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787A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787A
KR20140020787A KR1020130094109A KR20130094109A KR20140020787A KR 20140020787 A KR20140020787 A KR 20140020787A KR 1020130094109 A KR1020130094109 A KR 1020130094109A KR 20130094109 A KR20130094109 A KR 20130094109A KR 20140020787 A KR20140020787 A KR 2014002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inner container
fitting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구라베
신 마쓰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2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9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외용기의 끼워 맞춤 받이부로부터 내용기의 끼워 맞춤부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내용기의 용적 효율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내용기(3)와 외용기(2)와의 사이에 제 1 단열재(4)를 가지는 용기 본체(5)와, 용기 본체(5)의 상부 개구부(6)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개체(7)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1)에 있어서, 외용기(2)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2)의 몸통부 내경 B는 개구부(31)의 내경 C보다 크게 구성되고, 내용기(3)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2)의 개구부(31)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외용기(2)와 일체화되어, 외용기(2)에 삽입되고, 제 1 단열재(4)에 의해 피복되는 내용기(3)의 몸통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내용기(3)의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3)의 바닥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용기(2)로부터 내용기(3)가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용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기와 외용기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용기와 외용기를 구비한 스포츠 저그(Sports jug) 등의 음료용 용기는, 내용기가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성형되고, 외용기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Direct blow molding)에 의해 성형되어, 내용기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부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 돌기와, 외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되는 끼워 맞춤 받이부가, 강제로 끼워 맞춰지는 구조에 의해,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내용기와 외용기의 사이에 삽입되는 단열재의 면접촉을 이용하는 등, 보다 확실히 내용기의 탈락을 방지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이러한 음료용 용기는, 지수(止水) 부재인 패킹이, 내용기의 개구부 상태에 대응하고, 또한 마개체 내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끼워 맞춰져 장착되어, 사용자가 그 마개체를 조여감에 따라서, 상기 지수 부재가 내용기의 개구부 상단에 접촉되어 눌러져 찌부러짐으로써, 내용액의 액누설을 방지하는 지수 구조가 알려져 있었다.
일본특허공보 제4277318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예에서는, 외용기의 제조법으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용기의 치수 정밀도가 안정되기 어려워지므로, 치수 차이에 의해 강제 끼워 맞춤이 불충분해져서,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탈락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단열재의 면접촉에 의해 내용기의 탈락 방지를 도모하고 있었지만, 삽입되는 내용기 외면은,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형분리하기 위해서 구배를 이루고 있고, 상부로부터 바닥면을 향함에 따라서 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단열재와 면접촉하고 있어도 여전히 상측 방향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있어, 그 효과는 반드시 현저하지 않다. 게다가, 내용기 내면은, 내용기 외면과 같이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형분리하기 위해서 구배를 이루고 있고, 상부로부터 바닥면을 향함에 따라서 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용적 효율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지 성형을 이용하고 있는 상기 음료용 용기에서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품이 일부 빠지는 등 내용기의 개구부 상단인 입구 가장자리의 평탄이 손상되어, 내용기의 개구부 상단의 치수나 형상이 안정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패킹의 접촉이 국소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에, 지수성(止水性)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입구 가장자리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패킹의 접촉이 전체적으로 약해지므로 액체가 새기 쉽고, 반대로 너무 높은 경우에도, 토크가 커지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 조작을 행하지 못하고, 충분한 지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정 위치까지 마개체를 단단히 조일 수 없어서 액체가 새어버릴 우려가 있다. 게다가, 패킹이 마개체 내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끼워 맞춰져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할 때에는 패킹을 떼어내기 어려워, 비위생적으로 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외용기의 끼워 맞춤 받이부로부터 내용기의 끼워 맞춤부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내용기의 용적 효율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내용기와 외용기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상부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중간마개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 몸통 내경은 개구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상기 내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상기 외용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외용기와 일체화되어, 상기 외용기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재에 의해 피복되는 내용기 몸통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내용기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 바닥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몸통부 내경이, 내용기 개구부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개구부 외측에 끼워 맞춤 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용기 상부 개구부와 상기 외용기 상부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 맞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 받이부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돌기를 가지고, 상기 외용기 끼워 맞춤 받이부와 상기 내용기 끼워 맞춤 돌기가 강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개구부에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균일한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외용기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재에 의해 피복되는 내용기 몸통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내용기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 바닥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재에 의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외용기로부터 내용기가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용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내용기 몸통부 외면을 외용기 몸통부 내면과 소정의 단열재 간격을 가지고 추종시킴으로써 내용기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 바닥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내용기의 몸통부 내경을, 내용기 개구부 내경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적 효율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외용기 개구부 외측에 끼워 맞춤 받이부와, 내용기 끼워 맞춤부에 형성된 끼워 맞춤 돌기를 강제로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외용기로부터 내용기의 탈락 방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내용기 개구부에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균일한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치수가 안정되지 않는 개구부 상단이 아니라,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균일한 단차를 이용하여 지수함으로써 지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중간마개 개폐 조작 토크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가 만수 용량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용이하게 만수 용량을 확인할 수 있어, 과주입에 의한 액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이 마개체 내부 하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세정할 때에 패킹을 떼어내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마개체를 떼어낸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음료용 용기(1)를 나타내고 있다. 음료용 용기(1)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용기(2)와 그 안쪽에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내용기(3)와의 사이에 제 1 단열재(4)를 구비한 용기 본체(5)와, 그 용기 본체(5)의 상부 개구부(6)에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간 마개인 마개체(7)와, 그 마개체(7)의 한쪽인 앞부분에 원통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어 액유로를 형성하는 입구부(8)의 상방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뚜껑체(9)와, 상기 마개체(7)의 외주면에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핸들(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체(7)는, 용기 본체(5)의 외주와 대략 동일 지름의 대략 원반 형상으로서, 마개체 하부(1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7)의 하부 개구부에 안뚜껑(15)을 부착하여 밀봉함으로써 마개체 내부(14)의 수밀(水密)상태를 확보하고, 또한, 마개체 내부(14)에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제 2 단열재(13)를 수납함으로써, 마개체 내부(14)의 결로를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안뚜껑(15)이 부착됨으로써 형성되는 마개체 바닥부(16)는, 상기 내용기(3)의 개구부(17)의 내경 A보다 작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마개체 하부인 안뚜껑(15)의 외주면에는 부착홈(18)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홈(18)에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수 부재(19)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지수 부재(19)에는 둘레측면에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 돌기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개체(7)의 내주면과, 지수 부재(19)가 둘레에 형성되는 안뚜껑(15)과의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되므로, 세정할 때에는, 지수 부재(19)가 탈착이 용이해져,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체(9)는, 마개체 상부(21)의 대략 중앙에 배치한 회동축부인 제 1 힌지부(22)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고리 형상 탄성 부재(23)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져 있다. 그 뚜껑체(9)가 닫힌 상태에서는, 뚜껑체(9)의 뒤편에 장착되는 폐색 부재(24)에 의해서, 입구부(8)의 상부 개구부(25)가 덮이도록 지수되고, 마개체(7)의 앞부분 외주면에 설치되는 시소식의 잠금버튼(26)과, 제 2 힌지부(27)를 통해 회동 가능한 걸어멈춤고리(28)로 구성되는 잠금수단(29)에 의해, 뚜껑체(9)가 전부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뚜껑체(9)는,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에 걸쳐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고, 그 뚜껑체(9)의 경사에 대응하여 입구부(8)의 상부 개구부(25)도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에 걸쳐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어, 사용자가 용기 본체(5)내의 내용액을 마시기 쉽게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 본체(5)의 외용기(2)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통부(30)의 내경 B가 개구부(31)의 내경 C보다 크게 형성된다(B>C). 또한, 상부 개구부(31)의 외측인 외주면에는 내용기(3)와 연결하기 위한 끼워 맞춤 받이부(32)가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워 맞춤 받이부(32)는 상부 개구부(31)의 외주면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 오목 형상의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10)의 회동축보다 약간 앞부분 외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손가락걸이용 앞부분 홈(33)이 형성되고, 뒷부분 외주면에는 상하 2개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가락걸이용 뒷부분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걸이용 앞부분 홈(33)과 손가락걸이용 뒷부분 홈(34)은 사용시에 사용자가 용기 본체(5)를 유지하기 쉽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손가락걸이용 앞부분 홈(33)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손가락걸이용 뒷부분 홈(34)에는 위쪽에 검지, 아래쪽에 중지 혹은 약지가 각각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손에서 용기 본체(5)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 없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외용기(2)에 연결함으로써 일체화되는 내용기(3)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개구부(17)의 외주면에 수나사(35)가 형성되어, 그 수나사(35)에 의해 마개체(7)와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기(3)에는, 수나사(35)의 하부로부터 연속해서 날밑 형상으로 내뻗은 끼워 맞춤부(36)가 설치되고, 그 끼워 맞춤부(36)의 선단에는 안쪽을 향하는 끼워 맞춤 돌기(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 맞춤 돌기(37)가 외용기(2)에 있어서의 상부 개구부(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의 끼워 맞춤 받이부(32)에 강제로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해, 외용기(2)와 내용기(3)가 연결되어 일체로 할 수 있다. 그 때에는, 외용기(2)의 내주면(38)과 내용기(3)의 외주면(39)과의 간극에, 미리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제 1 단열재(4)를 형성함으로써, 단열재(4)에 의해 피복되어 단열성을 가짐과 함께 제 1 단열재(4)와 내용기(3)의 외주면(39)과의 면접촉을 이용한 빠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용기(3)의 성형에는, 사출 성형한 프리폼(예비 성형품)을 가열 후, 한 쌍의 금형으로 끼워 넣어 공기를 불어 넣고 금형 형상으로 성형하여 냉각 고체화하는 인젝션 블로우 성형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용기(2)의 몸통부(30)에 요철 등이 형성되는 구성이더라도, 블로우 성형의 공정에서 외용기(2)의 내주면(38)과 내용기(3)의 외주면(39)과의 간극을, 제 1 단열재(4)가 설치되는 소정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외용기(2)의 내주면(38)의 형상에 내용기(3)의 외주면(39)을 따르게 하여 성형할 수 있으므로, 외용기(2)의 형상에 맞춘 후에 용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연신성이 높고 제품 강도가 뛰어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젝션 블로우 성형을 이용하여, 내용기(3)의 몸통부(40)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부터 내용기(3)의 바닥부(41)에 걸쳐 지름을 확대하고 있고, 내용기(3)의 몸통부(40)가 지름이 확대되는 몸통부 지름확대부(44)로부터 바닥부(41)까지의 몸통부 하부(42)의 내경 D를, 몸통부 지름확대부(44)의 상부로부터 내용기(3)의 개구부(17)에 걸쳐 연속하는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보다 크게 하고(D>E), 내용기(3)의 몸통부 형상을, 외용기(2)의 뒷부분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 형상의 손가락걸이용 뒷부분 홈(34)의 형상에 맞춰서, 제 1 단열재(4)의 간격을 유지 한 채로 추종시키고 있으므로, 단열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용기 본체(5)는, 몸통부 지름확대부(44)가 형성되는 몸통부 하부(42)의 외경과, 몸통부 지름확대부(44)가 형성되지 않는 몸통부 상부(43)의 외경에서 치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외용기(2)의 내주면과 내용기(3)의 외주면과의 간극에 제 1 단열재(4)를 빈틈없이 형성한 경우에, 제 1 단열재(4)에 내용기(3)의 몸통부 지름확대부(44)가 걸어 멈춰지는 소위 앵커 효과에 의해서, 내용기(3)의 빠짐 방지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몸통부 지름확대부(44)가 내용기(3)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내용기(3)의 몸통부(40)를 둘레방향에서 일부 지름 확대하는 구성이나, 외용기(2)의 형상에 맞추어 요철 형상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앵커 효과에 의한 내용기(3)의 빠짐 방지를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3)의 개구부(17)에는 내주면에 단차부(45)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부(45)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안쪽으로 돌출시킨 단차로서, 개구부(17)의 상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5)는, 개구부(17)의 상단부(4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안쪽 둘레벽에 경사부가 연속됨으로써 지름이 축소된 구성이며, 단차부(45)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개구부(17)에 있어서의 내경 A보다, 단차부(45)에 의해서 지름이 축소되는 개구부(17)의 상단부 근방, 즉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쪽이 작아진다(A>E). 이것에 의해, 내용기(3)의 개구부(17)와, 단차부(45)에 의해서 지름이 축소되는 몸통부 상부(43)에서 치수 차이가 생기므로, 지수 부재(19)를 장착한 마개체(7) 바닥부에 있어서의 외경 H에 대해서, 내용기(3)에 있어서의 개구부(17)의 내경 A는 조금 커지고, 내용기(3)에 있어서의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는 지수 부재(19)의 둘레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 돌기부(20)가 접촉될 정도로 조금 작아진다(A>H>E). 또한, 내용기(3)에 있어서의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는, 지수 부재(19)가 가지는 띠 형상 돌기부(20)의 전체 폭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범위내이면 몸통부 상부의 내주면과 접촉되었을 때에도 띠 형상 돌기부(20)가 탄성 변형할 수 있지만, 확실히 지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체 폭의 대략 절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내용기(3)에 있어서의 개구부(17)의 내주면에 단차부(45)를 형성한 것에 의해, 단차부(45)에는 단면(端面)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성형품이 일부 빠져서 지수 부재(19)의 접촉이 국소적으로 약해지는 일도 없고, 지수 부재(19)가 지름 방향으로 접촉하여 확실히 지수할 수 있음과 함께, 개구부(17)의 높이가 상하로 변해도 단차부(45)에 의해서 지름이 축소되는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의 범위에 있으면, 지수 부재(19)를 단차부(45)의 안쪽 둘레벽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체(7)를 내용기(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지수 부재(19)를 장착한 마개체 바닥부(16)를 마개체 바닥부(16)의 외경 H보다 내경이 조금 큰 내용기(3)의 개구부(17)로부터 삽입하고, 마개체(7)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12)와, 내용기(3)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35)를 소정 위치까지 나사 결합시켜 간다. 마개체(7)의 나사를 단단히 조여 가면, 지수 부재(19)의 둘레측면에 형성되는 띠 형상 돌기부(20)는, 마개체 바닥부(16)의 외경 H보다 조금 작은 내용기(3)의 몸통부 상부(43)에서 내용기(3)의 내주면(47)과 접촉하여,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내용기(3)의 몸통부 상부(43)에 맞춰서 마개체 바닥부(16)가 빈틈 없이 넣어지므로, 마개체(7)와 내용기(3)와의 사이를 확실히 지수하여 외부에 액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몸통부 상부(43)의 지름 방향으로 지수 부재(19)를 접촉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마개체(7) 개폐 조작에 있어서의 토크가 안정되므로 마개체(7)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은, 개구부(8)에 단차부(45)를 형성하여 내경을 지름을 축소하는 구성에 의해 용적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기(3)의 몸통부 하부(42)를 지름을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적 효율의 저하를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단차부(45)를 만수 용량의 기준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육안에 의해 내용액의 과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기(3)와 외용기(2)와의 사이에 제 1 단열재(4)를 가지는 용기 본체(5)와, 용기 본체(5)의 상부 개구부(6)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중간마개인 마개체(7)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1)에 있어서, 외용기(2)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2)의 몸통부 내경 B는 개구부(31)의 내경 C보다 크게 구성되고, 내용기(3)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2)의 개구부(31)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외용기(2)와 일체화되어, 외용기(2)에 삽입되고, 제 1 단열재(4)에 의해 피복되는 내용기(3)의 몸통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내용기(3)의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3)의 바닥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몸통부 상부(43)측에 설치되는 제 1 단열재(4)에 내용기(3)의 몸통부 지름확대부(44)가 걸어 멈춰지는 소위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외용기(2)로부터 내용기(3)가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용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3)에 있어서의 몸통부 하부(42)의 내경 D가, 내용기(3)의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보다 크게 구성됨으로써, 내용기(3)의 몸통부 외면을 외용기(2)의 몸통부 내면과 소정의 단열재 간격을 가지고 추종시킴으로써 내용기(3)의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 바닥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내용기(3)에 있어서의 몸통부 하부(42)의 내경 D가, 내용기(3)의 개구부(17)의 내경 A나 몸통부 상부(43)의 내경 E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적 효율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2)에 있어서의 개구부(31)의 외측에 끼워 맞춤 받이부(32)를 설치하고, 내용기(3)는, 내용기(3)의 개구부(17)와 외용기(2)의 개구부(31)의 사이에 끼워 맞춤부(36)를 설치하여, 끼워 맞춤부(36)가 끼워 맞춤 받이부(32)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돌기(37)를 가지고, 외용기(2)의 끼워 맞춤 받이부(32)와 내용기(3)의 끼워 맞춤 돌기(37)가 강제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외용기(2)로부터 내용기(3)가 탈락이 방지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내용기(3)의 개구부(17)에 안쪽을 향하여 전체둘레에 걸쳐 균일한 단차가 되는 단차부(45)를 형성함으로써, 치수가 안정되지 않는 개구부(6)가 아니라,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균일한 단차를 이용하여 지수함으로써 지수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중간마개 개폐 조작 토크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가 만수 용량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용이하게 만수 용량을 확인할 수 있어, 과주입에 의한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수 부재(19)가 마개체 바닥부에 있어서의 안뚜껑(15)의 외주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세정할 때에 지수 부재(19)를 떼어내기 쉽다.
1 : 음료용 용기
2 : 외용기
3 : 내용기
4 : 제 1 단열재
5 : 용기 본체
7 : 중간 마개(마개체)
9 : 뚜껑체
17 : 내용기의 개구부
19 : 지수 부재
20 : 띠 형상 돌기부
31 : 외용기의 개구부
32 : 끼워 맞춤 받이부
36 : 끼워 맞춤부
37 : 끼워 맞춤 돌기
39 : 내용기의 외주면
40 : 내용기의 몸통부
41 : 내용기의 바닥부
44 : 몸통부 지름확대부
45 : 단차부(단차)

Claims (4)

  1. 내용기와 외용기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상부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중간마개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외용기 몸통 내경은 개구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상기 내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상기 외용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외용기와 일체화되어, 상기 외용기에 삽입되고, 상기 단열재에 의해 피복되는 내용기 몸통부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내용기 개구부 방향으로부터 내용기 바닥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몸통부 내경이, 내용기 개구부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개구부 외측에 끼워 맞춤 받이부를 설치하고,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용기 상부 개구부와 상기 외용기 상부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 맞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끼워 맞춤 받이부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돌기를 가지고, 상기 외용기 끼워 맞춤 받이부와 상기 내용기 끼워 맞춤 돌기가 강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 개구부에 안쪽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균일한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KR1020130094109A 2012-08-09 2013-08-08 음료용 용기 KR20140020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7384 2012-08-09
JP2012177384A JP2014034415A (ja) 2012-08-09 2012-08-09 飲料用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87A true KR20140020787A (ko) 2014-02-19

Family

ID=5003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109A KR20140020787A (ko) 2012-08-09 2013-08-08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034415A (ko)
KR (1) KR20140020787A (ko)
CN (1) CN1035650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1853A4 (en) * 2017-08-03 2021-04-07 Igloo Products Corp. WATER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KR20230145769A (ko)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지앤지비 음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698U (ja) * 2015-05-01 2015-07-16 株式会社ドウシシャ 飲料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3866A (en) * 1951-06-21 1954-02-10 Shipton & Company Ltd 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 insulated bottles or flasks
US7270244B1 (en) * 2004-01-22 2007-09-18 Pacific Cornetta, Inc. Polycarbonate double walled liquid holding vessel
JP5014931B2 (ja) * 2007-09-11 2012-08-2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用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1853A4 (en) * 2017-08-03 2021-04-07 Igloo Products Corp. WATER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KR20230145769A (ko)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지앤지비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5092A (zh) 2014-02-12
JP2014034415A (ja)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2871B (zh) 容器的盖子
JP6921640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4210136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18667B1 (ko)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US9919849B2 (en) Closure for a beverage cup
KR20140020787A (ko) 음료용 용기
JP2020193036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TW201806830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US11191392B2 (en) Vacuum sealed lid insert for insulated container
JP715376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4015083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10940979B1 (en) Disposable beverage lid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TWI729946B (zh) 蓋體及帶蓋容器
CN201325706Y (zh) 一种蜂蜜包装瓶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TW202041436A (zh) 帶蓋容器
KR200455090Y1 (ko) 뚜껑이 개봉된 상태에서 실링밴드의 빠짐이 방지되는 파우치 마개
JP2019156480A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KR200255388Y1 (ko) 패킹이 형성된 내열 광구 용기용 뚜껑
JP202218091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218279393U (zh) 一种防烫隔热性能良好的食品级不锈钢保温壶
CN212244524U (zh) 一种自动泄压的带盖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