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66Y1 -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66Y1
KR200493766Y1 KR2020190004143U KR20190004143U KR200493766Y1 KR 200493766 Y1 KR200493766 Y1 KR 200493766Y1 KR 2020190004143 U KR2020190004143 U KR 2020190004143U KR 20190004143 U KR20190004143 U KR 20190004143U KR 200493766 Y1 KR200493766 Y1 KR 200493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injection
separation tube
molded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62U (ko
Inventor
박재현
이준운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66Y1/ko
Priority to CN201921866656.6U priority patent/CN210972326U/zh
Publication of KR20210000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제1 파우치와 제2 파우치의 사이에 연결 통로인 사출물 부재를 형성하여 사출물 부재를 파우치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부분을 삽입하여 열접착(Heat Seal)하고, 나머지 일부분을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Pouch for Packaging Mask Pack}
본 고안은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 파우치와 제2 파우치의 사이에 연결 통로인 사출물 부재를 형성하여 사출물 부재를 파우치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부분을 삽입하여 열접착(Heat Seal)하고, 나머지 일부분을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부직포, 미용필름 등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켜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얼굴 모양의 마스크 팩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으며, 각 낱개로 포장재에 진공 포장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팩은 부직포 등에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 제거, 미백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화장료 성분을 함침시켜서 적절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포장한다.
마스크팩에 함침되는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 미용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과 그 외 로션 또는 로션 혼합제형 등의 화장 에센스를 마스크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진공 포장된다.
각 낱개로 포장되는 마스크팩은 최종적으로 PP나 PE 소재로 제작된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에 밀봉 포장 처리되고, 사용 시 간단히 파우치를 절취한 후 마스크팩을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플렉시블(Flexible)한 필름으로 제조되며, 밀봉 상태로 접착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장 용기의 일종이다.
최근의 마스크팩은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여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팩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각각 별도의 공간에 두 가지 내용물을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마스크팩을 사용하기 직전에 소비자가 혼합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내용물이 충전된 제1 파우치와 제2 내용물이 충전된 제2 파우치의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구성한다.
종래의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제1 내용물이 충전된 제1 파우치를 일정한 압력에 의해 터트려지기 쉬운 봉합 재질로 형성하고, 제1 파우치를 가압하여 터트린 후 수차례 압력을 주어 제2 파우치의 제2 내용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제1 파우치의 봉합 재질의 봉합 강도에 따라 제1 파우치가 용이하게 터지지 않아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불투명한 재질로 인하여 제1 파우치가 제대로 터졌는지 파악할 수 없어 불량품을 판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78492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 파우치와 제2 파우치의 사이에 연결 통로인 사출물 부재를 형성하여 사출물 부재를 파우치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부분을 삽입하여 열접착(Heat Seal)하고, 나머지 일부분을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내부 공간부를 2개의 구분된 공간인 제1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1 파우치와 제2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2 파우치로 이루어진 파우치 본체; 및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화장료가 제1 파우치에서 상기 제2 파우치로 이동하는 연결 통로인 사출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물 부재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부분을 삽입하여 열접착(Heat Seal)하며, 나머지 일부분을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는,
상기 사출물 부재는 상부 사출물과 하부 사출물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사출물은 상기 제1 화장료가 이동하는 내부 통로를 형성하고, 일부분이 상기 파우치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제1 손잡이 형태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 사출물은 상기 상부 사출물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파우치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제2 손잡이 형태로 노출되며,
상기 상부 사출물과 상기 하부 사출물의 연결 부위는 부러트려 상기 제1 화장료가 상기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화장료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제1 파우치와 제2 파우치의 사이에 연결 부위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로 인하여 불투명 재질의 파우치에도 적용할 수 있어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의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가 보이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도 3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리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의 열접합 영역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가 보이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도 3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려 제1 화장료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를 부러트리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부재의 열접합 영역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5는 설명의 이해를 위하여 사출물 부재 영역을 투명하게 보이게 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100)는 내부 공간부를 2개의 구분된 공간인 제1 파우치(102)와 제2 파우치(103)로 이루어진 파우치 본체(101)를 포함한다.
파우치 본체(101)는 사각 테두리를 따라 열접착으로 밀봉되고, 합성수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은 비닐 필름, 비닐리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파우치 본체(101)는 불투명한 재질이나 투명한 재질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파우치 본체(101)는 기능성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1 파우치(102)와, 베이스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2 파우치(103)와 제1 파우치(102)와 제2 파우치(10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파우치(102)와 제2 파우치(103)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사출물 부재(110)를 포함한다.
제1 파우치(102)는 파우치 본체(101)의 내부에 일정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여 기능성 화장료를 충전한다.
제2 파우치(103)는 파우치 본체(101)의 내부에 일정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여 베이스 화장료를 함침한 마스크 시트를 수용한다.
사출물 부재(110)는 일정한 형상으로 사출물 성형으로 제조되고, 파우치 본체(101)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부분을 삽입하여 열접착(Heat Seal)하며, 나머지 일부분을 파우치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된다.
사출물 부재(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 사출물(120)과 하부 사출물(13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사출물 부재(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하지 않으며, 금속 재질, 나무 재질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사출물(120)은 이동부재(121), 제1 분리관(122), 제1 연결부재(123) 및 제1 손잡이부재(124)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21)는 기능성 화장료가 이동하는 내부 통로(121a)를 중심부에 형성한다.
이동부재(121)는 단면이 사람의 눈 모양과 같이, 중앙부가 상하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앙부로부터 양쪽의 테두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이동부재(121)의 일측 끝단은 중앙부로부터 폭이 좁아지다가 가늘어져 뽀족하게 형성되고, 이동부재(121)의 타측 끝단은 중앙부로부터 폭이 좁아지다가 일정한 두께의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이동부재(121)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1 홈(121b)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동부재(121)는 내부 통로(121a)가 형성된 일측 끝단면에 제1 분리관(122)을 결합한다.
제1 분리관(122)은 이동부재(121)의 볼록하게 돌출된 중앙부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은 크기로 원통 형상의 제1 분리관 몸체(122a)를 포함하고, 제1 분리관 몸체(122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꺾임구(122b)를 형성한다.
제1 분리관 몸체(122a)는 이동부재(121)의 내부 통로(121a)와 연통되는 관통구를 중심부에 형성한다.
제1 꺾임구(122b)는 제1 분리관 몸체(122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분리관 몸체(122a)의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123)는 평탄한 형태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이동부재(121)의 테두리 부분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그 끝단에 제1 손잡이부재(124)를 결합한다.
제1 연결부재(123)는 중심부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제1 손잡이부재(124)를 결합한 방향과 직각 방향의 양쪽 테두리 부분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연결부재(123)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2 홈(123a)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제1 손잡이부재(124)는 일정 두께의 막대바 형태로 형성되고, 파우치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1 손잡이부재(124)의 형태는 막대바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이면, 원 모양, 구 모양, 별 모양, 삼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하부 사출물(130)은 하부 사출물 본체(131), 제2 분리관(132), 제2 연결부재(133) 및 제2 손잡이부재(134)를 포함한다.
하부 사출물 본체(131)는 단면이 사람의 눈 모양과 같이, 중앙부가 상하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앙부로부터 양쪽의 테두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하부 사출물 본체(131)의 일측 끝단은 중앙부로부터 폭이 좁아지다가 가늘어져 뽀족하게 형성되고, 하부 사출물 본체(131)의 타측 끝단은 중앙부로부터 폭이 좁아지다가 일정한 두께의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하부 사출물 본체(131)는 중앙부의 단면 일측에 제2 분리관(132)을 결합한다.
제2 분리관(132)은 하부 사출물 본체(131)의 볼록하게 돌출된 중앙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원통 형상의 제2 분리관 몸체(132a)를 포함하고, 제2 분리관 몸체(132a)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꺾임구(132b)를 형성한다.
제2 연결부재(133)는 평탄한 형태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하부사출물 본체의 테두리 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그 끝단에 제2 손잡이부재(134)를 결합한다.
제2 연결부재(133)는 중심부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제2 손잡이부재(134)를 결합한 방향과 직각 방향의 양쪽 테두리 부분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133)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3 홈(133a)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제2 손잡이부재(134)는 일정 두께의 막대바 형태로 형성되고, 파우치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2 손잡이부재(134)의 형태는 막대바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이면, 원 모양, 구 모양, 별 모양, 삼각형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제1 분리관(122)의 제1 꺾임구(122b)와 제2 분리관(132)의 제2 꺾임구(132b)의 결합되면, 상부 사출물(120)과 하부 사출물(130)이 결합된다.
사출물 부재(110)는 파우치 본체(101)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상부 사출물(120)의 이동부재(121), 제1 분리관(122), 제1 연결부재(123)와, 하부 사출물(130)의 하부사출물 본체, 제2 분리관(132), 제2 연결부재(133)를 삽입하며, 제1 손잡이부재(124)와 제2 손잡이부재(134)를 파우치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한다.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100)는 제1 파우치(102)에 기능성 화장료를 충전하고, 제2 파우치(103)에 베이스 화장료를 함침한 마스크 시트를 수용한 상태이고, 사출물 부재(110)를 삽입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밀봉장치(미도시)에 의해 열과 압력으로 압착되면서 밀봉된다.
다시 말해, 파우치 본체(101)는 상부와 하부에서 열선이 설치된 가압 프레스로 열과 압력으로 눌러주면, 파우치 본체(101)의 사각 테두리 부분(105)과, 제1 파우치(102)와 제2 파우치(103)의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일정한 길이의 공간 분리선(104)과, 상부 사출물(120)의 이동부재(121), 제1 연결부재(123)와, 하부 사출물(130)의 제2 연결부재(133)와, 상기 제1 연결부재(123)와 상기 제2 연결부재(133)의 사이의 공간을 모두 압착하는 동시에 가열되어 밀봉된다.
이로 인하여 파우치 본체(101)는 상부 사출물(120)과 하부 사출물(130)로 인하여 양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파우치 본체(101)는 공간 분리선(104)과 상부 사출물(120)과 하부 사출물(130)에 의해 제1 파우치(102)와 제2 파우치(103)의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100)는 파우치 본체(101)의 밀봉을 위해 가열과 압착하는 경우, 이동부재(121)의 제1 홈(121b)과, 제1 연결부재(123)의 제2 홈(123a), 제2 연결부재(133)의 제3 홈(133a)에 파우치 본체(101)의 물질이 용융되어 흘러들어가 틈새가 없이 완전 밀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손잡이부재(124)와 제2 손잡이부재(134)를 잡고 꺾는 동작을 수행하면, 일정한 압력이 제1 분리관(122)과 제2 분리관(132)에 가해져서 제1 꺾임구(122b)와 제2 꺾임구(132b)가 부러져 파손된다.
이때, 제1 파우치(102)에 충전된 기능성 화장료는 이동부재(121)의 내부 통로(121a)와 제1 분리관 몸체(122a)의 관통구를 통해 제2 파우치(103)로 흘러들어가 베이스 화장료에 혼합된다.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101: 파우치 본체
102: 제1 파우치 103: 제2 파우치
104: 공간 분리선 105: 사각 테두리 부분
110: 사출물 부재 120: 상부 사출물
121: 이동부재 121a: 내부 통로
121b: 제1 홈 122: 제1 분리관
122a: 제1 분리관 몸체 122b: 제1 꺾임구
123: 제1 연결부재 123a: 제2 홈
124: 제1 손잡이부재 130: 하부 사출물
131: 하부 사출물 본체 132: 제2 분리관
132a: 제2 분리관 몸체 132b: 제2 꺾임구
133: 제2 연결부재 133a: 제3 홈
134: 제2 손잡이부재

Claims (7)

  1. 내부 공간부를 2개의 구분된 공간인 제1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1 파우치와 제2 화장료가 충전되는 제2 파우치로 이루어진 파우치 본체; 및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화장료가 제1 파우치에서 상기 제2 파우치로 이동하는 연결 통로인 사출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물 부재는 상부 사출물과 하부 사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사출물은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1 손잡이부재 및 상기 파우치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우치의 제1 화장료가 상기 제2 파우치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사출물은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제2 손잡이부재 및 상기 상부 사출물의 이동부재에 결합하는 하부 사출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2 손잡이 부재를 잡고 꺽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화장료가 상기 제2 파우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물은 상기 제1 화장료가 이동하는 내부 통로를 중심부에 형성하는 상기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끝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 통로와 연통되는 관통구를 중심부에 형성한 원통 형상의 제1 분리관;
    평탄한 형태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두께의 막대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사출물은 상기 하부 사출물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제2 분리관;
    평탄한 형태로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사출물 본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정 두께의 막대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관은 상기 원통 형상의 제1 분리관 몸체와, 상기 제1 분리관 몸체의 일측 끝단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분리관 몸체의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1 꺾임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관은 상기 원통 형상의 제2 분리관 몸체와, 상기 제2 분리관 몸체의 일측 끝단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분리관 몸체의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그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2 꺾임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꺾임구와 상기 제2 꺾임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1 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2 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양쪽면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의 제3 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본체는 상부와 하부에서 가압 프레스로 열과 압력으로 눌러주면, 상기 파우치 본체의 사각 테두리 부분과, 상기 제1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의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일정한 길이의 공간 분리선과, 상기 이동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사이의 공간을 압착하는 동시에 가열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2020190004143U 2019-10-14 2019-10-14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200493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43U KR200493766Y1 (ko) 2019-10-14 2019-10-14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CN201921866656.6U CN210972326U (zh) 2019-10-14 2019-10-31 面膜包装用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43U KR200493766Y1 (ko) 2019-10-14 2019-10-14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62U KR20210000862U (ko) 2021-04-22
KR200493766Y1 true KR200493766Y1 (ko) 2021-06-02

Family

ID=7144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43U KR200493766Y1 (ko) 2019-10-14 2019-10-14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3766Y1 (ko)
CN (1) CN210972326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04Y1 (ko) 2013-06-12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200475206Y1 (ko) * 2013-06-12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101926115B1 (ko) 2017-06-26 2018-12-06 (주) 유쎌 클립을 포함하는 분리형 마스크팩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92Y1 (ko) 2004-12-08 2005-03-10 윤용만 다중 포장 공간을 갖는 파우치
KR20190033314A (ko) * 2017-09-21 2019-03-29 이삼형 일회용 이종 혼합 파우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04Y1 (ko) 2013-06-12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200475206Y1 (ko) * 2013-06-12 2014-11-14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KR101926115B1 (ko) 2017-06-26 2018-12-06 (주) 유쎌 클립을 포함하는 분리형 마스크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972326U (zh) 2020-07-10
KR20210000862U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405Y1 (ko) 미용 마스크 팩이 포장된 다중 캡슐
US6651848B1 (en) Tubelike dispenser package
US6299012B1 (en) Reclosable dispenser package, reclosable outlet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JPS59103866A (ja) 流動物質のパッケージ
SK6602002A3 (en) Reclosable dispenser package, reclosable outlet forming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1683098B1 (ko)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WO2000068105A1 (fr) Buse de contenant a fluide et un tel contenant comprenant cette buse
US3028000A (en) Double channel plastic package
WO2013125499A1 (ja) 合掌貼り包装袋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JP6340256B2 (ja) パウチ容器
US20140299624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dental material and method of dispensing
KR20190033314A (ko) 일회용 이종 혼합 파우치
JPH0231392Y2 (ko)
CN109106604B (zh) 一次性可变形胶囊
JP4360150B2 (ja) 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並びに包装体
KR200493766Y1 (ko) 마스크팩 포장용 파우치
KR200475204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US2954294A (en) Infusion bag
CA2892947C (en) Unitary flexible package
JP4967289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US3666145A (en) Collapsible dispenser with dispensing cap
CN107108078A (zh) 剂量调整装置
JPH08230906A (ja) 押し出し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414698B2 (ja) 小分け用包装体
KR20190124613A (ko) 겔 상태와 액상의 튜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