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44B1 - 황토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황토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44B1
KR100361344B1 KR1020000049795A KR20000049795A KR100361344B1 KR 100361344 B1 KR100361344 B1 KR 100361344B1 KR 1020000049795 A KR1020000049795 A KR 1020000049795A KR 20000049795 A KR20000049795 A KR 20000049795A KR 100361344 B1 KR100361344 B1 KR 10036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minerals
ocher
suspens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616A (ko
Inventor
황진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관리부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종축개량부)
황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관리부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종축개량부), 황진연 filed Critical 대한민국 (관리부서: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종축개량부)
Priority to KR102000004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황토의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립분을 정제할 수 있도록 하여 황토의 효율적 활용에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입경 2μm 이하의 결정 형태를 가지는 점토광물과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석영 및 장석 등의 광물들로 이루어지는 천연황토를 물에 혼합하고 인산나트륨과 탄산나트륨 등과 같은 분산제를 투입하여 입경 2μm 이하의 점토광물을 수중에서 분산시켜 현탁액 상태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현탁액으로부터 미립 유용광물(점토광물)을 취함으로써 황토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황토의 정제방법{Rfining method for loess}
본 발명은 황토의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황토의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립분을 정제할 수 있도록 하여 황토의 효율적 활용에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pH=3∼6 정도로 산성을 띠며, 주로 입경 2μm 이하의 결정 형태를 가지는 다량의 점토광물과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석영 및 장석 등의 광물들도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황토의 유효한 특성은 그 속에 포함된 점토광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입자가 크고 활성이 없는 광물들은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일반적으로 황토는 채취한 후 그대로 사용하든지 아니면 채로 분리하거나, 혹은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황토는 Pb, Cu, Zn, Cr 등의 중금속에 대한 흡착 능력이 우수하여 여러형태로 산업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일례로 축산농가 등에서는 황토를 사료와 혼합하여 먹이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황토를 채취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쇄하여 사용할 경우 황토에 포함되어 있는 점토광물 이외의 광물 즉, 석영이나 장석이 다량 포함되게 되는데 이들은 흡수능력이 거의 없으므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사료에 혼합하여 가축에게 먹일 경우 석영이나 장석 등으로 인하여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상당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황토를 구성하는 물질들 중 석영이나 장석 등과 미립광물을 분리하는 기술이 없어 사료용 및 의약용 등 고급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황토의 공급이 어려웠는 바, 석영이나, 장석 등의 광물을 제거하여 순수 미립의 황토성분만을 정제할 수 있는 정제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토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석영이나 장석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정제기술을 개발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입경 2μm 이하의 결정 형태를 가지는 점토광물과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석영 및 장석 등의 광물들로 이루어지는 천연황토를 물에 혼합하고 인산나트륨과 탄산나트륨 등과 같은 분산제를 투입하여 입경 2μm 이하의 점토광물을 수중에서 분산시켜 현탁액 상태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현탁액으로부터 미립 유용광물(점토광물)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연자원인 황토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략한 정제 공정도
도 1은 본 발명의 간략한 정제 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정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황토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채취한 황토에서 점토광물을 분리하는 정제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인산나트륨과 탄산나트륨 등과 같은 분산제를 사용하여 수중에서 황토 입자를 분산시켜 그 현탁액으로부터 미립 유용물질을 분리하여 정제된 고품질 제품을 만들어 황토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코자 하는 것이다.
<정제방법>
1. 유기물이 포함되지 않은 적갈색의 황토(풍화토)를 채취하여 저수조에 투입한다. 필요에 따라서 채취된 황토는 분쇄할 수도 있다.
2. 상기 황토를 저수조에 투입한 후, 황토의 중량비 100∼200g에 물 1ℓ와 미량의 분산제를 투입하여 약 pH=10의 알카리로 조정하여 모든 미립자들이 완전 분산되도록 혼합하여 현탁액을 만든다.
상기 분산제로는 물 1ℓ당 인산나트륨(Na3PO4) 0.7∼1.0g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1.3∼1.6g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 인산나트륨(Na3PO4) 0.8g, 탄산나트륨 (Na2CO3) 1.5g에서 가장 효과적인 현탁액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에서의 현탁액은 주로 2μm 이하의 점토광물이며 석영이나, 장석과 같은 광물은 저수조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이다.
3. 이렇게 분산된 황토 현탁액을 약 8시간 방치하던지 아니면 최상등액을 다른 저수조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점토광물의 현탁액을 취한다.
4.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현탁액을 자연건조 시키거나 또는 원심분리기 혹은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건조시켜 이를 제품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황토를 정제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소정량의 황토에 물과 미량의 분산제를 투입하여 현탁액으로 만들게 되는데, 이때 분산제 중의 1가 양이온인 Na 이온이 점토광물과 같은 미립자의 표면에 결합하여 두꺼운 전기이중층을 만들게 되고, 이들 입자간의 반발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작은 입자들이 뭉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떨어져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미립자들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만약 분산제를 투입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기이중층이 두껍지 않게 되어 미립자들이 서로 인력에 의해 결합된 응집상태가 이루어지므로 분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정제된 제품에는 석영과 장석이 거의 함유되지 않고, 반면에 일라이트, 카오린광물, 버미큘라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흡착성, 이온교환성, 탈수 및 재수화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들 제품은 가축의 사료용과 의약용 등의 고급용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대표적인 적갈색의 황토를 상기한 방법에 따라 미립 입자를 분리하여 보았다.
그 결과, 효과적인 분산제의 농도로는 탄산나트륨이 물 1ℓ에 약 1.3 ∼1.6g, 인산나트륨이 물 1ℓ당 약 0.7 ∼ 1.0 g 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종 정제 제품은 본래의 황토에 비하여, 석영, 장석, 운모 등 큰 결정의 광물은 거의 제거되고, 반면에 미립입자로 구성되는 일라이트, 카오린광물, 버미큘라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다량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미립분을 이용할 경우 Pb, Cu, Zn, Cr 등의 중금속에 대한 흡착 능력도 본래 황토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증가 되었으며, 양이온교환용량도 약 3배 이상 증가되는 것이 조사 되었다.
이상과 같이 정제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황토를 물에 혼합하고 인산나트륨과 탄산나트륨 등과 같은 분산제를 투입하여 입경 2μm 이하의 점토광물을 수중에서 분산시켜 현탁액 상태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현탁액으로부터 일라이트, 카오린광물, 버미큘라이트 등이 다량 함유된 미립 유용광물(점토광물)을 취함으로서, Pb, Cu, Zn, Cr 등의 중금속에 대한 흡착 능력이 우수하고 양이온교환용량도 약 3배 이상 증가되는 미립분을 얻을 수 있으므로 사료용 및 의약용 등 고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황토를 그대로 사용할 때의 불용하고 유해한 물질이 제거됨으로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유기물이 포함되지 않은 적갈색의 황토(풍화토)를 채취하여 저수조에 투입하고,
    황토 중량비 100∼200g에 물 1ℓ와 분산제인 인산나트륨 (Na3PO4) 0.7∼1.0g 또는 탄산나트륨 (Na2CO3) 1.3∼1.6g을 선택적으로 넣고 혼합하여 현탁액을 만들고,
    상기 저수조에서 주로 2μm 이하의 점토광물로 이루어지는 현탁액만을 취하여 탈수.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의 정제방법.
KR1020000049795A 2000-08-22 2000-08-22 황토의 정제방법 KR10036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95A KR100361344B1 (ko) 2000-08-22 2000-08-22 황토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95A KR100361344B1 (ko) 2000-08-22 2000-08-22 황토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616A KR20020015616A (ko) 2002-02-28
KR100361344B1 true KR100361344B1 (ko) 2002-11-18

Family

ID=1968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795A KR100361344B1 (ko) 2000-08-22 2000-08-22 황토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87B1 (ko) 2009-12-07 2012-05-10 이형근 황토 발효사료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KR101195590B1 (ko) 2010-06-21 2012-10-29 신세경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KR20210083491A (ko) * 2019-12-27 2021-07-07 이정헌 황토 현탁액 입도 분리 장치 및 그 공정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13B1 (ko) * 2007-02-15 2008-08-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료용 조성물
KR100842711B1 (ko) * 2007-02-15 2008-07-0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사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240A (en) * 1970-07-21 1975-02-11 Paul Schick Purification of bentonite
US3879283A (en) * 1970-10-29 1975-04-22 Engelhard Min & Chem Purification of quartz contaminated clay by selective flocculation
KR19980061484A (ko) * 1996-12-31 1998-10-07 이인희 생활관에 이용되는 황토의 정제 및 시공방법
US6130179A (en) * 1998-11-12 2000-10-10 Itc, Inc. Purified attapulgite c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240A (en) * 1970-07-21 1975-02-11 Paul Schick Purification of bentonite
US3879283A (en) * 1970-10-29 1975-04-22 Engelhard Min & Chem Purification of quartz contaminated clay by selective flocculation
KR19980061484A (ko) * 1996-12-31 1998-10-07 이인희 생활관에 이용되는 황토의 정제 및 시공방법
US6130179A (en) * 1998-11-12 2000-10-10 Itc, Inc. Purified attapulgite cl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87B1 (ko) 2009-12-07 2012-05-10 이형근 황토 발효사료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KR101195590B1 (ko) 2010-06-21 2012-10-29 신세경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KR20210083491A (ko) * 2019-12-27 2021-07-07 이정헌 황토 현탁액 입도 분리 장치 및 그 공정의 설치 방법
KR102380253B1 (ko) 2019-12-27 2022-03-29 이정헌 천연 황토 현탁액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616A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664B2 (ja) 精製されたアタパルジャイト粘土
Murray Traditional and new applications for kaolin, smectite, and palygorskite: a general overview
US6130179A (en) Purified attapulgite clay
AU2000278745A1 (en) Purified attapulgite clay
EP0170299A2 (en) A rheological grade sepiolite product and processes for its manufacture
CN101182095A (zh) 用于污泥脱水的高效复合助滤剂及其应用方法
Onen et al. Removal of turbidity from travertine processing wastewaters by coagulants, flocculants and natural materials
WO2013153115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ertstoffgewinnung aus einem bauxitrückstand
SK283214B6 (sk) Sorbent, spôsob jeho výroby a použitia na imobilizáciu ťažkých kovov v kontaminovanej vodnej a pevnej fáze
KR100361344B1 (ko) 황토의 정제방법
EP0784596B1 (en) Purification of polar liquid wastes containing suspended solvated particles
DE2410394A1 (de) Verfahren zum entwaessern eines waessrigen schlamms dispergierten, fein zerkleinerten feststoffes
CN101602509B (zh) 一种利用电泳提纯蒙脱石的方法及其制得的蒙脱石和其应用
KR0138648B1 (ko) 화산재 반응에 의한 액상 슬러지의 화학적 응고방법
WO2013076072A2 (de) Verfahren zum abtrennen von algen, insbesondere mikroalgen aus einer wässrigen phase und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JP4773365B2 (ja) 疑似層状珪酸塩から分散容易なレオロジーグレード生成物を製造する方法、該製造法で得られる生成物および該生成物の使用法
MX2008009554A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agente aglutinante para aceite y el agente aglutinante para aceite producido por medio de ese metodo.
JPH0415036B2 (ko)
Metzger et al.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of the interactions between sludge organic components and clay particles
DE4029213C2 (ko)
Abdelaal COD, BOD, Oil Content and Heavy Metals Removal from Wastewater Effluents by Coagulation-Flocculation Process
Al-Maghrabi et al. Top Down Activation Enhancement of Bentonite for the Removal of Emulsified Oil from Wastewater
Onen et al. Remoción de turbidez de aguas residuales del tratamiento de travertino usando coagulantes, floculantes y materiales naturales
Nakamura et al. Effect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on flocculation and filtration of bentonite suspensions
KR100754272B1 (ko) 부유물 응집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