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29A - 배식 집게와 스푼 - Google Patents

배식 집게와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29A
KR20120000129A KR1020100060302A KR20100060302A KR20120000129A KR 20120000129 A KR20120000129 A KR 20120000129A KR 1020100060302 A KR1020100060302 A KR 1020100060302A KR 20100060302 A KR20100060302 A KR 20100060302A KR 20120000129 A KR20120000129 A KR 2012000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food
spoon
serving
conn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민
Original Assignee
임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민 filed Critical 임영민
Priority to KR102010006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129A/ko
Publication of KR2012000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뷔페나 단체급식에 사용되는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이 음식용기 내부로 빠져들어가는 것과 음식용기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을 구성하되, 배식 집게 또는 배식 스푼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여 상단부에 파지부를 하단부는 음식운반부로 구분하고, 파지부 하단에서 중단부로 상부걸림홈을 형성하고 음식운반부 상단에서 중단부로 하부걸림홈을 형성하되, 집게와 스푼의 폭과 두께는 전체적으로 같게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집게나 스푼을 완벽하게 걸쳐놓을 수 있고, 파지부가 구분되었기 때문에 세균이 음식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곡면부와 걸림홈이 형성된 부분에 폭과 두께를 줄이지 않고 같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해지지 않고, 돌출부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첫 번째 마디와 엄지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한 인체 공학적인 집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식 집게와 스푼{Distribute food tongs and spoon}
본 발명은 뷔페나 단체급식에 사용되는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이 음식용기 내부로 빠져들어 가는 것과 음식용기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식 집게와 스푼은 뷔페나 단체급식에서 음식용기에 담겨져 있는 각종의 음식물을 각 개인의 식판으로 조금씩 배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배식 집게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상은 대략적으로 U 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단 C형 절곡부에 의해서 탄성이 부여되고, 하단에는 음식물을 집기 위한 톱니형 클램프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C형 절곡부에 의해서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손가락으로 U 형으로 된 집게를 눌러서 음식물을 잡고, 손가락을 벌리면 C형 절곡부의 탄성작용으로 집게의 하단부가 벌여지게 되어 음식물이 낙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식 스푼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푼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형상으로 크기는 3~4 배 정도 더 커 한번에 많은 음식물을 덜어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이 뷔페나 단체급식에 사용되는 배식 집게는 음식물을 집어서 놓는 기능, 배식 스푼은 음식물을 담아서 붓는 기능이 전부였다.
따라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을 사용해서 음식용기에 있는 음식물을 집어서 개인 식판에 옮겨 담고 난 후에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을 음식용기의 내부에서 테두리쪽으로 경사지게 걸쳐놓게 되면, 상호 간에 매끄러운 표면으로 집게나 스푼이 음식용기 내부로 빠지게 된다.
그러면, 배식 집게나 배식 스푼 전체에 음식물이나 음식물의 양념이 묻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는 뷔페나 단체 배식에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배식 집게나 배식 스푼을 통해서 세균이 음식물로 옮겨지게 되고, 음식물이나 음식물의 양념이 묻은 배식 집게나 배식 스푼은 세척을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12691의 미끄럼 방지 홈이 있는 주방용 배식 집게가 있다.
상기한 배식 집게는, 집게 선단부에 음식을 집기 위한 톱니형 클램프와 집게에 탄성작용을 부여하기 위한 C형 절곡부와 상기 C형 절곡부 양쪽에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V형 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V형 홈이 음식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걸려 배식 집게가 음식용기 내부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미끄럼 방지를 위한 V형 홈이 있는 배식 집게는 V형 홈이 C형 절곡부 양쪽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식 집게의 몸체 폭이 좁아지는 결과로 배식 집게의 내구성이 약해져 사용중 V형 홈 부분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식 집게의 C형 절곡부 바로 하단부에 구성된 V형 홈으로 인해 손으로 배식 집게를 잡는 파지부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대부분은 V형 홈 하단부 임의의 위치를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집게의 임의의 위치를 파지하여 사용하고 난 후, 집게를 음식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걸쳐놓으면 집게의 파지부가 음식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사용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면, 배식 집게의 파지부에 사용자의 손에서 묻은 세균이 음식용기 내부에 있는 음식물과 접촉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결국 파지부를 통해서 음식물이 세균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집게의 파지부에 음식물이 묻어나게 되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집게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서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톱니형 클램프쪽을 걸쳐두고 C형 절곡부를 바닥에 놓아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집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집게가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오염된 바닥에 톱니형 클램프가 닿게 되므로 톱니형 클램프부분을 통해서 음식물이 오염되는 등 종래의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뷔페나 단체급식에서 배식 집게나 스푼을 사용한 후에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집게나 스푼의 파지부가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게 걸쳐놓으면,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이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안전하게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집게나 스푼이 음식용기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또는 외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파지부를 구분하여 파지부를 통해서 세균이 음식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집게나 스푼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에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을 구성하되, 배식 집게 또는 배식 스푼의 전체 길이를 대략적으로 상단부,중단부,하단부로 3등분하여 상단부에 파지부를 하단부는 음식운반부로 구분하고, 상단부와 중단부 사이에 상부걸림홈을 형성하고 중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하부걸림홈을 형성하되, 집게와 스푼의 폭과 두께는 전체적으로 같게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에 의하면,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집게나 스푼을 완벽하게 걸쳐놓을 수 있고, 파지부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세균이 음식물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집게와 배식 스푼에 완만한 곡면부와 걸림홈이 형성되면서 전체적인 폭과 두께를 줄이지 않고 같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돌출부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첫 번째 마디와 엄지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한 인체 공학적인 집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집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스푼의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집게의 사용상태도
도 5,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스푼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집게와 배식 스푼에 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게와 스푼은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내식성이 강한 재질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재질로 형성되는 배식 집게(10)와 배식 스푼(20)은 전체 길이를 3등분하여 상단부(1),중단부(2),하단부(3)로 구분하고, 상단부(1)는 파지부로 사용하고, 하단부(3)는 음식운반부로 사용하며,
상기 상단부(1)와 중단부(2)의 연결지점에 상부걸림홈(4)이 형성되고, 중단부(2)와 하단부(3)의 연결지점에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은 음식용기의 테두리에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원만하게 유도되도록 중단부(2)쪽으로 완만한 곡면부(4')(5')가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집게의 경우에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파지할 때 검지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가 닿도록 돌출부(6)(7)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같은 폭으로 되게 구성되었다.
상기 배식 스푼(20)의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 및 돌출부(6)(7)는 절곡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같은 두께로 형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음식용기, 51은 테두리, 52는 바닥을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식 집게와 스푼에 사용법 및 작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식 집게(10)와 배식 스푼(20) 중에 배식 집게(10)를 실예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배식 집게(10)의 상단부(1)에 구성된 파지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배식 집게의 상단부(1)와 중단부(2)의 연결지점에 형성된 상부걸림홈(4)을 음식용기(50)의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51)에 걸쳐 놓는다.
그러면, 배식 집게(10)에 형성된 상부걸림홈(4)이 음식용기(50)의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51)에 걸려지면서 중단부와 하단부(3)의 음식운반부만 음식용기(5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는 배식 집게(1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파지부를 파지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배식 집게의 하단부(3)와 중단부(2)의 연결지점에 형성된 하부걸림홈(5)을 음식용기(50)의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51)에 걸쳐 놓는다.
그러면, 배식 집게(10)의 하부걸림홈(5)이 음식용기(50)의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51)에 걸려지면서 하단부(3)에 형성된 음식운반부는 허공에 위치되고, 상단부(1)에 형성된 파지부의 끝부분이 바닥(52)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음식용기에 형성된 테두리(51)에 걸려지는 작용을 할 때,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중단부(2)쪽으로 형성된 완만한 곡면부(4')(5')는 상부걸림홈(4) 또는 하부걸림홈(5)이 음식용기에 형성된 테두리(51)에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안전하게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배식 집게를 파지할 때 상부돌출부(6)에 검지 손가락 첫 번째 마디와 엄지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에 닿아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인체공학적 파지부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돌출부로 인해 사용자는 파지부 외에는 다른 부분은 파지하기가 불편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파지부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집게의 파지부 외에는 손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홈이 형성된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같은 폭을 가지게 하여 사용중에 걸림홈의 강도 저하로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 상단부
2: 중단부
3: 하단부
4: 상부걸림홈
5: 하부걸림홈
4':5' 곡면부
10: 집게
20: 스푼

Claims (2)

  1.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내식성이 강한 재질을 가공하여 배식 집게를 형성함에 있어서,
    배식 집게(10)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여 상단부(1),중단부(2),하단부(3)로 구분하여 상단부(1)와 중단부(2)의 연결지점에 상부걸림홈(4)이 형성되고, 중단부(2)와 하단부(3)의 연결지점에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는 반대쪽에는 파지할 때 검지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가 닿도록 돌출부(6)(7)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같은 폭으로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집게.
  2.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내식성이 강한 재질을 가공하여 배식 스푼을 형성함에 있어서,
    배식 스푼(20)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하여 상단부(1),중단부(2),하단부(3)로 구분하여 상단부(1)와 중단부(2)의 연결지점에 상부걸림홈(4)이 형성되고, 중단부(2)와 하단부(3)의 연결지점에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걸림홈(4)과 하부걸림홈(5)이 형성되는 반대쪽에 돌출부(6)(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 스푼.
KR1020100060302A 2010-06-25 2010-06-25 배식 집게와 스푼 KR20120000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02A KR20120000129A (ko) 2010-06-25 2010-06-25 배식 집게와 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02A KR20120000129A (ko) 2010-06-25 2010-06-25 배식 집게와 스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29A true KR20120000129A (ko) 2012-01-02

Family

ID=4560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302A KR20120000129A (ko) 2010-06-25 2010-06-25 배식 집게와 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8109A (zh) * 2014-11-26 2015-03-11 韦江华 一种多功能筷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8109A (zh) * 2014-11-26 2015-03-11 韦江华 一种多功能筷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423A (en) Food gripper utensil
US8672377B2 (en) Eating utensil
US20090322108A1 (en) Opposed fork food grasping device
JP2022549016A (ja) 把持具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US5797495A (en) Serving tray
KR20120000129A (ko) 배식 집게와 스푼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US20150298953A1 (en) Multifunctional 21-in-1 opener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102414442B1 (ko)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용 집게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KR20130122873A (ko)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JP2011019884A (ja) 寿司挟持器具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JPH05507855A (ja) 手の障害者及び一般人のための食器
KR20120001487U (ko)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JP2022113603A (ja) ふたに指やスプーンなどの柄を入れる部分を設けた保存容器
KR200453207Y1 (ko) 다용도 주방용 집게
KR200442550Y1 (ko) 1회용 장갑
JP3190609U (ja) トング
RU148680U1 (ru) Щипцы столовые для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го потреб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