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313A -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313A
KR20190110313A KR1020180032137A KR20180032137A KR20190110313A KR 20190110313 A KR20190110313 A KR 20190110313A KR 1020180032137 A KR1020180032137 A KR 1020180032137A KR 20180032137 A KR20180032137 A KR 20180032137A KR 20190110313 A KR20190110313 A KR 20190110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ater
luer
photoluminescen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이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진 filed Critical 이병진
Priority to KR102018003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313A/ko
Publication of KR2019011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 A01K85/013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ornaments creating visual effects, e.g. colors, patterns with projections for simulation and reflecting; with indentations for simulation and ref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행성을 가지면서 집단 서식하는 두족류의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야간에 빛의 심미감을 이용한 유인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신축성을 가지는 루어를 이용하여 입질시 거부감을 없애주며, 특히 루어가 유동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루어의 생동감 부여에 따른 루어의 성능 향상 및 두족류의 적대감 해소에 따른 유인이 가능하게 하는 등 두족류의 유인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A fishing tackle }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수중에서 빛의 발광과 루어의 생동감을 부여함으로써 어류(두족류)의 효과적인 유인이 가능하게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란 갈고리 형태의 바늘에 미끼를 끼워 물속에 투입함으로써 미끼에 의해 유인되어 바늘에 꿰인 물고기를 포획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미끼로는 지렁이나 새우 등과 같이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작은 생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인조미끼를 바늘에 매달아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문어나 쭈꾸미,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頭足類)에 속하는 어류의 경우 집단 서식하는 특성상 집단 서식하는 포인트를 확보시 상당한 어과를 올릴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일반적인 두족류의 낚시채비는 중앙 추몸체의 상부에 구슬을 결합하고, 추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늘을 방사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는 후술하는 참고문헌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몸체에 무게추를 결합하고 또 다수의 바늘을 방사형태로 결합해야 하는 등, 그 형태는 비교적 단순한 반면에 다수의 바늘과 무게추를 몸체에 결합해야 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다수의 바늘(보통 6개에서 8개이상)을 방사형태로 용접 등으로 결합시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치 않고 비용이 고가로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두족류 낚시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맞추어 보다 제작을 용이하는 등의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낚시채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 쭈꾸미 등의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추 상부에 축광안료를 혼합한 합성수지제 볼을 고리에 의해 고정시켜서 제조공정을 간단히 한 주꾸미 낚시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섬유재질의 망 형상으로 겉면부를 감싸게 형성하여 실제 먹이와 같은 감촉을 제공함으로써 포획효과를 높인 주꾸미 낚시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쭈꾸미 채비는 단순히 루어 형태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바늘이 형성되어 접근한 두족류를 포획하는데 목적이 있는 등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923096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로공보 제20-04795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야행성을 가지면서 집단 서식하는 두족류의 성질을 최대한 이용하여 야간에 빛의 심미감을 이용한 유인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신축성을 가지는 루어를 이용하여 입질시 거부감을 없애주며, 특히 루어가 유동성을 가지게 함으로서, 루어의 생동감 부여에 따른 루어의 성능 향상 및 두족류의 적대감 해소에 따른 유인이 가능하게 하는 등 두족류의 유인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단 및 하단은 축광체로 된 상,하부 고정볼로 마감되고, 하부 고정볼의 하단에는 하부 고리부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축광된 빛을 발광하는 대롱; 및
대롱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단은 축광체로 된 상부 마감볼로 마감되고, 상부 마감볼의 상단에는 상부 고리부가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축광체로 된 복수의 유동구슬이 형성된 탄성줄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대롱에는,
수중에서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한 제1 루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루어는,
대롱이 관통되는 한편, 내주면이 대롱의 둘레와 이격되어 상,하 유동력을 가지며, 물속에 가라앉는 승강구; 및
신축성 축광체로 구성되며, 승강구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수류에 의한 유동성 및 부력을 가지는 축광체로 된 다수의 술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술은,
수중에서 대롱이 상승시 수압에 의해 오므라들고, 대롱이 하강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항력이 작용하여 승강구가 대롱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는 대롱의 둘레에 축광체가 형성되어 있어, 야간에 수중에서 빛의 심미감을 부여하게 되는 등 두족류의 호기심 유발에 따른 유인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대롱과 탄성줄에 각각 루어가 구성된 것인바, 상부 및 하부에서 두족류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 루어를 구성함에 있어 입질시 거부감을 줄여주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특히 대롱에 위치되는 루어의 경우 부력에 의한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등 루어의 생동감 증대에 따른 두족류 유인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여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축광체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축광체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제1 루어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도래유닛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대롱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제1 루어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대롱(100)과, 탄성줄(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대롱(100)은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투명의 원형봉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대롱(100)은 그 상단 및 하단이 축광체로 구성되어 어두운 곳에서 축광된 빛을 발광하는 상부 고정볼(110) 및 하부 고정볼(120)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볼(120)의 하단에는 하부 고리부(121)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대롱(100)에는 그 둘레에는 축광체(130)가 형성되어 밝은 곳에서 빛을 저장하였다가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게 구성된다.
이때, 축광체(13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축광체(130)는 축광도료로 구성하여 대롱(100)의 표면에 도포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축광체(130)는 축광테이프로 구성하여 대롱(100)의 표면에 권취 부착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대롱(100)의 표면에 축광체(13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대롱(100)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축광체(130)의 간격을 두고 구성시에는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대롱(100)의 둘레에서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선 형태로 연속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나선 형태로 구성시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광체(130)와 대롱(100)의 표면이 반복되게 구성된다.
또한, 축광체(130)의 간격을 두고 구성시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대롱(100)의 둘레에서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연속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격자 형태로 구성시에는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광체(130)와 대롱(100)의 표면이 반복되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축광체(130)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하게 되면, 대롱(100)이 수중에서 유동시 발광되는 빛의 다양한 발산효과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롱(100)의 표면에 축광체(1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대롱(100)의 전체면에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축광체(130)를 대롱(100)의 전체면에 구성하게 되면, 대롱(100)이 수중에서 유동 되더라도 대롱(100) 전체에 대하여 일정하고 고르게 빛의 집중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대롱(100)은 어두운 곳에서 자체적으로 빛의 발광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야간 낚시시 수중에서 빛을 발광시켜 어류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 및 유인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대롱(100)에는 수중에서 수류가 작용시 유동성을 가지는 제1 루어(3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루어(300)는 먼저 대롱(100)이 관통되는 한편 내주면이 대롱(100)의 둘레와 이격 형성되어 대롱(100)을 따라 상,하 승강 유동이 가능한 관체형 승강구(310)가 구성된 것으로, 승강구(310)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소정의 중량을 가져 수중에서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구성되며, 그 승강 과정에서 대롱(100)의 상부 고정볼(110)과 하부 고정볼(120)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루어(300)는 상기 승강구(310)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술(320)(320')이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다수의 술(320)(320')은 일정한 길이와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의 상단이 상기 승강구(310)의 상단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술(320)(320')은 신축성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축광체로 구성되어 수류가 작용시 자유로운 유동 및 부력이 작용하는 한편 자체에서 축광된 빛이 발광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신축성 축광체로는 어류가 입질시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에 축광물질이 함침된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즉, 제1 루어(300)는 전체적으로 통상의 "해파리"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수중에서 대롱(100)이 상승시 수압에 의해 다수의 술(320)(320')이 오므라들고, 대롱(100)이 하강시 다수의 술(320)(320')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항력이 작용하여 승강구(310)가 대롱(100)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면서 수중에서 생동감을 부여하여 어류로 하여금 미끼로 오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술(320)(320')은 각각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색상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술(320)(320') 표면에는 발광되는 빛의 난반사가 가능하도록 무수한 펄(321)이 더 구성된 것으로, 복수의 색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발광되는 빛이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되어 그 심미감의 향상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탄성줄(2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대롱(100)의 상단 즉, 상부 고정볼(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수류에 의한 대롱(100)의 전체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탄성줄(200)에는 그 상단에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축광체로 구성되어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상부 마감볼(220)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또한, 탄성줄(200)에는 상기 상부 마감볼(220)의 상단에 상부 고리부(221)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탄성줄(200)에는 그 하단 둘레에는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축광체로 구성되어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유동구슬(210)(2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유동구슬(210)(210')은 탄성줄(200)로부터 회전 유동은 가능하고 상,하 유동은 방지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를 구성함에 있어, 도 6을 참조하여 탄성줄(200)에는 제2 루어(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루어(400)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하는 신축성 축광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신축성 축광체로는 어류가 입질시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실리콘에 축광물질이 함침된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제2 루어(400)는 먼저 탄성줄(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루어헤드(410)가 구성된다.
또한, 제2 루어(400)는 상기 루어헤드(410)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날개부(420)(420')가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다수의 날개부(420)(420')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제2 루어(400)는 날개부(420)(420')가 수중에서 수류에 의한 유동성을 가져 생동감을 부여하여 어류로 하여금 미끼로 오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를 구성함에 있어, 도 7을 참조하여 탄성줄(200)에는 제3 루어(5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루어(500)는 다수의 반사필름(510)(510')으로 구성하되, 이때 반사필름(510)(510')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시 통상의 은박이나 금박 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박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반사필름(510)(510')은 그 각각의 상단이 별도의 고정구(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탄성줄(200)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구성된다.
즉, 반사필름(510)(510')은 수중에서 수류에 의해 유동되는 한편 대롱(100)에서 발산되는 빛의 난반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수중에서 심미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낚시채비(1)에는 낚싯줄, 봉돌, 낚시바늘 등을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탄성줄(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고리부(221)에는 맨도래(61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맨도래(61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양측에 걸이부(611)(611')가 형성되어 그 일측의 걸이부(611)에 의해 상부 고리부(221)에 연결되고 타측 걸이부(611')에는 통상의 낚싯줄이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리부(121)와, 유동구슬(210)(210')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는 낚시에 필요한 봉돌, 낚시바늘 등을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도래유닛(62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래유닛(62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도래유닛(620)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도래유닛(62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하부 고리부(121)와, 유동구슬(210)(210')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양측에 걸이부(631)(631')가 형성된 통상의 맨도래(630)가 일측의 걸이부(631)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맨도래(630)에는 타측의 걸이부(631')에 개폐 작동을 통해 봉돌, 낚시바늘 등의 연결 사용이 가능한 개폐도래(640)가 구성된다.
이때, 개폐도래(64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9의 (a)와 같이 핀도래(64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핀도래(641)는 일측에는 상기 맨도래(630)의 타측 걸이부(631')에 걸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고리(6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고리(642)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고리 형태를 이루는 걸이핀(643)이 구성되며, 그 걸이핀(643)의 일측에는 걸이편(644)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핀도래(641)는 걸이핀(643)을 걸이편(644)에 걸어 폐쇄하거나, 걸이핀(643)에 탄력을 가해 걸이편(644)으로부터 분리 개방시켜 봉돌, 낚시바늘 등을 선택적으로 걸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개폐도래(640)는 도 9의 (b)와 같이 원터치도래(645)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원터치도래(645)는 일측에는 상기 맨도래(630)의 타측 걸이부(631')에 걸어 고정이 가능한 고정고리(64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고리(646)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어 고리 형태를 이루는 탄력편(647)이 구성되며, 그 탄력편(647)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경사 절곡부(648)가 구성되어 봉돌, 낚시바늘 등의 탄력 진입을 유도하게 구성된다.
즉, 원터치도래(645)는 탄력편(647)의 경사 절곡부(648) 연결부가 항시 탄력편(647)에 접하는 폐쇄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경사 절곡부(648)를 통해 봉돌, 낚시바늘 등을 선택적으로 탄력 진입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낚싯줄과 연결되어 수중에 배치되어 수중에서 활동하는 어류의 유인이 가능하게 하되, 바람직하게는 어류중 야행성으로 집단 서식하는 두족류(문어, 쭈꾸미, 오징어 등)의 유인이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어두운 수중에서 빛의 발광 및 루어의 생동감을 부여하는 등 심미감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두족류로 하여금 호기심을 유발시켜 접근을 유도하게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일예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부 고리부(221)에는 맨도래(610)를 형성 및 낚싯줄(10)을 연결하고, 하부 고리부(121)와, 유동구슬(210)(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도래유닛(620)에는 봉돌(20), 낚시바늘(30)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야간에 두족류 낚시를 위해서는 수중으로 진입되는 것으로, 수중에 진입된 낚시채비(1)는 축광된 빛의 발광과 루어가 유동하면서 생동감을 부여하게 되는 등 수중에서의 심미감 부여에 따른 두족류의 유인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 낚시채비(1)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수중에서 대롱(100)에 형성되는 축광체(130) 및 상,하부 고정볼(110)(120)의 발광에 의해 심미감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대롱(100)에 형성되는 축광체(130)를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나선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그 축광체(130)와 대롱(100)의 표면이 반복 형성된 것인바, 부분적인 발광 효과는 물론, 일예로 대롱(100)이 수중에서 회전 유동시 회오리 형태의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그 심미감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대롱(100)에 형성되는 축광체(130)를 도 3을 참조하여 격자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그 축광체(130)와 대롱(100)의 표면이 반복 형성된 것인바, 부분적인 발광 효과는 물론, 일예로 대롱(100)이 수중에서 회전 유동시 반복 형태의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 그 심미감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대롱(100)에 형성되는 축광체(130)를 도 4를 참조하여 대롱(100) 전체면에 구성하게 되면 대롱(100) 전체면에 집중적인 발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발광되는 빛이 멀리까지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어두운 수중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발광 없이 자체적인 발광이 가능하여 어두운 곳에서 빛을 따라 행동하는 두족류의 효율적인 유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도 5를 참조하여 대롱(100)에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한 제1 루어(300)가 구성되어 두족류의 호기심 유발 및 유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루어(300)는 부력 작용 및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 12의 도시와 같이 일예로 수류의 작용 또는 인위적으로 낚시채비(1)의 상,하 승강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그 제1 루어(300)는 대롱(100)과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데, 그 상부로 이동시에는 다수의 술(320)(320')이 수압에 의해 오므라들어 항력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후, 대롱(100)이 다시 하강하게 되면 그 제1 루어(300)도 하강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제1 루어(300)는 자중에 의해 물속에 가라앉는 승강구(310)에 의해 가라앉게 된다.
이때, 그 승강구(310)의 둘레에는 부력 작용하는 다수의 술(320)(320')이 구성된 것인바, 술(320)(320')이 방사상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물과의 항력이 작용하여 승강구(310)의 하강 속도를 줄이게 되며, 또한 다수의 술(320)(320')은 수류에 의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등 수중에서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생동감을 부여하여 두족류로 하여금 실제 먹이로 오인 유도하게 된다.
또한, 제1 루어(300)의 다수의 술(320)(320')은 축광된 빛의 발광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수중에서 심미감을 함께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루어(300)의 각각의 술(320)(320')을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색상을 이루게 구성하는 한편, 표면에 빛의 난반사가 가능한 펄(321)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렇게 다양한 색상과 펄(321)을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색상으로의 발광 및 펄(321)을 통해 난반사 되어 수중에서의 심미감이 보다 극대화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도 7을 참조하여 탄성줄(200)에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한 제2 루어(400)를 구성하여 두족류의 호기심 유발 및 유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2 루어(400)는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수류의 작용 또는 인위적으로 낚시채비(1)에 유동을 부여하게 되면 그 제2 루어(400)의 날개부(420)(420')는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등 수중에서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생동감을 부여하여 두족류로 하여금 실제 먹이로 오인 유도하게 된다.
또한, 제2 루어(400)는 자체적으로 축광된 빛의 발광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수중에서 심미감을 함께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도 8을 참조하여 탄성줄(200)에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한 제3 루어(500)를 구성하여 두족류의 호기심 유발 및 유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3 루어(500)는 빛의 반사가 가능한 반사필름(510)(51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수류의 작용 또는 인위적으로 낚시채비(1)에 유동을 부여하게 되면 각각의 반사필름(510)(510')이 유동되는 한편 대롱(100)에서 발산되는 축광된 빛의 난반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수중에서 심미감을 부여하는 한편 수중에서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생동감을 부여하여 두족류로 하여금 실제 먹이로 오인 유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1)는, 수중에서 수중에서 수류에 작용시 탄성줄(200)의 탄성에 의해 대롱(100)의 자연스러운 유동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인바, 낚시채비(1) 전체적인 생동감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낚시채비의 작용을 두족류(문어, 쭈꾸미, 오징어)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다양한 어류의 야간낚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는, 야간에 두족류 낚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중에서 축광된 빛의 발광을 통한 두족류의 유인은 물론, 루어의 생동감 부여에 따른 접근을 유도하게 되는 등 우수한 조과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대롱 110 : 상부 고정볼
120 : 하부 고정볼 121 : 하부 고리부
130 : 축광체
200 : 탄성줄 210,210' : 유동구슬
220 : 상부 마감볼 221 : 상부 고리부
300 : 제1 루어 310 : 승강구
320,320' : 술 321 : 펄
400 : 제2 루어 410 : 루어헤드
420,420' : 날개부
500 : 제3 루어 510,510' : 반사필름
610 : 맨도래 620 : 도래유닛
630 : 맨도래 640 : 개폐도래
641 : 핀도래 642 : 고정고리
643 : 걸이핀 644 : 걸이편
645 : 원터치도래 646 : 고정고리
647 : 탄력편 648 : 경사 절곡부

Claims (7)

  1. 상단 및 하단은 축광체로 된 상,하부 고정볼(110)(120)로 마감되고, 하부 고정볼(120)의 하단에는 하부 고리부(121)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축광체(130)가 형성되어 축광된 빛을 발광하는 대롱(100); 및
    대롱(100)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단은 축광체로 된 상부 마감볼(220)로 마감되고, 상부 마감볼(220)의 상단에는 상부 고리부(221)가 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축광체로 된 복수의 유동구슬(210)(210')이 형성된 탄성줄(2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대롱(100)에는,
    수중에서 수류에 의한 유동이 가능한 제1 루어(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1 루어(300)는,
    대롱(100)이 관통되는 한편, 내주면이 대롱(100)의 둘레와 이격되어 상,하 유동력을 가지며, 물속에 가라앉는 승강구(310); 및
    신축성 축광체로 구성되며, 승강구(310)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수류에 의한 유동성 및 부력을 가지는 축광체로 된 다수의 술(320)(3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술(320)(320')은,
    수중에서 대롱(100)이 상승시 수압에 의해 오므라들고, 대롱(100)이 하강시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항력이 작용하여 승강구(310)가 대롱(100)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축광체(130)는,
    대롱(100)의 둘레에 도포 형성된 축광도료로 구성하거나,
    대롱(100)의 둘레에 권취되는 축광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축광체(130)는,
    대롱(100)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거나, 전체면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3. 제 2항에 있어서,
    축광체(1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 나선 형태로 연속 형성되게 구성하거나,
    격자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루어(300)의 각각의 술(320)(320')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색상을 이루며, 표면에 빛의 난반사가 가능한 펄(321)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5. 제 1항에 있어서,
    탄성줄(200)에는,
    제2 루어(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2 루어(400)는,
    전체적으로 축광체로 구성하며,
    탄성줄(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루어헤드(410); 및
    루어헤드(410)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수류에 의한 유동성을 가지는 다수의 날개부(420)(42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6. 제 1항에 있어서,
    탄성줄(200)에는,
    제3 루어(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제3 루어(500)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반사필름(510)(510')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반사필름(510)(510')은,
    상단이 탄성줄(200)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어 수류에 의한 유동성을 가지며, 대롱(100)에서 발광되는 축광된 빛을 난반사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7.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고리부(221)에는 맨도래(61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하부 고리부(121)와, 유동구슬(210)(210')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낚싯줄, 봉돌, 낚시바늘 등을 선택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래유닛(6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도래유닛(620)은,
    하부 고리부(121)와, 유동구슬(210)(210')의 사이와, 상부 고리부(221)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고정되는 맨도래(630); 및
    맨도래(630)의 일측에 형성되어 봉돌, 낚시바늘 등의 결합 사용이 가능한 개폐도래(6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개폐도래(640)는,
    일측에 고정고리(6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이편(644)에 탄력 걸림되는 걸이핀(643)이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핀도래(641)로 구성하거나,
    일측에 고정고리(64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경사 절곡부(648)를 갖는 탄력편(647)에 의해 항시 폐쇄되는 탄력을 가지는 원터치도래(645)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KR1020180032137A 2018-03-20 2018-03-20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KR20190110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37A KR20190110313A (ko) 2018-03-20 2018-03-20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37A KR20190110313A (ko) 2018-03-20 2018-03-20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13A true KR20190110313A (ko) 2019-09-30

Family

ID=6809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37A KR20190110313A (ko) 2018-03-20 2018-03-20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3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03A (ko) * 2020-11-10 2022-05-17 이석주 자동 후킹 기능을 갖는 낚시 채비
KR20220084726A (ko) * 2020-12-14 2022-06-21 안정현 두족류 낚시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0479507Y1 (ko) 2014-07-29 2016-02-04 박은옥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0479507Y1 (ko) 2014-07-29 2016-02-04 박은옥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03A (ko) * 2020-11-10 2022-05-17 이석주 자동 후킹 기능을 갖는 낚시 채비
KR20220084726A (ko) * 2020-12-14 2022-06-21 안정현 두족류 낚시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877B2 (en) Expanding or contracting fishing lure
US5182875A (en) Flexible type fishing lur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9504237B2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5428918A (en) Fishing lure having a locking collar
US6286246B1 (en) Electrostatically flocked fishing l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303232B2 (ja) 疑似餌仕掛け
US2481789A (en) Artificial fishing lure
KR20190110313A (ko) 어류 유인구조를 갖는 낚시채비
KR20180059971A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어셈블리
KR20180002179U (ko)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20170000556U (ko)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US2216688A (en) Fish lure
US5127183A (en) Fishing fly
KR20200000292U (ko) 루어 바늘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20180067187A (ko) 인조미끼용 낚시채비
KR20220001715U (ko) 다수개의 핀도래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봉돌
KR102526013B1 (ko) 두족류 낚시 채비
JP6340490B1 (ja) 釣り用仕掛け及び釣り方法
KR102521755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US20180199552A1 (en) Hooked on fishing lure/spinner bait
KR20200000425U (ko) 발광체를 구비한 인조미끼
KR10188523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Glaeser et al. Signaling, swimming, flying, expl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