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887A -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887A
KR20210037887A KR1020190120352A KR20190120352A KR20210037887A KR 20210037887 A KR20210037887 A KR 20210037887A KR 1020190120352 A KR1020190120352 A KR 1020190120352A KR 20190120352 A KR20190120352 A KR 20190120352A KR 20210037887 A KR20210037887 A KR 2021003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r
vegetation
pruning
case
neung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334B1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9012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능이버섯 자실체를 이용하여 포자를 배양하여 산지에 포자 종균을 식재하되, 능이버섯이 생장하기에 적합하도록 산지를 조성하여 인공 재배하는 방법으로 인공재배가 불가능하였던 능이버섯을 산지 재배하여 수확량을 높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Field cultivation methods for Sarcodon aspratus and growing methods for Sarcodon aspratus in the field}
본 발명은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능이버섯 자실체를 이용하여 포자를 배양하여 산지에 포자 종균을 식재하되, 능이버섯이 생장하기에 적합하도록 산지를 조성하여 인공 재배하는 방법으로 인공재배가 불가능하였던 능이버섯을 산지 재배하여 수확량을 높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굴뚝버섯과에 속하는 식용버섯이다. 버섯 대 길이는 약 6cm 정도, 갓 길이는 10cm~20cm 정도이고, 크게는 30㎝ 이상으로도 자란다. 주로 활엽수림 주변에서 군생하고, 여름에서 가을에 발생한다. 능이버섯은 향이 매우 진해서 향이 또는 향버섯으로 불린다. 19세기 중엽의 문헌인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본래 이름은 웅이(熊茸)이며 방언으로는 능이(能耳)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능이버섯은 야생에서 구하기 어려운 버섯이며, 국내에서는 생장 환경의 기후, 습도, 온도가 유기적으로 맞아야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능이버섯은 가을에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생으로 된 능이버섯은 제한된 기간 동안 그것도 산지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이 보통이다. 생 능이버섯은 급속 냉동하거나 말려서 보관한다.
능이버섯의 균사는 살아있는 참나무의 가는 뿌리에 달라붙어 외생균근을 형성하여 생활한다. 즉 능이버섯 균은 수목에서 균근을 통해 자당이나 포도당 등의 탄수화물을 공급받고, 대신 질소, 인, 칼륨, 기타 무기물이나 물을 뿌리로 보낸다. 이와 같은 균근 관계는 수목과 균과 토양의 삼자가 잘 조화될 때 성립한다. 특히 능이버섯은 참나무 숲 그늘지고 습하며 바람이 잘 통하는 곳의 돌 밑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111944호 "능이버섯의 인공 재배방법"은 참나무 원목과 톱밥 재료 및 면실박과 면실피를 혼합한 배지를 병에 넣고 121℃의 상압 및 고압에서 90분간 살균 처리한 후 액체 종균을 접종하여 30일 정도의 배양기간으로 10℃~25℃의 적정온도로 관리 유지하는 한편 이때 습도는 70~80%로 7~10일 정도로 생육시킬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 버섯의 인공재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능이버섯의 균사는 살아있는 참나무의 가는 뿌리에 달라붙어 외생균근을 형성하기 때문에 숲이 아닌 인공배지에서의 능이버섯 재배는 한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도 능이버섯은 대량 생산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배가 어려운 능이버섯이 잘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능이산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능이버섯을 재배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 것이다.
"능이산"은 능이버섯이 나는 산 또는 능이를 재배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을 말한다. "능이 발생림"은 현재 능이가 나는 산을 말하며, "능이 미발생림"은 현재 능이가 나지 않지만 앞으로 능이가 나거나 재배될 가능성이 있는 산을 말한다. "능이균환"은 능이버섯이 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땅속 능이균의 모임을 말한다. "적지(適地) 판정 작업"이란 능이버섯 재배사업 요청지역의 입지조건, 생태적 조건 등을 점검하여 사업 실행에 적합한 곳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또한, "간벌"은 숲의 밀도조절을 위하여 소나무 및 활엽수를 제거하는 작업을 말하며, "가지치기"란 숲에 들어오는 빛의 양 조절 및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사람의 키보다 낮은 부분에 위치한 가지를 잘라내는 작업을 말한다. "하층식생 정리"는 산 내부에 자라는 관목류(산철쭉, 쪽동백 등)를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지피물 제거"는 산의 지표면에 쌓인 낙엽, 나뭇가지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산물 반출"은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과정에서 나온 각종 산물을 대상지역 밖으로 옮기는 작업을 말한다. "관수시설"은 산에 수분 공급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양수기 등을 말한다.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숲에 심어 능이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 먼저 능이버섯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조성된 능이산이 필요하다.
능이 발생림을 먼저 살펴본다. 16~35년생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幼齡林)은 1차년도에 공간조절을 위한 간벌을 상대공간지수가 30~40 수준이 되도록 실시하며, 하층식생 정리와 지피물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2차년도에는 가지치기와 하층식생 정리만 실시하면서 전체적으로 산림이 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한다.
16~35년생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공간조절을 위한 간벌을 상대공간지수가 25~35 수준이 되도록 실시하되, 참나무는 최대한 남기고 침엽수를 주로 제거하며, 기타 하층식생 정리와 지피물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2차년도에는 상대공간지수가 30~40 수준이 되도록 추가 간벌과 하층식생 정리를 실시하며 가지치기를 통하여 숲의 그늘진 정도를 조절한다. 상대공간지수(RSI)는 나무 사이의 간격(m)/숲의 나무 키 평균치(m) × 100(%)로 계산한다.
수령 36~50년생인 장령림(壯齡林)의 경우, 참나무 지배형 장령림은 격년 간격으로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에는 1차년도에 참나무를 남겨두고 침엽수만 제거하면서 상대공간지수가 30~40 수준이 되도록 간벌하고,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2차년도에는 가지치기와 하층식생 정리만을 실시한다. 3차년도에는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와 더불어 지피물 제거작업을 추가로 실시한다.
관수시설 설치는 가능한 7월말 이전에 완료하며, 기타 구체적인 작업 방법은 관수시설을 설치하는 지역의 지형 등 지역적 여건을 고려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조성한 능이산에는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심는다. 능이버섯 자실체의 포자를 배양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80% 이상 성장한 능이버섯의 충실한 자실체를 배양실에서 60-80%의 습도를 유지하며 포자가 생성되어 배양될 수 있도록 해주며 온도는 17-20℃로 유지하며, 다른 균사가 침입하지 않게 청결한 배양장 조성에 힘을 쓴다. 또한, 능이버섯 자실체 뒷면이 아래로 가게 놓아야 한다. 자실체 바닥에는 종이나 면으로 된 천을 깔고, 비닐이나 플라스틱, 기름종이는 사용하지 않는다. 물이 고이거나 물이 맺히면 자실체가 썩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포자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지베렐린을 800배로 희석하여 1~3회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자 배양시간은 10-15일이 적당하며, 포자가 배양된 버섯 자실체는 1~3㎝ 이상 되게 하여 위와 같이 조성한 능이산에 1~5㎝ 두께로 흙을 덮어 심는다. 심은 후 약간의 낙엽을 덮어 수분과 온도를 조절하여 준다.
본 발명의 능이버섯 포자를 배양하기 위하여 무균실과 배양실이 필요하다.
무균실은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콘크리트나 타일 등으로 무균실 벽을 만들고, 출입구는 이중 문으로 설치하였다. 실내에는 작업대 외에 가스, 수도 등을 설치하며, 실내 공기를 청결하게 하기 위해 공기 여과기를 설치하고, 온도 조절도 가능하게 하였다.
배양실은 자실체 포자를 배양하기 위한 장소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배양실 내부에 잡균이 자라지 않도록 하고, 광선이나 공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온도는 18~20℃ 범위로 하였다. 실내 습도는 자실체의 건조나 오염과 관계가 깊으므로 자실체가 건조하게 되지 않도록 70-80%로 유지하였다. 때에 따라서는 생장촉진제나 포도당 처리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습도가 높아지기 쉬운 강우 전후에는 제습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포자가 생육하는 데는 실내 조명이 필요하므로 식물 생장용 형광등을 설치했다. 배양실의 공기는 무균 상태로 하고, 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였다.
자실체 포자 발아 2일 내지 1주일 정도 지나면 자실체 주변에서 포자 균사 생장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해부 현미경으로 6시간 내지 12시간 간격으로 포자 발아 여부를 확인한 뒤 능이산이 조성된 자리에 자실체 배양 포자를 식재한다. 기온이 17~20℃인 날에 식재하여야 하며 습도가 60% 이상일 때가 적당하다. 자실체 포자 배양은 자실체가 생산되는 가을, 9~11월에 한다. 자실체 포자 발아시간 10~15일, 포자 균사 식재까지의 시간을 고려할 때 9~10월에 70~100% 성장한 자실체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능이버섯은 참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이다. 능이산을 조성한 장소에 1~5㎝ 두께로 호미로 땅을 판 후 높이 1~3㎝ 이상의 자실체 포자배양 종묘를 식재한다. 식재 간격은 1m로 하고, 식재 후 호미나 손으로 살짝 두드리듯이 눌러준다. 습도나 온도 조절을 위하여 낙엽을 약간 덮는 것도 가능하다.
식재 후 능이버섯 자실체는 2-3년 후에 본격적으로 생산되며, 자실체가 나온 후에는 다음해에도 연속적으로 버섯 자실체가 생산된다. 첫해의 자실체 생산이 10이면 이듬해에는 20, 또 다음해는 40이 되어 군락 형태를 띤다. 버섯은 모체인 나무와 공생관계이기 때문에 나무의 관리에도 최선을 다한다. 또한, 습도와 버섯은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인공관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섯 발생 온도가 토양기준으로 17~19℃가 7~15일 유지될 때 자실체가 생성된다.
본 발명은
(가) 능이산 조성 대상지 내에 능이 발생림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나) (가) 단계에서 능이 발생림이 있는 경우 참나무 나이가 16~50년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 (나) 단계에서 참나무 나이가 16~50년 내에 있는 경우 사업실시 범위, 면적 및 사업실시 기간을 결정한 후 능이산 조성에 착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사업실시 기간은
유령림의 경우 1, 2차년도,
장령림의 경우 1, 3, 5차년도로 정하고,
(b) 세부 사업내용은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3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5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세부 사업내용 중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 능이산 조성 대상지 내에 능이 발생림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나) (가) 단계에서 능이 발생림이 없는 경우 대상지가 북향의 배수가 잘 되는 산등성이 오목한 부근의 습한 곳 또는 북향의 산 중복 부분의 배수가 잘 되고 토양이 습한 곳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 (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능이 미발생림 숲의 70% 이상을 참나무가 차지한 참나무 지배형인지, 침엽수가 30~50%를 차지하는 침엽수 침입형인지, 또는 침엽수가 50% 이상인 침엽수 지배형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라) (다) 단계에서 참나무 지배형 또는 침엽수 침입형의 경우 대상지 내의 참나무 나이가 16~35년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마) (라) 단계에서 참나무 나이가 16~35년 내에 있는 경우 사업실시 범위, 면적 및 사업실시 기간을 결정한 후 능이산 조성에 착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사업실시 기간은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 2차년도,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 2, 3차년도,
참나무 지배형 장령림의 경우 1, 3, 5차년도,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 2, 3, 4차년도로 결정하며,
(b) 세부 사업내용은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참나무 지배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3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5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4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 산림의 종류에 따른 사업 실시기간은 좀 더 원활한 능이의 재배를 위하여 추천하는 내용으로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1차년도 사업 실시 이후 자연적으로 능이가 발생하거나 자실체를 식재하여 능이가 발생할 수 있다. 능이 발생 이후의 능이산 조성사업은 능이의 발생과 성장 상태에 따라 더 진행하거나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 세부 사업내용 중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하고,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25~35가 되도록 실시하며, 2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하며,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간벌은 참나무를 남겨두고 침엽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층식생 정리는 식초 등의 산을 처리하거나 제초제를 처리하는 화학적 방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상기 방법으로 조성된 능이산에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1~5㎝ 깊이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가 1~3㎝ 크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식재한 후 3~4년이면 성장한 능이버섯을 수확할 수 있다.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는 상기 능이산 조성사업 1차년도 이후 식재할 수 있다.
또한, 능이산 조성사업 후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식재하지 않더라도 주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능이산이 있거나 능이버섯 포자가 있는 경우 능이버섯이 자연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 재배가 불가능하였던 능이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능이산 가꾸기와 자실체 포자배양법을 결합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능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곳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능이산 조성 전 참나무숲 모습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가지치기 및 지피물 제거 등을 거친 능이산 조성 후 모습이다.
도 4는 능이버섯 포자 배양 중인 사진이다.
도 5는 포자 형성 단계의 능이 자실체 사진이다.
도 6a와 도 6b는 조성된 능이산에 능이 자실체를 식재한 2년 후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조성된 능이산에 능이 자실체를 식재한 3년 후 사진이다.
도 8a와 도 8b는 조성된 능이산에 능이 자실체를 식재한 4년 후 능이 성체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능이버섯 재배를 위한 산림 조성사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 및 기준에 따라 실행한다. 먼저, 능이 발생림과 능이 미발생림을 구분하여 사업실행 타당성 여부를 판단한 다음, 적지로 판정된 경우 능이버섯 생산 기반사업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능이 발생림 및 능이 발생림 주변은 이미 능이버섯이 발생하는 산이므로 적지 판정은 하지 않아도 되며, 능이버섯 발생을 지속시키거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발생 면적을 주변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사업실시 범위(면적) 및 사업실시 기간을 결정한 후 사업을 실시한다.
능이 미발생림의 경우 적지 판정을 먼저 실시한 후 적지로 판정된 경우에만 능이버섯 생산기반사업 실행을 결정한다.
능이버섯 재배사업 적지 판정 요건으로는 입지적 조건과 생태적 조건을 들 수 있다. 입지적 조건으로는 북향의 배수가 잘되는 산등성이 오목한 부근, 습한 곳이 적당하다. 북향의 산 중복(中腹) 부분도 배수가 잘되어 토양이 습한 곳은 능이버섯 재배가 가능하다. 반면, 통풍이 양호하고 햇볕이 잘 들어서 비교적 건조한 곳은 능이버섯 재배 적지가 아니다. 생태적 조건으로는 참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숲이 가장 적당하다. 또한, 참나무 임령도 중요한데, 능이버섯 발생이 시작되기 직전의 유령림이나 능이버섯이 발생하기 시작한 숲이 가장 적당하다. 능이버섯은 통상 참나무 임령 20~30년부터 발생한다.
능이버섯 재배에 적합한 곳인지 여부는 도 1의 순서도에 따라 결정한다.
구 분 숲의 구체적인 형태 적지판정
능이
발생림
능이
미발생림
참나무 지배형 숲의 70% 이상을 참나무가 차지한 숲 적합 적합
침엽수 침입형
(30~50%)
상층림은 참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소나무 등 침엽수가 침입하여
혼효림을 이루고 있는 숲
적합 부적합
침엽수 지배형
(50% 이상)
참나무가 쇠퇴하고
소나무 등 침엽수가 우세한 숲
부적합 부적합
구 분 15년생 이하 16~35년생 36~50년생 50년생 초과
적지 판정 능이
발생림
부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능이
미발생림
부적합 적합 부적합 부적합
능이산 조성사업 기간은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먼저, 능이 발생림의 경우에는 임상 및 참나무 임령에 따라 아래 표 3과 같이 구분한다.
구 분 참나무 지배형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16~35년생) 2년(1, 2차년도) 3년(1, 2, 3차년도)
장령림(36~50년생) 3년(1, 3, 5차년도) 4년(1~4차년도)
능이 발생림 주변의 경우에는 3년(1, 2, 3차년도), 능이 미발생림의 경우에는 2년(1, 2차년도)을 계획한다.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세부 사업내용을 결정한다. 능이 발생림의 경우 임상 및 참나무 임령에 따라 아래 표 4와 같이 실시한다.
구 분 유령림(16~35년생) 장령림(36~50년생)
참나무 지배형 침엽수 침입형 참나무 지배형 침엽수 침입형
1차년도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4차년도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5차년도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능이 발생림 주변의 경우, 1차년도에는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는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에는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를 실시한다.
능이 미발생림의 경우, 1차년도에는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는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인 사업실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간벌작업은 공간 조절을 위한 작업으로서, 나무 사이의 거리가 나무 키의 35% 수준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것을 "상대공간지수가 35 내외"라고 말한다. 예컨대, 참나무림의 수고(樹高)가 10m인 경우에는 나무 사이의 거리가 3.5m 내외가 되도록 하며, 수고가 5m인 경우에는 나무 사이의 거리가 1.8m 내외가 되도록 간벌한다. 참나무 간벌은 최대한 억제하되 상대공간지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범위 내의 소나무도 제거하며, 소나무류라 할지라도 너무 간격이 멀게 되는 경우에는 남겨 둔다. 간벌은 산물 반출 작업을 포함하며, 나뭇가지 등과 더불어 반드시 사업대상지 밖으로 반출해야 한다.
공간 조절을 위한 간벌을 실시하여 나무 간의 거리를 넓혔음에도 불구하고 땅에 그늘이 너무 많이 지는 경우에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작업 공간 유지를 위하여 지상 2m 이하의 가지를 우선적으로 제거한다.
하층식생 정리에서 진달래 및 철쭉 종류와 싸리류는 줄기 중에서 2~3개만 남기고 밑동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대단위 식생정리를 할 경우 화학적인 방법으로 식초 등의 산 또는 제초제 등의 살포도 가능하다.
지피물 제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초본류는 능이버섯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높이 20cm 이하의 작은 초본은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높이 20cm가 넘는 초본류와 조릿대 등 습지성 초본류는 풀베기 또는 굴취를 통하여 제거한다.
간벌, 하층식생 정리 및 가지치기는 나무의 종류 판단과 그늘진 정도의 확인이 쉬우며 맹아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은 여름철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실시예
경북 청송군 진보면 발명자 소유의 산림에서 2015년부터 능이산 가꾸기를 수행하였다. 자연 상태의 능이산, 능이산 가꾸기(간벌), 능이산 가꾸기(간벌 및 지피물 제거), 능이산 가꾸기(간벌 및 지피물 제거) 후 자실체 배양 포자 식재의 표본을 4년에 거쳐 표본 면적 1ha씩 조사하여 표 5와 같은 데이터를 얻었다.
자연 상태의 능이산은 능이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으며 기후의 영향이나 수목의 성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다.
능이산 가꾸기 중 간벌작업을 수행한 숲은 1년차에는 수목 간벌 작업 후 수목의 가지가 더 번성하여 능이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일시적으로 더욱 나빠졌고 2년차부터는 조금씩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능이산 가꾸기 작업으로 간벌과 동시에 지피물을 제거한 숲에서는 자생하는 능이 자실체가 햇빛과 수분을 충분히 접할 수 있어 1년차부터 능이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능이산 가꾸기 작업으로 간벌 및 지피물 제거 후 배양한 능이 자실체를 식재한 숲에서는 능이 자실체가 햇빛과 수분을 충분히 접할 수 있어 생산량은 증가했으나 2년차까지는 수량이 크게 상승하지 못하였고, 이후 3년차부터는 생산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자실체 식재 후 4년차에는 자실체 크기가 커지면서 수확량이 자연상태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면적
1년차
생산량
(kg)
2년차
생산량
(kg)
3년차
생산량
(kg)
4년차
생산량
(kg)
자연 상태 1ha 41 39 43 37
능이산 조성
(간벌, 하층식생 정리)
1ha 27 47 51 46
능이산 조성
(간벌, 하층식생 정리 및 지피물 제거)
1ha 55 70 83 87
능이산 가꾸기
(간벌, 하층식생 정리 및 지피물 제거 후 자실체 식재)
1ha 56 72 140 225

Claims (12)

  1. (가) 능이산 조성 대상지 내에 능이 발생림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나) (가) 단계에서 능이 발생림이 있는 경우 참나무 나이가 16~50년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다) (나) 단계에서 참나무 나이가 16~50년 내에 있는 경우 사업실시 범위, 면적을 결정한 후 능이산 조성에 착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세부 사업내용으로서 유령림의 경우 간벌, 하층식생 정리 및 지피물 제거, 장령림의 경우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및 지피물 제거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 단계에서 사업실시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a) 사업실시 기간은
    유령림의 경우 1, 2차년도,
    장령림의 경우 1, 3, 5차년도로 정하고,
    (b) 세부 사업내용은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3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5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b) 세부 사업내용 중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4. (가) 능이산 조성 대상지 내에 능이 발생림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나) (가) 단계에서 능이 발생림이 없는 경우 대상지가 북향의 배수가 잘 되는 산등성이 오목한 부근의 습한 곳 또는 북향의 산 중복 부분의 배수가 잘 되고 토양이 습한 곳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 (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능이 미발생림 숲의 70% 이상을 참나무가 차지한 참나무 지배형인지, 침엽수가 30~50%를 차지하는 침엽수 침입형인지, 또는 침엽수가 50% 이상인 침엽수 지배형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라) (다) 단계에서 참나무 지배형 또는 침엽수 침입형의 경우 대상지 내의 참나무 나이가 16~35년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마) (라) 단계에서 참나무 나이가 16~35년 내에 있는 경우 사업실시 범위, 면적을 결정한 후 능이산 조성에 착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세부 사업내용으로서 유령림의 경우 간벌, 하층식생 정리 및 지피물 제거, 장령림의 경우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및 지피물 제거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에서 사업실시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a) 사업실시 기간은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 2차년도,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 2, 3차년도,
    참나무 지배형 장령림의 경우 1, 3, 5차년도,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 2, 3, 4차년도로 결정하며,
    (b) 세부 사업내용은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참나무 지배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3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5차년도에 하층식생 정리, 가지치기, 지피물 제거,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에 간벌,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2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3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 4차년도에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를 수행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b) 세부 사업내용 중
    참나무 지배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하고,
    침엽수 침입형 유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25~35가 되도록 실시하며, 2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하며,
    침엽수 침입형 장령림의 경우 1차년도 간벌은 상대공간지수가 30~40이 되도록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간벌은 참나무를 남겨두고 침엽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산 조성방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하층식생 정리는 화학적 방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
  9.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조성된 능이산에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는 능이산 조성 착수 첫 해 사업 수행 후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는 1~5㎝ 깊이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포자가 배양된 능이버섯 자실체는 1~3㎝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재배방법.
KR1020190120352A 2019-09-30 2019-09-30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KR10249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52A KR102493334B1 (ko) 2019-09-30 2019-09-30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52A KR102493334B1 (ko) 2019-09-30 2019-09-30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887A true KR20210037887A (ko) 2021-04-07
KR102493334B1 KR102493334B1 (ko) 2023-01-30

Family

ID=7546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52A KR102493334B1 (ko) 2019-09-30 2019-09-30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384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머쉬텍 송이균, 이의 배양방법 및 이의 배양액을 이용한 송이버섯생산방법
CN101861795A (zh) * 2010-05-10 2010-10-20 云南农业大学 一种松茸人工促繁技术的方法
KR20120000865A (ko) * 2010-06-28 2012-01-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CN106900350A (zh) * 2017-02-21 2017-06-30 吉林省欢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栽培松茸高产化方法
CN107173060A (zh) * 2017-06-14 2017-09-19 哈尔滨汉洋食用菌种植有限公司 赤松茸的有机环保种植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384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머쉬텍 송이균, 이의 배양방법 및 이의 배양액을 이용한 송이버섯생산방법
CN101861795A (zh) * 2010-05-10 2010-10-20 云南农业大学 一种松茸人工促繁技术的方法
KR20120000865A (ko) * 2010-06-28 2012-01-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CN106900350A (zh) * 2017-02-21 2017-06-30 吉林省欢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栽培松茸高产化方法
CN107173060A (zh) * 2017-06-14 2017-09-19 哈尔滨汉洋食用菌种植有限公司 赤松茸的有机环保种植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능이의 임지재배 기술 및 기능성 개발(2002.11월 발행)" (Url : 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40002401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334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3460B (zh) 曼地亚红豆杉的扦插方法
CN106069207A (zh) 一种自然林下食用菌复合生态栽培方法
CN104429550A (zh) 人工种植滇重楼的方法
CN107996288A (zh) 一种林下仿野生生态栽培桑黄的方法
CN109220465A (zh) 一种花椒树的栽培及修剪方法
CN107624525A (zh) 一种菠萝避寒栽培方法
CN109122108A (zh) 一种凤梨快速繁育方法
CN110226454A (zh) 一种织金竹荪仿野生栽培方法
CN104067916A (zh) 一种欧洲红豆杉的温室扦插方法
CN106937579A (zh) 一种秋季红花檵木南方扦插育苗方法
CN103749138B (zh) 一种火力楠扦插繁殖方法
CN107548902A (zh) 一种金钗石斛早产丰产的栽培方法
CN108293543A (zh) 一种优质无公害蓝莓立体栽培技术
CN102577837A (zh) 一种夏季生物荫棚套种平菇的方法
KR102493334B1 (ko) 능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능이버섯 재배방법
CN101584282A (zh) 菇瓜豆立体栽培
KR102493336B1 (ko) 송이산 조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이버섯 재배방법
CN111226687A (zh) 一种野外松茸菌塘的培育方法
CN110537425A (zh) 一种大果榛子良种无性扦插繁育方法
KR101931579B1 (ko) 모래밭버섯균근균을 이용한 광산토 혼합 건축 폐토사의 토양개량 방법
CN108967015A (zh) 一种榉树枯萎病防治方法
CN109156265A (zh) 一种羊肚菌的人工栽培及其管理技术
CN110178621B (zh) 一种a字架上迷迭香套种灵芝的方法
CN107969268A (zh) 一种丹红紫叶紫薇苗木的培育方法
CN103125260A (zh) 一种夏季生物荫棚套种金福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