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50U - 밀폐형 텀블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50U
KR20140000950U KR2020120006919U KR20120006919U KR20140000950U KR 20140000950 U KR20140000950 U KR 20140000950U KR 2020120006919 U KR2020120006919 U KR 2020120006919U KR 20120006919 U KR20120006919 U KR 20120006919U KR 20140000950 U KR20140000950 U KR 20140000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up
tumbler
out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진 filed Critical 박종진
Priority to KR2020120006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50U/ko
Publication of KR20140000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과, 뚜껑 몸체 및 개폐구를 포함하는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뚜껑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 음료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고, 개폐구 저면에 형성된 누설방지 돌기는 이동홈에 밀착 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여 유출공을 막거나 열기 때문에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높은 밀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폐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구를 스냅 방식으로 돌리기만 하면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뛰어남은 물론, 개폐구과 뚜껑 몸체의 분해가 용이하고 청소용구가 닿기 어려운 미세 홈 등이 없어서 청소도 용이한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텀블러{Sealed type tumbler}
본 고안은 컵과, 뚜껑 몸체 및 개폐구를 포함하는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 음료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고, 개폐구 저면에 형성된 누설방지 돌기는 이동홈에 밀착 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여 유출공을 막거나 열기 때문에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높은 밀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폐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구를 스냅 방식으로 돌리기만 하면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뛰어남은 물론, 개폐구과 뚜껑 몸체의 분해가 용이하고 청소용구가 닿기 어려운 미세 홈 등이 없어서 청소도 용이한 밀폐형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탄산 음료, 주스, 커피 및 냉온수는 물론, 한약이나 그외 액체 상태의 음식물은 컵에 담아 마시는데, 이러한 컵 중 특히 냉온기능을 가진 컵을 텀블러(tumbler)라고 한다.
텀블러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뚜껑으로 가압 밀폐하는 밀폐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밀폐형 텀플러는 높은 밀폐력을 제공하여 컵에 담긴 내용물 즉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음료수를 쉽게 마실 수 있어야 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907742호 '컵과 뚜껑의 조립체'는 도 1과 같이 뚜껑(11)의 오목부(35)를 컵(10)의 잠금용 돌기(18)에 일치시켜 끼운 후 스냅 방식으로 돌리면 뚜껑(11)의 외주면 부분이 컵(10)의 내주면 부분을 가압 고정하면서 높은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은 음료수를 마실 때 뚜껑(11)을 컵(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완전 개방된 컵(10)의 상부를 통해 음료수가 쏟아지며, 음료수를 마시는 동안 분리한 뚜껑(11)을 테이블 위에 놓아두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분실의 우려도 컸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09-8469호 '컵 뚜껑'은 도 2와 같이 뚜껑 본체(110)와 인출구멍 개폐판(120)을 포함하고, 끼움부(124)를 링형 끼움홈(114)에 끼워 넣어 회동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음료수 인출 구멍(113)을 막거나 여는 방식으로 컵(미도시)에 담긴 음료수를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은 인출구멍 개폐판(120)으로 인출 구멍(113)을 막을 때 강한 힘으로 가압 밀폐하지 못함은 물론, 끼움부(124)와 링형 끼움홈(114) 사이의 조립 상태 역시 느슨하여 밀폐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밀폐력이 낮으므로 음료수가 누설되어 뚜껑 본체(110)와 인출구멍 개폐판(12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고, 유입된 음료수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며, 링형 끼움홈(114)에 끼인 음료수를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뚜껑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 음료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고, 개폐구 저면에 형성된 누설방지 돌기는 이동홈에 밀착 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여 유출공을 막거나 열기 때문에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형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높은 밀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폐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구를 스냅 방식으로 돌리기만 하면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뛰어남은 물론, 개폐구과 뚜껑 몸체의 분해가 용이하고 청소용구가 닿기 어려운 미세 홈 등이 없어서 청소도 용이한 밀폐형 텀블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는 음료수가 저장되는 공간부를 갖는 컵과, 상기 컵의 상단에 끼워지는 뚜껑 몸체 및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뚜껑 몸체를 개폐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밀폐형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의 상면에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이동홈이 파여 있고, 상기 이동홈 내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1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구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2 유출공과, 상기 이동홈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원호의 길이보다는 짧아서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누설방지 돌기 및 상기 누설방지 돌기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저면에 고정시 상기 제2 유출공과 연통하는 제3 유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개폐구를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제2 유출공과 제3 유출공이 상기 제1 유출공과 일치하면 상기 컵에 담긴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고, 상기 개폐구를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누설방지 돌기가 상기 제1 유출공을 막으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뚜껑 몸체(220)는 상기 컵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끼워져 상기 컵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단 몸체와; 상기 하단 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 몸체보다 직경이 큰 중단 몸체; 및 상기 중단 몸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면에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이동홈이 파여 있고, 상기 이동홈 내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1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는 원판 형상의 개폐구 상판 및 상기 개폐구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개폐구 측판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상단 몸체를 덮도록 끼워지며, 상기 개폐구 상판 일측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2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구 몸체와; 상기 개폐구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홈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원호의 길이보다는 짧아서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누설방지 돌기; 및 상기 누설방지 돌기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상판의 저면에 고정시 상기 제2 유출공과 연통하는 제3 유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은 외장용 컵 및 상기 외장용 컵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내장용 컵으로 이루어진 2중층 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장용 컵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 몸체의 하단 몸체 외주면에는 상기 내장용 컵의 암 나사산에 체결되는 숫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몸체에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누설 방지용 0-링이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 몸체의 상단 몸체와 중단 몸체 사이에는 상기 상단 몸체 및 중단 몸체의 직경 보다 작은 원판 형상의 간극 스페이서(spacer)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단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기 상단 몸체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까지 일정 깊이로 절단된 삽입 개방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측판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개방부를 통과하여 끼워지는 걸림 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 스페이서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걸림 날개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 스페이서의 외주면에는 조립을 위해 상기 개폐구를 강제로 돌릴 경우 상기 경사면을 갖는 걸림 날개가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높이의 이탈 방지용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는 상기 삽입 개방부의 직하부로부터 상기 조립을 위해 개폐구를 잡고 강제로 돌리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 스페이서의 외주면 중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 사이에는 상기 걸림 날개가 타고 넘어갈 수 없는 높이의 회동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는 뚜껑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 음료수가 유출되는 유출공을 형성하고, 개폐구 저면에 형성된 누설방지 돌기는 이동홈에 밀착 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여 유출공을 막거나 열기 때문에 밀폐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컵에 담긴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누설이 없으므로 개폐구과 뚜껑 몸체 사이로 음료수가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염이 없으므로 잦은 청소가 불필요하고 음료수가 고화되어 개폐구의 스냅방식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높은 밀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폐구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냅 방식으로 돌리기만 하면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뛰어남은 물론, 개폐구과 뚜껑 몸체의 분해가 용이하고 청소용구가 닿기 어려운 미세 홈 등이 없어서 정기적인 청소시 청소를 편리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과 뚜껑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를 나타낸 조립 상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뚜껑 몸체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뚜껑 몸체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뚜껑 몸체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컵과 뚜껑 몸체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의 개폐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텀블러'라 칭하고, 컵에 담겨지는 내용물도 음료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될 것이 아님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하다.
먼저, 도 3의 (a) 및 (b)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텀블러(200)는 음료수가 저장되는 공간부를 갖는 컵(210)과, 상기 컵(210)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단면에는 음료수 유출공(즉, 제1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 몸체(220) 및 스냅 방식으로 돌려 뚜껑 몸체(220)의 유출공을 개폐하는 개폐구(230)를 포함한다.
또한, 개폐구(230)에는 당해 개폐구(230)를 돌리는데 사용되는 손잡이(H)와, 음료수가 인출되는 제2 유출공(231a) 및 음료수의 유동을 안내하며 사용자의 입이 닿는 립부(L)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폐구(230)를 스냅 방식으로 돌려서 제2 유출공(231a)을 뚜껑 몸체(220)의 제1 유출공(도 6의 223b 참조)과 일치시키면 컵(210)에 담긴 음료수를 마실 수 있고, 그 외에는 개폐구(230)를 다시 돌려 제1 유출공(223b)과 제2 유출공(231a)이 일치되지 않게 함으로써 밀폐한다.
특히,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밀폐력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동시에 개폐구(230)를 완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구(230)를 스냅 방식으로 돌리기만 하면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도 뛰어나다.
이를 위해, 상기 컵(21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장용 컵(211)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용 컵(21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내장용 컵(212)을 포함한 2중층 컵(210)의 구조를 가지며, 일 예로 외장용 컵(2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장용 컵(212)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내장용 컵(212)은 외장용 컵(211)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외장용 컵(211)의 내부에 끼워지고, 다양한 결합방식의 일 예로 내장용 컵(212)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 나사산(2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 몸체(220)이 나사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걸림턱(21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장용 컵(211)의 상단부에 걸쳐진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외장용 컵(211)과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장용 컵(212)으로 이루어진 2중층 컵(210)을 사용하면, 내장용 컵(212)과 외장용 컵(21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은 물론, 각 컵(211, 212)의 재질 특성상 보온·보냉 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컵(210)에 뜨거운 음료수가 담겨 있어도 플라스틱 재질의 외장용 컵(211)까지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손으로 잡기에 편리하다.
다음, 뚜껑 몸체(220)는 개폐구(230)와 함께 뚜껑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터 하단 몸체(221)와, 중단 몸체(222) 및 상단 몸체(22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상단부는 막혀 있고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음료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관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단 몸체(221)는 당해 뚜껑 몸체(220)이 컵(21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끼워져 컵(21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하단 몸체(221)는 컵(210)과 뚜껑 몸체(220)의 연결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용 컵(212)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 나사산(212a)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하단 몸체(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장용 컵(212)의 암 나사산(212a)에 체결되는 숫 나사산(221a)이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 몸체(220)과 컵(210)이 나사 결합된다.
또한, 하단 몸체(221)에는 뚜껑 몸체(220)과 컵(210)의 연결부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수단이 추가되는데, 실링 수단은 일 예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누설 방지용 0-링(O)이 사용된다.
누설 방지용 0-링(O)은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수직 부분은 하단 몸체(221)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 부분의 연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 부분은 컵(21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뛰어난 실링 특성을 보장한다.
중단 몸체(222)는 하단 몸체(221)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단 몸체(221)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일종의 걸림턱이나 구획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단 몸체(222)는 일 예로 하단 몸체(221) 및 상단 몸체(223)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중단 몸체(222)에 형성된 나사산(222a)은 디자인적 요소로서 본 고안에서 특별한 의미는 없다.
상단 몸체(223)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몸체(222)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면에는 대략 원호(circular arc)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폭 및 깊이를 갖는 이동홈(223a)이 파여 있고, 이동홈(223a) 내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1 유출공(22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구(230)의 저면에 돌출 부착된 누설방지 돌기(도 9의 234 참조)가 이동홈(223a)에 끼워져 이동하면서 제1 유출공(223b)을 막거나 열기 때문에, 이동홈(223a) 내에서 밀착 및 가압되는 누설방지 돌기(234)로 제1 유출공(223b)을 막을 경우 매우 높은 밀폐력을 갖는다.
또한, 상단 몸체(223)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단 몸체(223)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까지 일정 깊이로 절단된 삽입 개방부(223c)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삽입 개방부(223c)를 통해 개폐구(230)의 걸림 날개(도 9의 233 참조)가 통과하면서 개폐구(230)이 끼워진다.
다만, 도 6의 (b)와 같이 이동홈(223a)에 끼워지는 보조 블럭(223a')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 보조 블럭(223a')에도 유동공을 형성하고, 상면에 누설방지 돌기(234)가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며, 재질을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하면 누설방지 돌기(234)와의 밀착력이 더욱 커지므로 더욱 큰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몸체(223)와 중단 몸체(222) 사이에는 상단 몸체(223) 및 중단 몸체(222)보다 작은 원판 형상의 간극 스페이서(spacer)(224)가 삽입되어 있다. 간극 스페이서(224)에 의해 확보된 공간은 개폐구(230)의 걸림 날개(233)가 회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몸체(223)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일정 간격마다 삽입 개방부(223c)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구(230)에는 삽입 개방부(223c)를 통과하여 끼워지는 걸림 날개(2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 날개(233)를 삽입 개방부(223c)에 끼운 후 개폐구(230)를 밀어 내리면 걸림 날개(233)가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일측 혹은 타측으로 개폐구(230)를 돌리면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에는 조립을 위해 개폐구(230)를 강제로 돌릴 경우 개폐구(230)의 걸림 날개(233)가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높이의 이탈 방지용 돌기(224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용 돌기(224a)는 걸림 날개(233)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삽입 개방부(223c)의 직하부로부터 조립을 위해 개폐구(230)를 잡고 강제로 돌리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개폐구(230)에 구비된 걸림 날개(233)를 뚜껑 몸체(220)의 삽입 개방부(223c)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측으로 밀어 내린 후 일측 혹은 타측으로 돌리면, 걸림 날개(233)가 이탈 방지용 돌기(224a)를 넘어가서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을 접촉 및 가압하므로, 개폐구(230)의 수평 방향 흔들림을 방지한다.
특히, 걸림 날개(233)의 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면 이탈 방지용 돌기(224a)를 넘어가서 조립되기는 용이하지만, 그 반대로 방향으로 다시 넘어감에 따라 임의로 분리되는 것은 방지한다.
또한, 걸림 날개(233)의 두께와 간극 스페이서(224)에 의한 간극 길이를 일치시키면 걸림 날개(233)가 간극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하방향 흔들림이 없고, 동시에 개폐구(230)의 저면에 돌출 부착된 누설방지 돌기(234)가 이동홈(223a)에 끼워져 이동하면서 제1 유출공(223b)을 막기 때문에 매우 높을 밀폐력을 제공한다.
또한,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 중 이탈 방지용 돌기(224a) 사이에는 걸림 날개(233)가 타고 넘어갈 수 없는 높이의 회동 제한 돌기(224b)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개폐구(230)이 공회전하지 않게 한다. 개폐구(230)는 누설방지 돌기(234)가 이동홈(223a) 내에서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탈 방지용 돌기(224a) 및 회동 제한 돌기(224b)는 도 7의 (b)를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데, 도 7의 (b)는 뚜껑 몸체(220) 중 상단 몸체(223)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이탈 방지용 돌기(224a) 및 회동 제한 돌기(224b)의 배치 상태를 좀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외장용 컵(211)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내장용 컵(212)을 끼우고, 그 상태에서 내장용 컵(212)에 뚜껑 몸체(220)를 끼워 조립한 상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개폐구(230)만 추가로 끼우면 본 고안의 텀블러 조립이 마쳐진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230)는 원판 형상의 개폐구 상판(231) 및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개폐구 측판(232)을 구비하고 있어서 뚜껑 몸체(220)의 상단 몸체(223)를 덮도록 끼워지는 개폐구 몸체를 포함하며, 개폐구 상판(231) 일측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2 유출공(2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구 상판(231)의 저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설방지 돌기(234)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누설방지 돌기(234)는 상기 개폐구 몸체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 후 개폐구 몸체의 저면에 부착할 수 있다.
누설방지 돌기(234) 역시 이동홈(223a)과 마찬가지로 원호(circular arc)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누설방지 돌기(234)는 이동홈(223a)의 원호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누설방지 돌기(234)의 원호 길이가 이동홈(223a)의 원호 길이보다 짧아야 누설방지 돌기(234)가 이동홈(223a)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누설방지 돌기(234)에는 제3 유출공(23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3 유출공(234a)은 당해 누설방지 돌기(234)가 개폐구(230)의 저면에 부착 혹은 일체로 성형시 제2 유출공(231a)과 연통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구(230)를 스냅 방식으로 돌리면 누설방지 돌기(234)가 이동홈(223a)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고, 이때 개폐구(230)의 제2 유출공(231a)과 누설방지 돌기(234)의 제3 유출공(234a)이 뚜껑 몸체(220)의 제1 유출공(223b)과 일치하면 컵(210)에 담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반면, 불일치하면 누설방지 돌기(234)의 타 부분에 의해 완전 밀폐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컵 211: 외장용 컵
212: 내장용 컵 212a: 암 나사산
212b: 걸림턱 220: 뚜껑 몸체
221: 하단 몸체 221a: 숫 나사산
222: 중단 몸체 223: 상단 몸체
223a: 이동홈 223b: 제1 유출공
223c: 삽입 개방부 224: 간극 스페이서
224a: 이탈 방지용 돌기 224b: 회동 제한 돌기
230: 개폐구 231: 개폐구 상판
231a: 제2 유출공 232: 개폐구 측판
233: 걸림 날개 234: 누설방지 돌기
234a: 제3 유출공 O: 누설방지용 O-링
H: 손잡이 L: 립(lip)부

Claims (7)

  1. 음료수가 저장되는 공간부를 갖는 컵(210)과, 상기 컵(2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뚜껑 몸체(220) 및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뚜껑 몸체(220)를 개폐하는 개폐구(230)를 포함하는 밀폐형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220)의 상면에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이동홈(223a)이 파여 있고, 상기 이동홈(223a) 내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1 유출공(2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구(230)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2 유출공(231a)과, 상기 이동홈(223a)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원호의 길이보다는 짧아서 상기 이동홈(22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누설방지 돌기(234) 및 상기 누설방지 돌기(234)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저면에 고정시 상기 제2 유출공(231a)과 연통하는 제3 유출공(234a)을 구비하여,
    상기 개폐구(230)를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제2 유출공(231a)과 제3 유출공(234a)이 상기 제1 유출공(223b)과 일치하면 상기 컵(210)에 담긴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고, 상기 개폐구(230)를 스냅 방식으로 돌려 상기 누설방지 돌기(234)가 상기 제1 유출공(223b)을 막으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220)는,
    상기 컵(210)의 상단 개방부를 통해 끼워져 상기 컵(21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단 몸체(221)와; 상기 하단 몸체(221)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 몸체(221)보다 직경이 큰 중단 몸체(222); 및 상기 중단 몸체(222)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면에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이동홈(223a)이 파여 있고, 상기 이동홈(223a) 내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1 유출공(223b)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 몸체(223);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230)는,
    원판 형상의 개폐구 상판(231) 및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개폐구 측판(232)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상단 몸체(223)를 덮도록 끼워지며, 상기 개폐구 상판(231) 일측에는 음료수가 유출되는 제2 유출공(231a)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구 몸체와;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홈(223a)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되 상기 원호의 길이보다는 짧아서 상기 이동홈(22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누설방지 돌기(234); 및 상기 누설방지 돌기(234)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상판(231)의 저면에 고정시 상기 제2 유출공(231a)과 연통하는 제3 유출공(23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텀블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210)은 외장용 컵(211) 및 상기 외장용 컵(21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내장용 컵(212)으로 이루어진 2중층 컵(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페형 텀블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용 컵(212)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암 나사산(2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 몸체(220)의 하단 몸체(221) 외주면에는 상기 내장용 컵(212)의 암 나사산(212a)에 체결되는 숫 나사산(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몸체(221)에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누설 방지용 0-링(O)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페형 텀블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220)의 상단 몸체(223)와 중단 몸체(222) 사이에는 상기 상단 몸체(223) 및 중단 몸체(222)의 직경 보다 작은 원판 형상의 간극 스페이서(spacer)(224)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단 몸체(223)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기 상단 몸체(223)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까지 일정 깊이로 절단된 삽입 개방부(223c)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 측판(2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 개방부(223c)를 통과하여 끼워지는 걸림 날개(2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텀블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걸림 날개(233)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에는 조립을 위해 상기 개폐구(230)를 강제로 돌릴 경우 상기 경사면을 갖는 걸림 날개(233)가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높이의 이탈 방지용 돌기(224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224a)는 상기 삽입 개방부(223c)의 직하부로부터 상기 조립을 위해 개폐구(230)를 잡고 강제로 돌리는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스페이서(224)의 외주면 중 상기 이탈 방지용 돌기(224a) 사이에는 상기 걸림 날개(233)가 타고 넘어갈 수 없는 높이의 회동 제한 돌기(224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텀블러.
KR2020120006919U 2012-08-01 2012-08-01 밀폐형 텀블러 KR201400009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9U KR20140000950U (ko) 2012-08-01 2012-08-01 밀폐형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919U KR20140000950U (ko) 2012-08-01 2012-08-01 밀폐형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50U true KR20140000950U (ko) 2014-02-11

Family

ID=5244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919U KR20140000950U (ko) 2012-08-01 2012-08-01 밀폐형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950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54A (ko) 2014-09-15 2016-03-23 오재영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KR101875498B1 (ko) * 2018-02-13 2018-07-06 홍승영 텀블러 뚜껑
CN109023803A (zh) * 2018-10-09 2018-12-18 绍兴柯桥亚博纺织机械有限公司 直接导热式打色仪
KR20190118238A (ko) 2018-04-10 2019-10-18 더존파트너 주식회사 텀블러
KR102192860B1 (ko) * 2019-07-16 2020-12-18 이민호 텀블러
KR20210009293A (ko) * 2019-07-16 2021-01-26 이민호 텀블러
KR20210064758A (ko) 2019-11-26 2021-06-03 박다영 가루 뭉침 방지구조를 갖는 텀블러용 커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54A (ko) 2014-09-15 2016-03-23 오재영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KR101875498B1 (ko) * 2018-02-13 2018-07-06 홍승영 텀블러 뚜껑
KR20190118238A (ko) 2018-04-10 2019-10-18 더존파트너 주식회사 텀블러
CN109023803A (zh) * 2018-10-09 2018-12-18 绍兴柯桥亚博纺织机械有限公司 直接导热式打色仪
KR102192860B1 (ko) * 2019-07-16 2020-12-18 이민호 텀블러
KR20210009293A (ko) * 2019-07-16 2021-01-26 이민호 텀블러
KR20210064758A (ko) 2019-11-26 2021-06-03 박다영 가루 뭉침 방지구조를 갖는 텀블러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950U (ko) 밀폐형 텀블러
US10259620B2 (en)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EP3083430B1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RU2631647C2 (ru) Крышка
ES2401231T3 (es) Accesorio de junta de válvula de seta para una bolsa plegable
US9796600B2 (en) Water container with floatable filter
US20170081092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20140182744A1 (en)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CN106037380A (zh) 具有控制流的环件的盖组件
JP2024521501A (ja) 容器用の蓋アセンブリ
JP4203912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20150164261A1 (en) Brewing pitcher
JP499886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8137657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H08117119A (ja) 液体容器の栓体
JP2006502052A (ja) アダプタとその使用
CN204378738U (zh) 新型吸管杯
TW202348506A (zh) 滑動鎖蓋
JP5642329B2 (ja) 液体容器用中栓
CN213464758U (zh) 出水座及饮品机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JP5387608B2 (ja) 片開きボトル
CN213524748U (zh) 保温杯
CN104843308A (zh) 可自动打开和关闭的不漏嘴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