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810A -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810A
KR20110135810A KR1020110053304A KR20110053304A KR20110135810A KR 20110135810 A KR20110135810 A KR 20110135810A KR 1020110053304 A KR1020110053304 A KR 1020110053304A KR 20110053304 A KR20110053304 A KR 20110053304A KR 20110135810 A KR20110135810 A KR 2011013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py
copy setting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136B1 (ko
Inventor
마사히로 오다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warding, urgent or confidential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6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of a customised additional information profile, e.g. a profile specific to a user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스캐닝용 장치와 인쇄용 장치를 지정하는 복사 설정 정보를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복사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과,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 유닛 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형성 장치는 비용 절감 및 소형화에 추가하여 보다 정교한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대책으로서, 한정된 하드웨어 자원으로 최상의 기능 및 성능을 제공하도록, 서로 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외부 장치에 의해 정보 처리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화상 형성 장치 및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 또는 PC)는 서로 연동하여 정보 처리 및 화상 처리를 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에 의해 제공될 수 없는 확장 기능(예를 들어, 확장 복사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08-186677호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인용 컴퓨터(PC라 함)와 같은 외부 장치에 접속하고, 복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얻어진 화상에 대해 PC에 의해 화상 처리를 행하는 기술이 제안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08-186677호에는, PC가, 종래의 복사 기능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행해졌던 화상 처리를 행하며, 이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사용이 감소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08-186677호에서는, 심지어 PC가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원고 판독의 개시 및 각종 설정)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복사 기능(의사 복사 기능; pseudo-copy function)을 제안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에 의해서는 실행될 수 없는 확장 복사 기능이 PC와 같은 외부 장치의 자원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기능도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유닛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원고 판독 기능을 제어하는 스캔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 인쇄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외부 장치에 설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복사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장치에 그 명령을 통지한다. 외부 장치는 각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에 따라 원고 판독, 각종 화상 처리, 및 인쇄를 행한다. 원고 판독 및 인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행해지지만, 각종 화상 처리는 외부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 및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화상 형성 장치의 메모리가 저용량을 갖는 경우에도, 확장 기능은 화상 형성 장치 대신 외부 장치의 메모리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여러 페이지에 대한 레이아웃 처리(layout processing) 및 소트 처리(sort processing)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최소한의 화상 처리 유닛만을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 설치된 화상 처리 프로그램은 복잡 고도한 화상 처리, 컬러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확장 복사 기능에 대해, PC 측은 인쇄출력처로서, 원고를 스캔하는 것과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캔된 화상은 확장 복사를 개시한 것과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인쇄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장 복사 기능,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실행할 때, 사용자가 확장 복사 설정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인쇄출력처로서 화상 형성 장치를 지정하는 확장 복사 설정을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스캐닝용 장치와 인쇄용 장치를 지정하는 복사 설정 정보를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복사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과,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 유닛 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스캐닝용 장치와 인쇄용 장치를 지정하는 복사 설정 정보를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복사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 유닛 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배열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의 복사 설정을 도시하는 테이블.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정보 수신 시의 화상 형성 장치의 흐름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유지되는 복사 설정 테이블을 도시하는 테이블.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확장 복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동작의 변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동작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를 도시하는 테이블.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요소의 상대적 배치, 수치 표현 및 수치값은 달리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배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배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예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로서, MFP(100)가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FP(100)는 인쇄 유닛(107), 판독 유닛(109), 조작 패널(110), 회선 I/F(112) 및 이들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유닛(101)을 포함한다.
제어기 유닛(101)은 CPU(102), RAM(103), ROM(104), 인쇄 유닛 I/F(106), 판독 유닛 I/F(108), 모뎀(111), USB I/F(115) 및 네트워크 I/F(118)를 포함한다. 각각의 블록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시스템 버스(105)에 의해 접속된다. CPU(102)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이들 블록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각종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의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된다. 예를 들어, 각종 제어 프로그램은 ROM(104)의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RAM(103)에 압축해제 및 전개(rasterizing)하여 실행된다. 각종 제어 프로그램은 압축/압축해제 상태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I/F(118)는 네트워크(LAN)(120) 등을 통해 각각의 호스트 컴퓨터(117)(PC로 언급됨)와 통신한다. PC(117)들은 도 4 및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PC(401 내지 403)에 대응함을 인식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는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서의 PC(117)와 연대하여 실행되는 연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MFP(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PC(117)에 접속되어, 화상 형성 시스템을 구성한다. 네트워크 I/F(118) 및 네트워크(120)는 LAN 케이블(119)과 같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모뎀(111)은 회선 I/F(112)를 통해 공중 회선망(114)에 접속되고, 다른 화상 형성 장치, 팩시밀리 장치, 전화기 등(모두 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한다. 회선 I/F(112) 및 공중 회선망(114)은 일반적으로 전화선(113) 등을 통해 접속된다.
인쇄 유닛 I/F(106)는 인쇄 유닛(107)(프린터 엔진)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인쇄 유닛(107)은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판독 유닛 I/F(108)는 판독 유닛(109)(스캐너 엔진)으로부터 판독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CPU(102)는 판독 유닛 I/F(108)를 통해 입력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를 인쇄 화상 신호로서 인쇄 유닛 I/F(106)로 출력한다.
ROM(104)의 폰트 영역에 저장된 폰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CPU(102)는 조작 패널(110)의 표시부 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 조작 패널(110)로부터 명령 정보를 수신한다. CPU(102)는 MFP(100)의 장치 정보,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정보, 부서 관리 정보 등을 ROM(104)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을 읽어 들이고 갱신한다.
<조작 패널의 배치>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의 조작 패널(110)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는 판독 유닛(109) 및 인쇄 유닛(107)에 의해 실행되는 복사 기능, 및 판독 유닛(109) 및 USB I/F(115)에 의해 실행되는 스캔 기능을 갖는다. 또한, MFP(100)는 모뎀(111)에 의해 실행되는 팩시밀리 기능, 및 USB(유니버설 시리얼 버스)(116) 또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PC(117)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작 패널(110)이 설명된다. 조작 패널(110)는 전술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키(201 내지 204)를 갖는다.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의 버튼을 누른다. 조작 패널(110)은 사용자에게 MFP(100)의 설정 상태 및 장치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205)를 포함한다. 화살표 키(206)는 표시부(205) 등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키(206)는 4개, 즉 위, 아래, 우측 및 좌측 버튼을 포함한다. OK 키(207)는 화살표 키(206)의 중앙에 배치되어, 설정이나 문의에 대한 "결정 키"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사 설정(용지 사이즈)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복사 기능 키(201)를 눌러 복사 기능 화면으로 들어가서, 화살표 키(206)를 사용하여 변경될 아이템(용지 사이즈)을 선택하고, OK 키(207)를 누른다. 그러면, 화면은 선택 가능한 설정 화면으로 변경된다. 사용자는 화살표 키(206)를 사용하여 그가 선택한 설정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OK 키(207)를 눌러, 설정을 결정한다. 사용자는 복사 매수 입력을 위한 텐-키 패드(208), 팩시밀리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 숫자 등을 사용한다.
조작 패널(110)은 복사, 스캐닝 또는 팩시밀리 처리의 개시를 지정하기 위한 키로서 흑백 개시 키(209) 및 컬러 개시 키(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컬러 복사 기능인 것으로 간주하고, 컬러 개시 키(210)가 예시된다. 반대로, 흑백 판독 기능 또는 흑백 인쇄 기능만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개시 키는 오직 흑백 개시 키(209)일 수 있다. 또한, 개시 키는 원고가 판독될 때 컬러와 흑백 원고 중 어느 것이 얻어지는지를 판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있어서도 상기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지 키(211)가 각각의 기능의 동작의 정지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는 정지하고자 하는 처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MFP(100)에 의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처리의 상태 체크 화면으로부터 상태 체크/중지 키(212)를 사용하여 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선택 및 결정을 위해 화살표 키(206) 및 OK 키(207)를 사용한다.
<복사 설정>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PC(117)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 복사 설정 화면(301)을 도시한다. 복사 설정 화면(301)은 확장 복사에서의 복사 설정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확장 복사는 예를 들어, PC(117)와 연동하는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복사 처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FP(100)는 MFP(100)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PC(117)로 전송한다. PC(117)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MFP(100)는 화상 처리를 거친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한다. 확장 복사에서, PC(117)와 같은 외부 장치는 처리 부하가 높은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는, MFP(100)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MFP(100)에 고기능의 화상 처리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 설정 화면(301)은 예를 들어, 복사 1, 복사 2, 복사 3 및 복사 4인 총 4종류의 복사 설정으로부터 특정 복사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사 설정 화면(301)에서 복사 1을 선택하면, 복사 1에 관한 설정 화면(302)이 나타난다.
설정 화면(302) 내의 복사 1의 설정에서, 스캐너는 MFP-A이고, 원고 입력 유닛은 ADF이며, 원고 사이즈는 A4이고, 스캔 모드는 컬러이며, 해상도는 300 dpi이고, 프린터는 MFP-A이다. 설정 화면(302)의 개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확장 복사가 이들 설정으로 개시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400)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400)은 외부 장치로서의 PC(401, 402, 403)(순차적으로 PC-1, PC-2 및 PC-3에 대응), 및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MFP(100)과 MFP(405)(순차적으로 MFP-A 및 MFP-B에 대응)를 포함한다. 이들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406)를 통해 접속된다.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예이며, 화상 형성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의 유형 및 개수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복사 설정 관련 제어>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복사 등의 복사 설정 관련 제어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외부 장치에서의 확장 복사 등의 복사 설정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부호 "501"은 PC(401)에 대한 복사 설정을, "502"는 PC(402)에 대한 복사 설정을, 그리고 "503"은 PC(403)에 대한 복사 설정을 나타낸다. 복사 설정(501 내지 503)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각각의 복사 설정명(복사 1 내지 복사 4)에 대한 "스캐너" 및 "프린터"로 지정하기 위해 지정 정보가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확장 복사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하도록 스캔 동작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지정 정보는 "스캐너"로서 설정된다. 확장 복사에서 스캔 동작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 동작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지정 정보는 "프린터"로서 설정된다.
PC(401)의 복사 설정(501)에서, MFP-A는 복사 1에 대한 스캐너 및 프린터로서 설정된다. 복사 2, 복사 3 및 복사 4에 대해서는, 스캐너도 프린터도 설정되지 않는다. PC(402)의 복사 설정(502)에서, 복사 1에 대해서 MFP-A는 스캐너로서 설정되고, MFP-B는 프린터로서 설정되며, 복사 2에 대해서는 MFP-B가 스캐너 및 프린터로서 설정된다. 복사 3 및 복사 4에 대해서는, 스캐너도 프린터도 설정되지 않는다. PC(403)의 복사 설정(503)에서, 복사 1에 대해서 MFP-A는 스캐너 및 프린터로서 설정되고, 복사 2에 대해서는 MFP-A가 스캐너로서 설정되고 MFP-B가 프린터로서 설정된다. 복사 3 및 복사 4에 대해서는, 스캐너도 프린터도 설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설정 정보 수신 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처리 순서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처리는 MFP(100)에 의한 처리의 일 예이며, CPU(102)가 ROM(104) 등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처리를 행하여 이를 실현한다.
단계(S601)에서, CPU(102)가, PC(401)로부터 복사 설정 정보[즉, 복사 설정(501)]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S602)로 진행한다. 단계(S602)에서, CPU(10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유지되는 테이블에 PC명, 복사 설정명 및 프린터명을 등록한다.
도 7은 MFP(100)에 유지되는 복사 설정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701"은 도 4 및 도 5의 배치에 있어서 MFP-A(100)에 대한 복사 설정 테이블을, "702"는 도 4 및 도 5의 배치에 있어서 MFP-B(405)에 대한 복사 설정 테이블을 나타낸다.
MFP(100)에는, 도 5에 도시된 PC(401, 402, 403)의 복사 설정(501, 502, 503) 중 MFP-A(100)를 스캐너로 지정하는 복사 설정이 통지된다. 단계(S602)에서, CPU(102)는 복사 설정 테이블(701)에 통지된 복사 설정을 등록한다. MFP-B(405)에는 도 5에 도시된 PC(401, 402, 403)의 복사 설정 중 MFP-B를 스캐너로 지정하는 복사 설정이 통지된다. 단계(S602)에서, CPU(102)는 복사 설정 테이블(702)에 통지된 복사 설정을 등록한다.
<확장 복사>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의한 확장 복사의 처리 순서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CPU(102)가 ROM(104) 등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하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를 실현한다.
단계(S801)에서, CPU(102)는 도 6의 순서에 따라 등록된 복사 설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표시부(205) 상에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리스트 표시 화면 표시 방법이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단계(S802)에서, CPU(102)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단계(S801)에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특정 복사 설정을 선택한다. 단계(S803)에서, CPU(102)는 개시 키(209 또는 210)가 눌려졌음을 검지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102)가 개시 키(209 또는 210) 누름을 검지하면, 단계(S804)로 진행한다.
단계(S804)에서, CPU(102)는 USB I/F(115) 또는 네트워크 I/F(118)를 통해 PC(401)에, 단계(S802)에서 선택된 복사 설정을 통지한다. 단계(S805)에서, CPU(102)는 USB I/F(115) 또는 네트워크 I/F(118)를 통해 PC(401)로부터 스캔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스캔 명령 수신 시, CPU(102)는 단계(S806)로 진행한다.
단계(S806)에서, CPU(102)는 판독 유닛(109)을 제어하여 원고 판독을 개시한다. 단계(S807)에서, CPU(102)는 USB I/F(115) 또는 네트워크 I/F(118)를 통해 단계(S806)에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확장 복사 연대 파트너로서의 외부 장치[본 경우에는, PC(401)]로 전송한다. 또한, 단계(S807)에서, CPU(102)는 전송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808)로 진행한다.
단계(S808)에서, CPU(102)는 USB I/F(115) 또는 네트워크 I/F(118)를 통해 PC(401)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인쇄 데이터 수신 시, CPU(102)는 단계(S809)로 진행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유닛(107)에 의해 출력하고,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확장 복사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얻은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외부 장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해 낸다.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단계(S801)에서의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처리가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는 단계(S801)에서의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 처리의 상세를 도시한다. CPU(102)가 ROM(104) 등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하의 처리를 행하여 이를 실행함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901)에서, CPU(102)는 복사 설정 테이블(701)로부터 일련의 등록 데이터를 얻는다. 단계(S902)에서, CPU(102)는 데이터가 단계(S901)에서 취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CPU(102)는 단계(S903)로 진행하고, 인쇄출력처의 지정이 MFP-A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CPU(102)가,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계(S904)로 진행하고, 아니라면, 단계(S906)으로 진행한다.
단계(S904)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리스트 표시에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그 후, CPU(102)는 단계(S905)로 진행한다. 단계(S906)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리스트 표시에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그 후, CPU(102)는 단계(S905)로 진행한다.
단계(S905)에서, CPU(102)는 다음 데이터에서의 복사 설정 테이블(701)의 참조처를 설정하고, 단계(S901)로 복귀한다. CPU(102)가, 단계(S902)에서, 어떠한 데이터도 단계(S901)에서 취득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 단계(S907)로 진행하고, 단계(S904, S906)에서 작성된 표시/비-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110)의 표시부(205) 상에 복사 설정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9의 흐름도에 따른 표시 예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부호 "1201"는 복사 설정 테이블(701)이 도 9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표시된 때의 표시부(205)의 표시 예를 가리킨다. MFP-A가 복사 설정 테이블(701)에서의 프린터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 "PC-1 복사 1" 및 "PC-3 복사 1"만이 표시된다.
복사 설정 리스트 표시의 변형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CPU(102)는 ROM(104) 등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하의 처리를 행하여 이를 실행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에서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001 내지 S1003) 및 단계(S1005)는 단계(S901 내지 S903) 및 단계(S905)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S1004)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리스트 표시에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단계(S1006)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리스트 표시에 통상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단계(S1007)에서, CPU(102)는 단계(S1004)에서 우선 표시 설정으로 지정된 복사 설정의 리스트를 단계(S1005)에서 통상 표시 설정으로 지정된 복사 설정보다 상위에 위치하도록 표시부(205) 상에 표시한다. 즉,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인쇄출력처가 MFP-A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은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보다 하위에 표시된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1202"는 복사 설정 테이블(701)이 도 10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때, 표시부(205)의 표시 예를 가리킨다. MFP-A가 복사 설정 테이블(701)에서 프린터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 "PC-1 복사 1" 및 "PC-3 복사 1"이 MFP-B가 프린터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 "PC-2 복사 1" 및 "PC-3 복사 2"보다 상위에 표시된다.
복사 설정 리스트의 다른 변형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CPU(102)는 ROM(104) 등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하의 처리를 행하여 이를 실행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1101 내지 S1103) 및 단계(S1105)는 단계(S901 내지 S903) 및 단계(S905)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S1104)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리스트 표시에 통상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단계(S1106)에서,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MFP-A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을 "원격"과 함께 리스트 표시에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원격 표시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단계(S1107)에서, CPU(102)는 단계(S1104)에서 통상 표시 설정으로 지정된 복사 설정을 통상적으로 표시한다. 단계(S1106)에서 원격 표시 설정으로 지정된 복사 설정에 대해, CPU(102)는 인쇄출력처가 원격 인쇄출력처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즉,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인쇄출력처가 MFP-A인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이 통상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인쇄출력처가 MFP-A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복사 설정이 식별 가능하게 표시된다.
도 12에서, 도면부호 "1203"은 복사 설정 테이블(701)이 도 11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표시될 때의 표시부(205)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MFP-B가 복사 설정 테이블(701)에서 프린터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 "PC-2 복사 1 (원격)" 및 "PC-3 복사 2 (원격)"이 표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복사 설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복사 설정 "복사 2"가 PC(402)에서 선택된 경우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의 흐름도에 따르면, PC(402)의 복사 설정 "복사 2"는 MFP-A(100)로부터 선택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가 설정 화면(1302)에서 개시 버튼을 누르면, PC(402)는 MFP-A(100)가 스캐너로서 설정되고, MFP-B(405)가 프린터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으로 확장 복사를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PC(402)는 설정 "복사 2"로 확장 복사를 강제로 실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PC 및 MFP와 같은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되고, 외부 장치와 연대하여 확장 복사 기능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확장 복사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복사 설정 중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출력처로서 설정되는 복사 설정만으로 된 리스트를 표시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가 확장 복사를 개시하게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출력처로서 지정하는 복사 설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리스트 표시 화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출력처가 아닌 복사 설정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출력처가 되는 복사 설정 정보보다 하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출력처가 되는 복사 설정 정보의 표시에 더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출력처가 아닌 복사 설정 정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태양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실행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실행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의 여러 형태의 기록 매체로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스캐닝용 장치와 인쇄용 장치를 지정하는 복사 설정 정보를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복사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과,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 유닛 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표시 화면에, 추가로,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보다 상위에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 표시 화면에, 추가로, 상기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와,
    상기 스캐너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유닛과,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화상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과,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고 스캐닝용 장치와 인쇄용 장치를 지정하는 복사 설정 정보를 각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복사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복사 설정 정보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용 장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복사 설정 정보를 표시 유닛 상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
  6. 제5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10053304A 2010-06-11 2011-06-02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1411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4456A JP2011259395A (ja) 2010-06-11 2010-06-11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0-134456 201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810A true KR20110135810A (ko) 2011-12-19
KR101411136B1 KR101411136B1 (ko) 2014-06-23

Family

ID=4509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04A KR101411136B1 (ko) 2010-06-11 2011-06-02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304882A1 (ko)
JP (1) JP2011259395A (ko)
KR (1) KR101411136B1 (ko)
CN (1) CN102281375B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607B2 (ja) * 1994-12-28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20050073726A1 (en) * 1994-12-28 2005-04-07 Hiroshi Nobut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7006249B2 (en) * 2001-01-18 2006-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system
KR100571793B1 (ko) * 2004-01-16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 기능 선택 가능한 호스트 장치 및 그 방법
JP4089729B2 (ja) * 2006-02-02 2008-05-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処理条件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条件設定方法
US20070291284A1 (en) * 2006-06-20 2007-12-2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umbnail Image Generating Method
JP4389231B2 (ja) * 2007-02-22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ジョブ管理システム、デフォルトプリンタ決定装置
JP4834571B2 (ja) * 2007-02-26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136B1 (ko) 2014-06-23
CN102281375B (zh) 2014-05-07
CN102281375A (zh) 2011-12-14
JP2011259395A (ja) 2011-12-22
US20110304882A1 (en)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2703B2 (en) Determining route and of print data and if conversion of print data is necessary
JP702718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95288A1 (en) Operation input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5693049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26018B2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convert a file forma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ed in the same
US7640294B2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6015589A (ja) 画像読取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40842B2 (en) Server system
US87241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670379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76904B2 (ja) 複合機及びジョブ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リンタドライバ
JP6089621B2 (ja) 操作端末、操作端末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411136B1 (ko) 화상 형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EP25234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6100062B2 (ja) 印刷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303108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694689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9658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for restricting a function
US2013006377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ctual-size preview,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2708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when the image forming appratus returns to an active state from a power-saving state
JP4062099B2 (ja) 操作端末装置
JP202215466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5908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610092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8011234A (ja) 画像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