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465A - 장어통발 - Google Patents

장어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465A
KR20210096465A KR1020200009960A KR20200009960A KR20210096465A KR 20210096465 A KR20210096465 A KR 20210096465A KR 1020200009960 A KR1020200009960 A KR 1020200009960A KR 20200009960 A KR20200009960 A KR 20200009960A KR 20210096465 A KR20210096465 A KR 2021009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trap body
eel
fis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753B1 (ko
Inventor
김두혁
Original Assignee
김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혁 filed Critical 김두혁
Priority to KR102020000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어통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발본체의 외주면을 통공 없이 매끄럽게 형성하여 장어의 유인물인 미끼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며, 미끼의 냄새가 양쪽의 어류유도통로부재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장어를 통발본체 내부로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고, 통발본체의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주낙 투하시 로프형 모릿줄에 간섭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통발본체에 넣어 장어를 유인하는 미끼를 메쉬형 망에 넣어 포획된 장어가 미끼를 해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발본체를 바다에 투하 후 가라앉을 수 있게 하는 무게추에 대하여 금속 중량물의 외주면에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 중 선택 구성함으로써 무게추를 부식됨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어통발의 해저면 상에 방치될 경우에 일정기간 후 탄성 끈이 삭아 끊어져 해류에 의해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통발본체로부터 분리되면서 통발본체 내부를 장어나 다른 어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통발본체 내부에 장어나 다른 어류가 갖혀 굶어죽어 썩는 등의 무덤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어통발{A fish trap for an eel}
본 발명은 장어를 포획할 수 있는 장어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통발본체에 삽입된 내부의 미끼 냄새가 통발본체 외부로 확산됨을 방지하면서 양측의 어류유도통로부재로만 분출되도록 하여 장어의 유인을 용이하게 하여 다량의 장어 포획을 손쉽게 유도하여 풍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장어통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의 구조를 보면 먼저 대나무를 가지고 고깔모양으로 엮은 뒤에 안쪽에 다시 물고기가 들어갈 수 있는 동그란 구멍을 내면서 대나무를 겹으로 엮어 만들거나 근래에와서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미끼 냄새 분출공이 천공되고, 타 측이 차단된 상태에서 일 측에 고깔모양의 어류유동통로를 결합고정 한 합성수지의 관 형태의 장어통발에 물고기기가 들어가면 다시는 나오지 못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물고기 종류는 흐르는 물을 거꾸로 뛰어오르기를 좋아하며, 특히 흐르는 물살이 셀수록 더 잘 뛰어오르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래서 물살이 센 곳에 통발의 뾰족한 부분을 위쪽으로 하고 구멍이 난 쪽을 물흐름 쪽으로 해서 놓으면, 물고기가 물살을 거슬러 이 구멍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일단 통발 안에 들어온 물고기는 통발에 만들어진 고깔모양의 탄성 절편 때문에 빠져나오지 못하여 물고기를 잡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통발은 물고기 있는 곳을 따라 물속이나 물꼬에 담가 두는데, 어획 종에 따라 그리고 어획 위치에 따라 통발의 생김새 및 모양이 각기 다르다.
그 중 장어를 포획하는 장어용 통발은 통발의 끝에 날카로운 깔때기 형태의 탄성절편을 결합하여 장어를 포획하며, 이러한 장어용 통발은 예로부터 어업활동에 중요한 기구이며 어획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 형태가 개량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장어를 포획하기 위한 장어통발은 근래에 들어서 구성재질로서 합성수지를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통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어통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장어통발은 통발 몸체(5) 및 통발마개 본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통발 몸체(5)의 내부 끝에는 포획을 원하는 물고기 예를 들어 장어의 미끼(9)가 내설되며, 이로써 장어는 미끼(9)에 유인되어 유인구를 통해 통발 몸체(5)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통발 몸체(5)의 입구에 끼워지는 통발마개 본체(7)는 깔때기 형상이며 일 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데 이는, 장어의 파고들려 하는 특성을 이용함은 물론 통발 몸체(5) 내부로 유입된 장어가 외부로 도망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장어통발에는 수중에서 냄새를 퍼뜨려 장어를 유인하는 수단으로서 미끼(9)(냉동생선인 멸치 또는 오징어 등이 주로 사용됨)가 내설되며, 미끼(9)는 수중에서 많은 냄새를 낼 수 있도록 적정량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미끼(9)에 의해 하나의 통발당 1개의 장어가 포획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어통발은 미끼에 유인되어 통발 내부에 최초 유입된 장어가 미끼(9)를 과다하게 섭취함에 따라 통발 내에서 과식사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어획량의 손실이 발생하고 미끼(9)가 해체되면서 통발 본체(5)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으로 해체된 미끼가 빠져나가게 되어 외부에 있던 장어들은 빠져나온 미끼들을 먹느라도 통발마개 본체 쪽으로 유인되지 않아서 장어를 유인하거나 포획할 수 없게 되어 통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결점은 물론 어획량이 현저하게 줄어 어민의 생활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야기되었다.
그러므로 유인물인 미끼가 통발본체의 둘레부분인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끼의 냄새가 양쪽의 어류가 유동하는 유로 측으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통발본체의 내부로 장어를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어획량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어통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86778호 2000.04.11.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5462호 2003.02.12.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10912호 2003.04.04.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3738호 2014.06.18.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발본체의 외주면을 통공 없이 매끄럽게 형성하여 장어의 유인물인 미끼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끼의 냄새가 양쪽의 어류유도통로부재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장어를 통발본체 내부로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한 장어통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통발본체의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주낙 투하시 로프형 모릿줄에 간섭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통발본체에 넣어 장어를 유인하는 미끼를 메쉬형 망에 넣어 포획된 장어가 미끼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통발본체를 바다에 투하 후 가라앉을 수 있게 하는 무게추를 금속 중량물의 외주면에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 중 선택 구성함으로써 무게추에 대하여 부식됨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장어통발의 해저면 상에 방치될 경우에 일정기간 후 탄성 끈이 삭아 끊어져 해류에 의해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통발본체로부터 분리되면서 통발본체 내부를 장어나 다른 어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통발본체 내부에 장어나 다른 어류가 갖혀 굶어죽어 썩는 등의 무덤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은 내부가 관통된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되, 일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한 쌍의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는 통발본체; 상기 통발본체의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짠물에 금속 중량물의 부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실리콘이 도포처리되는 무게추; 상기 통발본체 일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이 형성된 후 활개편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 상기 통발본체의 타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토록 끼움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이 형성된 후 활개편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 일단에 연결된 탄성 끈이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의 연결구에 고정되어 타단이 통발본체의 일 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걸림고정되면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를 통발본체에 선택적으로 탈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 및 상기 통발본체의 내부에 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물살에 의해 흩어짐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망 내부에 미끼가 수용되며, 통발본체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어류유도먹이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통발본체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금속 중량물의 외주 면에 선택적으로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무게추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연속적으로 투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어류유동통로부재의 연결구에는 연결줄 일단을 매듭 고정되며, 연결줄 타단은 로프형 모릿줄과 매듭 고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발본체의 외주면을 통공 없이 매끄럽게 형성하여 장어의 유인물인 미끼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끼의 냄새가 양쪽의 어류유도통로부재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장어를 통발본체 내부로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다.
둘째, 통발본체의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주낙 투하시 로프형 모릿줄에 간섭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통발본체에 넣어 장어를 유인하는 미끼를 메쉬형 망에 넣어 포획된 장어가 미끼를 해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넷째, 통발본체를 바다에 투하 후 가라앉을 수 있게 하는 무게추에 대하여 금속 중량물의 외주면에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 중 선택 구성함으로써 무게추를 부식됨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장어통발의 해저면 상에 방치될 경우에 일정기간 후 탄성 끈이 삭아 끊어져 해류에 의해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통발본체로부터 분리되면서 통발본체 내부를 장어나 다른 어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통발본체 내부에 장어나 다른 어류가 갖혀 굶어죽어 썩는 등의 무덤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어통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것으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것으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것으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을 나타낸 것으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어통발(100)은 바다에서 주낙의 방법에 적용되어 해저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장어를 잡기 위한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통발본체(110), 무게추(120),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130),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 고정고리(150) 및 어류유도먹이망(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발본체(110)는 내부가 관통된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되, 일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한 쌍의 고정공(111)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통발본체(110)는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다각형, 즉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중공의 다각형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통발본체(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무게추(120)는 상기 통발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짠물에 금속 중량물의 부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실리콘이 도포처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게추(120)는 금속 중량물의 외주 면에 선택적으로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게추(120)는 합성수지를 분체로 만들어 금속 표면에 칠하고, 고온으로 용융하여 마무리하는 방법인 분체도장(粉體塗裝)을 통해 외주 면에 도장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분체도장을 대신하여 아연용융도금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무게추(120)는 상기 통발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되, 통발본체(110) 내부로 들어온 장어가 통발본체(110)의 중앙을 경유하여 양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넛 형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무게추(120)의 형상인 도넛 형상이라 함은 O-링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통상의 도넛 형상을 의미하며, 물론 상기 무게추(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무게추(120)는 통발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되, 통발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삽입 배치한 후에 별도의 실리콘 등의 접착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130)는 상기 통발본체(110) 일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131)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132)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133)이 형성된 후 활개편(135)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130)는 통발본체(110) 일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홈부(131)가 통발본체(110)의 일 측 단부를 감싸도록 끼움고정된 상태에서 접착고정을 통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는 상기 통발본체(110)의 타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토록 끼움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141)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142)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143)이 형성된 후 활개편(145)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는 후술될 고정고리(150)를 탄성 끈(150a)을 개재하여 연결구(142)에 연결한 상태에서 통발본체(110)의 타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한 후에 상기 고정고리(150)를 통발본체(110)의 고정공(111)에 걸림고정되도록 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는 통발본체(110)의 고정공(111)에 걸림고정된 고정고리(150)를 선택적으로 고정공(111)으로부터 빠지도록 하면서 통발본체(110)에 대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장어를 포획한 후에 배 위에서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고리(150)는 일단에 연결된 탄성 끈(150a)이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의 연결구(142)에 고정되어 타단이 통발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된 고정공(111)에 걸림고정되면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를 통발본체(110)에 선택적으로 탈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고리(150)는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리부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을 통해 상기 탄성 끈(150a)이 꼬여지면서 매듭이나 부착 또는 재봉 등을 통해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 끈(150a)은 고정고리(150)와 연결되는 반대 측 단부가 폐쇄된 고리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의 연결구(142)에 꼬여지면서 매듭이나 부착 또는 재봉 등을 통해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류유도먹이망(160)은 상기 통발본체(110)의 내부에 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물살에 의해 흩어짐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망 내부에 미끼가 수용되며, 통발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어류유도먹이망(160)은 메시망 내부에 미끼가 수용되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미끼가 통발본체(110) 내부로부터 퍼져나가 상기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130) 및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 측을 거쳐 통발본체(110)의 양측으로 퍼져나가면서 장어를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100)은 특히,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연속적으로 투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 어류유동통로부재(130)의 연결구(132)에는 연결줄(미도시) 일단을 매듭 고정되며, 연결줄(미도시) 타단은 로프형 모릿줄(미도시)과 매듭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모릿줄(幹繩)이라 함은 주낙(延繩)에서의 아리줄 위에 수평으로 뻐ㅊ치는 길다란 줄로서 원줄을 의미하며, 아울러 상기 연결줄은 아리줄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에 의하면, 통발본체의 외주면을 통공 없이 매끄럽게 형성하여 장어의 유인물인 미끼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끼의 냄새가 양쪽의 어류유도통로부재로만 발산되도록 하여 장어를 통발본체 내부로 손쉽게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다.
또한, 통발본체의 외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주낙 투하시 로프형 모릿줄에 간섭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통발본체에 넣어 장어를 유인하는 미끼를 메쉬형 망에 넣어 포획된 장어가 미끼를 해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통발본체를 바다에 투하 후 가라앉을 수 있게 하는 무게추에 대하여 금속 중량물의 외주면에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 중 선택 구성함으로써 무게추를 부식됨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어통발은 장어통발의 해저면 상에 방치될 경우에 일정기간 후 탄성 끈이 삭아 끊어져 해류에 의해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가 통발본체로부터 분리되면서 통발본체 내부를 장어나 다른 어류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통발본체 내부에 장어나 다른 어류가 갖혀 굶어죽어 썩는 등의 무덤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장어통발
110: 통발본체 111: 고정공
120: 무게추 130: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
131: 고정홈부 132: 연결구
133: 통공 135: 활개편
140: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 141: 고정홈부
142: 연결구 143: 통공
145: 활개편 150: 고정고리
150a: 탄성 끈 160: 어류유도먹이망

Claims (5)

  1. 내부가 관통된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중공의 파이프 타입으로 제공되되, 일 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한 쌍의 고정공(111)이 관통형성되는 통발본체(110);
    상기 통발본체(110)의 내부 중앙에 고정설치되며, 짠물에 금속 중량물의 부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실리콘이 도포처리되는 무게추(120);
    상기 통발본체(110) 일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고정수단을 통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131)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132)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133)이 형성된 후 활개편(135)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어류유도통로부재(130);
    상기 통발본체(110)의 타 측의 입구에 끼움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토록 끼움 고정되며,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홈부(141)가 형성되고, 깔때기 형상의 일단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결구(142)가 형성되며, 깔때기 형상의 협소해지는 타단 측으로 통공(143)이 형성된 후 활개편(145)이 일정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
    일단에 연결된 탄성 끈(150a)이 상기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의 연결구(142)에 고정되어 타단이 통발본체(110)의 일 측에 형성된 고정공(111)에 걸림고정되면서 유동 어류유도통로부재(140)를 통발본체(110)에 선택적으로 탈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150); 및
    상기 통발본체(110)의 내부에 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물살에 의해 흩어짐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망 내부에 미끼가 수용되며, 통발본체(110)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어류유도먹이망(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어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본체(110)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통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120)는 금속 중량물의 외주 면에 선택적으로 분체도장 또는 아연용융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통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120)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통발.
  5. 제1항에 있어서,
    고깃배가 주행하면서 연속적으로 투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어류유동통로부재(130)의 연결구(132)에는 연결줄 일단을 매듭 고정되며, 연결줄 타단은 로프형 모릿줄과 매듭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통발.
KR1020200009960A 2020-01-28 2020-01-28 장어통발 KR10231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60A KR102317753B1 (ko) 2020-01-28 2020-01-28 장어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60A KR102317753B1 (ko) 2020-01-28 2020-01-28 장어통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65A true KR20210096465A (ko) 2021-08-05
KR102317753B1 KR102317753B1 (ko) 2021-10-27

Family

ID=7731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960A KR102317753B1 (ko) 2020-01-28 2020-01-28 장어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778B1 (ko) 1990-01-10 1999-05-15 데보라 엘. 캠벨 스티렌 함량 및 고형분함량이 높은 중합체 폴리올 및 분산제로서 에폭시 변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05462B1 (ko) 1997-06-02 2001-10-19 포만 제프리 엘 적외선통신기능을가지는정보처리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310912B1 (ko) 1993-05-31 2001-12-28 제임스 이. 미러 자동변속기의제어장치
KR100999928B1 (ko) * 2010-05-06 2010-12-13 대한민국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397A (ko) * 2010-07-16 2012-01-30 박명오 로프 정리기
KR20140003738A (ko) 2012-06-26 2014-01-10 김덕수 안전밸브 스위벨 장치
KR101917529B1 (ko) * 2017-08-01 2019-01-24 손진만 원단의 수축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778B1 (ko) 1990-01-10 1999-05-15 데보라 엘. 캠벨 스티렌 함량 및 고형분함량이 높은 중합체 폴리올 및 분산제로서 에폭시 변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10912B1 (ko) 1993-05-31 2001-12-28 제임스 이. 미러 자동변속기의제어장치
KR100305462B1 (ko) 1997-06-02 2001-10-19 포만 제프리 엘 적외선통신기능을가지는정보처리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999928B1 (ko) * 2010-05-06 2010-12-13 대한민국 붕장어 통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397A (ko) * 2010-07-16 2012-01-30 박명오 로프 정리기
KR20140003738A (ko) 2012-06-26 2014-01-10 김덕수 안전밸브 스위벨 장치
KR101917529B1 (ko) * 2017-08-01 2019-01-24 손진만 원단의 수축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753B1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8942C (en) Natural bait holding fishing lure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JP6639486B2 (ja) 疑似餌システム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20100083560A1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6557293B2 (en) Fish lure
US20180132461A1 (en) Multi-facet lure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CA2390333A1 (en) Plastic worm shroud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US20140259866A1 (en) Fishing accessories for the controllable release of scent attractants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200494458Y1 (ko)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US20170325435A1 (en) Rattling fishing jig
KR20160017566A (ko) 집어 효과와 발광체를 갖는 원투낚시전용 고리 추
KR20200006419A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102425249B1 (ko)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AU2019100642A4 (en) A fishing sinker and rig incorporating a sinker
CN110122436B (zh) 无钩抛投钓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