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04Y1 -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04Y1
KR200475204Y1 KR2020130004718U KR20130004718U KR200475204Y1 KR 200475204 Y1 KR200475204 Y1 KR 200475204Y1 KR 2020130004718 U KR2020130004718 U KR 2020130004718U KR 20130004718 U KR20130004718 U KR 20130004718U KR 200475204 Y1 KR200475204 Y1 KR 200475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ntents storage
mixing member
present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유창규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30004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의 손잡이부를 꺾어서 분리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부(32)는 토출부(34)의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통로(36)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토출부(34)와 손잡이부(32) 사이에 꺾임홈(3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는 절취선(4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Pouch for easy to mix two contents}
본 고안은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의 손잡이부를 꺾어서 분리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로는 파우치(pouch)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파우치는 플렉시블(flexible)한 필름으로 제조되며, 밀봉상태로 접착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의 일종이다. 또한 파우치는 단일의 내용물보관부를 가지는 구조이며, 화장품이나 염색제 또는 팩 타입의 제품들에 이용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이 있는데, 이때에는 각각 별도의 파우치에 두 내용물을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기 직전에 소비자가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염색제의 경우는 별도 보관한 염모제와 산화제를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해 왔으며, 팩 타입 제품 또한 마스크 시트와 내용물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처럼 서로 다른 내용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에 이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종래의 파우치는 사용상 불편하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378492호에서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가 제안되었다.
상기의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는 단일 파우치에 서로 다른 내용물을 보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 사용이 가능하여 종래의 사용상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결하였다.
상기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리하는 반봉합선(136)이 누름 압력에 의해 붕괴되어 연결통로(135)가 형성된다.
그러나, 반봉합선(136)의 봉합강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봉합강도가 낮은 경우는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적재하여 보관, 운송시에 반봉합선(136)이 붕괴되어 내용물이 혼합될 수도 있고, 반대로 봉합강도가 높은 경우에는 반봉합선(136)이 붕괴되지 않아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의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꺾어서 분리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사용시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내용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제2내용물보관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꺾어서 분리한 후, 제2내용물을 제1내용물보관부로 이동하여 혼합한 다음 절취선을 절취하여 제1내용물보관부에 위치하는 혼합부재의 토출부를 통해서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부(32)는 토출부(34)의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통로(36)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토출부(34)와 손잡이부(32) 사이에 꺾임홈(3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는 절취선(4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는 제1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에 수용된 제2내용물이 분리 보관되어 사용시 제1내용물보관부와 제2내용물보관부를 연결해주는 혼합부재의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꺾어서 분리하여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손쉽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사용시에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내용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는 제2내용물보관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부를 꺾어서 분리한 후, 제2내용물을 제1내용물보관부로 이동하여 혼합한 다음 절취선을 절취하여 제1내용물보관부에 위치하는 혼합부재의 토출부를 통해서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제2내용물보관부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제2내용물보관부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부(32)는 토출부(34)의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통로(36)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혼합부재(30)는 토출부(34)와 손잡이부(32) 사이에 꺾임홈(3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는 절취선(4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며,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는 제1접착부(12)에 의해 제1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접착부(12)는 열접착(heat seal)으로 이루어진다. 열접착(heat seal)은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의 열용융성을 이용하여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이나 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열접착의 기본적인 원리는 열을 필름과 필름의 접촉면에 공급하고 면이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용융밀착을 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내용물보관부(20)는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에 의해서 제2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접착부(22)는 제1접착부(12)와 동일한 열접착(heat sea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 사이에는 절취선(40)이 형성되어 분리가 가능하며,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내용물보관부(20)에서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비접착부(24)를 구성한다.
상기 비접착부(24)는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제1내용물보관부(10)에서 분리할 때 혼합부재(30) 부분이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로 구성되며,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며, 손잡이부(32)는 손으로 잡아서 꺾기 용이하도록 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부재(30)는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통로(36)는 제2내용물과 제1내용물이 혼합할 수 있도록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32)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부(34)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내용물과 제1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접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꺾임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꺾임홈(34)은 손잡이부(32)를 꺾어서 손잡이부(32)가 혼합부재(3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취선(40)은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혼합부재(30) 부분은 내용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취선(40)을 형성하지 않고, 컷팅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취선(40)과 컷팅홈(42)을 따라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제1내용물보관부(10)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토출부(34)의 단부가 제1내용물보관부(10)의 외부로 노출되에 형성한다.
상기 컷팅홈(42)은 절취선(40)에 의해 절취가 될 때 혼합부재(30) 부분에서 쉽게 절취가 되게 하는 절취유도홈의 역할을 한다.
상기 컷팅홈(42)은 파우치 두께의 1/3~1/2 가량 레이저 또는 칼날로 홈을 내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내용물보관부(10)의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보관부(20)의 제2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파우치를 잡은 상태에서 제2내용물보관부(20)에 위치하는 혼합부재(30)의 손잡이부(32)를 꺾는다.
상기 혼합부재(30)의 손잡이부(32)는 사용자의 꺾는 동작에 의해서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부재(30)에서 분리되어 연결통로(36)를 개방한다.
상기 연결통로(36)의 개방으로 인해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압박하여 제2내용물이 제1내용물보관부(10)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2내용물보관부(20)의 제2내용물을 제1내용물보관부(10)로 이동시켜 두 내용물을 혼합한다.
그 다음 절취선(40)을 따라 절취하여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제1내용물보관부(10)와 분리할 때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어 절취선(40)이 없더라도 쉽게 절취가 되는 절취유도홈의 역할을 한다. 이후 분리가 끝나면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내용물보관부(10)에 혼합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는 혼합부재(30)의 토출부(34)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1내용물보관부(10)의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노즐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제1내용물보관부(10)에 혼합되어 있는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내용물보관부 12:제1접착부
20:제2내용물보관부 22:제2접착부
24:비접착부 30:혼합부재
32:손잡이부 34:토출부
36:연결통로 38:꺾임홈
40:절취선 42:컷팅홈

Claims (5)

  1. 제1접착부(12)로 형성되는 제1내용물보관부(1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접하며, 제2접착부(22)로 형성되는 제2내용물보관부(20);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를 관통 연결하는 혼합부재(30);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로 구성되며,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제1내용물보관부(10)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토출부(34)의 단부가 제1내용물보관부(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노즐 역할을 하되,
    상기 제1내용물보관부(10)와 제2내용물보관부(20) 사이는 절취선(40)이 형성되며, 혼합부재(30)가 위치하는 부분은 컷팅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내부에 연결통로(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2)는 토출부(34)의 끝단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재(30)는 손잡이부(32)와 토출부(34)가 접하는 외주면에 꺾임홈(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용물보관부(20)를 제1내용물보관부(10)에 분리할 때 혼합부재(30) 부분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2내용물보관부(20)에서 혼합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을 비접착부(2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2020130004718U 2013-06-12 2013-06-12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200475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18U KR200475204Y1 (ko) 2013-06-12 2013-06-12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18U KR200475204Y1 (ko) 2013-06-12 2013-06-12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04Y1 true KR200475204Y1 (ko) 2014-11-14

Family

ID=5229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718U KR200475204Y1 (ko) 2013-06-12 2013-06-12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67B1 (ko) * 2018-08-17 2019-05-10 주식회사 원천씨엠씨 브레이크 앤 믹스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파우치
KR102130808B1 (ko) * 2019-07-26 2020-07-08 주식회사 아르맹 비가역적 노즐 커넥터를 이용한 분리형 파우치 및 이를 위한 액상 통과형 비가역적 노즐 커넥터 모듈
KR20210000862U (ko) * 2019-10-14 2021-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102259683B1 (ko) * 2020-04-29 2021-06-01 김유성 액상과 수용성 물질 기반의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그리고 이를 위한 투룸 노즐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589A (ja) * 1999-03-16 2000-09-26 Jms Co Ltd 複室容器
KR200434315Y1 (ko) * 2006-09-30 2006-12-19 주 년 김 다중 실링 파우치
JP2007190161A (ja) * 2006-01-18 2007-08-02 Ajinomoto Co Inc 複室容器
JP2011148554A (ja) * 2010-01-22 2011-08-04 C & Tech Corp 押さえ開ける非接合面を持つ2重ポーチと、その製造に好適な熱封合金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589A (ja) * 1999-03-16 2000-09-26 Jms Co Ltd 複室容器
JP2007190161A (ja) * 2006-01-18 2007-08-02 Ajinomoto Co Inc 複室容器
KR200434315Y1 (ko) * 2006-09-30 2006-12-19 주 년 김 다중 실링 파우치
JP2011148554A (ja) * 2010-01-22 2011-08-04 C & Tech Corp 押さえ開ける非接合面を持つ2重ポーチと、その製造に好適な熱封合金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67B1 (ko) * 2018-08-17 2019-05-10 주식회사 원천씨엠씨 브레이크 앤 믹스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파우치
KR102130808B1 (ko) * 2019-07-26 2020-07-08 주식회사 아르맹 비가역적 노즐 커넥터를 이용한 분리형 파우치 및 이를 위한 액상 통과형 비가역적 노즐 커넥터 모듈
KR20210000862U (ko) * 2019-10-14 2021-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200493766Y1 (ko) 2019-10-14 2021-06-02 코스맥스 주식회사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102259683B1 (ko) * 2020-04-29 2021-06-01 김유성 액상과 수용성 물질 기반의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그리고 이를 위한 투룸 노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984B2 (en) Dispensing device
KR200475204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JP2015509063A (ja) 可撓性サッシェ状の染毛剤容器
JP2012025471A (ja) 液体用紙容器
KR20150066529A (ko) 리필 용기
KR200475206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WO2010147212A1 (ja) 詰替え容器
JP2006306435A (ja) 容器
KR102005061B1 (ko) 염색약 보관 이중 파우치
JP2000007027A (ja) 液状物質収容容器
JP2011184065A (ja) 詰替え容器
JP4520218B2 (ja) 複室容器及び該容器の内容物の混合及び排出方法
JP2018020841A (ja) 液体収納袋
JP2004091032A (ja) 毛髪化粧料パッケージ
JP5644066B2 (ja) 詰替え容器
KR200260230Y1 (ko) 샘플 화장품용 파우치
JP5380517B2 (ja) 密封容器
JP5573137B2 (ja) 詰替え容器
JP5573165B2 (ja) 詰替え容器
AU2005221726B2 (en) Dispensing device
KR100467265B1 (ko) 염색약 충진용 이중튜브
JP2003026188A (ja) 液体収納袋
JP2011116460A (ja) 密封容器
JP4133192B2 (ja) 自立袋
JP2018062373A (ja) 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