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282U - 보온 보냉 용기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282U
KR20120002282U KR2020100009883U KR20100009883U KR20120002282U KR 20120002282 U KR20120002282 U KR 20120002282U KR 2020100009883 U KR2020100009883 U KR 2020100009883U KR 20100009883 U KR20100009883 U KR 20100009883U KR 20120002282 U KR20120002282 U KR 201200022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water
thermal insula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경
Original Assignee
김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경 filed Critical 김세경
Priority to KR2020100009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28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 보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용기의 경우에는 물을 따르기 위해서는 겉마개와 속마개를 모두 용기몸체에서 분리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워 신속하게 물을 섭취할수 없는 것은 물론 물을 따를때 약간만 부주의하여 용기몸체를 큰 각도로 기울일 경우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용기몸체의 입구를 통해 쏟아져 나와 낭패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주면에 나선부(110)가 구비된 결합부위(120)의 입구(121)를 통해 물이 주입되며,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몸체(100); 용기몸체(100)의 입구(121)에 조립되는 속마개(200); 내주면의 나사부(310)에 의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나선부(110)에 결합되어 속마개(200)를 가려주는 겉마개(300); 로 보온 및 보냉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내주면에는 상부 걸림돌기(130)와 하부 걸림돌기(130a)를 형성하고, 속마개(200)는, 결합부위(120) 위에 얹혀 걸리는 플랜지부(210)와; 플랜지부(210) 아래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내부로 끼워지며, 하부 바닥(221) 양쪽에 물배출공(222a)(222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선단이 얇은 날개부(410)가 상부 걸림돌기(130)에 걸리고 하단은 하부 걸림돌기(130a)에 걸려서 속마개 (200)가 저절로 빠지지 않으면서 씰링되는 패킹재(400)가 설치된 삽입부(220)와; 플랜지부(210)와 삽입부(220)의 내부에 경사진 단턱부(231)가 형성된 물배출안내용 요입부(230); 로 형성하고, 겉마개(300)는, 내면 중앙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속마개(200)의 요입부(230)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된 밀폐부(320)와; 밀폐부(320) 외주면의 오링홈에 끼워져 설치되며, 경사진 단턱부(231)에 밀착되는 패킹부재(330);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겉마개(300)만을 용기몸체(100)에서 분리하고 속마개(200)는 용기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을 따르면 용기몸체(100)내의 물이 속마개(200)의 물배출공(222a)(222b)을 통해 배출되므로 신속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물을 따르기 위하여 용기몸체(100)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질 우려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보온 보냉 용기{Combined cooling and warming thermos bottles}
본 고안은 보온 보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용기몸체의 입구를 막고 있는 속마개를 열지 않고서도 물을 따를수 있도록 하여 신속 편리하고 안전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물을 따르기 위하여 용기몸체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온 보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 보냉 용기(이하 용기라 칭함)는 용기에 담겨지는 물의 온도가 일정한 시간동안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야외에 나들이를 가거나 기타의 목적을 가지고 용기에 뜨겁거나 차거운 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용기에 담겨져 있는 물을 마시고자 할때 물 자체의 온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용기에는 물병, 머그병, 머그컵, 스포츠물병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용기는 물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입구를 밀폐하는 속마개와 속마개의 상부를 커버하고 컵 대용으로 사용되면서 용기몸체에 결합되는 겉마개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용기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종래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몸체에 넣어진 물을 따르고자 할 경우 용기몸체에서 겉마개와 속마개를 모두 분리한후 물을 따라야 하므로 번거로운 것은 물론 물을 신속하게 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속마개에 물배출공을 형성한후 원터치 버튼을 설치하여 물을 따를때 원터치 버튼을 눌러 물배출공을 개방시켜 속마개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물을 따를 수 있는 용기도 있으나 이러한 용기는 장시간 사용하여 원터치 버튼 안쪽이나 원터치버튼이 막고 있는 물배출공에 물때가 끼거나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위생상 좋지 않으므로 사용을 꺼리게 되는 것이다.
둘째 ; 종래의 용기는 용기몸체의 구경이 큰 입구를 통해서 외부로 곧바로 물이 배출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무심코 용기몸체를 큰 각도로 기울여 물을 따를경우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입구를 통해 쏟아져 즉, 컵대용의 겉마개나 다른 용기 등에 물을 따를 경우에는 물이 겉마개나 용기에서 넘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고, 용기몸체를 직접 입에 대고 마실 경우에도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지면서 미처 입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물이 입 주위로 넘치면서 흘러내려 옷속으로 들어가거나 직접 옷으로 떨어져 옷이 젖는 등 낭패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몸체에서 속마개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물을 따르기 위하여 용기몸체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보온 보냉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주면에 나선부가 구비된 결합부위의 입구를 통해 물이 주입되며,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몸체; 용기몸체의 입구에 조립되는 속마개; 내주면의 나사부에 의해 용기몸체의 결합부위 나선부에 결합되어 속마개를 가려주는 겉마개; 로 보온 및 보냉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몸체의 결합부위 내주면에는 상부 걸림돌기와 하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속마개는, 용기몸체의 결합부위 위에 얹혀 걸리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 아래에 구비되어 용기몸체의 결합부위 내부로 끼워지며, 하부 바닥 양쪽에는 물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선단의 얇은 날개부가 상부 걸림돌기에 걸리고, 하단은 하부 걸림돌기에 걸려서 속마개가 저절로 빠지지 않으면서 씰링되는 패킹재가 설치된 삽입부와; 플랜지부와 삽입부의 내부에 경사진 단턱부가 형성된 물배출안내용 요입부; 로 형성하고, 겉마개는, 내면 중앙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속마개의 요입부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된 밀폐부와; 밀폐부 외주면의 오링홈에 끼워져 설치되며, 경사진 단턱부에 밀착되는 패킹부재;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속마개의 하부 바닥에 물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어 속마개를 용기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물을 따를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물이 물배출공만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므로 물을 따르기 위해 용기몸체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용기을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용기을 예시한 분리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가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a,5b,5c 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속마개에 설치된 패킹재의 날개부가 용기몸체의 걸림돌기에 접촉되기 전이고, 도 5b는 접촉된 상태이고, 도 5c는 타고 넘어간후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이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와 겉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용기을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용기을 예시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가 결합되기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a,5b,5c 는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속마개에 설치된 패킹재의 날개부가 용기몸체의 걸림돌기에 접촉되기 전이고, 도 5b는 접촉된 상태이고, 도 5c는 타고 넘어간후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라 용기몸체에 속마개와 겉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외주면에 나선부(110)가 구비된 결합부위(120)의 입구(121)를 통해 물이 주입되며,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몸체(100); 용기몸체(100)의 입구(121)에 조립되는 속마개(200); 내주면의 나사부(310)에 의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나선부(110)에 결합되어 속마개(200)를 가려주는 겉마개(300); 로 보온 및 보냉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내주면에는 상부 걸림돌기(130)와 하부 걸림돌기(130a)를 형성하고, 속마개(200)는, 결합부위(120) 위에 얹혀 걸리는 플랜지부(210)와; 플랜지부(210) 아래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내부로 끼워지며, 하부 바닥(221) 양쪽에 물배출공(222a)(222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선단이 얇은 날개부(410)가 상부 걸림돌기(130)에 걸리고 하단은 하부 걸림돌기(130a)에 걸려서 속마개(200)가 저절로 빠지지 않으면서 씰링되는 패킹재(400)가 설치된 삽입부(220)와; 플랜지부(210)와 삽입부(220)의 내부에 경사진 단턱부(231)가 형성된 물배출안내용 요입부(230); 로 형성한다.
그리고 겉마개(300)는, 내면 중앙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속마개(200)의 요입부(230)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된 밀폐부(320)와; 밀폐부(320) 외주면의 오링홈에 끼워져 설치되며, 경사진 단턱부(231)에 밀착되는 패킹부재(33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기는 물의 온도가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단열기능을 갖는 용기몸체(100)에 속마개(200)를 결합하여 물이 임의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속마개(200)가 결합된 용기몸체(100)에 컵대용으로 사용하면서 속마개(200)가 노출되지 않도록 내주면의 나사부(310)가 용기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110)에 체결되게 하여 겉마개(300)를 용기몸체(100)에 결합되게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물을 따를 경우 겉마개(300)만 용기몸체(100)에서 분리하고 속마개(200)는 용기몸체(100)에서 분리하지 않고서도 용기몸체(100)에 담겨진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기몸체(100)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본 고안 용기에서의 속마개(200)는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에 얹혀 걸리는 플랜지부(210)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10)아래로는 바닥(221) 양쪽에 물배출공(222a)(222b)이 형성되면서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내로 끼워지는 삽입부(220)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 결합하기 위해 속마개(200)의 삽입부(220)를 용기몸체(100)의 입구(121)를 통해 결합부위(120)내로 끼우면 속마개(200)의 플랜지부(210)는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에 얹힌 상태로 결합이 된다.
여기서 속마개(200)의 삽입부(220)외주면에는 패킹재(4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즉,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 결합하면 패킹재(400)의 날개부(410)가 용기몸체(100)의 상부 걸림돌기(130)에 걸리게 되어 속마개(200)는 인위적으로 용기몸체(100)에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저절로 빠지지 않는 것이고, 패킹재(400)의 하단이 하부 걸림돌기(130a)에 걸려서 씰링되므로 물이 속마개(200)와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사이 틈새로 누수되지 않고 물배출공(222a)(222b)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다.
이처럼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 결합한 후에 물을 따르게 되면 물은 속마개(200)의 물배출공(222a)(222b)을 빠져나와 요입부(230)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렇게 용기몸체(100)에 속마개(200)를 결합한후 다시 겉마개(300)를 용기몸체(100)에 결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을 휴대하다가 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겉마개(300)만을 용기몸체(100)에서 분리하고 속마개(200)는 용기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몸체(100)만을 기울여 주면 물이 물배출공(222a)(222b)을 통해 배출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물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물배출공(222a)(222b)은 구경을 서로 달리하여 즉, 물배출공(222a)은 물배출공(222b)보다 구경을 크게하여 용기몸체(100)에 시원한 물을 담았을 경우에는 물이 물배출공(222a)를 통해 많은 양이 배출될 수 있도록 물배출공(222a)이 하향으로 가게 용기몸체(100)를 기울여 주고, 용기몸체(100)에 뜨거운 물을 담았을 경우에는 구경이 작은 물배출공(222b)을 통해 적은양의 물이 나올수 있도록 물배출공(222b)쪽이 하향으로 가게 용기몸체(100)를 기울여 주면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물이 속마개(200)의 물배출공 (222a)(222b)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물을 따를때 부주의하여 용기몸체(100)를 큰 각도로 기울여 주더라도 한번에 많은양의 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컵대용의 겉마개(300)나 용기 등에 물을 따를때 넘칠 우려가 없는 것이고, 또한 용기몸체(100)를 직접 입에 갖다대고 물을 마시더라도 물이 입안에 넘쳐서 입주위로 흘러내려 옷까지 젖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속마개(200)의 물배출공(222a)(222b)은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겉마개(300)가 용기몸체(100)에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부주의하여 용기몸체(100)가 쓰러지게 되면 물이 물배출공(222a)(222b)을 통해 흘러나온후 용기몸체(100)와 겉마개(300)의 틈새를 통해 흘러나올 우려가 많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의 겉마개(300)는 속마개(200)의 요입부(230)에 끼워지면서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된 밀폐부(320)를 형성하고, 그 오링홈에는 패킹부재(330)를 설치하였다.
즉, 겉마개(300)를 속마개(200)가 결합된 용기몸체(100)에 결합하게 되면 겉마개(300)의 밀폐부(320)가 속마개(200)의 요입부(230)내로 들어가면서 1차적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밀폐부(320)에 설치된 패킹부재(330)가 속마개(200)의 단턱부(231)에 밀착되어 2차적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겉마개(300)가 용기몸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물이 물배출공(222)을 통해 배출되더라도 외부로는 누수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기는 속마개(200)와 겉마개(300)의 청소도 간편하여 장기간 사용하여 물때가 끼거나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속마개(200)외주면에 설치되는 패킹재(400)는 중앙의 날개부(410)를 중심으로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면에 패킹지지부(420a)(420b)를 돌출 형성하며,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에는 패킹홈(223a)(223b)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패킹재(400)를 설치할 경우에는 패킹재(400)의 패킹지지부(420a)는 패킹홈(223a)속으로 삽입되게 하고, 패킹지지부(420b)는 패킹홈(223b)속으로 삽입되게 한다.
여기서 패킹홈(223a)과 패킹홈(223b) 사이에는 공간(224)을 형성하여 즉, 속마개(200)가 용기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물이 물배출공(222a)(222b)이 아닌 용기몸체(100)와 속마개(200)사이로 누수되지 않아야 하므로 패킹재(400)는 용기몸체(100)의 내주면에 타이트하게 밀착되게 끼워져야 밀폐력이 향상된다.
그런데 이처럼 패킹재(400)가 용기몸체(100)에 내주면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면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서 탈착시 힘들게 되므로 패킹재(400)의 날개부(410)가 밀려들어갈 수 있는 공간(224)을 형성하여 도5a 내지 도 5c 에서와 같이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서 끼울때 패킹재(400)의 날개부(410)가 공간(224)에 의하여 신축성 있게 동작되면서 걸림돌기(130)를 넘어가기 때문에 속마개(200)에 날개부(410)가 형성된 패킹재(400)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속마개(200)를 보다 부드럽게 용기몸체(1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간(224) 하부에 보조공간(225)을 구비하여 패킹재(400)의 하단이 용기몸체(100)의 걸림돌기(130)에 접촉되면 보조공간(225)에 의해 밀려들어가 용기몸체(100)의 걸림돌기(130)에 의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은 패킹홈(223a)이 있는 상측에서 패킹홈(223b)이 있는 하측을 향해 서서히 구경이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패킹홈(223a)(223b)에 끼워지는 패킹재(400)가 일정 각도(α)로 경사지게 하여 이역시 속마개(200)를 용기몸체(100)에서 보다 더 부드럽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용기몸체 110 : 나선부
120 : 결합부위 121 : 입구
130, 130a : 상/하부 걸림돌기 200 : 속마개
210 : 플랜지부 220 : 삽입부
221 : 바닥 222a,222b : 물배출공
223a,223b : 패킹홈 224 : 공간
225 : 보조공간 230 : 요입부
231 : 단턱부 300 : 겉마개
310 : 나사부 320 : 밀폐부
330 : 패킹부재 400 : 패킹재 410 : 날개부 420a,420b : 패킹지지부

Claims (4)

  1. 외주면에 나선부(110)가 구비된 결합부위(120)의 입구(121)를 통해 물이 주입되며,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몸체(100);
    용기몸체(100)의 입구(121)에 조립되는 속마개(200);
    내주면의 나사부(310)에 의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나선부(110)에 결합되어 속마개(200)를 가려주는 겉마개(300);
    로 보온 및 보냉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내주면에는 상부 걸림돌기(130)와 하부 걸림돌기(130a)를 형성하고,
    속마개(200)는, 결합부위(120) 위에 얹혀 걸리는 플랜지부(210)와; 플랜지부(210) 아래에 구비되어 용기몸체(100)의 결합부위(120) 내부로 끼워지며, 하부 바닥(221) 양쪽에 물배출공(222a)(222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선단이 얇은 날개부(410)가 상부 걸림돌기(130)에 걸리고 하단은 하부 걸림돌기(130a)에 걸려서 속마개(200)가 저절로 빠지지 않으면서 씰링되는 패킹재(400)가 설치된 삽입부(220)와; 플랜지부(210)와 삽입부(220)의 내부에 경사진 단턱부(231)가 형성된 물배출안내용 요입부(230); 로 형성하고,
    겉마개(300)는, 내면 중앙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속마개(200)의 요입부(230)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된 밀폐부(320)와; 밀폐부(320) 외주면의 오링홈에 끼워져 설치되며, 경사진 단턱부(231)에 밀착되는 패킹부재(330);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패킹재(400)는 중앙의 날개부(410)를 중심으로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면에 패킹지지부(420a)(420b)를 돌출 형성하며,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에는 패킹지지부(420a)(420b)가 삽입되는 패킹홈(223a)(223b)을 형성하고, 패킹홈(223a)과 패킹홈(223b) 사이에는 날개부(410)가 뒤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공간(224)을 형성하여,
    용기몸체(100)에서 속마개(200)를 탈착할 때 날개부(410)가 탄력적으로 신축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간(224) 하부에는,
    패킹재(400)의 하단이 용기몸체(100)의 걸림돌기(130)에 접촉되면 밀려들어갈 수 있는 보조공간(225)을 구비하여
    용기몸체(100)의 걸림돌기(130)에 의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속마개(200)의 삽입부(220) 외주면은
    패킹홈(223a)이 있는 상측에서 패킹홈(223b)이 있는 하측을 향해 서서히 구경이 좁아지는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패킹홈(223a)(223b)에 끼워지는 패킹재(400)가 일정 각도(α)로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용기.
KR2020100009883U 2010-09-20 2010-09-20 보온 보냉 용기 KR201200022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83U KR20120002282U (ko) 2010-09-20 2010-09-20 보온 보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83U KR20120002282U (ko) 2010-09-20 2010-09-20 보온 보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82U true KR20120002282U (ko) 2012-03-28

Family

ID=4617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83U KR20120002282U (ko) 2010-09-20 2010-09-20 보온 보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28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63A (ko) * 2017-10-11 2019-04-19 (주)케이디에스디앤티 호리병
KR20210046516A (ko) * 2019-10-18 2021-04-28 김병열 오픈형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63A (ko) * 2017-10-11 2019-04-19 (주)케이디에스디앤티 호리병
KR20210046516A (ko) * 2019-10-18 2021-04-28 김병열 오픈형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9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KR20140000950U (ko) 밀폐형 텀블러
JP4203912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120002282U (ko) 보온 보냉 용기
JP3219770U (ja) 自動ストローを備えた飲料カップ
CN209769935U (zh) 一种杯盖
JP2008137657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WO2019091427A1 (zh) 保温碗
KR20140020787A (ko) 음료용 용기
JP2009274731A (ja) 携帯用真空二重ボトル
KR200429418Y1 (ko) 컵 뚜껑
JP3146182U (ja) ウォーターサーバ用の給水容器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0208342Y1 (ko) 전기포트
KR200473497Y1 (ko) 캠핑용 주전자
JP3124841U (ja) 蓋付き飲用容器
TWI813470B (zh) 蓋組件及帶蓋容器
JP5012920B2 (ja) 保温ボトル
JP5874371B2 (ja) 液体容器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KR100914339B1 (ko) 컵뚜껑 조립체
JP7199188B2 (ja) 貯水装置
JPH0747076Y2 (ja) 中容器つき液体容器
JP4649992B2 (ja) 保温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