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607A -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607A
KR20110138607A KR1020100058595A KR20100058595A KR20110138607A KR 20110138607 A KR20110138607 A KR 20110138607A KR 1020100058595 A KR1020100058595 A KR 1020100058595A KR 20100058595 A KR20100058595 A KR 20100058595A KR 20110138607 A KR20110138607 A KR 20110138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ed
fish sauc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590B1 (ko
Inventor
장석인
신세경
Original Assignee
장석인
신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인, 신세경 filed Critical 장석인
Priority to KR102010005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23K10/3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from distillers' or brewers' was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일반 조사료에 액젓 제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혼합하고 발효시켜서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방법은 액젓 제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을 환경오염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액젓 부산물에 함유된 영양성분이 가축사료에 함유됨으로써 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조사료에 액젓 부산물이 첨가된 혼합물의 발효시 발생될 수 있는 발효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eedstuff containing by-product of salted fish sauce}
본 발명은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일반 조사료에 액젓 제조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혼합하고 발효시켜서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젓은 주로 멸치, 까나리 등의 어패류를 주원료로 하여 이에 식염을 가하고 발효, 숙성 후 여과하여 맑은 액만을 이용하는 수산발효식품으로서, 여러 가지 영양소 및 필수 아미노산 성분이 풍부하고 글루탐산 글리신 함량이 높아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으며 김치를 비롯한 여러 식품의 조미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액젓은 어패류의 종류에 따른 독특한 풍미와 감칠맛으로 인하여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어패류를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제거한 원액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액젓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물인 어체 잔유물질 등 부산물이 남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액젓 부산물은 높은 염도로 인하여 비료나 사료 등으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소각처리도 어려워, 공해상에서 해양투기하거나 매립하는 방법으로 폐기처리하는 실정에 있어, 해수의 오염 및 토양악취로 인한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젓을 생산한 후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하거나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는데, 액젓 부산물에는 많은 무기물이나 회분 등의 영양 성분이 남아 있으므로 이를 사료에 첨가하여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그런데 사료에 첨가할 경우 액젓 부산물의 염도가 높아서 첨가량에 제약이 있으며, 또한 액젓 부산물 자체는 발효된 상태로서 이를 사료에 첨가하여 다시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할 경우 발효 대신 부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94480호에는 까나리 액젓 제조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액젓 제조 폐기물을 해수 또는 민물로 희석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한 다음 상등액은 여과하고 침전물은 탈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해수로 희석된 상등액은 소금생산에 이용되며, 민물로 희석한 침전물은 탈수하여 사료 또는 비료에 이용된다.
그런데 상기 액젓 제조 폐기물의 상등액을 소금생산에 이용할 경우 해수만으로 소금을 생산한 경우에 비하여 효율적이지 않으며, 침전물을 사료 또는 비료에 이용할 경우 액젓 제조 폐기물을 단순히 물로 희석하여 염도를 낮추는 효과밖에 없고, 희석 후 탈수된 민물에 액젓 제조 폐기물의 일부 및 염류가 여전히 잔존하여 2차 오염이 야기되므로 다시 이의 처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 액젓 제조 폐기물의 근본적인 처리방안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액젓 부산물에 함유된 양양성분을 이용하면서 액젓 부산물을 근본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젓 제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인 어체 잔유물질을 2차 오염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산물을 가축의 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젓 부산물을 압착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조사료에 상기 액을 혼합하여 사료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료혼합물을 50~70℃로 승온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사료혼합물 100중량부에 생균제 0.5~3.0중량부를 첨가하고 밀봉한 다음 2~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사료 100중량부에 상기 고형분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3~10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료혼합물은 맥주박 100중량부에 파옥쇄 60~70중량부, 소맥피 60~70중량부, 미강 60~70중량부, 면실박 30~40중량부, 맥강 20~30중량부, 당밀 10~20중량부 및 상기 분리된 액 3~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혼합물은 맥주박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0~20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황토는 물 100중량부에 채취한 황토 10~30중량부 및 탄산나트륨 0.1~0.5중량부를 혼합하여 저어준 다음 3~7시간 정치한 후 상부의 현탁액을 취하여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균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광영양세균 및 효모가 동일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하는 단계의 고형분은 상기 분리하는 단계의 고형분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저염도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방법은 액젓 제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을 환경오염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액젓 부산물에 함유된 영양성분이 가축사료에 함유됨으로써 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조사료에 액젓 부산물이 첨가된 혼합물의 발효시 발생될 수 있는 발효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젓 부산물을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한 다음, 액은 일반 조사료와 함께 발효시키고 여기에 고형분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사료를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1) 액젓 부산물을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
밴댕이, 새우, 황새기, 까나리, 멸치, 갈치, 배도라치, 곤쟁이, 실치 등의 어종에 식염을 혼합하고 약 1∼2년간 숙성시킨 후 맑은 액만을 채취하여 액젓을 얻게 되며, 액젓을 채취하고 남은 부산물에는 염도가 높은 고ㆍ액(solidㆍliquid) 혼합물이 혼재하게 된다.
먼저 상기 액젓 부산물을 압착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액젓 부산물에 함유된 소금성분은 주로 액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여 상기 액젓 부산물을 압착하면 액과 고형물로 분리되며, 액의 염도는 액젓 제조시의 소금 첨가량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 액젓의 경우 통상 20~40% 정도이다.
2) 조사료에 상기 액을 혼합하여 사료혼합물을 제조
맥주박, 파옥쇄, 소맥피, 미강, 면실박, 맥강, 당밀 등의 조사료를 준비한 다음 여기에 상기 분리된 액을 혼합하여 사료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조사료는 가축사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재료로서, 상기 맥주박은 맥주나 엿기름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온 맥아보리의 추출 잔류물로서, 수분조절 기능이 있으며 단백질과 섬유질 함량이 높아 다른 사료와 혼합되어 영양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파옥쇄는 옥수수가루로서, 옥수수의 주성분은 전분이며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편이고 가축의 기호성이 높은 에너지 사료이다.
상기 소맥피는 밀기울로서,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열량은 적으나 무기물이 많이 들어 있으며, 기호성이 높고 소화가 잘 되는 재료이다.
상기 미강은 쌀겨로서, 에너지 함량이 높고, 당질, 지방, 단백질 및 비타민 B1, E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면실박은 목화씨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깻묵으로서, 조단백질 및 조섬유 함량이 높고 소화율을 향상시켜 다른 사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사료영양분의 손실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맥강은 보릿겨로서, 보릿겨는 상기 미강과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면 가축 육질의 색을 선명하게 해주고 지방을 단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가축 비육 말기의 마블링 형성에 도움을 준다.
상기 당밀은 설탕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당의 함량이 높아서 생균제의 발효를 돕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젓 부산물에서 분리된 액에는 수용성 영양성분과 소금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소금은 생체 내의 생리활성을 조절해 주며 당밀의 단맛을 더하고 소화를 돕는다.
상기 사료혼합물의 배합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한 배합비를 예시하면, 맥주박 100중량부에 파옥쇄 60~70중량부, 소맥피 60~70중량부, 미강 60~70중량부, 면실박 30~40중량부, 맥강 20~30중량부, 당밀 10~20중량부 및 상기 분리된 액 3~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급여하고자 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가감할 수 있다.
상기 사료혼합물에서 액의 함유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에서 기술된 액의 효능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처리하고자 하는 액젓 부산물의 처리량이 적게 되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사료혼합물의 염도가 너무 높아져 다음 공정인 발효시에 발효미생물이 생육하기 어렵고 또한 가축의 먹이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사료혼합물에는 황토(黃土)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황토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미세입자가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는 탁월한 정화능력 및 황토 속에 있는 미생물과 다양한 효소들이 복합적으로 상승작용을 일으켜 생물체에 유익한 효능을 나타낸다.
황토의 화학적 조성은 충적호 토양과 비슷하며 실리카 60∼65%, 철분 5∼6%, 알루미나 10∼13%, 마그네슘과 나트륨이 각 2% 내외, 칼륨 1.5%, 석회 8% 내외이며,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어서 다량의 탄산칼슘을 갖고 있다. 이러한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고 점력(粘力)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특히, 황토에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카탈라아제(catalase) 효소와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는 프로테아제(protease) 효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체내의 독소인 과산화지질을 중화시키고 생물체 내에서 암이나 종기, 기타 부패한 세포를 분해시키는 약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황토는 장내의 독소를 배출하여 사료효율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가축의 체중을 약 10%~12%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지닌 황토를 사료에 첨가할 때 황토입자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황토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게 될수록 단위체적당 표면적이 늘어나 황토의 가소성, 흡착성, 흡수 및 탈수성, 현탁성, 이온교환성 등의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채취된 황토에서 미세입자만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황토를 물에 현탁시켜 지장수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황토는 pH가 낮아 물에 현탁시키면 수십 분 이내로 대부분의 입자가 응집되어 침전되므로 미세입자만을 분리하기가 수월하지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장수 제조시 탄산나트륨(Na2CO3)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탄산나트륨은 가축의 소화를 촉진하고 가축에 해가 없으며, 알카리성 분산제의 역할을 하여 황토 미세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물에 분산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물 100중량부에 채취한 황토 10~30중량부 및 탄산나트륨 0.1~0.5중량부를 혼합한 후 충분히 저어주고 3~7시간 정치하면 큰 입자는 바닥에 가라앉고 황토의 미세입자는 물속에 분산된다.
상기 황토 미세입자가 분산된 현탁액을 따라 내어 건조 및 분쇄하면 미세입자의 황토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황토 첨가량은 맥주박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0~20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황토의 첨가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에서 기술된 황토의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황토 과다 잉여분이 그대로 배설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3) 사료혼합물을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사료혼합물은 생균제가 첨가되어 발효된다.
생균제는 상기에서 제조된 사료혼합물의 효능을 좀더 향상시키고 가축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켜 가축의 생리대사활동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미생물로서,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광영양세균(Phototrophic bacteria), 효모(Yeast)를 혼합하여 생균제를 제조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의 일종인 유산간균으로 내산성이며 정장작용, 항암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비타민 B군의 합성능력 등이 있는 정장(整腸) 미생물로 장내(腸內) 환경을 개선하여 장내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한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고초균의 일종으로서 광범위한 종류의 효소를 생성하여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광영양세균은 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는 혐기성 미생물로서 축사에서 발생하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산, 이소락산, 길초산, 이소길초산의 악취성분과 퓨트레신(putrescine), 카다베린(cadaverine)의 아민류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 및 메르캅탄류를 제거하여 축산분뇨의 냄새를 감소시키며, 항바이러스 물질을 가지고 있어서 바이러스 병을 방지하는데 유효하고, 카로티노이드(carotinoid)를 생성하여 육질의 변화 및 사료의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효모는 발효를 용이하게 해주는 미생물로서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엽산의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많은 비타민을 생산하고 미량광물을 결합하는 능력으로 인해, 사료에 발효 효모 특유의 풍미를 부여하여 사료의 기호도를 촉진시키고, 풍부한 미네랄과 소화효소의 생성으로 육질변화와 사료의 효율을 개선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광영양세균 및 효모의 혼합비율은 사료로서 급여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4가지 미생물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사료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사료혼합물을 50~70℃로 승온시켜 유해세균을 살균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상기 사료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상기에서 제조된 생균제 0.5~3.0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살균온도가 50℃ 미만이면 유해 미생물의 살균이 충분치 않고, 70℃를 초과하면 사료혼합물 중의 영양성분의 파괴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은 상기 생균제가 혼합된 사료혼합물을 밀봉한 다음 2~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한다.
상기 발효사료를 뒤섞은 다음 다시 2~3일 동안 발효시키는 과정을 1~2회 더 반복시행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혼합물의 조사료 및 염분에는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발효과정을 통하여 유해성분이 분해 또는 변질되어 무해한 성분으로 전환되며, 고 염도 물질 또한 분해되어 조사료와 황토에 스며들게 되어 염분 농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고 낮아지게 된다.
4) 액젓 부산물에서 분리된 고형분을 상기 발효사료에 혼합하고 숙성
다음은 상기 액젓 부산물에서 분리된 고형분을 상기 발효사료에 혼합하고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제조한다.
혼합비율은 상기 발효사료 100중량부에 상기 고형분 5~10중량부가 적당하고, 상기 숙성기간은 3~10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은 상기 액젓 부산물에서 분리된 고형분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고형분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저염도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상기 발효사료에 혼합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형분을 정제수에 세척하게 되면 고형분의 염도가 낮아지게 되어 제조되는 사료의 염도 또한 그만큼 낮아지게 되므로 고형분을 좀더 많이 첨가할 수 있으며, 고형분을 건조시켜 혼합하면 숙성하는 동안 고형분의 부패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저염도의 고형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액은 액젓의 영양성분을 어느 정도 함유하면서 염도가 낮으므로, 상기 액을 여과하여 처음 취식용으로 채취한 액젓에 혼합하여 염도를 낮추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멸치 액젓 부산물 30㎏을 압착하여 고형분 23㎏과 액 7㎏으로 분리시켰다.
다음은 맥주박 100㎏, 파옥쇄 65㎏, 소맥피 65㎏, 미강 65㎏, 면실박 35㎏, 맥강 25㎏, 당밀 15㎏ 및 상기 분리된 액 7㎏을 혼합하여 사료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60℃로 승온시켜 유해세균을 살균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다음은 상기 냉각된 사료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광영양세균, 효모를 각각 1㎏씩 혼합한 생균제를 첨가하고 밀봉한 다음 상온에서 3일간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한 후 이를 충분히 뒤섞고 2일간 더 발효시켰다.
다음은 상기 발효사료에 상기 액젓 부산물에서 분리된 고형분 23㎏을 혼합하고 5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의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 200㎏에 채취한 황토 40㎏ 및 탄산나트륨 600g을 혼합한 후 충분히 저어주고 5시간 정치 후 상부의 현탁액을 따라 내어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미세황토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사료혼합물에 상기에서 얻어진 미세황토 15㎏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에서 사료혼합물을 발효시키지 않고 고형분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사료효율
시중에서 구입한 배합사료(우성사료, 한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사료를, 거세한 한우 송아지의 6개월령부터 11개월령까지 급여하고 발육상태를 측정하였다.
상기 사료급여는 제한 없이 충분히 공급하였으며, 각 군별 5두씩 총 20두의 소를 대상으로 종료체중(11개월 경과시)에서 개시체중(6개월 시작시)을 뺀 값을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발육상태 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대조군
개시체중(㎏) 137 140 134 137
종료체중(㎏) 292 308 284 285
증체량(㎏) 155 168 150 148
1일당 증체량(㎏) 0.86 0.93 0.83 0.8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세황토를 첨가한 실시예 2의 1일당 증체량이 0.93㎏/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반면에,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한 대조군의 1일당 증체량이 0.82㎏/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실시예 1 및 비교예와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체적으로 사료혼합물을 발효시킨 실시예가 발효시키지 않은 비교예 및 대조군에 비하여 1일당 증체량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가 가축의 소화흡수율을 향상시켜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제조방법은 액젓 부산물을 폐기처분하는 대신에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함으로써, 가축사육에 도움이 되면서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시험예 2> 퇴비로 사용
시중에서 구입한 복합비료(플라민, 대원화학 제조, 한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사료를 포도밭에 시비하여 포도의 수확량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사료를 시비였을 경우 수확량이 약 5%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수확한 포도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은 10대에서 70대까지의 남녀 각각 5명씩 모두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색상, 맛,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실시예 1 대조군
색상 3.8 4.0
4.3 4.2
기호도 4.0 4.1
(5:매우 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상, 맛, 기호도에서 실시예와 대조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사료를 퇴비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제조방법에 따르면, 액젓 부산물을 가축의 사료제조에 첨가함으로써 액젓 부산물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사료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양질의 퇴비로서 농작물 경작에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액젓 부산물을 압착하여 고형분과 액으로 분리하는 단계;
    조사료에 상기 액을 혼합하여 사료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료혼합물을 50~70℃로 승온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사료혼합물 100중량부에 생균제 0.5~3.0중량부를 첨가하고 밀봉한 다음 2~3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사료 100중량부에 상기 고형분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3~10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혼합물은 맥주박 100중량부에 파옥쇄 60~70중량부, 소맥피 60~70중량부, 미강 60~70중량부, 면실박 30~40중량부, 맥강 20~30중량부, 당밀 10~20중량부 및 상기 분리된 액 3~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혼합물은 맥주박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0~20중량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물 100중량부에 채취한 황토 10~30중량부 및 탄산나트륨 0.1~0.5중량부를 혼합하여 저어준 다음 3~7시간 정치한 후 상부의 현탁액을 취하여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균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광영양세균 및 효모가 동일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의 고형분은 상기 분리하는 단계의 고형분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저염도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KR1020100058595A 2010-06-21 2010-06-21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KR10119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95A KR101195590B1 (ko) 2010-06-21 2010-06-21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595A KR101195590B1 (ko) 2010-06-21 2010-06-21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607A true KR20110138607A (ko) 2011-12-28
KR101195590B1 KR101195590B1 (ko) 2012-10-29

Family

ID=4550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595A KR101195590B1 (ko) 2010-06-21 2010-06-21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709A (ko) 2019-11-06 2021-05-14 임서환 액젓 슬러지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20220091828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라이프이노베이션 미생물과 액젓 슬러지를 이용한 사료 원료 및 사료 제조방법
KR20230036813A (ko)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라이프이노베이션 미생물을 이용한 액젓 슬러지의 염분 제거방법
KR102494254B1 (ko) * 2022-05-25 2023-02-06 충청남도 액젓 폐기물을 이용한 해조류 양식 황백화 및 패류 양식 영양결핍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344B1 (ko) 2000-08-22 2002-11-18 대한민국 (관리부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종축개량부) 황토의 정제방법
KR100540988B1 (ko) 2002-10-10 2006-01-10 황선성 육계용 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590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750B1 (ko) 함초 함유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JP5459980B2 (ja) 健康食品並びに飼料並びに肥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の複合発酵菌体物
WO2000042169A1 (fr) Nouveau micro-organisme et utilisation de celui-ci
CN110353098A (zh) 一种玉米秸秆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142641A (zh) 一种仔猪用天然酵素及包含该酵素的仔猪饲料
KR102564894B1 (ko) 기능성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968869B2 (ja) 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
KR101195590B1 (ko)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KR102257872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18008A (zh) 一种螃蟹饲料
CN106983043B (zh) 一种可改善池塘底泥的南美白对虾饲料
CN108782969A (zh) 一种对虾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2887B1 (ko) 황토 발효사료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KR102210145B1 (ko) 칼슘 강화된 내열성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첨가제
KR20200144691A (ko) 황토가 첨가된 사료 제조방법 및 소 사육방법
CN106359847A (zh) 饲料的制备方法
CN102224882A (zh) 一种具有抗氧化功能的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
KR101588562B1 (ko) 단미사료용 제독유황 및 그 제조방법
KR100322481B1 (ko) 배합사료용 균체효소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0540988B1 (ko) 육계용 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8761A (ko) 오징어 내장을 주재로 한 양어용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11557379A (zh) 一种富硒酵素饲料的制作方法
JPH0235052A (ja) 穀物類等の副生物の処理方法
CN106937696A (zh) 一种用于养殖蟹类保活运输的复合饲料添加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