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954Y1 - 송이버섯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송이버섯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954Y1
KR200417954Y1 KR2020060001341U KR20060001341U KR200417954Y1 KR 200417954 Y1 KR200417954 Y1 KR 200417954Y1 KR 2020060001341 U KR2020060001341 U KR 2020060001341U KR 20060001341 U KR20060001341 U KR 20060001341U KR 200417954 Y1 KR200417954 Y1 KR 200417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roots
heat exchange
water
exch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식
Original Assignee
이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식 filed Critical 이봉식
Priority to KR2020060001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이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나무의 뿌리 둘레에 송이버섯이 잘 자라게 토양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나무뿌리 하측에 마사토와 망밀망을 배치하고, 소나무뿌리의 인접 토양 온도를 조절하도록 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로 혼합 거름과 배지, 및 소나무 낙엽을 설치하여 송이 균에 양분을 공급하는 한편 송이 균의 건조를 방지하며, 그 주위로 환기구를 갖는 비닐 하우스와 수분을 제공하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소나무뿌리 주위에 자연산 송이버섯이 최적으로 잘 자랄 수 있게 한 송이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이버섯, 자실체, 재배, 온도, 소나무, 뿌리

Description

송이버섯 재배 장치{SONG-I MUSHROOM CULTIVAT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송이 버섯재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자연 상태의 소나무에 적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온도조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온도조절장치 11: 열교환 튜브
12 메인 물통 13: 히터
14: 혼합물통 15: 보조 냉각통
16: 물펌프 17: 컨트롤 박스
18: 온도감지센서 19: 스프링클러
20: 마사토 30: 망밀망
40: 혼합 거름 50: 배지
60: 소나무 낙엽 70: 비닐 하우스
80: 그늘막
본 고안은 송이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나무뿌리 둘레에 송이버섯이 잘 자라게 토양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망밀망을 설치하고, 소나무뿌리 인접 토양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고, 그 위로 혼합 거름과 배지, 및 소나무 낙엽을 설치하여 송이 균에 양분을 공급하는 한편 송이 균의 건조를 방지하며, 그 주위로 환기구를 갖는 비닐 하우스와 수분을 제공하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소나무뿌리 주위에 자연산 송이버섯이 최적으로 잘 자랄 수 있게 한 송이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섯재배는 균주 준비에서 배양 및 자실체 수확까지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송이버섯을 재배할 때 균주를 특정 배지나 산 또는 식물과 식물의 씨앗에 또는 식물의 뿌리에 배치하고, 뿌리에 배치된 균주가 잘 성장하도록 유도하여 자실체를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산 송이버섯의 재배는 일반 버섯과 달리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도록 직접 송이버섯 균주를 배치하고, 토양의 온도와 수분을 조절하고 공기 및 햇빛 조사량을 조절해 주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송이버섯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송이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이버섯 재배장치를 소나무뿌리에 송이 버섯이 기생하도록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는 송이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송이버섯 재배장치는 인공적으로 소나무를 키울 때 소나무뿌리 하측으로 배치되는 마사토와 망밀망,
망밀망 위에 배치되고 소나무뿌리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온수에 의해 소나무뿌리 주변의 토양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소나무뿌리와 온도조절장치 상하에 소나무 낙엽 부엽토 60%, 부식토 30%, 마사토 10%의 혼합 거름이 배치되고,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도록 혼합 거름 위에 배치된 송이버섯 균주,
송이 버섯 균주 위에 덮이는 소나무 낙엽,
송이버섯 균주가 배치된 소나무뿌리 주위 상부를 밀폐시키는 한편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지퍼로 개폐가능한 문을 갖는 비닐 하우스,
비닐 하우스 내의 배지 및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및
비닐 하우스 내로 조사되는 햇빛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비닐 하우스를 덮는 그늘막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온도조절장치는 소나무뿌리에 인접하여 소나무뿌리 사이로 배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가 순환되는 튜브, 이 튜브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히터로 가열되는 메인 물통, 메인 물통의 가열된 물과 보조물통의 냉수가 혼합되는 혼합물통, 혼합 물통의 물을 강제로 튜브로 순환시키는 펌프, 온수 또는 냉수가 튜브로 순환 또는 역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물통과 펌프 그리고 순환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 및 히터,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고안의 송이 버섯 재배장치는 자연적으로 자라는 소나무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먼저 자연적으로 자라는 소나무뿌리가 드러나게 흙을 파고, 흙을 파낸 부분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마사토, 망밀망, 온도조절장치, 혼합 거름, 배지, 소나무 낙엽, 스프링클러, 비닐 하우스 등의 동일 구성요소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송이 버섯 재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온도조절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스(90)와 배수구멍(91)이 도 3에 생략된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2는 비닐 하우스(70)의 외측에 소나무 전체의 생장을 도울 수 있도록 소나무 전체를 보온할 수 있는 대형 비닐 하우스(100)가 추가된 점이 도 1과 다르다.
도 1 ~ 도 3의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므로 본 고안의 간략한 이해를 돕기 위해 중복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송이버섯 재배장치는 소나무뿌리 주위에 특히 수평으로 뻗은 소나무뿌리 끝쪽에 송이버섯 균주가 배치되어 자실체로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소나무뿌리의 하측에 마사토와 망밀망을 배치하고, 이 망밀망 위에 그리 고 소나무뿌리 사이의 토양과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온도조절장치(10)의 열교환튜브(11)가 원으로 감기듯이 설치된다.
또한 소나무뿌리 사이와 열교환 튜브(11) 사이 및 상하에는 소나무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소나무 낙엽 부엽토 60%, 부식토 30%, 및 마사토 10%로 혼합 구성되는 혼합 거름(40)이 배치된다.
이후 혼합 거름(40) 위에는 송이 버섯 균주에 영양분을 제공하도록 배지(50)가 배치되고, 이 배지(50)에 송이 버섯 균주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송이 버섯 균주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소나무 낙엽(60)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송이 버섯의 자실체가 자라도록 소나무뿌리의 주변 상부는 온도조절을 위해 비닐 하우스(70)로 밀폐된다.
비닐 하우스(70)는 소나무뿌리와 송이 균주 자실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지퍼(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수단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문(71)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나무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비닐 하우스(70) 내에 스프링클러((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 하우스(70) 내로 조사되는 햇빛의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비닐 하우스(70) 외측으로 커버되는 그늘막(80)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내의 통풍 또는 온도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비닐하우스에는 별도의 급기팬 또는 배출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여기에서 망밀망(30)은 소나무뿌리가 옆으로 자라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또한 주변의 수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송이버섯 균주 측으로 소나무뿌리가 뻗어오도록 유도하여 송이버섯 균주가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사토(20)도 망밀망(30)과 같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온도조절장치(10)는 도 4a 및 도 4b에 평면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소나무뿌리 사이로 또는 하측으로 원형으로 감기듯이 배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튜브(11)와, 이 열교환 튜브(11)로 온수 또는 냉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히터(13)를 갖춘 메인 물통(12), 이 메인 물통(12)의 온수와 보조 냉각통(15)의 냉수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혼합물통(14), 혼합물통(14)의 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물을 열교환튜브(11)로 강제 공급하도록 혼합물통(16)과 열교환튜브(11) 사이에 설치된 물펌프(16), 이들 물통과 물펌프(16) 및 열교환튜브(11)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V1 ~V7), 및 히터, 물펌프, 밸브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상 메인물통(12)의 출구로부터 열교환 튜브(11)의 입구까지를 냉온수 공급라인이라 하고, 열교환 튜브(11) 출구로부터 메인물통(12)의 입구까지를 냉온수 배출라인이라 한다. 그러나, 냉온수가 열교환 튜브(11)의 외측에서 내측 중앙으로의 순환이 아니라 열교환 튜브(11)의 내측 중앙에서 외측으로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메인물통(12)에서 물펌프(16) 사이의 공급라인은 공통이나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서 열교환 튜브(11)의 내측 중앙으로 냉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배 출라인도 열교환 튜브(11)의 외측으로부터 다른 배출라인을 통해서 메인물통(12)으로 귀환된다.
열교환 튜브(11) 사이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나무뿌리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클러(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조절장치는 도 4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17)를 작동시켜 히터에 의해 메인물통(12)의 냉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서 혼합물통으로 공급하고, 이 혼합물통(14)의 온수가 너무 높은 경우 소나무뿌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냉각통(15)의 온도를 혼합물통(14)으로 공급하여 온수의 온도를 낮춘 다음 물펌프(16)의 작동에 의해 밸브 V2를 통하여 열교환튜브(11)로 공급되어 소나무뿌리 둘레의 토양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밸브 V3를 통해 열교환튜브(11) 외부로 배출된 다음 밸브 V4를 통해 메인물통(12)으로 귀환 된다. 이때 밸브 V7과 밸브 V6는 차단된 상태이다.
이와 달리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Z밸브 V2와 밸브 V4를 차단시키면 물펌프(16)의 작동에 의해 온수가 밸브 V6 와 V3를 통해 열교환튜브(11)의 중심부로 공급된 후 소나무뿌리 주변의 토양과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외측으로 배출되어 밸브 V7을 통해 메인물통(12)으로 역으로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는 소나무뿌리 외측으로부터 내측 중앙부분으로 그리고 소나무뿌리 내측 중앙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소나무뿌리 주변의 균주와 자실 체 온도에 알맞게 온도를 균일하게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나무뿌리 외측으로 부터 중앙으로 감긴 열교환 튜브(11)의 사이에는 토양의 온도를 더욱 잘 감지하기 위해 다수의 온도감지센서(18)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공적으로 소나무를 1m 50cm ~ 3m의 크기로 키우는 경우, 소나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비닐 하우스 외측으로 소나무 전체를 씌울 수 있는 또 다른 비닐 하우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송이버섯 재배장치는 비닐 하우스(70)로 밀폐된 토양에 히터로 작용시켜 가열된 온수를 혼합물통(14)으로부터 원형으로 설치되는 열교환 튜브(11)로 물펌프(16)에 의해 강제 순환시켜서 송이버섯 균주 하측의 토양 온도를 조절하는 한편, 스프링클러(19)를 이용하여 소나무에 수분을 공급하고, 비닐 하우스(70)에 지퍼로 설치된 문(71)을 개폐하여 비닐 하우스 내로 신선한 공기가 유통되게 하는 한편, 햇빛이 많이 조사되는 경우 그늘막을 비닐 하우스 위로 설치하여 햇빛 조사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나무뿌리 하측에 인접하여 배지에 배치된 송이버섯 균주가 자실체로 잘 자라게 한다.
본 고안의 송이버섯 재배장치는 온도 조절 장치를 소나무뿌리에 인접 설치하여 송이버섯 균주가 계절에 관계없이 자실체로 잘 자라게 소나무뿌리의 인접 토양 온도를 조절함은 물론 스프링클러에 의해 소나무에 수분을 적적히 공급하여 송이버섯의 균주가 자실체로 잘 자라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인공적으로 소나무를 키울 때 소나무뿌리 하측으로 배치되는 마사토와 망밀망,
    망밀망 위에 배치되고 소나무뿌리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온수에 의해 소나무뿌리 주변의 토양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소나무뿌리와 온도조절장치 상하에 소나무 낙엽 부엽토 60%, 부식토 30%, 마사토 10%의 혼합 거름이 배치되고,
    혼합 거름 위에 배치된 송이버섯 균주,
    송이 버섯 균주 위에 덮이는 소나무 낙엽,
    송이버섯 균주가 배치된 소나무뿌리 주위 상부를 밀폐시키는 한편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지퍼로 개폐가능한 문을 갖는 비닐 하우스,
    비닐 하우스 내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 및
    비닐 하우스 내로 조사되는 햇빛 조사량을 조절하도록 비닐 하우스를 덮는 그늘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하우스 하부는 케이스(90)와 배수구멍(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소나무뿌리에 인접하여 소나무뿌리 사이로 배치되어 온수 또는 냉수가 순환되는 열교환 튜브, 이 열교환 튜브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히터로 가열되는 메인 물통, 메인 물통의 가열된 물과 보조물통의 냉수가 혼합되는 혼합물통, 혼합물통의 물을 강제로 열교환 튜브로 순환시키는 펌프, 온수 또는 냉수가 열교환 튜브의 외측 부분에서 중심부로 또는 중심부에서 외측 부분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물통과 펌프, 열교환 튜브 사이의 냉온수 공급 및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 및 히터,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이버섯 재배장치.
KR2020060001341U 2006-01-17 2006-01-17 송이버섯 재배 장치 KR200417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41U KR200417954Y1 (ko) 2006-01-17 2006-01-17 송이버섯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41U KR200417954Y1 (ko) 2006-01-17 2006-01-17 송이버섯 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954Y1 true KR200417954Y1 (ko) 2006-06-07

Family

ID=4176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341U KR200417954Y1 (ko) 2006-01-17 2006-01-17 송이버섯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9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14B1 (ko) 2010-06-28 2012-06-27 대한민국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14B1 (ko) 2010-06-28 2012-06-27 대한민국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59946A1 (en) Apparatus for growing vegetables, mushrooms, ornamental plants and the like
KR101400375B1 (ko) 식물재배장치
CN102177838B (zh) 种子发芽器及其稻谷发芽工艺
JP2000069858A (ja) 植物の温室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101818336B1 (ko) 뱃치형 수경재배조
CN201064117Y (zh) 新型育苗床
KR20140039412A (ko) 다단재배상을 이용한 유기농 인삼 연속재배시스템
KR200417954Y1 (ko) 송이버섯 재배 장치
KR101900936B1 (ko)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CN109328765B (zh) 一种无药害农产品的生产方法及装置
CA3157697A1 (en) Hydroponic growth system and assembly
CN211128925U (zh) 一种蔬菜种植用育芽装置
JP2005237322A (ja) 茸栽培設備
KR101455166B1 (ko) 슈퍼에어하우스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설
CN203661713U (zh) 一种便携式智能温室系统
JP2007061014A (ja) 除湿機能付温室装置
CN210298726U (zh) 一种香蕉苗组织培养育苗的炼苗装置
CN103416207B (zh) 一种蝴蝶兰和鸡的生态培养方法以及培养温室
KR200351095Y1 (ko) 침수식 콩나물 재배기
JP2010220486A (ja) 植物栽培装置用局部断熱用囲い
CN109845541A (zh) 一种可提早采收的生姜种植用大棚
KR20200040337A (ko) 국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재배시스템
KR200461035Y1 (ko) 다용도 재배기
KR101895954B1 (ko)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KR101759179B1 (ko) 인삼 이동식 베드 재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