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865A -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 Google Patents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865A
KR20120000865A KR1020100061354A KR20100061354A KR20120000865A KR 20120000865 A KR20120000865 A KR 20120000865A KR 1020100061354 A KR1020100061354 A KR 1020100061354A KR 20100061354 A KR20100061354 A KR 20100061354A KR 20120000865 A KR20120000865 A KR 20120000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seedlings
mushroom
pit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514B1 (ko
Inventor
가강현
박현
박원철
허태철
김희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0006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10Mycorrhiza; Mycorrhizal associ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송이균환으로부터 1cm~2cm 밖이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의 간격이 50cm~60cm로 유지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단계; 망분에 수고가 50cm~100cm 소나무이고, 천연치수 또는 마사토양에서 11개월~13개월 동안 가식한 소나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망분에 투입된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경제적 측면에서 상품성이 있는 송이의 생산을 위한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재배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이용가능성이 있다고 할 것이고, 송이 재배농가의 수익향상에 도움을 줌은 물론, 고단백 저칼로리의 건강식품으로 건강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송이의 원활한 공급을 통해 국민건강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Method of Reformed Matsutake-Infected Pine Tree}
본 발명은 송이 인공재배를 위한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이균환 선단으로부터 1cm~2cm 밖이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의 간격이 50cm~60cm로 유지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단계; 망분에 수고가 50cm~100cm 소나무이고, 천연치수 또는 마사토양에서 11개월~13개월 동안 가식한 소나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망분에 투입된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이다.
송이는 송이과(Tricholomataceae)에 속하고 소나무류 수목의 뿌리에 외생균근(ectomycorrhiza)을 만드는 버섯이다. 또한 송이는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 송이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향이 독특하고 맛이 좋다.
주로 가을철(8월 하순부터 10월 중순) 에 소나무 숲 땅 위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8∼20cm이다. 처음 땅에서 솟아나올 때는 공 모양이나, 점차 커지면서 남자의 성기 모양이 되고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약간 봉긋하다. 갓 표면은 엷은 다갈색이며 갈색 섬유상의 가느다란 인편으로 덮여 있다.
어린 송이버섯은 흰색 솜털 모양의 피막에 싸여 있으나 펴짐에 따라 피막은 파여서 갓 가장자리와 버섯대에 붙어 부드러운 버섯대 고리로 남는다. 살은 흰색이고 꽉 차 있으며, 주름살도 흰색으로 촘촘하다.
버섯대는 길이 10cm, 굵기 2cm로 버섯대 고리의 위쪽은 흰색이고 아래쪽에는 갈색을 띈다. 포자는 6.5~7.5 ㎛× 4.5~5.5 ㎛로 타원형이며 무색이다. 일반적으로 송이는 20∼60년생 소나무숲에 발생하며, 송이균은 소나무의 어린뿌리에 붙어서 균근(菌根)을 형성하는 공생균(共生菌)이다.
송이의 포자가 적당한 환경에서 발아된 후 균사로 생육하며 소나무의 어린뿌리에 착생한다.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살아 있는 어린뿌리가 흑갈색으로 변하면서 성숙한 균근을 형성하게 된다. 균근은 땅속에서 방석 모양으로 생육 번식하면서 흰색의 뜸(소집단)을 형성하며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퍼져 나가는데 이것을 균환(菌環)이라고 한다. 충분히 발육된 균사는 땅속 온도가 5∼7일간 19℃ 이하로 지속되면 버섯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무렵에는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송이는 주로 가을에 발생하며 6∼7월에 약간 발생하기도 한다. 하나의 송이가 발생하려면, 송이균환 직경이 30~40cm 정도는 되어야 한다. 송이균과 균근은 더욱 발달하여 고리 모양의 균환이 되고 이곳에서 송이가 더 많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균환이 해마다 5~20cm 내외로 생장함에 따라 송이의 생산량도 함께 증가한다.
송이는 한번 땅에서 자라면 다년생 식물처럼 매년 수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년생 버섯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소나무가 노쇠하거나 송이균이 자랄 수 없는 여건이 되면 생명력을 잃게 된다.
송이와 송이 근연종은 북반구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Wang et al., 1997). 송이의 종명은 마쓰타케(matsutake)라고 부르는데 일본어로서 matsu는 소나무(pine), take는 버섯(mushroom)이라는 의미이다(小川, 1991). 그래서 송이는 글자상으로는 소나무버섯(pine mushroom)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북한, 일본, 중국에서 발생하는 동북아시아 송이는 학명이 Tricholoma matsutake이고, 대부분 소나무(Pinus densiflora)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일부지역에서는 소나무 이외에 Abies sachalinensis var. sachalinensis, 솔송나무류 및 가문비나무 임분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小川, 1991). 중국에서는 송이를 송심(松), 송고(松), 송균(松菌)이라고 부르고 있다. 기주식물로는 소나무 이외에 운남송(P. yunnanesis), 마미송(P. massoniana)에서도 송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아메리카 및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발생하는 미국송이는 학명이 T. magnivelare이고, American Matsutake, White Matsutake, Hongo Blanco de Ocote라고 부른다. 캐나다에서는 주로 P. contorta, Tsuga heterophylla, Pseudotsuga menziesii, 미국에서는 Abies amabilis, P. lambertiana, P. monticola, P. banksiana, P. resinosus, 멕시코에서는 P. teocote 등의 산림에서 송이가 발생하고 있으나(Hosford et al., 1997), 동북아시아 지역의 송이와는 유전적으로 다른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럽, 북아프리카, 일부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는 유럽송이는 학명이 T. caligatum이고, booted matsutake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지중해 지역에서 발생하므로 특징적인 지중해성 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 역시 동북아시아 지역의 송이와는 유전적으로 다른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칸디나비아반도 지역에서 발생하는 스웨덴송이는 학명이 T. nauseosum이고, P. sylvestris 산림에서 발생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송이와 스칸디나비아반도 지역에서 발생하는 송이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명되었다(Bergius and Danell, 2000).
송이와 매우 유사종으로 중국에서는 참나무림에서 발생하는 T. bakamatsutakeT. quercicola 종이 있다. 특히, T. bakamatsutake는 일본에서는 참나무류 같은 활엽수림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한편, 중국 남부의 상록참나무 숲에서는 우리나라의 송이와 약간 다른 T. matsutake var. quinggan(혹은 T. quercicola)이 발생하고 있다.
모두가 외형적으로 비슷하며, 일본은 송이 생산 국가들로부터 여러 종류의 송이를 연간 3,000톤 이상 수입하고 있다(大橋, 1999). 그 이외에 송이와 근연종은 바보송이(T. bakamatsutake), 송이아재비(T. robustum) 등이 있다.
한국의 송이 주산지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경북 울진·영주·봉화 지방과 강원 강릉·양양 지방이다. 최근에는 송이가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1970년대 초반에는 경기도(가평, 광주), 충청남도(예산), 전라남도(담양, 함평, 화순)에서도 송이 수매가 이루어졌지만, 현재 이 지역에서는 송이 수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른 지역의 송이 생산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 생산량이 매우 적음을 의미한다. 경남 고성이나 전남 장성, 담양, 구례, 순천 등에서도 송이가 발생하고 있다(장 등, 2000). 최근에는 지방자치제가 도입되어, 각 시도 지자체에서 송이 발생지 조사와 환경개선 작업을 시도하려는 노력들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6년간(’90~’95)의 송이 생산량을 살펴보면, 경상북도가 전국 생산량의 약 65%, 강원도가 약 27%를 차지하여 90% 이상이 이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박 등, 1996). 송이는 임산물 가운데 중요한 수출 품목으로 연간 300~600톤을 일본으로 수출, 3,000~6,000만 불의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김 등, 1999).
송이가 많이 생산되는 지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상북도의 울진, 봉화, 영덕과 강원도 양양, 삼척 등을 꼽을 수 있는데, 매년 그 순위는 해당 연도의 온도와 강수량 등에 따라 변화한다. 고성 산불(1996) 3,762ha와 동해안 산불(2000) 23,794ha의 주요한 송이 주산지 산불피해로 송이 생산지의 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송이를 수매하지 않는 곳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은 송이 생산량의 감소보다는 유통질서의 왜곡으로 인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송이의 품질은 버섯갓의 피막이 터지지 않고, 버섯대가 굵고 길으며 살이 두꺼운 것이 좋다. 또한 향기가 진하고 색깔이 선명하며 탄력성이 큰 것이 우량품이다. 송이 버섯은 맛과 향이 아주 우수하여 고급 요리에 사용되고 있으며, 요즈음 들어서는 미약하지만은 항암작용의 효능도 있고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인공 재배가 불가능하여 가격이 비싼 편이며, 쉽게 변질되므로 채취 후의 취급이 곤란하므로 저장이나 운송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송이는 생산시기에 채취 집하되어 생송이로 일본으로 많이 수출하고, 일부는 냉동 또는 염장하거나 통조림으로 저장하여 이용한다. 송이는 활물기생균이므로 표고와 같이 종균에 의한 인공재배가 곤란하여 송이의 발생 임지에 대한 환경개선과 관리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나무 묘목을 송이균에 감염시켜 이식하는 방법 등이 연구 중에 있다.
송이는 소나무 뿌리에 전형적인 외생균근을 형성하며, 상리공생을 통해 살아간다. 이때, 송이균은 숙주식물인 소나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나, 소나무는 송이균의 존재유무에 상관없이 살아갈 수 있다. 송이와 소나무의 공존관계는 입지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가능한 한 송이산은 비옥한 토양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나무와 송이균의 상호관계는 도 1과 같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송이는 독특한 입지조건을 요구하며 소나무의 양분을 전적으로 이용하면서 버섯을 만든다. 송이의 시작은 일반 버섯과 마찬가지로 포자를 만들어 번식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송이가 산에서 어떻게 번식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얻지 못해 지금까지 송이균을 야외에서 번식시키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송이의 생활사는 도 2와 같다.
송이 감염묘는 이미 송이가 발생하고 있는 송이균환 바로 전방 혹은 송이균환 선단 위쪽 표면에 소나무 묘목을 심은 후 송이균이 생장하면서 심은 소나무 뿌리에 1차적으로 송이균이 감염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송이균이 감염된 묘목은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소나무림에 이식하여 2차 감염을 유도함으로써 새로운 송이균환을 만드는 것이다.
송이 감염묘법은 1974년 무렵 일본에서 국공립임업시험장을 중심으로 개발된 방법이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유럽 지역에서는 이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덩이버섯(truffle)을 인공재배 한 바 있다. 덩이버섯의 경우, 감염 묘목을 만드는 데에 최소 1.5~2년이 소요되며, 이로부터 약 6~9년이 경과한 후에야 버섯이 만들어 진다.
1983년 히로시마 임업시험장에서는 송이 감염묘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한 개의 송이를 발생시키는 데에 성공하였으나, 그 이후 새롭게 송이가 발생되지 않아 성공한 실패로 끝났다. 이 경우에는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지 6년째에 버섯이 발생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송이 감염묘법은 1980년대 초부터 수행한 경험이 있다. 다만 그 재배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한국의 송이는 양분을 공급해주는 기주식물인 소나무와 송이가 땅속에서 잘 자랄 수 있는 토양환경 조건 및 송이 버섯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 조건이 서로 어우러질 때 우리가 보고 먹을 수 있는 버섯으로 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요인에 의해 송이 버섯발생이 좌우된다면 송이의 인공재배가 쉽게 가능하지만 여러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송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아직까지 송이 인공재배는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송이 발생은 많은 부분이 자연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송이감염묘법에 있어, 경제적 측면에서 상품성이 있는 송이의 생산을 위한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재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에서는 송이균환으로부터 1cm~2cm 밖이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의 간격이 50cm~60cm로 유지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단계; 망분에 수고가 50cm~100cm 소나무이고, 천연치수 또는 마사토양에서 11개월~13개월 동안 가식한 소나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망분에 투입된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 감염묘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는 영동 지방에서는 9월~11월에 시행하고, 영서 지방에서는 3월~5월에 식재하되, 송이 감염묘를 생산하는 것은 봄과 여름을 2번 거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후 2년이 경과한 이후에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나무를 중심으로 10 cm 간격 8방위의 지점을 색대로 찔러서 색대에 남아있는 토양 내에 송이균의 향기 유무를 가지고 판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는 송이 감염묘 소나무를 식재 전 소나무림을 소나무 가지사이의 거리를 0.9m~1.2m로 유지되도록 간벌을 하고, 식재이후 이식지 소나무림에 대하여 3년간 소나무 가지 사이의 거리가 1 m 내외로 유지되도록 감염묘를 가지치기 하는 단계일 수 있다.
1985년 이후부터 송이 생산량이 줄어드는 경향이 뚜렷하고, 1996년 고성 산불로 3,762ha, 2000년 동해안 산불로 23,794ha의 송이 주산지 산림 피해를 입었다. 송이산지에 대해서는 소나무 용기묘를 식재했기에 고성산불지역의 소나무는 현재 13년에 이르고 있어 송이균이 침투할 수 있는 수령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산불피해지역의 송이산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우리나라의 송이 인공재배에 대한 연구는 1980년 초에 시작되었다. 그 당시에는 송이 감염묘 육성법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시작하였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이미 일본에서 한번 성공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연구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지 못해 결국 실패하였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2000년부터 농림기술관리센터의 예산을 받아 “송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개발” 과제에서 송이 인공재배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경북산림환경연구소의 송이 접종묘 생산과 양양군 농업기술센터의 송이 균사체 접종 등과 같은 송이 인공재배를 향한 노력들을 경주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송이 인공재배 연구에서 송이가 발생하였다는 보고는 없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은 송이균사체 대량배양, 송이 접종묘 및 감염묘 생산 성공 기술을 바탕으로 송이 인공재배의 가능성을 한층 더 높여가고 있다. 또한 송이 생산량 감소가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자, 2000년 이후 산림청은 국비지원 하에 전국적인 송이산가꾸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본 발명인 개량된 송이 감염 묘법을 통해 경제적 측면에서 상품성이 있는 송이를 현실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소나무와 송이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송이의 생활사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자가 수행한 송이 감염묘의 모식도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송이균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송이균환의 선단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송이균환 단면에 관한 것으로 화살표는 균환선단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은 2000년도 송이균환 선단으로부터 송이 발생위치까지의 거리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송이가 원기에서부터 생장하는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9은 홍천 기상관측소의 평균온도와 강수량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했던 망분에 관한 것이다.
도 11는 감염묘를 식재한 모습에 관한 것이다.
도 12은 송이 감염묘 이식지 전경에 관한 것이다.
도 13는 송이 감염묘 이식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자가 실험에 사용하였던 식대에 관한 것이다.
도 15은 상기 도12의 식대로 송이균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자가 실험에 확인한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패턴에 관한 것이다.
도 17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에 관한 것이다.
도 18는 본 발명자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존실험을 한 것으로 식재후 1년후 파내서 확인한 모습이다.
도 19은 본 발명자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존실험을 한 것으로 식재후 2년후 파내서 확인한 모습이다.
도 20은 이식후 2년 내지 5년까지의 기간을 나누어 송이균의 생존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도 21는 송이감염묘의 이식지 및 가지치기를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이균환으로부터 1cm~2cm 밖이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의 간격이 50cm~60cm로 유지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단계; 망분에 수고가 50cm~100cm 소나무이고, 천연치수 또는 마사토양에서 11개월~13개월 동안 가식한 소나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망분에 투입된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 감염묘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는 영동 지방에서는 9월~11월에 시행하고, 영서 지방에서는 3월~5월에 식재하되, 송이 감염묘를 생산하는 것은 봄과 여름을 2번 거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후 2년이 경과한 이후에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나무를 중심으로 10 cm 간격 8방위의 지점을 색대로 찔러서 색대에 남아있는 토양 내에 송이균의 향기 유무를 가지고 판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는 송이 감염묘 소나무를 식재 전 소나무림을 소나무 가지사이의 거리를 0.9m~1.2m로 유지되도록 간벌을 하고, 식재이후 이식지 소나무림에 대하여 3년간 소나무 가지 사이의 거리가 1 m 내외로 유지되도록 감염묘를 가지치기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송이 감염묘 생산 등
소나무를 송이균환 바로 전방에 망분을 이용하여 식재한다. 2년 정도 지난 것을 새로운 소나무림에 식재한다. 또 다시 2년 후에 송이균의 생존유무를 색대로 확인하고, 나아가 감염묘가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자가 수행한 송이 감염묘의 모식도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송이균을 옮길 수 있는 접종원으로는 송이 버섯, 포자, 토양속 송이균, 송이균을 가진 소나무 등 여러 가지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야외 조건에서 송이균을 가진 소나무를 만드는 방법인 송이 감염묘이다. 송이 감염묘를 만들기 위기해서는 송이 버섯이 발생하는 송이산을 먼저 찾아야 한다. 송이 버섯이 발생한 아래쪽에는 토양속에 송이균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송이 버섯발생의 모체인 송이균환이다(도 4 참조).
송이 버섯이 발생한 부분의 앞쪽 토양을 보면, 송이균이 존재한 부분(회갈색)과 송이균이 없는 부분(갈색)이 확연히 구분된다(도 5 참조). 송이 감염묘를 육성할 소나무는 송이균환 선단 바로 1~2cm 앞쪽에 망분이 들어갈 정도의 구덩이를 판다. 구덩이와 구덩이의 간격은 50-60cm 간격을 둔다. 이것은 송이 감염묘를 만들기 위해 구덩이 간격이 너무 촘촘하면, 나중에 송이 감염묘를 옮겼을 때 기존의 송이균환에 피해를 키울 수 있다. 그래서 기존 송이균환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구덩이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송이 감염묘 육성 및 이식
송이 버섯이 많이 발생하는 송이균환을 선택하고, 송이 감염묘용 소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광 조건 등을 확보해야 한다.
송이균환과 관련하여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등균류의 균사 유형은 균사 구조의 발달 정도에 따라 균환형, 불규칙한 균사매트형, 산재된 균총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Ogawa, 1981). 이중 균환형을 만드는 버섯으로는 동북아시아의 송이와 유럽의 선녀낙엽버섯(Marasmius oreades)이 널리 알려져 있다(Ogawa, 1981; Gregory, 1982; Ingold, 2000).
송이균환의 초기 형성단계, 발달, 생장 등 송이균근 발달과정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Ogawa, 1975; Tominaga, 1978; 小川 등, 1980). 송이균환은 매년 10~20cm, 17~23cm, 10~13cm, 혹은 5~20cm 정도씩 생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富永과 米山, 1978; 川上, 1994; 伊藤, 2000; 구, 1994).
송이균환의 단면을 보면 송이 균사층이 땅속 20~40cm 깊이까지 뻗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6 참조). 65년생 소나무림에서 송이 균환의 선단 생장범위는 연간 4~23cm로 차이가 많으나 평균 11.3cm이다(가 등, 2002). 이것은 균환이 생장하고 있는 토양의 물리적 조건 혹은 주변 소나무림의 연령 및 양분상태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정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하기 표 1은 1999년부터 2000년까지 1년간 송이균환 선단 생장 거리에 관한 것이다.
균환직경(m) 생장거리(cm) 조사한 지점
1 7.04×6.90 8.9±0.8* 20
2 8.94×7.10 10.1±0.8 28
3 4.03×3.70 10.8±2.2 9
4 5.40×6.60 16.2±1.0 13
5 8.50×8.70 12.5±1.4 17
평균 6.78×6.60 11.3±0.5 (87)
* 평균±표준오차
송이균환 선단에서 송이 자실체까지의 거리는 2000년의 경우 3~36cm로 평균 13.8cm이다(도 7 참조). 이는 송이버섯이 균환 선단으로부터 평균 13.8cm 안쪽에서 발생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당해 발생하는 송이는 1년 전에 형성된 균사체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송이가 균환 선단 안쪽에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송이를 채취할 때는 균환을 보호하기 위하여 버섯으로부터 약 50cm 밖에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 등, 2002).
겨울에 소나무 뿌리의 생장은 정지하고 있지만 송이 균사는 천천히 생장하며 4~7월 사이에는 송이균과 뿌리가 활발하게 생장하면서 균환이 커진다. 또한 이 때에 충분한 양분을 축적하여 버섯이 나오는 환경조건이 되면 여름송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7~8월은 균사와 균근의 양이 증가하면서 버섯이 발생할 준비를 거의 마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8월 말부터 9월로 접어들면서 지온이 19℃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깊이 2~8cm의 땅속에서 송이의 어린 버섯이 만들어진다(小川, 1991; 衣川, 1963).
송이 감염묘용 소나무가 자랄 수 있는 광조건 등을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송이는 소나무의 뿌리에 외생균근을 형성하고 균환을 이루면서 버섯을 발생한다(가 등, 2007). 송이 버섯발생은 전적으로 기상인자에 영향을 받고 있다(박 등, 1995; 조와 이, 1995). 박 등(1995)은 송이 버섯발생에 있어 9월 기상인자의 중요성을 언급하였고, 반면에 조와 이(1995)는 6월과 7월의 기온과 9월과 10월의 강수량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송이산 소나무림에서 토양수분은 지형 인자와 가장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구 등, 2007). 송이 균환부의 수분은 비균환부위보다 약 0.5~2.0% 낮게 나타나며, 이것은 송이균환 부위의 활발한 대사작용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구 등, 2007).
하지만, 소나무림내의 생태계는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여려 인자들이 관여하므로 송이 감염묘 이식 시험지의 기상에 대한 실험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립산림과학원이 송이 감염묘를 실험하는 홍천 송이 시험지에서의 시기별 광량, 대기 온습도와 지중 온습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노천리에 위치한 송이 시험지는 2007년 6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송이발생의 주요한 환경요인인 온도, 상대습도, 토양온도, 토양수분, 일사량을 모니터링 하였다. 홍천의 온도와 상대습도는 HOBO Pro H8 Temp/RH(Onset Computer Corp.), 토양의 온도와 수분은 12bit Temperature smart sensor와 Soil moisture smart sensor(Onset Computer Corp.), 광량은 HOBO Pendant light data logger((Onset Computer Corp.) 장비를 2세트 설치하여 1시간 단위로 설정하였고, 홍천 시험지와 비교하기 위하여 홍천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홍천시험지의 평균온도는 1~2월에 영하의 온도를 나타났지만, 3월부터 영상의 온도를 회복하면서 4월부터 송이균 생장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균온도는 홍천 관측소와 시험지 사이에 거의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지만, 월별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차이가 관측소보다 시험지가 훨씬 높았다. 상대습도는 송이 발생철에 80% 이상으로 좋은 조건을 유지하였다. 이는 관수처리로 인해 발생된 결과로 판단되며, 관수처리는 8월 21일부터 1일 관수량 5mm 정도를 유지하였다. 2008과 2007년도에는 관수처리가 없어 상대습도는 2009년도보다는 낮았다.
홍천 관측소와 비교시 강수량은 8월까지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송이 발생철인 9월과 10월이 2008과 2007년보다 적은 편이었다. 홍천은 해마다 송이발생시기에 강수량이 줄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 관수처리의 필요성이 있다. 하기 표 2은 홍천 시험지의 대기온도와 상대습도에 관한 것이고, 하기 표 3는 홍천 관측소의 대기온도와 상대습도 및 강수량에 관한 것이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7 최고온도(℃) - - - - - 31 31 35 31 27 22 13
평균온도(℃) - - - - - 22 22 23 19 12 4 -2
최저온도(℃) - - - - - 18 14 14 10 -2 -11 -11
상대습도(%) - - - - - 90 87 89 90 78 65 67
‘08 최고온도(℃) 6 12 25 31 33 33 36 36 33 31 18 13
평균온도(℃) -4 -4 5 12 14 19 23 33 18 13 4 -2
최저온도(℃) -17 -17 -5 -1 2 8 18 12 4 1 -12 -17
상대습도(%) 55 44 60 56 60 73 86 82 81 73 65 59
‘09 최고온도(℃) 9 16 26 31 34 34 32 35 33 31 - -
평균온도(℃) -5 -3 4 11 17 19 21 22 18 13 - -
최저온도(℃) -17 -14 -8 -2 6 10 14 10 9 2 - -
상대습도(%) 50 53 54 55 62 73 85 81 78 66 -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7 최고온도(℃) - - - - - 31 31 35 31 27 22 13
평균온도(℃) - - - - - 22 22 23 19 12 4 -2
최저온도(℃) - - - - - 18 14 14 10 -2 -11 -11
상대습도(%) - - - - - 90 87 89 90 78 65 67
‘08 최고온도(℃) 6 12 25 31 33 33 36 36 33 31 18 13
평균온도(℃) -4 -4 5 12 14 19 23 33 18 13 4 -2
최저온도(℃) -17 -17 -5 -1 2 8 18 12 4 1 -12 -17
상대습도(%) 55 44 60 56 60 73 86 82 81 73 65 59
‘09 최고온도(℃) 9 16 26 31 34 34 32 35 33 31 - -
평균온도(℃) -5 -3 4 11 17 19 21 22 18 13 - -
최저온도(℃) -17 -14 -8 -2 6 10 14 10 9 2 - -
상대습도(%) 50 53 54 55 62 73 85 81 78 66 - -
홍천 시험지의 토양온도와 수분 실험결과 토양온도는 2009년 1월, 2008년 1-2월에 영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온도로 보아 4월부터 송이균 생장이 본격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여겨졌다. 하기 표 3은 홍천 시험지의 토양 온도 및 수분의 실험결과이다(표 4 참조). 또한 도 10은 홍천 기상관측소의 평균온도와 강수량에 관한 것이다.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09 온도
(℃)
최고 0.1 10.9 17.8 18.5 23.1 22.8 23.3 24.3 21.8 18.9 - -
평균 -1.6 2.2 6.2 10.3 15.7 18.1 20.8 21.6 18.3 13.9 - -
최저 -4.5 -0.3 1.2 2.9 9.4 13.5 18.0 17.2 15.7 9.8 - -
수분
(%)
최고 1.7 10.0 9.6 13.6 14.3 13.8 27.9 29.6 3.4 5.4 - -
평균 -0.1 1.5 3.0 2.2 2.8 4.1 6.0 -19.0 -11.5 1.4 - -
최저 -1.5 -0.2 1.1 -1.2 -1.4 -0.6 3.0 -29.0 -29.0 0.2 - -
‘08 온도
(℃)
최고 1.0 0.0 17.1 20.4 23.3 25.3 30.2 30.1 28.9 25.8 12.3 7.8
평균 -0.4 -1.1 5.3 11.0 15.7 18.6 22.7 22.4 20.3 15.6 7.3 1.8
최저 -2.4 -3.7 -0.1 3.9 9.9 13.5 18.7 17.6 12.9 9.2 0.1 -2.1
수분
(%)
최고 2.6 3.2 10.2 6.7 11.8 15.4 16.1 15.4 10.7 4.8 3.0 5.6
평균 0.8 -0.7 3.8 1.5 0.5 3.3 4.5 3.3 1.5 0.0 -0.4 1.5
최저 -0.5 -2.0 0.2 -0.7 -2.0 -1.1 -0.6 -0.2 -1.7 -1.8 -2.0 -1.0
‘07 온도
(℃)
최고 - - - - - 25.0 27.6 28.5 27.5 24.8 12.8 5.1
평균 - - - - - 21.9 21.9 23.6 19.8 14.9 7.3 1.9
최저 - - - - - 19.8 18.4 18.3 15.5 7.2 2.1 -0.3
수분
(%)
최고 - - - - - 3.0 12.9 12.4 11.2 7.3 12.9 3.5
평균 - - - - - 1.1 4.6 5.3 5.6 2.8 2.2 2.8
최저 - - - - - -1.5 1.2 1.9 2.6 0.6 0.5 1.1
홍천 시험지의 광도시험결과 일반적으로 야외광도는 10만 lux 이상을 나타낸다. 시험지내 광도는 2009년이 2008년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광도는 겨울철이 높고 여름철이 낮았다. 이는 임내 울폐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하기 표 5는 홍천 시험지의 광량 (단위 : lux)을 나타낸 것이다.
균환 균환직경(m) 생장거리(cm) 조사한 지점
1 7.04×6.90 8.9±0.8* 20
2 8.94×7.10 10.1±0.8 28
3 4.03×3.70 10.8±2.2 9
4 5.40×6.60 16.2±1.0 13
5 8.50×8.70 12.5±1.4 17
평균 6.78×6.60 11.3±0.5 (87)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광 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가지치기 및 소나무 이외의 나무는 간벌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송이균환 선단을 찾는다. 송이균환으로부터 1 cm 밖에 망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덩이를 판다. 그리고 소나무는 수고가 50-100 cm 정도인 것을 선택한다. 실험결과 천연치수 또는 양묘한 소나무는 마사토양에 1년 정도 가식한 것이 좋았다. 망분에 소나무를 심고 송이산(구덩이)의 흙을 채워서 구덩이에 망분을 식재하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는 50 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며, 송이균환 선단을 따라 둥그런 원을 그리며 소나무를 식재한다.
소나무의 식재는 영동 지방은 가을철(송이 발생이 끝난 이후), 영서 지방은 봄철(3-4월)에 하는 것이 소나무 활착율이 높은 것으로 실험결과 나타났다. 한편 송이 감염묘는 봄과 여름을 2번 거치게 한다. 예컨대 올 봄에 식재한 것은 2년째 봄에, 올 가을에 식재한 것은 3년째 봄에 이식하면 된다. 또한 송이 감염묘는 봄에 옮겨 망분과 함께 식재하는 것이 좋으며, 송이 감염묘를 옮기는 곳의 소나무림은 20-30년생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했던 망분에 관한 것이고, 도 11은 감염묘를 식재한 모습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12는 송이 감염묘 이식지 전경에 관한 것이고, 도 13은 송이 감염묘 이식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사진은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험에 있어, 송이 감염묘 이식지 전경과 상기 이식지에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사진에 관한 것이다.
실험결과 송이 감염묘는 망분의 외부 표면에 송이 감염율이 50% 전후일 경우 송이균의 생존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송이 감염묘는 이식을 할 경우에는 한 개체씩 심고, 망분에 송이균이 없는 부분을 구덩이 내 소나무 뿌리 절단면을 향하게 하여 이식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확인
송이 감염묘는 봄에 망분을 벗기고 않고 그대로 이식 후 2년째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존 유무는 색대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나무를 중심으로 10 cm 간격 8방위의 지점을 색대로 찔러서 색대에 남아있는 토양 내에 송이균의 향기 유무를 가지고 판별한다. 이때 송이균의 생장은 화분 밖으로 생장이 진행되는 시점에 와 있기 때문에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송이균은 감염묘에서 직접 화분을 들어내어 확인할 수도 있으나, 확인 후 다시 화분을 심더라도 살아있는 송이균의 생장에는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험결과 색대를 이용한 송이균의 확인은 살아있는 송이균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송이균의 생존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유리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도 14는 본 발명자가 실험에 사용하였던 식대에 관한 것이고, 도 15는 도14의 식대로 송이균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화분의 흙을 제거하지 않은 경우, 색대를 이용하여 송이균을 확인한 결과 19%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감염묘를 파내어 확인한 경우에는 30%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송이균의 생존율은 총 50%에 이르렀다. 반면에 흙을 제거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27%의 송이균 생존율을 나타냈다. 화분내 흙을 제거하지 않고 식재된 감염묘의 경우에는 색대를 이용한 송이균의 생존 확인은 화분을 파내어 확인하는 방법의 38% 정확도를 반영하고 있었다.
반면, 흙을 제거한 감염묘의 경우에는 색대로 확인하는 방법이 63%의 정확도를 반영해주고 있었다. 처리시기별 송이균의 생존율은 전체적으로 3월에 23% 4월에 60%였다(표 7 참조). 따라서 송이 감염묘법은 화분의 흙을 제거하는 것(27%) 보다는 흙 제거 없이 그대로 식재하는 것(50%)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3월보다 4월에 식재한 감염묘의 송이균 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난 이유는 가 등(2006)이 보고한 결과에서와 같이 이식 당시의 송이균의 감염율이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감안하면,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존율은 초기 감염율에 크게 의존하므로 송이 감염묘를 이식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 당시의 초기 송이균 감염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색대를 이용한 송이균의 확인법은 화분내 흙을 제거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장해 주었으나, 전체 송이균의 생존율은 흙을 제거한 것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송이 감염묘 이식 과정 시 화분내 흙을 제거하기 보다는 흙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식재하는 방법이 송이균의 생존에 더 유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송이 감염묘 내의 흙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소나무 뿌리에 미약하게 붙어있던 송이균에 영향을 주고, 식재하는 과정에서도 다시 흙을 다져넣기 때문에 송이균에 더 피해를 가져다 줌으로써 생존율이 결국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송이 감염묘 내의 흙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식재한 경우에는 화분내 송이균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였기에 송이균의 생존에 유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기 표 6은 2009년 matsutake-infected pine trees의 Tricholoma matsutake 생존률에 관한 것이다.
Treatment time Treatment† Initial infection rate Method for confirmation Survival rate(%)
Rice bag trier Dig plant from soil
March 2007 Control 25% 2/21 5/21 7/21(33%)
April 2007 Control 50% 5/15 6/15 11/15(73%)
Subtotal 7/36(19%) 11/36(30%) 18/36(50%)
March 2007 Remove soil from pot 15% 0/14 1/14 1/14(7%)
April 2007 흙 제거 43% 5/15 2/15 7/15(46%)
Subtotal 5/29(17%) 3/29(10%) 8/29(27%)
Total 12/65(18%) 14/65(21%) 26/65(40%)
[실시예 4]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장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 특성을 살펴보면, 송이 감염묘에 존재하던 기존의 송이균들은 모두 죽고 감염묘의 소나무 뿌리에 감염된 부분의 송이균만 생존한다. 송이균의 생장이 망분 밖으로 진행됨에 따라 점차 ‘V’자 형태(예각)의 모양을 이루고 시간이 더 경과하면서 넓은 ‘V’자 형태(둔각)로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송이 감염묘가 이식 5년째에 가장 많이 생장한 것은 망분으로부터 30 cm 이상까지도 관찰되었다.
도 17은 본 발명자가 실험에 확인한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패턴에 관한 것이고, 도 16, 18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장에 관한 것이다.
小川(1978)은 젊은 송이균환의 경우 균사층이 얕고 부정형으로 시작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연 조건에서 근처에 동일한 균근이 있다면 집합하여 작은 콜로니가 생겨서 또한 그의 집락이 합체하여 송이균환이 탄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송이균이 소나무 뿌리에 감염되어 송이균환으로 발전하는 기작은 아직까지 모르고 있다. 단지 송이 버섯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송이균환의 존재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송이균이 생장하면서 송이균환으로 발전해 가는 단계를 제시하였다.
[실시예 5]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존
송이 감염묘 내 송이균의 생존유무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나무를 직접 파내어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파낸 소나무를 다시 식재하게 되면 1년 후 송이균의 50% 이상은 죽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송이균이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감염묘의 소나무가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도 18은 본 발명자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존실험을 한 것으로 식재후 1년후 파내서 확인한 모습이고, 도 19는 본 발명자가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 생존실험을 한 것으로 식재후 2년후 파내서 확인한 모습이다.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 송이 감염묘에서 망분을 벗기지 않고 식재한 것은 매년 소나무가 들어있는 망분을 들어내어 송이균을 확인한 경우 이식 후 5년까지 송이균이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이식후 2년 내지 5년까지의 기간을 나누어 송이균의 생존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6] 송이 감염묘 이식지 환경 조성 및 관리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생존 및 생장은 옮겨진 감염묘 소나무의 생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송이 감염묘의 소나무가 정상적으로 생장하기 위한 조건을 조성해야 한다. 송이 감염묘 이식지는 이식 1년 전에 소나무 가지들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강도 간벌을 실시한다. 실험결과 가지 사이 0.9~1.2 m 정도 거리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가지사이가 너무 먼 경우 토지이용률이 떨어지고 너무 가까운 경우 송이 감염묘의 소나무의 생장률이 저하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송이 감염묘 이식지는 감염묘의 소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최소한 3년간은 이식지 소나무림의 가지치기를 통해 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간벌은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송이 감염묘 이식지는 여건이 허락되면 관수시설을 하는 것이 송이균의 생존 나아가 생장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1은 송이감염묘의 이식지를 나타낸 것이고, 가지치기를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존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983년 히로시마 임업시험장에서는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송이 생산이 시도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송이 감염묘법은 1980년대 초부터 수행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그 재배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즉 어느 하나의 요인에 의해 송이 버섯발생이 좌우된다면 송이의 인공재배가 쉽게 가능하지만 여러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송이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아직까지 송이 인공재배는 어렵고, 송이의 생산의 대부분은 자연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인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을 통해 경제적 측면에서 상품성이 있는 송이의 생산을 위한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재배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송이 재배농가의 수익향상에 도움을 줌은 물론 고단백 저칼로리의 건강식품으로 건강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송이의 원활한 공급을 통해 국민건강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송이 감염묘법에 있어서, 송이균환으로부터 1cm~2cm 밖이고, 구덩이와 구덩이 사이의 간격이 50cm~60cm로 유지되도록 구덩이를 파는 단계; 망분에 수고가 50cm~100cm 소나무이고, 천연치수 또는 마사토양에서 11개월~13개월 동안 가식한 소나무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망분에 투입된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를 식재하는 단계는 영동 지방에서는 9월~11월에 시행하고, 영서 지방에서는 3월~5월에 식재하되, 송이 감염묘는 봄과 여름을 2번 거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후 2년이 경과한 이후에 송이균의 존재 유무를 색대로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나무를 중심으로 10 cm 간격 8방위의 지점을 색대로 찔러서 색대에 남아있는 토양 내에 송이균의 향기 유무를 가지고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이 감염묘의 이식지 환경을 조성 및 관리하는 단계는 송이 감염묘 소나무를 식재 전 소나무림을 소나무 가지사이의 거리를 0.9m~1.2m로 유지되도록 간벌을 하고, 식재이후 이식지 소나무림에 대하여 3년간 소나무 가지 사이의 거리가 1m 내외로 유지되도록 감염묘를 가지치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KR1020100061354A 2010-06-28 2010-06-28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KR10112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54A KR101127514B1 (ko) 2010-06-28 2010-06-28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54A KR101127514B1 (ko) 2010-06-28 2010-06-28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65A true KR20120000865A (ko) 2012-01-04
KR101127514B1 KR101127514B1 (ko) 2012-06-27

Family

ID=4560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54A KR101127514B1 (ko) 2010-06-28 2010-06-28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5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5769A (zh) * 2014-05-29 2014-08-13 太仓市惠勤农场专业合作社 一种段木香菇种植方法
CN104885791A (zh) * 2015-06-29 2015-09-09 贵州黄平靓鸥桑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大球盖菇冬闲田简易栽培方法
CN111226687A (zh) * 2019-12-24 2020-06-05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野外松茸菌塘的培育方法
KR20210037887A (ko) * 2019-09-30 2021-04-07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KR20210041739A (ko) * 2019-10-08 2021-04-16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송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이버섯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696A (ja) * 1992-08-21 1994-06-03 Miichi Fukutake 松茸を新しく赤松山に発生さす方法
JPH1042694A (ja) 1996-07-29 1998-02-17 Yukio Takai 接木による菌根菌の感染方法
KR100390048B1 (en) 2002-09-06 2003-07-04 Kyongsangbuk Do Formation of inoculated seedling of tricholoma matsutake strains of pinus densiflora by coculture of tricholoma matsutake strains and sterile germinated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KR200417954Y1 (ko) 2006-01-17 2006-06-07 이봉식 송이버섯 재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5769A (zh) * 2014-05-29 2014-08-13 太仓市惠勤农场专业合作社 一种段木香菇种植方法
CN104885791A (zh) * 2015-06-29 2015-09-09 贵州黄平靓鸥桑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大球盖菇冬闲田简易栽培方法
KR20210037887A (ko) * 2019-09-30 2021-04-07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KR20210041739A (ko) * 2019-10-08 2021-04-16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송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이버섯 재배방법
CN111226687A (zh) * 2019-12-24 2020-06-05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野外松茸菌塘的培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514B1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isnawati et al. Swietenia macrophylla King: ecology, silviculture and productivity
Krisnawati et al. Acacia mangium Willd.: ecology, silviculture and productivity
Krisnawati et al. Acacia mangium Willd
CN101669430B (zh) 暗褐网柄牛肝菌半人工栽培方法
CN102934586B (zh) 一种低碳高产栽培茯苓的方法
EP2242352B1 (en) Method of accelera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ees via enhanced root development
US20080050400A1 (en) Method of accelera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rees and shrubs via enhanced root development
CN105075831A (zh) 铁皮石斛的活树附生栽培方法
KR101152156B1 (ko) 기름야자의 팜번치를 주재료로 하는 버섯재배용 배지
CN101584287A (zh) 以金银花为培养基的食用菌培育方法
CN103766128A (zh) 一种山桐子苗无性快繁方法
KR101127514B1 (ko)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CN103875452B (zh) 西藏浅棕色双孢蘑菇菌株及其子实体栽培方法
CN104982194A (zh) 一种适用新疆南疆地区果林间小麦收获后套种玉米的方法
CN112042462A (zh) 一种黑皮鸡枞菌的仿野生种植方法及其应用
CN104115634A (zh) 一种新型天麻种植栽培方法
CN109294930A (zh) 一种获得铁皮石斛幼苗阶段菌根真菌的方法
KUSMANA et al. Kusmana C, Hidayat T, Istomo, Rusdiana O. 2018. Growth performance of Bruguiera gymnorrhiza derived from cut-propagule seedling. Biodiversitas 19: 208-214. The availability and existence of Bruguiera gymnorrhiza seed sources is getting decreased. This cau
Krisnawati et al. Swietenia macrophylla King
CN108157045A (zh) 一种桑树套种鸡腿菇及其菌渣直接还田的栽培方法
Blomme et al. Agronomic practices with a special focus on transplanting methods for optimum growth and yield of enset [Ensete ventricosum (Welw.) Cheesman] in Ethiopia
CN1326446C (zh) 野生宾王菇人工驯化及其栽培方法
Baars Fungi as food
CN104322280A (zh) 一种块茎食用菌的栽培方法
Tewari et al. Horticultural management of Syzygium cumi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