : 기능성 물질 200 : 파우치

Claims (6)

  1.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필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상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을 완전히 열압착으로 봉합하여 중심 부분에 포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봉합선과;
    상기 제 1 봉합선과 연결되어 상기 포장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 2 봉합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봉합선으로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 2 봉합선이 붕괴되어 분할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2 봉합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제 2 봉합선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포장 공간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2 봉합선이 붕괴될 수 있도록, 제 2 봉합선의 중심 부분은 상기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반열압착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공간은 상기 제 2 봉합선에 의해 두 개의 단위 포장 공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합선으로 분할된 일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부직포가 포장되며, 타측의 단위 포장 공간에는 화장품이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상기 포장 공간 내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2004-0034820U 2004-12-08 2004-12-08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0378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20U KR200378492Y1 (ko) 2004-12-08 2004-12-08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20U KR200378492Y1 (ko) 2004-12-08 2004-12-08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492Y1 true KR200378492Y1 (ko) 2005-03-10

Family

ID=4368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20U KR200378492Y1 (ko) 2004-12-08 2004-12-08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492Y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71Y1 (ko) 2008-10-02 2011-08-23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200464818Y1 (ko) 2010-09-30 2013-01-21 윤지양행(주)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0465701Y1 (ko) *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677143B1 (ko) 2016-07-26 2016-11-17 민복기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KR101828291B1 (ko) * 2016-11-02 2018-02-12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20180047951A (ko) * 2016-11-02 2018-05-10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79423B1 (ko) * 2017-08-14 2018-07-17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87050B1 (ko) * 2017-09-29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WO201901772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966961B1 (ko) * 2018-09-21 2019-08-13 주식회사 이앤씨 마스크팩 패키지를 제조하는 장치, 방법 및 마스크팩 패키지
KR20190096326A (ko) * 2016-10-06 2019-08-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102049994B1 (ko) * 2018-11-14 2019-11-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커피믹스 봉투
KR20210000862U (ko) 2019-10-14 2021-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102312506B1 (ko) 2020-07-27 2021-10-15 (주)도하코스메틱 휴대용 2형 화장료 파우치 및 그 파우치의 제조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71Y1 (ko) 2008-10-02 2011-08-23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200464818Y1 (ko) 2010-09-30 2013-01-21 윤지양행(주)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0465701Y1 (ko) *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KR101677143B1 (ko) 2016-07-26 2016-11-17 민복기 마스크팩 시트 및 화장에센스 분리포장 마스크팩 파우치
KR20190096326A (ko) * 2016-10-06 2019-08-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102380058B1 (ko) * 2016-10-06 2022-03-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102012295B1 (ko) * 2016-10-06 2019-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101828291B1 (ko) * 2016-11-02 2018-02-12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65553B1 (ko) * 2016-11-02 2018-06-08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20180047951A (ko) * 2016-11-02 2018-05-10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WO201901772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CN109789085A (zh) * 2017-07-21 2019-05-21 奥汀福图斯有限公司 面膜套装
CN109789085B (zh) * 2017-07-21 2022-04-29 奥汀福图斯有限公司 面膜套装
KR101879423B1 (ko) * 2017-08-14 2018-07-17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887050B1 (ko) * 2017-09-29 2018-08-0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팩 키트
KR101966961B1 (ko) * 2018-09-21 2019-08-13 주식회사 이앤씨 마스크팩 패키지를 제조하는 장치, 방법 및 마스크팩 패키지
KR102049994B1 (ko) * 2018-11-14 2019-11-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설탕 투입량 조절이 가능한 커피믹스 봉투
KR20210000862U (ko) 2019-10-14 2021-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102312506B1 (ko) 2020-07-27 2021-10-15 (주)도하코스메틱 휴대용 2형 화장료 파우치 및 그 파우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8492Y1 (ko)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US20030102229A1 (en)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bag using same
JPH09506579A (ja) 多成分包装システム
KR200464818Y1 (ko) 진공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US8104986B2 (en) Liquid applicator
JP2013184716A (ja) 分配包装体
KR200475477Y1 (ko)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KR101727575B1 (ko) 2 수용부를 갖는 더블 파우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021389Y (zh) 一种化妆品包装袋
KR200475204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CN107428111B (zh) 可再闭合的包装和层压件
JP2021046225A (ja) 外用貼付剤包装構造
KR102005061B1 (ko) 염색약 보관 이중 파우치
KR102604660B1 (ko) 다중 챔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어셈블리
CN1325339C (zh) 包装薄片及由该包装薄片所制成的袋子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CN104159729B (zh) 包装材料、由其生产的包装,以及构造包装的方法
JP3095747B1 (ja) 複数液体の収納袋
GB2532117A (en) Packaging
KR101014671B1 (ko)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JP2007223642A (ja) 化粧料包装体
KR102072057B1 (ko) 분할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의 제조방법
KR200383402Y1 (ko) 일회용 가루 포장팩
KR101231908B1 (ko)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19

Effective date: 2007082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