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894U - 쭈꾸미용 낚시도구 - Google Patents

쭈꾸미용 낚시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894U
KR20120000894U KR2020110007337U KR20110007337U KR20120000894U KR 20120000894 U KR20120000894 U KR 20120000894U KR 2020110007337 U KR2020110007337 U KR 2020110007337U KR 20110007337 U KR20110007337 U KR 20110007337U KR 20120000894 U KR20120000894 U KR 201200008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ad
fishing
fishing tack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441Y1 (ko
Inventor
성민진
Original Assignee
성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진 filed Critical 성민진
Priority to KR2020110007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4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추의 무게에 의해 바다의 저면 바닥에 낚시도구를 위치되게 한 후 제2구슬에 의한 빛으로 유인된 쭈꾸미가 제1구슬에 기어오른 후 추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일측 끝단이 위치되며 상기 추와 제2구슬의 인접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낚시바늘에 의해 다시 달아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저면 둘레에 걸쳐 낚시바늘의 일측이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의 다른 일측 끝단은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지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추와; 추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추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1구슬과; 상기 추와 제1구슬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져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추와 제1구슬을 연결ㆍ고정하기 위한 고리로 이루어지는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있어서, 상기 추는 저면의 직경이 길고 추와 밀착되는 상부의 직경이 짧은 등변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구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낚시줄 연결고리가 통과되도록 중심에 관통구멍을 갖는 제2구슬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쭈꾸미를 유인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1구슬에 안착된 쭈꾸미가 상기 제1구슬과 추의 인접부위로부터 일정거리의 위치 및 추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 낚시바늘에 의해 쉽게 달아나지 못하게 됨으로써, 종래보다 많은 양의 쭈꾸미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쭈꾸미용 낚시도구{Fishing apparatus for webfoot octopus}
본 고안은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의 무게에 의해 바다의 저면 바닥에 낚시도구를 위치되게 한 후 제2구슬에 의한 빛으로 유인된 쭈꾸미가 제1구슬에 기어오른 후 추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일측 끝단이 위치되며 상기 추와 제2구슬의 인접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 낚시바늘에 의해 다시 달아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쭈꾸미는 바위틈이나 소라껍데기 같은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여 쭈꾸미를 포획하곤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1-41999호(공개일자: 2011.04.22.)를 들 수 있는데, 도1과 같은 상기 종래기술은 쭈꾸미가 어패류의 껍질을 좋아하는 습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자연 패각을 이용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으로 패각을 만들어 쭈구미를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바다 밑바닥에 투입되면 여러 가지 이물질로 인해 입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쭈구미를 일정량 이상 포획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과는 다른 방식으로 국내등록특허공보 10-0923096호(공고일자: 2009.10.22.)는 쭈꾸미의 기어오르는 습성 및 빛을 선호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추의 상부에 축광안료가 포함된 원형의 볼을 구비하고 추의 하면에 낚시바늘을 구비하여 낚시어구에 기어올라온 쭈꾸미를 포획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의 직경이 30 mm로서 쭈꾸미가 기어올라 달라붙기에는 지나치게 큰 문제가 있고, 낚시바늘이 추의 저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쭈꾸미가 상기 볼에 달라붙는다 할지라도 곧바로 달아나기 용이한 문제가 있으며, 축광안료를 포함한 볼이 10 m 이내의 수심에서는 어느 정도 빛을 발하여 유인 기능을 하기는 하나, 수심 30 m 이상의 바다 바닥에 위치하면 빛을 발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쭈꾸미를 유인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2011-0041999 A (2011.04.22.) KR 10-0923096 B1 (2009.10.2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쭈꾸미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축광안료를 충분히 함유한 제2구슬을 더 구비하며, 쭈꾸미가 쉽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구슬의 크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쭈꾸미가 상기 제2구슬에 의해 유인되어 제1구슬에 달라붙은 후 달아나지 못하도록 낚시바늘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저면 둘레에 걸쳐 복수 개의 낚시바늘의 일측이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의 다른 일측 끝단은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지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추와; 추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추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1구슬과; 상기 추와 제1구슬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져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추와 제1구슬을 연결ㆍ고정하기 위한 낚시줄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있어서, 상기 추는 저면의 직경이 길고 추와 밀착되는 상부의 직경이 짧은 등변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구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낚시줄 연결고리가 통과되도록 중심에 관통구멍을 갖는 제2구슬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제2구슬이 축광안료와 실리콘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제1구슬과 제2구슬의 직경의 비가 2.5 ~ 3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져 상부로 향하는 낚시바늘의 끝은 등변사다리꼴 추의 1/2 높이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는, 제1구슬이 21 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구슬과 추의 상부면이 밀착된 부위로부터 구부러져 상부로 향하는 낚시바늘의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가 19 mm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쭈꾸미를 유인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1구슬에 안착된 쭈꾸미가 상기 제1구슬과 추의 인접부위로부터 일정거리의 위치 및 추의 일정 높이의 위치에 형성된 낚시바늘에 의해 쉽게 달아나지 못하게 됨으로써, 종래보다 많은 양의 쭈꾸미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 패각을 이용하여 쭈꾸미를 포획하기 위한 도구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볼과 낚시바늘을 이용하여 쭈꾸미를 포획하는 도구에 대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용 낚시도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도구는, 등변사다리꼴의 단면을 갖는 추(20)와, 상기 추(20)의 저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다른 일측 끝단은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지며 상부를 향하는 복수 개의 낚시바늘(1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낚시도구는, 상기 추(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추((20)와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1구슬(30)과, 상기 제1구슬(3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구슬(30)보다 직경이 작은 제2구슬(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구슬(40)의 상부에는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50)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2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추의 상부에 위치한 볼의 직경이 쭈꾸미가 달라붙기에는 지나치게 큰 면이 있고, 추의 하면에 위치한 낚시바늘의 일측 끝단 부위가 추의 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음으로 인해, 혹 쭈꾸미가 상기 볼에 기어올라 달라붙는다 하더라도 낚시바늘에 걸리지 않고 쉽게 도망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볼의 유인을 통해 쭈꾸미가 낚시어구에 기어오른다 하더라도, 10마리 중 5마리는 그대로 달아나 버리곤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의 단면을 등변의 사다리꼴로 형상화한 후 상기 사다리꼴모양 추(20)의 저면 둘레에 낚시바늘(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추(20)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게 되면, 같은 높이의 추라 하더라도 저면(밑변)이 길기 때문에 상기 저면에 위치한 낚시바늘에 의해 낚시기구에 잡힌 쭈꾸미가 쉽게 달아나지 못하게 된다. 즉,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바늘(10)이 사다리꼴 모양의 추에 의해 종래보다 먼 거리(l)에 위치되기 때문에, 쭈꾸미가 낚시도구에 걸린 후에 달아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도2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낚시바늘이 추의 하면보다 밑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낚시기구에 걸린 쭈꾸미가 쉽게 달아나버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이 추의 1/2 높이에까지 이르도록 함으로써 제2구슬(30)에 기어오른 쭈꾸미가 쉽게 달아나지 못하게 된다. 즉, 도4를 참고하면, 등변사다리꼴 단면의 추(20)의 저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구부러져 상부를 향하는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이 상기 추(20)의 높이(H)의 1/2되는 높이(h)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이 상기 추(20)와 제1구슬(30)이 밀착되는 부위로부터의 거리(l)를 일정 간격 유지한 상태에 의하면, 쭈꾸미가 낚시도구에 기어오른 후 다시 달아나는 확률을 매우 줄일 수 있게 된다. 실 예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낚시도구에 기어오른 쭈꾸미 10마리 중 8 ~ 9 마리는 달아나지 못하고 잡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추(20)의 상부에 제1구슬(30)을 구비하고, 상기 제1구슬(30)의 상부에 제2구슬(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구슬(30)은 쭈꾸미가 기어오르기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종래보다 직경을 작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볼의 직경을 30 mm로 함으로 인해, 쭈꾸미가 기어오르기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21 mm로 직경을 줄임으로써 낚시도구에 기어오른 쭈꾸미가 쉽게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슬의 직경을 줄이게 되면 종래보다 쭈꾸미의 포획량이 60 ~ 80%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 합성수지 볼(제1구슬)이 10 m 정도의 깊이에서는 어느 정도 빛을 발하여 쭈꾸미를 유인하는 효과를 갖기는 하나, 30 m 깊이의 수심에서는 빛을 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구슬(30)의 상부에 축광안료가 포함된 실리콘 볼로 이루어진 제2구슬(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구슬(40)은 축광안료와 실리콘이 1 : 1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축광안료가 많이 섞이게 되면 휘도가 증가되어 희미한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빛을 발하게 되는데, 수심 30 m 깊이의 바다 밑바닥의 경우 푸른색 외에는 빛이 모두 흡수되어 어둡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축광안료를 배합한 제2구슬(40)에 의하면 깊은 수심에서도 쭈꾸미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제2구슬(40)은 쭈꾸미를 유인할 수 있는 빛을 발하면 족하기 때문에 보통 7 ~ 8 mm 정도의 작은 실리콘 볼로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구슬(30)과 제2구슬(40)의 직경의 비(D:d)를 2.5 ~ 3 : 1 정도로 유지하여 쭈꾸미를 유인하는 기능과 쭈꾸미가 기어올라 달라붙도록 하는 기능을 분리하되, 제1구슬(30)의 경우 필요에 따라 축광안료를 첨가하여 일정 빛을 발산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도구는 주로 주낙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낙에 의한 낚시 방법에 의하면 낚시를 위해 비교적 굵은 한 가닥의 기다란 줄에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가닥의 가는 줄을 매달게 되는데, 상기 여러 가는 줄의 끝에 본 고안의 낚시줄 연결고리(50)를 끼운 후 바다의 밑바닥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낚시도구에 의하면, 30 m 수심의 바다 저면에서도 제2구슬(40)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쭈꾸미가 유인되게 되고, 상기 제2구슬(40)의 유인에 의해 쭈꾸미가 기어오르기 용이한 정도의 직경(D)을 갖는 제1구슬(30)에 쭈꾸미가 기어올라 달라붙게 되며, 추의 높이(H)의 1/2의 높이(h)까지 이르며 추(20)와 제1구슬(30)과의 경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l)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에 의해 쉽게 달아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추(20)의 높이(H)를 18 mm로 할 경우, 상부로 구부러져 형성된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은 상기 추(20)의 저면(밑변)으로부터 9 mm 높이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추(20)와 제1구슬(300)과의 경계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l)는 14 mm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의 추(20), 제1구슬(30) 및 제2구슬(40)들이 각각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낚시줄 연결고리(50)에 의해 상호 밀착ㆍ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낚시바늘(10)은 주조과정에서 상기 추(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50 % 정도에 그친 쭈꾸미의 포획량을 80 ~ 90 %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낚시바늘
20 : 등변사다리꼴 추
30 : 제1구슬
40 : 제2구슬
50 : 낚시줄 연결고리

Claims (5)

  1. 저면 둘레에 걸쳐 낚시바늘(10)의 일측이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10)의 다른 일측 끝단은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지며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추(20)와;
    추(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추(2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1구슬(30)과;
    상기 추(20)와 제1구슬(3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져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추(20)와 제1구슬(30)을 연결ㆍ고정하기 위한 고리로 이루어지는 쭈꾸미용 낚시도구에 있어서,
    상기 추(20)는 저면의 직경이 길고 제1구슬(30)과 밀착되는 상부면의 직경이 짧은 등변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구슬(3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낚시줄 연결고리(50)가 통과되도록 중심에 관통구멍을 갖는 제2구슬(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슬(40)은 축광안료와 실리콘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슬(30)과 제2구슬(40)의 직경의 비는 2.5 ~ 3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향하여 구부러져 상부로 향하는 낚시바늘(10)의 끝은 등변사다리꼴 추의 1/2 높이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슬(30)은 21 mm 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구슬(30)과 추(20)의 상부면이 밀착된 부위로부터 구부러져 상부로 향하는 낚시바늘(10)의 일측 끝단까지의 거리는 19 mm 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용 낚시도구.

KR2020110007337U 2011-08-12 2011-08-12 쭈꾸미용 낚시도구 KR200468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37U KR200468441Y1 (ko) 2011-08-12 2011-08-12 쭈꾸미용 낚시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337U KR200468441Y1 (ko) 2011-08-12 2011-08-12 쭈꾸미용 낚시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94U true KR20120000894U (ko) 2012-02-07
KR200468441Y1 KR200468441Y1 (ko) 2013-08-19

Family

ID=4584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337U KR200468441Y1 (ko) 2011-08-12 2011-08-12 쭈꾸미용 낚시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87U (ko) 2019-10-16 2021-04-26 김우진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38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미끼 장착 구조에 의한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20160097737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200485370Y1 (ko) * 2015-10-01 2017-12-28 김봉진 주꾸미 낚싯바늘 유닛
KR101838849B1 (ko) 2017-06-12 2018-03-14 김진욱 두족류 낚시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834Y2 (ko) * 1978-08-26 1982-03-15
JPS614573U (ja) * 1984-06-14 1986-01-11 株式会社 ヤマシタ 飯蛸用掛け針
JP3076178U (ja) * 2000-09-07 2001-03-30 ▲船▼間 洋一郎 蛸釣り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87U (ko) 2019-10-16 2021-04-26 김우진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41Y1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41Y1 (ko) 쭈꾸미용 낚시도구
KR100923096B1 (ko)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KR20150000335U (ko) 해삼 등의 어패류 및 해조류용 인공어초
KR101226391B1 (ko)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102668668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20190110313A (ko)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KR20130003456U (ko) 올내 낚시
KR200462600Y1 (ko)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
KR200487280Y1 (ko) 학꽁치용 오똑이 낚시찌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100011230U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JP2005229824A (ja) ルアー
KR200347573Y1 (ko) 복수의 원줄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다낚시용 구멍찌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KR102371322B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20200006419A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20210096465A (ko) 장어통발
CN213214974U (zh) 一种新型活扣式螃蟹自动垂钓工具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102254915B1 (ko) 낚시용 밑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346153Y1 (ko) 낚시바늘 엉킴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