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93A -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993A
KR20120000993A KR1020100061554A KR20100061554A KR20120000993A KR 20120000993 A KR20120000993 A KR 20120000993A KR 1020100061554 A KR1020100061554 A KR 1020100061554A KR 20100061554 A KR20100061554 A KR 20100061554A KR 20120000993 A KR20120000993 A KR 2012000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lifting
rolling
roll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윤진
박재선
최선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993A/ko
Publication of KR2012000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6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2End of product
    • B21B2273/14Front end or leading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와,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슬라브가 원활하게 압연롤로 통과되도록 턴테이블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 및 턴테이블부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턴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LIFT TURN TABLE DEVICE OF STEEL PLATE ROLLING LINE AND THIS INCLUDES A ROLL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수행되는 열간 압연 공정은 슬라브의 가열-조압연-사상압연-냉각-정정 등의 순서로 진행되어 열간 압연 강판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 중 슬라브의 형상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이 변형된 슬라브가 이송되면서 압연롤과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브의 형상 변형으로 인한 충돌의 피해를 감소하고 원활하게 압연롤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승강 조절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열간 압연 중에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충돌 없이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턴테이블에 승강조절이 가능한 리프트부를 설치한 승강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가 원활하게 압연롤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턴테이블부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연장 형성되는 승강축수단; 상기 승강축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축수단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승강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와 면 접촉되는 상기 슬라브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위치제어수단에 상기 검출된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리프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하는 롤러수단; 상기 롤러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연결하며 지지하는 롤러축수단; 상기 롤러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수단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수단은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가 승강 시 회전이 정지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롤러축수단의 일측에 제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가 원활하게 압연롤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는 승강 턴테이블; 상기 승강 턴테이블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를 이송시키는 피드롤; 및 상기 이송된 슬라브를 압연하는 압연롤;을 포함하는 압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턴테이블 장치는 열간 압연과정 중에 변형된 슬라브의 이송 문제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트부는 턴테이블에 안착되는 변형된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변형된 슬라브가 이송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로 인한 롤러수단 팽창이나, 전기적 설비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의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의 이송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가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후술되어 설명될 상류측 및 하류측은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흐름의 위치를 나타낸 표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는, 슬라브(S)를 압연롤(220)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110)와, 상기 슬라브(S)가 원활하게 압연롤(220)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130)와, 상기 턴테이블부(110)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턴테이블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턴테이블부(11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슬라브(S)를 압연롤(220)까지 이송하는 롤러수단(112)과, 상기 롤러수단(112)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연결하며 지지하는 롤러축수단(114)과, 상기 롤러수단(11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상기 구동수단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수단(112)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제어수단(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수단(112)은 가열된 슬라브(S)가 안착되어 이송될 시, 상기 슬라브(S)의 열에 의해 변형이 되지 않도록 비교적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수단(112)이 회전가능 하도록 힌지 연결하며, 지지하는 롤러축수단(112)이 구비된다. 상기 롤러수단(112)에 접촉되는 가열된 슬라브(S)를 힌지 연결하므로, 상기 롤러축수단(112)은 비교적 큰 무게 및 강한 재질을 갖는 것이 좋다. 이에 해당하는 일예로서, 상기 롤러수단(112)은 내열성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브(S)와 상기 롤러수단(112) 접촉이 될 때, 마찰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을 더 갖는 것이 좋다.
도면에 도시된 바로는, 상기 롤러수단(112)과 롤러축수단(114)은 원과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단면 형상은 상기 롤러수단(112)과 롤러축수단(114)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리프트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트부(130)는, 턴테이블부(110)의 상류측에 연장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되는 승강축수단(132)과, 상기 승강축수단(13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134)과, 상기 승강구동수단(134)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축수단(132)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승강위치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로는, 상기 리프트부(130)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단면 형상은 상기 리프트부(130)가 바닥 상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그 위치 및 자세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일 뿐이다.
이러한 상기 리프트부(130)의 형상은 상기 롤러수단(112)과 롤러축수단(114)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바닥과의 면 접촉이 가능한 형상인 사다리꼴 다면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상기 리프트부(130)는 슬라브(S)가 상기 롤러수단(112)에 안착될 시, 그 자체가 하나의 지지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바닥면으로부터의 슬립 또는 흔들림이 제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리프트부(130)는 비교적 큰 무게 하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해당되는 일예로서, 상기 리프트부(130)는 무게감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130)는 앞서 언급한 기능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더 큰 중량감이 있는 심재를 내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리프트부(130)와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기능 및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어지게 될 다른 도면의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힌지축부(15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힌지축부(150)는, 도시된 턴테이블부(110)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리프트부(130)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이때, 힌지축부(150)는, 힌지 역할을 하는 힌지축(152)과, 상기 힌지축(15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지지대(154)가 구비된다.
여기서, 힌지축(152)은 슬라브(S)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턴테이블부(110)가 원활하게 높낮이 조절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무게 하중 및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해당되는 일예로서, 상기 힌지축(152)은 무게감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힌지축(152)은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하중으로 인해서 마모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을 더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축(152)을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힌지지지대(154)도 역시, 비교적 무게감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힌지지지대(154)는, 앞서 언급한 기능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더 큰 중량감이 있는 심재를 내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승강 조절이 되는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턴테이블부(110)와, 리프트부(130)와, 힌지축부(150)를 포함하여 각 구성의 요소마다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슬라브(S)가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이송되기 위해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리프트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S)가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이송되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트부(130)를 승강 조절하여 상기 슬라브(S)의 변형된 선단측 부분이 압연롤(220)에 올바르게 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200)는, 상기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의 턴테이블부(110)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S)가 압연롤(220)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피드롤(210)과, 이송된 슬라브(S)를 압연하는 압연롤(220)을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 이송 상태를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선단측이 위로 휘어져 변형된 슬라브(S)를 나타낸다.
이렇게 선단측이 위로 휘어져 변형된 슬라브(S)가 턴테이블부(110)에 안착되어 이송될 시, 상기 슬라브(S)가 롤러수단(112)과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롤러수단(112)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라브(S)가 제자리에 머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형상으로 인하여 압연롤(220)에 통과되기 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적 설비의 결함이 발생하여 구동불능 또는 작업 지연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브(S)가 압연롤(220)에 물리지 못해 압연이 지연되면, 압연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목표온도에 압연이 시행되지 못해 원하는 재질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여러 슬라브(S)를 한꺼번에 압연하는 멀티 압연의 경우, 선순위 슬라브(S)의 압연이 지연되면 후순위 슬라브(S)까지 압연이 지연되어 더 큰 설비적 결함 및 비용적 측면에서 다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브(S)의 압연온도가 하강한 채로 압연하게 되면 위로 휘어져 변형된 스키업 현상이 더욱 심해지면서 형상이 더욱 더 불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선단측이 아래로 휘어져 변형된 슬라브(S)를 나타낸다.
이렇게 선단측이 아래로 휘어져 변형된 슬라브(S)가 턴테이블부(110)에 안착되어 이송될 시, 변형된 형상으로 인하여 롤러수단(112)에서 앞부분이 걸려 상기 슬라브(S)가 제자리에 머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피해들은 앞서 도 2에 설명된 내용과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롤러수단(112)과 변형된 슬라브(S)와의 접촉면접을 크게 하여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턴테이블부(110)에 리프트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포함된 리프트부를 통해 슬라브(S)의 걸림과 충돌 및 제자리에 머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되는 턴테이블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는, 슬라브(S)를 압연롤(220)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110)와, 상기 슬라브(S)가 원활하게 압연롤(220)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130)와,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150)를 포함한다.
도시된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롤러수단(112)은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롤러수단(112)은 상기 턴테이블부(110)이 승강 시 회전이 정지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롤러수단(112)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는 제동수단(미도시) 등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브(S)가 압연롤(220)에 원활히 통과되도록 물렸을 때, 상기 제동수단은 정지상태를 해제하며, 턴테이블부(110)의 제어수단은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프트부(130)의 이동이 정지될 때 턴테이블부(110)의 구동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변형된 슬라브(S)의 롤러수단(112) 안착 여부나, 리프트부(130)의 정지 여부는 상기 리프트부(130)에 승강위치제어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위치제어수단에서 슬라브(S)와 롤러수단(112)의 간격을 검출함으로써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가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2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S)가 턴테이블부(110)에 안착되어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부(110)상류측에 리프트부(130)를 연결 설치한다. 이때 리프트부(130)는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S)가 턴테이블부(110)의 롤러수단(112)에 의해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부(110)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힌지축부(150)가 형성되어 힌지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힌지축부(150)는, 힌지 역할을 하는 힌지축(152)과, 상기 힌지축(152)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대(154)가 포함된다.
상기 힌지축부(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되어 있으므로, 이상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이러한 리프트부(130)의 승강 위치를 센상하기 위해 센서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된다.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110)와 면 접촉되는 상기 슬라브(S)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위치제어수단(미도시)에 상기 검출된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승강구동수단(134)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수단(134)은 상기 승강축수단(1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브(S)의 하중에 따른 유압차이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위치제어수단은, 리프트부(130)의 승강 시 슬라브(S)와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롤러수단(112)이 접할 때, 상기 센서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슬라브(S)와 롤러수단(112)의 간격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값이 아닐 때, 혹은 육안 상 슬라브(S)의 선단측이 스키업된 형상으로 위로 향해 있다면, 상기 리프트부(130)의 승강위치제어수단에 의해 승강구동수단(134)을 통하여 승강축수단(132)이 승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되는 승강축수단(132)은 상기 턴테이블부(110)와 연결되어 들어 올리므로, 슬라브(S)가 안착될 시 그 무게의 하중이 더욱 더 가중된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축수단(132)은 비교적 큰 무게 하중 및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에 해당되는 일예로서, 상기 승강축수단(132)은 무게감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승강축수단(132)을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134)도 역시, 비교적 무게감이 있는 금속재, 강재, 혹은 이들의 합금재 등의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롤러수단(112)은 제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멈춰지게 된다.
또한, 승강되는 승강축수단(132)은, 상기 변형된 슬라브(S)가 압연롤(220)에 원활히 통과될 수 있도록 롤러수단(112)과 상기 슬라브(S) 사이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축수단(132)의 구동이 멈추게 된다. 그 후에 멈춰있었던 상기 턴테이블부(110)의 롤러수단(112)이 구동하게 되면서 선단측이 변형된 슬라브(S)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턴테이블 장치(100)는 열간 압연과정 중에 변형된 슬라브(S)의 이송 문제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프트부(130)는 턴테이블부(110)에 안착되는 변형된 슬라브(S)를 압연롤(220)까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변형된 슬라브(S)가 이송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로 인한 롤러수단(112) 팽창이나, 전기적 설비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승강 턴테이블 장치
110 : 턴테이블부
112 : 롤러수단
114 : 롤러축수단
130 : 리프트부
132 : 승강축수단
134 : 승강구동수단
150 : 힌지축부
152 : 힌지축
154 : 힌지 지지대
200 : 승강 턴테이블 장치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210 : 피드롤
220 : 압연롤
S : 슬라브

Claims (18)

  1.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가 원활하게 압연롤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턴테이블부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연장 형성되는 승강축수단;
    상기 승강축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축수단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승강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와 면 접촉되는 상기 슬라브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위치제어수단에 상기 검출된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리프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하는 롤러수단;
    상기 롤러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연결하며 지지하는 롤러축수단;
    상기 롤러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수단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가 승강 시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롤러축수단의 일측에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10.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 및 회전시키는 턴테이블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가 원활하게 압연롤로 통과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 높낮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턴테이블부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상기 턴테이블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는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상기 승강 턴테이블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를 이송시키는 피드롤; 및
    상기 이송된 슬라브를 압연하는 압연롤;을 포함하는 압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턴테이블부의 상류측에 연장 형성되는 승강축수단;
    상기 승강축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축수단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승강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와 면 접촉되는 상기 슬라브 사이의 간격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위치제어수단에 상기 검출된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기 리프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부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를 압연롤까지 이송하는 롤러수단;
    상기 롤러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연결하며 지지하는 롤러축수단;
    상기 롤러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수단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턴테이블부가 승강 시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수단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상기 롤러축수단의 일측에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KR1020100061554A 2010-06-29 2010-06-29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KR20120000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54A KR20120000993A (ko) 2010-06-29 2010-06-29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54A KR20120000993A (ko) 2010-06-29 2010-06-29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93A true KR20120000993A (ko) 2012-01-04

Family

ID=4560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554A KR20120000993A (ko) 2010-06-29 2010-06-29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9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59B1 (ko) * 2012-04-26 2014-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의 경사 가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876B1 (ko) * 2012-04-26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이송장치를 이용한 소재 이송방법
KR101424475B1 (ko) * 2012-07-30 2014-07-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18106A (zh) * 2020-03-31 2020-09-04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轧制超宽超厚h型钢/云轨串列轧机前后升降对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59B1 (ko) * 2012-04-26 2014-02-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런아웃 테이블의 경사 가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876B1 (ko) * 2012-04-26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재 이송장치를 이용한 소재 이송방법
KR101424475B1 (ko) * 2012-07-30 2014-07-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18106A (zh) * 2020-03-31 2020-09-04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轧制超宽超厚h型钢/云轨串列轧机前后升降对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993A (ko) 후판압연라인의 승강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장치
KR100758487B1 (ko) 휨 발생된 압연소재 유도장치
US9108236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metal coil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36556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tripper chisel
KR101193775B1 (ko) 회전부를 포함하는 슬라브 추출장치
JP5573139B2 (ja) 金属帯コイルの側面不揃い矯正装置
KR101082205B1 (ko) 슬라브 틸팅장치
CN208199547U (zh) 一种中间膜的输送装置
KR102411231B1 (ko) 기판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
JP5281343B2 (ja) 冷却床搬入装置
JP4910387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KR101435059B1 (ko) 소재의 처짐방지장치
JP6343217B2 (ja) 搬送装置の動作停止装置
KR101239455B1 (ko) 소둔롤 교체 장치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61614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KR101310832B1 (ko) 소재 교정장치
KR102448746B1 (ko) 선재코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JPS5935289B2 (ja) 圧延ラインにおけるストリツプ先端フライング防止方法
JP4470872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CN112517662B (zh) 一种热轧钢卷卷取卸卷位置稳定装置及其位置判断方法
KR101656229B1 (ko) 루퍼 설비의 스윙 롤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KR101237066B1 (ko) 가열로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