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87U -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 Google Patents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87U
KR20210000887U KR2020190004177U KR20190004177U KR20210000887U KR 20210000887 U KR20210000887 U KR 20210000887U KR 2020190004177 U KR2020190004177 U KR 2020190004177U KR 20190004177 U KR20190004177 U KR 20190004177U KR 20210000887 U KR20210000887 U KR 202100008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i
bottom plate
octopus
fish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2020190004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87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Abstract

본 고안은 쭈꾸미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이 포획한 쭈구미를 갖고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폭획한 그 자리에서 바로 쭈꾸미를 살림망이나 통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에기를 사용할 때 배 갑판 바닥에 놓인 에기통에서 에기를 꺼내기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준비된 에기를 꺼내 주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 휴대 및 보관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바닥판 중앙부에 관통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와; 상기 관통홀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판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에기 꽂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밴드와 주름관, 및 상기 에기 꽂이홈의 후방측 바닥판 상에 구비되는 수직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의 좌.우측판이 바닥판에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SLIDE FOR FISHING WEBFOOT OCTOPUS}
본 고안은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에 관한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꾸미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이 포획한 쭈구미를 갖고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폭획한 그 자리에서 바로 쭈꾸미를 살림망이나 통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에기를 사용할 때 배 갑판 바닥에 놓인 에기통에서 에기를 꺼내기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준비된 에기를 꺼내 주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 휴대 및 보관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과에 속하는 바다 생물 중 크기가 작고 다리가 짧은 종류를 호래기라고 일컫는 것으로, 호래기는 통상적으로 작은 갑오징어 새끼를 호래기라고 부르고 있으나 지방마다 한치 새끼, 오징어, 꼴뚜기, 쭈꾸미 등을 호래기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호래기는 10월 초경부터 불빛이 있는 낮은 수심의 방파제 주위에서 먹이 활동을 하다가 12월 말경에는 수온이 안정된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는 생물이다. 이중, 쭈꾸미와 갑오징어 이 두족류는 바위틈 또는 소라껍데기 같은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는 것을 좋아 하며, 기어오르거나 올라타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상기 두족류의 습성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여 두족류를 포획하거나, 주낙, 통발 등을 방법을 이용하여 포획하고 있다.
한편, 쭈꾸미가 잘 나오는 날에 쭈꾸미낚시의 핵심은 빠른 갈무리와 빠른 채비 투척에 있으나, 종래에는 포획한 쭈꾸미를 낚시꾼이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가져가 털어낸 후 다시 채비를 투척하는 것을 반복해야만 되므로 빠른 갈무리와 채비 투척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쭈꾸미 낚시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과 함께 낚시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포획량의 한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낙의 경우에는 여러개의 에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 에기통을 배의 바닥에 놓고 앉았다 일어서는 것을 반복하면서 에기를 용도에 따라 선택 및 사용하게 되므로 이역시 낚시꾼들로 하여금 낚시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과 함께 낚시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포획량의 한계를 야기시킨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894호(2012.02.07.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쭈꾸미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이 포획한 쭈구미를 갖고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폭획한 그 자리에서 바로 쭈꾸미를 살림망이나 통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에기를 사용할 때 배 갑판 바닥에 놓인 에기통에서 에기를 꺼내기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준비된 에기를 꺼내 주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 휴대 및 보관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한 형태는, 바닥판 중앙부에 관통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와; 상기 관통홀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바닥판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에기 꽂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기 꽂이홈의 후방측 바닥판 상에 수직의 전면판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수직의 좌.우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에기 꽂이홈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판 삽입홈과 좌.우 양측 전.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전면판 삽입홈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전면판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은 상기 측판 삽입홈에 대응되는 측판 삽입돌기, 및 전방측에 상기 전면판의 상부 외측에 삽입되는 슬릿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관통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타이 삽입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주름관은 입구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타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 삽입홀과 타이 관통홀을 통해 주름관 고정용 타이를 삽입하여 주름관을 바닥판의 관통홀 하부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 중앙부에 관통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와; 상기 관통홀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판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에기 꽂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밴드와 주름관, 및 상기 에기 꽂이홈의 후방측 바닥판 상에 구비되는 수직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의 좌.우측판이 바닥판에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가 형성됨으로써 쭈꾸미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이 포획한 쭈구미를 갖고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폭획한 그 자리에서 바로 쭈꾸미를 살림망이나 통으로 보내고 에기를 사용할 때 갑판 바닥에 놓인 에기통에서 에기를 꺼내기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없이 그 자리에서 에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쭈꾸미가 잘 나오는 날에 빠른 갈무리와 채비 투척이 가능해 포획량 증대와 함께 보다 효과적인 낚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구성품을 분리해서 나타낸 평면 사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주름관을 나타낸 정면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바닥판에 주름관을 타이를 이용해 연결 및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구성품을 분리해서 나타낸 평면 사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주름관을 나타낸 정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바닥판에 주름관을 타이를 이용해 연결 및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부(1)와 벨크로 밴드(2) 및 주름관(3)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는 바닥판(11) 중앙부에 관통홀(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전방측과 좌.우측에 각각 수직의 전면판(12)과 좌.우측판(13a)(13b)이 구비되며, 상기 벨크로 밴드(2)는 바닥판(1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주름관(3)은 상기 관통홀(111)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의 바닥판(11)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복수개의 에기 꽂이홈(11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13a)(13b)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본체부(1)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한 쌍의 전면판 삽입홈(113)과, 상기 한 쌍의 전면판 삽입홈(113)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전면판 삽입돌기(121)에 의해 바닥판(11)에 대한 전면판(12)의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판(11)의 좌.우 양측 전.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삽입홈(114)과 상기 한 쌍의 측판 삽입홈(114)에 대응되는 측판 삽입돌기(131)에 대한 바닥판(11)에 대한 좌.우측판(13a)(13b)의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고, 전면판(12)의 양측에 상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상부 슬릿홈(122)과 좌.우측판(13a)(13b)의 선단부에 하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 슬릿홈(132)에 의해 전면판(12)과 좌.우측판()의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전면판(12)의 전면판 삽입돌기(121)를 바닥판(11)에 형성된 전면판 삽입홈(113)에 삽입하여 끼운다. 그런 다음 좌.우측판(13a)(13b)의 하부 슬릿홈(132)을 전면판(12)의 상부 슬릿홈(122)에 끼움과 동시에 좌.우측판(13a)(13b)의 측판 삽입돌기(131)를 바닥판(11)의 측판 삽입홈(114)에 삽입하여 끼우게 됨으로써 본체()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전면판(12)의 상부 슬릿홈(122)으로부터 좌.우측판(13a)(13b)의 상부 슬릿홈(122)을 빼냄과 동시에 상기 좌.우측판(13a)(13b)의 측판 삽입돌기(131)를 바닥판(11)의 측판 삽입돌기(131)로부터 빼내게 됨으로써 바닥판(11)과 전면판(12)에 대한 좌.우측판(13a)(13b)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전면판(12)의 전면판 삽입돌기(121)를 바닥판(11)의 전면판 삽입홈(113)으로부터 빼내 이탈시킴으로써 본체()를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벨크로 밴드(2)는 바닥판(11)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밴드 삽입홀(116)에 삽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주름관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m ~ 1.1m의 길이를 갖고 상기 본체부(1)의 바닥판(11)에 형성된 관통홀(111)과 연결되어 있어, 보다 유연성있게 쭈꾸미 살림망이나 통을 배의 선수(앞머리) 또는 배의 선미(뒤자리)와 같이 낚시 위치와 먼 거리에 놓아도 낚시꾼이 그 자리에서 폭획한 쭈꾸미를 주름관(3)을 통해 바로 살림망이나 통에 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름관(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고정용 타이(4)에 의해 바닥판(11)의 관통홀(111)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관통홀(111)의 외곽 바닥판(11) 상에 복수개의 타이 삽입홀(1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주름관(3)은 입구 측면에 복수개의 타이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름관 고정용 타이(4)를 상기 바닥판(11)의 타이 삽입홀(115)과 주름관(3)의 타이 관통홀(111)에 주름관 고정용 타이(4)를 삽입하고 엮어 주름관(3)을 바닥판(11)의 관통홀(111) 하부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부(1)를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벨크로 밴드(2)로 배 난간의 봉(100)에 타이트하게 걸어 고정한다. 그런 다음 주름관(3)의 단부를 쭈꾸미 살림망이나 통에 연결하고, 많이 사용하는 에기(200)를 우선 바닥판(11)의 전방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에기 꽂이홈(112)에 꽂아 보관한다. 그리고, 에기(200)가 들어 있는 케이스, 즉 에기통(210)을 여러개 이어 붙여 좌.우측판(13a)(13b)에 형성된 에기거치용 포크(14)에 끈으로 묶어 거치함으로써 일련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바닥판 중앙부에 관통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와; 상기 관통홀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바닥판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에기 꽂이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밴드와 주름관, 및 상기 에기 꽂이홈의 후방측 바닥판 상에 구비되는 수직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직의 좌.우측판이 바닥판에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가 형성됨으로써 쭈꾸미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이 포획한 쭈구미를 갖고 일일이 살림망이나 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폭획한 그 자리에서 바로 쭈꾸미를 살림망이나 통으로 보내고 에기를 사용할 때 갑판 바닥에 놓인 에기통에서 에기를 꺼내기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없이 그 자리에서 에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쭈꾸미가 잘 나오는 날에 빠른 갈무리와 채비 투척이 가능해 포획량 증대와 함께 보다 효과적인 낚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본체부
11: 바닥판
111: 관통홀 112: 에기 꽂이홈
113: 전면판 삽입홈 114: 측판 삽입홈
115: 타이 삽입홈
12: 전면판
121: 전면판 삽입돌기 121a: 스티커
122: 상부 슬릿홈
13a,13b: 좌.우측판
131: 측판 삽입돌기 132: 하부 슬릿홈
14: 에기거치용 포크
2: 벨크로 밴드 3: 주름관
3a: 타이 관통홀 4: 주름관 고정용 타이

Claims (4)

  1. 바닥판(11) 중앙부에 관통홀(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벨크로 밴드(2)와;
    상기 관통홀(111)의 하부측에 연결 및 고정되는 주름관(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는, 바닥판(11)의 선단부 가로 폭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 에기 꽂이홈(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기 꽂이홈(112)의 후방측 바닥판(11) 상에 수직의 전면판(12)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12)의 양측에 수직의 좌.우측판(13a)(13b)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의 좌.우측판(13a)(13b) 각각의 상부측에 에기거치용 포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은 상기 에기 꽂이홈(11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판 삽입홈(113)과 좌.우 양측 전.후방에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삽입홈(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12)은 상기 전면판 삽입홈(113)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전면판 삽입돌기(121)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판(13a)(13b)은 상기 측판 삽입홈(114)에 대응되는 측판 삽입돌기(131), 및 전방측에 상기 전면판(1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슬릿홈(122)에 삽입되는 하부 슬릿홈(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은 관통홀(111)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타이 삽입홀(1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주름관(3)은 입구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타이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 삽입홀(115)과 타이 관통홀(111)을 통해 주름관 고정용 타이(4)를 삽입하여 주름관(3)을 바닥판(11)의 관통홀(111) 하부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KR2020190004177U 2019-10-16 2019-10-16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KR202100008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77U KR20210000887U (ko) 2019-10-16 2019-10-16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77U KR20210000887U (ko) 2019-10-16 2019-10-16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87U true KR20210000887U (ko) 2021-04-26

Family

ID=7573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77U KR20210000887U (ko) 2019-10-16 2019-10-16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8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94U (ko) 2011-08-12 2012-02-07 성민진 쭈꾸미용 낚시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94U (ko) 2011-08-12 2012-02-07 성민진 쭈꾸미용 낚시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lack-Smith Fishing with traps and pots
US5839220A (en) Collapsible marine animal trap and storage unit
KR101731229B1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US5943812A (en) Crab trap
AU2005202227B2 (en) A Trap for Marine Life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KR100315166B1 (ko) 수중 침하식 전복 양성 구조물
JP2651899B2 (ja) ボックス型漁具
Mock et al. Feeding behavior and ecology of the Goliath Heron
KR100817754B1 (ko) 자연어장구축장치
KR20210000887U (ko)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CN201742824U (zh) 高效捕鱼装置
Watanuki et al. A review of cuttlefish basket trap fishery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err Fishing methods of the Mariana Islands, Micronesia
JP4672810B1 (ja) 海洋生物捕獲篭
Paust Fishing for octopus: a guide for commercial fishermen
KR20200002676U (ko) 루어낚시용 분리형 모형 미끼
CN105076022A (zh) 诱捕棒花鱼笼具
CN219844657U (zh) 一种小龙虾养殖用诱捕笼
CN217364273U (zh) 一种具有挂绳防脱落结构的贝类海产品养殖育肥装置
KR200235674Y1 (ko) 게-새우 포획겸용 통발
Burnett-Herkes et al. Management of Antillean trap fisheries: Bermuda’s experience
JPS63241A (ja) 人工魚礁の構築方法及び人工魚礁
CN204499168U (zh) 一种黄颡鱼的捕捞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