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229B1 - 쭈꾸미 포획용 어구 - Google Patents

쭈꾸미 포획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229B1
KR101731229B1 KR1020160051970A KR20160051970A KR101731229B1 KR 101731229 B1 KR101731229 B1 KR 101731229B1 KR 1020160051970 A KR1020160051970 A KR 1020160051970A KR 20160051970 A KR20160051970 A KR 20160051970A KR 101731229 B1 KR101731229 B1 KR 10173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webfoot
fish
shell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배
장인수
장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Priority to KR102016005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조개껍질과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대칭
되는 한 쌍의 몸체로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
으로, 특히 본 발명은 상하부 몸체가 한 쌍을 이루는 조개껍질 모형의 경우에는
결속용 끈에 매달려 바닷물 속에 투하되는 과정에서 쭈꾸미가 은신처로 식별
할 수 없는 형태, 즉 상하 몸체가 정합으로 포개지거나, 상하부 몸체가 모두
뒤집어 지거나, 서로 비틀려지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쭈꾸미가 은신처로
인식을 못하게 됨으로써 쭈꾸미 포획 량은 대폭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바닷물 속에 침강된 어구가 항상 동일한 형상, 즉 어구의 전단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쭈꾸미 잠입을 유도하여 어획량을 대폭 높일 수
있으며, 한번 잠입한 쭈꾸미는 어구를 선상으로 들어올리기 전이나 들어 올릴
때에도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어구에서 쭈꾸미를 빼내는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쭈꾸미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쭈꾸미 포획용 어구 {The Fishing Pot for Capturing Webfoot Octopus}
본 발명은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원형 또는 조개 껍질과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몸체로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쭈꾸미를 어획하는 어구는 쭈꾸미의 은신 습성을 이용함으로써 미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하나의 어구에 대해 두 마리 이상이
함께 접촉하여 서로 입구를 차지하려고 다툰다거나, 잠입한 개체를 다른 개체가
공격하여 은신처를 착취하려고 하며, 어구에 잠입한 후에 어구의 입구를 바닥
으로 향하도록 뒤집으려고 하거나, 어구가 잘 뒤집혀 지지 않는 경우 머리를
안쪽으로 하고 발의 빨판만 보이도록 몸을 뒤집은 뒤 주위의 작은 돌이나
조개 껍질 같은 딱딱한 것을 빨판에 부착하여 입구를 막고 은신하는 행동 등은
모두가 쭈꾸미의 강한 은신 습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외적으로부터 안전한 곳에 몸을 은신하려는 은신 습성 외에도
쭈꾸미가 미끼가 없는 어구에 잠입하는 이유로는 발에 붙어있는 빨판을 이용하여
딱딱한 물체에 붙어 있기를 좋아하는 주촉성과 문어류와 같이 암초 사이의
오목한 곳이나 해저바닥에 놓인 용기나 패류 껍질 안에 몸속의 점액실을 내뿜어
알을 붙여 산란하는 산란습성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원통형 PVC 파이프, 자연산 소라 껍질과 조개 껍질를 비교 시험한 결과, 재래의
어구 중 어획이 가장 높은 조개 껍질보다 실험용으로 제작된 원통형 PVC 파이프
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 방송의 다큐멘터리에서 뚜껑이 없는 소라 껍질
에 잠입한 쭈꾸미가 은신처를 착취하려는 다른 개체로부터 하루에도 수차례 공격
을 당하고 물고기에게 다리를 잘리거나 불가사리의 공격을 받아 생을 마감하는
것이 방영되었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와 방송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뚜껑이 있는
조개 껍질 모형이 뚜껑이 없는 소라껍질 모형보다 여러 가지 점에서 우수한데,
쭈꾸미의 잠입이 쉽고 표면적이 넓어 뻘 속에 파묻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아 버림으로써 다른 개체의 접근을 쉽게 퇴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쭈꾸미의 잠입 및 어구의 어획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어구의
모양뿐만이 아니라, 어구의 표면의 조도(=표면 거칠기)를 비롯하여 어구 입구의
크기 및 어구 내부의 용적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쭈꾸미의 은신 습성 등을 이용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대한 기존의 실용
신안 및 특허가 여러 건 등록되어 있으나, 소라 껍질 모형과 조개 껍질 모형이
대부분이며 구조가 복잡하고 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제작비용만도 수 천원을
상회하여 실용화할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상술한 쭈꾸미의 습성 및 기존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91489호 “쭈꾸미 포획용 어구”가 있는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반타원형 또는 조개껍질와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몸체는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을 사용하고 상부몸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을 사용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힌지 결합되어 무게중심에
의해 하부몸체는 항상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몸체는 부력에 의하여 항상
열려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 포획용 어구로써, 하부
몸체가 항상 아래 방향에 위치하고 상부몸체가 부력에 의해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는 전제조건이 항상 충족된다면 매우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어구이다.
하지만, 현존하는 플라스틱의 비중이 0.9 ~ 1.4 사이이며, 동 어구의 총 중량이
100g 이내인 점을 감안하면 비중이 높은 재질을 사용한 하부몸체가 무게중심에
의해 항상 아래에 위치한다고 기대하기는 어렵고, 조류가 흐르고 압력이 존재
하는 바닷물 속에서 결속용 끈에 묶여있는 어구에 대하여 부력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려워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개폐 손잡이가 구비
되지 않아 빨판으로 어구의 상하부 몸체를 꽉 붙잡고 있는 쭈꾸미를 빼내는데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되어 다른 어구에 포획된 쭈꾸미가 탈출하는 시간을 주게
되며 어구 자체를 비틀어서 빼내는 경우, 어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어구들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쭈꾸미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상하부 몸체가 한 쌍을 이루는 조개
껍질 모형의 경우에는 결속용 끈에 매달려 바닷물 속에 투하되는 과정에서
쭈꾸미가 은신처로 식별할 수 없는 형태, 즉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정합으로
포개지거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모두 뒤집어 지거나, 서로 비틀려지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쭈꾸미가 은신처로 인식을 못하게 됨으로써 쭈꾸미
포획 량은 대폭 감소하게 되는 점에 착안하여 바닷물 속에 투하된 어구가 항상
동일한 형상, 즉 어구의 전단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쭈꾸미 잠입을
유도하여 어획량을 대폭 높일 수 있으며, 한번 잠입한 쭈꾸미는 어구를 선상으로
들어올리기 전이나 들어올릴 때에도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고, 어구에서 쭈꾸미
를 빼내는 작업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쭈꾸미 포획용 어구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 대칭이 되는 한 쌍의 어구를
하부몸체(20), 상부몸체(30) 각각 따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기존의 방식을 개선
하여 하부몸체(20), 상부몸체(30) 중간에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부(40)를 구성
하여 연결 제작함으로써 바닷물 속에서도 항상 동일한 형상을 유지토록 하고
폴더부(40)의 배면의 인장력에 의해 어구 전단부가 개방되도록 제작하는 것과;
악기의 한 종류인 캐스트네츠처럼 후단부를 경사지게 제작하여 후단부에 있는
끈 삽입공(25)(35)에 삽입되는 끈의 조임에 의해서 의하여 어구의 전단부가 개방
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쭈꾸미의 잠입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한 폴더부(40)가 훼손될 경우에도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의 이탈을
방지하여 항상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부(23)(33)와 고정 돌기
삽입부(24)(34)가 보완적으로 끈 삽입공(25)(35)의 좌우에 각각 구성되며,
어구의 후단부에 낚시 바늘을 꼽을 수 있는 낚시 바늘 꽂이부(26)(36)에 낚시
바늘(27)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한번 잠입한 쭈꾸미가 탈출할 수 없도록
하여 쭈꾸미의 포획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의 배면에는 어구가 어떠한 색깔의 것이냐
보다도 얼마나 식별되기 쉬운 것이냐에 따라 쭈꾸미의 어획량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쭈꾸미가 은신처의 식별을 쉽게 하기 위한 형광 테이프 부착부
(50)를 구성한 것과;
조개 껍질 모형의 경우에 있어 포획된 쭈꾸미는 어구의 하부몸체(20)와 상부
몸체(30)를 빨판으로 꽉 붙잡고 있어 뚜껑을 열거나 비틀어서 꺼내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다른 어구에 잡힌 쭈꾸미가 탈출하는 시간을 주어 어획량
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획된 쭈꾸미를 간단하고 빠르게 빼어낼
수 있도록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전단부에 개폐용 손잡이(21)(31)를 구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쭈꾸미의 은둔 습성, 주촉성 과 산란
습성 모두를 고려하여 착안 되었으며, 입을 벌린 조개 모양으로 개방되어 있는
어구의 전단부는 다양한 크기의 쭈꾸미가 쉽게 잠입할 수 있으며 체장 300mm
이상의 대형 쭈꾸미도 편하게 쉴 수 있는 내부 용적량은 쭈꾸미가 자신의 은둔처
로 삼아 오랫동안 머물러 있게 되므로 자연히 포획률이 증가되어 기존 어구에
비해 어획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열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닫힌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폴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사용 상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를 이용한 쭈꾸미 포획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구체
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10)
의 폴더부(40)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결속용 연결 끈(60)과 낚시
바늘(27)을 장착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
(10)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7a 내지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이용한 쭈꾸미 포획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몸체(30)와 상기 상부몸체(30)
의 하측에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상부몸체(30)와 상하 대칭을 이루는 원형 형상
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하부몸체(20)로 이루어지되, 상부몸체(30)와 하부
몸체(20)의 후단부에는 각각 결속용 끈(60)을 통과시켜 묶거나 결속할 수 있는
끈 삽입공(25)(35)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
로서 바닷물 속에 침강하였을 때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형태인데, 상부
몸체(30)와 하부몸체(20)를 각각 따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형태가 아닌
폴더부(40)에 의해 연결되므로 항상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고 폴더부(40)의
배면의 인장력에 의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전단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폴더부(40)가 훼손될 경우에도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의 이탈을
방지하여 항상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부(23)(33)와 고정 돌기
삽입부(24)(34)가 보완적으로 끈 삽입공(25)(35)의 좌우에 각각 구성되며, 후단부를 경사지게 제작하여
후단부에 있는 끈 삽입공(25)(35)에 결속용 끈(60)을 통과시켜 묶거나 조임에
의해서 의하여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전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쭈꾸미의 잠입을 유도한다.
어구의 후단부에 낚시 바늘을 꼽을 수 있는 낚시 바늘 꽂이부(26)(36)에 낚시
바늘(27)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한번 잠입한 쭈꾸미가 탈출할 수 없도록
하여 쭈꾸미의 포획률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식별을 쉽게하기 위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배면에 형광테이프 부착부(50)
를 구성한다.
조개 껍질 모형의 경우에 있어 포획된 쭈꾸미는 어구의 상부몸체(30)와 하부
몸체(20)를 빨판으로 꽉 붙잡고 있어 뚜껑을 열거나 비틀어서 꺼내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다른 어구에 잡힌 쭈꾸미가 탈출하는 시간을 주어 어획량
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획된 쭈꾸미를 간단하고 빠르게 빼어낼
수 있도록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30) 전단부에 개폐용 손잡이(21)(31)를 구성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쭈꾸미 포획용 어구의 사용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30)와 하부몸체(20)를 한 조를 이루도록 결합하고 후단부에 있는 끈
삽입공(25)(35)을 관통하는 결속용 끈(60)으로 매듭되거나 결속되어 연결되며,
이와 같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연결한 다수의 결속용 끈(60)은 무게 추를
달거나 하여 별도의 굵은 로프(65)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시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
되어 있는 로프(65)를 바닷물 속으로 투하하게 되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는
해저면(64)에 안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상부몸체(30)와 하부
몸체(20)가 벌어져 있는 상태로 해저면(64)에 안착시켜 놓은 후 일정시간 동안
방치해두게 되면,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자신의 은신처로 삼아 하부몸체(20)의 내부로 들어간 후, 도 7b에서 도시한 것
처럼 벌어져 있던 상부몸체(30)를 다리에 붙어 있는 빨판을 이용하여 당겨 닫고
쭈꾸미 포획용 어구(10) 속에 오랫동안 머물게 되는 것이다.
뚜껑이 있는 조개 껍질 모형이 뚜껑이 없는 소라 껍질 모형보다 여러 가지
점에서 우수한데 쭈꾸미의 잠입이 쉽고 표면적이 넓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가
가장 안정된 상태로 해저면(64)에 안착되어 있어 조류에도 흔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아 버림으로써 다른 개체의 접근을 쉽게 퇴치할 수 있기 때문에
쭈꾸미가 쭈꾸미 포획용 어구(10) 내에서 안심하고 오랫동안 머물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프(65)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내부에
들어가 편안하게 은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로프(65)를 이용하여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끌어올리게 되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의 내부에 은신하고 있는
쭈꾸미를 쉽게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는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
의 하부면에 쭈꾸미가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산란부(22)(3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알을 낳고 알이 부화할 때까지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떠나지 않는
쭈꾸미의 산란 습성을 이용하여 더 많은 양의 쭈꾸미를 포획할 수 있고,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를 수면상으로 들어 올릴 때 흔들림으로 잠입한 쭈꾸미가 탈출을
시도할 것이나 낚시바늘 꽂이부(26)에 장착된 낚시바늘(27)에 걸려 탈출할 수 가
없어 쭈꾸미 포획용 어구(10)에 한번 잠입한 쭈구미는 모두 어획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10)는 기존의 소라 모형의
것보다 어획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 외에도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금형 및 사출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국내에서 판매되고 중국산 제품에 대하여서도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기존의 소라 모형에서 사용하는 다수 개의 소모성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이며 취급하기에도 편리한 쭈꾸미 포획용 어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쭈꾸미 포획용 어구 20 : 하부몸체
21 : 개폐용 손잡이 22 : 산란부
23, 33 : 고정 돌기부 24, 34 : 고정돌기 삽입부
25, 35 : 끈 삽입공 26, 36 : 낚시 바늘 꽂이부
27 : 낚시 바늘 30 : 상부몸체
40 : 폴더 부 50 : 형광 테이프 부착부
60 : 결속용 끈 61 : 닻(anchor)
62 : 부이 63 : 해수면
64 : 해저면 65 : 로프

Claims (1)

  1. 원형 또는 조개껍질과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
    몸체(30)와, 상기 상부 몸체(30)의 하측에 틈새 없이 밀착되도록 상부 몸체(30)
    와 상하대칭을 이루는 원형 또는 조개껍질과 동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하부몸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의 전단부에는 개폐 손잡이(21)(31)가 각각
    형성되어 포획된 쭈꾸미를 빠르게 빼낼 수 있으며, 후단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30)와 하부몸체(20)를 연결하는 폴더부(40)를 구성하여 폴더부(40)의
    접힘과 펼침에 의해 개폐되고 어구가 항상 동일한 형상을 유지토록 하며, 악기의
    한 종류인 캐스트네츠처럼 후단부를 경사지게 하여 끈 삽입공(25)(35)에 삽입
    되는 끈의 조임에 의해서 의하여 전단부가 개방된 형상을 유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쭈꾸미의 잠입을 유도하는 쭈꾸미 포획용 어구에 있어서,

    후단부에는 끈 삽입공(25)(35)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폴더부(40)가 훼손될 경우
    에도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의 이탈을 방지하여 항상 고정된 형태를 유지
    하기 위한 고정 돌기부(23)(33)와 고정 돌기 삽입부(24)(34)가 보완적으로
    끈 삽입공(25)(35)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단부에 낚시
    바늘(27)을 꼽을 수 있는 낚시 바늘꽂이 부(26)(36)가 돌출 형성되어 한번
    잠입한 쭈꾸미는 탈출할 수 없도록 하고, 쭈꾸미의 산란을 위한 원형의
    산란부(22)(32)를 각각 구비하여 쭈꾸미의 산란습성을 유도하고 상기 상부
    몸체(30)와 하부몸체(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쭈꾸미가 어구의 식별을
    쉽게 하기 위한 형광 테이프 부착부(50)를 각각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20160051970A 2016-04-28 2016-04-28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173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970A KR101731229B1 (ko) 2016-04-28 2016-04-28 쭈꾸미 포획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970A KR101731229B1 (ko) 2016-04-28 2016-04-28 쭈꾸미 포획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229B1 true KR101731229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970A KR101731229B1 (ko) 2016-04-28 2016-04-28 쭈꾸미 포획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2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69Y1 (ko) * 2018-06-15 2019-03-18 박용희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1996236B1 (ko) 2018-11-05 2019-07-08 대한민국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KR102019155B1 (ko) 2019-06-14 2019-09-10 대한민국 가변형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KR102587286B1 (ko) 2022-10-11 2023-10-11 김부석 주꾸미 포획 어구
KR20240057099A (ko) 2022-10-24 2024-05-02 이상훈 주꾸미 낚시용 어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3Y1 (ko) * 2009-05-08 2012-01-05 황정용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200472538Y1 (ko) * 2013-05-21 2014-05-07 유금범 통발 미끼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3Y1 (ko) * 2009-05-08 2012-01-05 황정용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200472538Y1 (ko) * 2013-05-21 2014-05-07 유금범 통발 미끼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69Y1 (ko) * 2018-06-15 2019-03-18 박용희 쭈꾸미 포획용 어구
KR101996236B1 (ko) 2018-11-05 2019-07-08 대한민국 고정력이 향상된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KR102019155B1 (ko) 2019-06-14 2019-09-10 대한민국 가변형 패류껍질 어구용 무게추
KR102587286B1 (ko) 2022-10-11 2023-10-11 김부석 주꾸미 포획 어구
KR20240057099A (ko) 2022-10-24 2024-05-02 이상훈 주꾸미 낚시용 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29B1 (ko) 쭈꾸미 포획용 어구
US4642934A (en) Transportable live well liner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US4498190A (en) Aquatic animal containing devices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US7299582B1 (en) Fishing hook rig and lure container
US6662488B1 (en) Fish containment device
US5943812A (en) Crab trap
AU2005202227A1 (en) A Trap for Marine Life
KR101830507B1 (ko) 조립식 바다 통발
JP2651899B2 (ja) ボックス型漁具
US11452282B2 (en)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JP3500121B2 (ja) 生き餌容器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US20180027791A1 (en) Live Well Buddy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CA2624435A1 (en) Live bait trap and bucket
KR20210000887U (ko) 쭈꾸미 낚시용 쭈그럼틀
KR20190001510U (ko) 기능성을 개선한 낚시가방
KR200401513Y1 (ko) 낚시용 개량 낚시찌
JP3151462U (ja) 蟹捕獲用の箱型装置
KR200252313Y1 (ko) 야행성 민물어류 포획용구
KR20200040367A (ko) 활어보관박스용 어망고정부재
US20070186462A1 (en) Castable crab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