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901A -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901A
KR20110134901A KR1020117023488A KR20117023488A KR20110134901A KR 20110134901 A KR20110134901 A KR 20110134901A KR 1020117023488 A KR1020117023488 A KR 1020117023488A KR 20117023488 A KR20117023488 A KR 20117023488A KR 20110134901 A KR20110134901 A KR 2011013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ssion
optical subscriber
forced
onu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노세
가오리 미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12/2861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rom the data network to the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 H04Q2011/0081Fault tolerance; Redundancy; Recovery; Reconfigu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OLT가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는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고, 디스커버리 게이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반송하고, OLT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하는 자장치 앞으로의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ONU(1)로서, OLT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디스커버리 게이트인지 유니캐스트 프레임인지를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부(4)와, 수신 프레임 검출부(4)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오발광 검출부(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OPTICAL SUBSCRIBER TERMINAL DEVICE, PON SYSTEM,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광망 종단 장치(optical network unit)가 매체를 공유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매체 공유형 통신인 PON(Passive Optical Network)에 관한 것이고, 특히, 데이터를 이더넷(등록상표) 프레임 그대로 전송을 행하는 EPON(Ethernet(등록상표) PON)에 있어서 광 가입자선 종단 장치의 고장을 검출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있고, 이용자는 세계 각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의 다양한 정보에 엑세스하여, 그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PON을 포함하는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브로드밴드 액세스도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특히 FTTH에서는, GE(Gigabit Ethernet(등록상표))-PON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어, 금후 더욱 고속화가 진행된다고 예상되어 10GE-PON 등 고속의 PON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PON 시스템은, 예컨대, 주로 전화국 등에 설치되는 OLT(Optical Line Terminal)와, 주로 각 주택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ONU와, OLT로부터 송출되는 광 신호를 분기하여 ONU에 송출하고, ONU로부터 송출되는 광 신호를 집속하여 OLT에 송출하는 광 커플러와, ONU의 각각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을 구비한다. 그리고, OLT과 ONU의 사이에서, 핸드쉐이크에 의한 링크업 처리나 대역의 분산 할당 등을 행한다.
이러한 PON 시스템에 있어서, 예컨대, ONU의 회로가 고장이 나서, 상시 발광 상태가 된 경우는, 상향의 타이밍 제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어 모든 ONU가 통신 불가가 되어 ONU 링크 실패가 발생한다. 이 경우, 고장이 난 ONU를 특정하여 PON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하여, 상향 방향의 통신 경로를 확보하여 통신을 복구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 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회로의 고장 등에 의해 상시 발광 상태가 된 자국(子局)뿐만 아니라 발광 기간에 이상이 있는 자국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우발적으로 발생한 상향 프레임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31852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7-15894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발광 상태 검출에는 포토다이오드를 새롭게 ONU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낮은 가격이 요구되는 주택 내에 설치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에 대한 적용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향 통신이 ONU의 연속 발광 상태에 의해 통신 불가가 된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연속 발광의 이상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범용 ONU에 대한 추가 회로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연속 발광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반송하고,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하는 자신 앞으로의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로서,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별을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은, 범용 ONU에, 이상 발광 검출부를 추가하고, 이상 발광 검출부가,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또한,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 연속 발광 이상 상태라고 판단하도록 했기 때문에, 범용 ONU에 대한 추가 회로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연속 발광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PON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ONU의 핸드쉐이크에 의한 링크업 처리와 대역의 분산 할당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4는 다시 ONU 링크업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6a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ONU의 특정과 통신 이상 해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ONU의 특정과 통신 이상 해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ONU)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ONU(1)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std 802.3-2005 또는 표준화가 진행되어 있는 IEEE 802.3av에서 규정되는 ONU로서의 주요 기능을 갖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ONU(1)는, 수신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송신하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광 송수신부(2)와, 광 송수신부(2)에서 검출한 광 신호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출력인지에 근거하여 광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광 입력 검출부(3)와, 수신 프레임을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부(4)와, ONU가 이상 발광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오발광(이상 발광) 검출부(5)와,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제어하는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와, 강제 발광 정지 지시를 실시하는 강제 발광 정지부(7)와, LED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8)를 구비한다. 또한 ONU(1)는, 광섬유(14)에 접속되고, 광섬유(14)를 경유하여 디스커버리 게이트(DG)(10)나 유니캐스트 프레임(UC)(11~13) 등을 수신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PON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PON 시스템은, 주로 전화국 등에 설치되는 OLT(20)과, 주로 각 주택 내에 설치되는 ONU(1-1~1-5)와, OLT(20)로부터 송출되는 광 신호를 분기하여 ONU(1-1~1-5)에 송출하고, 또한, ONU(1-1~1-5)로부터 송출되는 광 신호를 집속하여 OLT(20)에 송출하는 광 커플러(21)와, ONU(1-1~1-5)의 각각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22-1~22-5)을 포함한다. 또, ONU(1-1~1-5)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ONU(1)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ONU의 수는 5대이지만, ONU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OLT(20)는, 광섬유를 통해 광 커플러(21)에 접속된다. ONU(1-1~1-5)는, 각각 광섬유를 통해 광 커플러(21)에 접속된다. 또한, ONU(1-1~1-5)는, 각각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단말(22-1~22-5)에 접속된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PON 시스템에 있어서의, ONU의 핸드쉐이크에 의한 링크업 처리(ONU 링크업 처리)와 대역의 분산 할당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OLT와 접속되는 ONU의 수를 3으로 하고 있고(도 3의 ONU-1~ONU-3), 상단에서는, IEEE std 802.3-2005 및 IEEE 802.3av에서 규정된, ONU가 링크업 처리를 행하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의 하단에서는 ONU 링크업 완료 후에 행하는 대역 할당을 행하기 위한, OLT-ONU 사이의 그랜트(grant) 및 리포트(report)의 주고받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근거하여, ONU 링크업 처리와 대역의 분산 할당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OLT(20)는, 링크업을 완료하지 않고 있는 ONU를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게이트(DG)를 ONU(1-1~1-3)에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단계 S11). 여기서는, ONU(1-1~1-3)는, 링크업이 완료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한다. ONU(1-1~1-3)는, 각각 OLT(20)로부터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면, 링크업 요구를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리퀘스트(RR)를 송신한다(단계 S12).
OLT(20)는, ONU(1-1~1-3)로부터 레지스터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계속해서 ONU 링크업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지스터(RG)를 ONU(1-3)에 송신한다(단계 S13). 그 후, OLT(20)는, ONU(1-3)가 송신하는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한 그랜트(G)를 송신한다(단계 S14).
ONU(1-3)는, OLT(20)로부터 수신한 레지스터 및 그랜트의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확인 후, 그 그랜트에서 지정된 송신 타이밍에, 레지스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을 통지하기 위해 레지스터 ACK(RA)를 송신한다(단계 S15). 이상의 처리에 의해, ONU(1-3)의 링크업이 완료된다.
이후, ONU(1-1, 1-2)에 대해서도, ONU(1-3)에 대한 단계 S13~S15와 같이, 각각 단계 S16~S18, 단계 S19~S21의 처리를 실시하고, ONU(1-1) 및 ONU(1-2)의 링크업이 완료된다. 또, OLT(20)은 각 ONU(1-1~1-3)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링크업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각 ONU(1-1~1-3)에 대하여 지정되는 송신 타이밍은 OLT(20)의 처리 상황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OLT(20)은, ONU 링크업이 완료된 ONU에 대하여, MPCP(멀티포인트 컨트롤 프로토콜)에 따라, 대역 할당과 데이터 전송을 개시한다. 우선, OLT(20)는, 각 ONU가 송신하는 리포트의 송출 개시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한 송출 개시 시각을 포함하는 그랜트를 ONU마다 생성하고, 그 그랜트를 각각 대응하는 ONU 1-3, 1-2, 1-1에 순차적으로 송출한다(단계 S22).
ONU(1-1~1-3)는, 각각, 수신한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출 개시 시각에 따라 데이터의 송출 요구량을 포함하는 레포트를 OLT(20)에 송신한다(단계 S23). OLT(20)는, ONU(1-1~1-3)로부터 그 레포트를 수신하면, 최초에 데이터의 송출을 허가하는 ONU(1-3)의 데이터의 송출 개시 시각 및 송출 허가량을 산출하고, 그랜트에 저장하여 ONU(1-3)에 송출한다(단계 S24).
ONU(1-3)는, 단계 S24에서 송신된 그랜트를 수신하면, 그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출 허가량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D)를 생성하고, 다음번의 송출 요구량을 저장한 레포트와 함께 OLT(20)에 송신한다(단계 S25).
OLT(20)는, ONU(1-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이것과 병행하여 ONU(1-2)의 데이터의 송출 개시 시각 및 송출 허가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그랜트에 저장하여 ONU(1-2)에 송출한다(단계 S26). ONU(1-2)는, 단계 S26에서 송신된 그랜트를 수신하면, 그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출 허가량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D)를 생성하고, 다음번의 송출 요구량을 저장한 레포트와 함께 OLT(20)에 송신한다(단계 S27).
OLT(20)는, ONU(1-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이것과 병행하여 ONU(1-1)의 데이터의 송출 개시 시각 및 송출 허가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그랜트에 저장하여 ONU(1-1)에 송출한다(단계 S28). 그리고, OLT(20)는, 그랜트를 ONU(1-1)에 송출한 후에, ONU(1-3)에 대한 2회째의 송출 개시 시각 및 송출 허가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그랜트에 저장하여 ONU(1-3)에 송출한다(단계 S29).
ONU(1-1)는, 단계 S28에서 송신된 그랜트를 수신하면, 그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출 허가량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D)를 생성하고, 다음번의 송출 요구량을 저장한 레포트와 함께 OLT(20)에 송신한다(단계 S30). 또한, ONU(1-3)는, 단계 S29에서 송신된 그랜트를 수신하면, 그 그랜트에 포함되는 송출 허가량에 근거하여 상향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음번의 송출 요구량을 저장한 레포트와 함께 OLT(20)에 송신한다(단계 S31).
이후, 데이터량에 따라, 그랜트의 송신과 레포트, 상향 데이터의 송신이 마찬가지로 실시된다(단계 S32, S33). 이와 같이, OLT(20)는, 순차적으로 ONU(1-1~1-3)에 대하여 대역을 할당하여, 각 ONU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ONU(1-1~1-3)의 하나 이상에 이상이 생겨 그 ONU가 연속 발광 상태에 빠진 경우, ONU(1-1~1-3)로부터 OLT(20) 방향으로의 통신(상향 방향의 통신)은 광 신호의 간섭에 의해 모두 통신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핸드쉐이크에 의한 ONU 링크업 처리와, 대역의 분산 할당 처리를 실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향 방향의 통신이 불가가 되는 상태에 빠지면, 모든 ONU의 링크업 상태는 해제되어, OLT(20)는 다시 링크업 처리를 실시한다.
도 4는 다시 ONU 링크업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 방향의 통신이 불가가 된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ONU 링크업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우선, OLT(20)가 ONU(1-1~1-3)에 대하여, 디스커버리 게이트(DG)를 송신한다(단계 S41).
ONU(1-1~1-3)는,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면 링크업 요구를 실시하기 위해 레지스터 리퀘스트를 송신하지만, ONU(1-1~1-3) 중 1대 이상의 ONU는 이상 상태가 되어, 통신 불가의 연속 발광 상태에 빠지면, OLT(20)는 ONU(1-1~1-3)로부터 송신되는 레지스터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없다(단계 S42). 그 때문에, OLT(20)는 미리 설정된 디스커버리 주기에 근거하여 다시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송신하지만(단계 S43), 역시, ONU(1-1~1-3)로부터 송신되는 레지스터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없고(단계 S44), 그 후도 일정 간격으로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계속 송신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계속 송신하는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빨리 장해가 되는 연속 발광 상태에 빠진 ONU를 특정하고, 그 ONU에 대하여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여, 상향 방향의 통신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개개의 ONU는 자신이 연속 발광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강제 발광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ONU는, 일반적으로 가입자의 주택 내 등에 설치되기 때문에, 범용 ONU에 대하여 추가 회로를 최소한으로 하여, 이상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ONU(1)는, 자신의 시스템의 상향 회선이 연속 발광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연속 발광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ONU(1)가, 연속 발광 상태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에, 연속 발광 상태에 빠져 있는 ONU가 자신인지 여부를 특정하고, 자신이 연속 발광 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특정한 경우에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여 상향 방향의 통신 경로를 확보한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예컨대, 도 4의 상태가 된 경우, ONU(1-1~1-3)가,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일정 시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ONU(1-1~1-3) 중 어느 하나가 이상 발광 상태로 되어 있어 상향 신호의 통신을 저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범용 ONU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했는지를 검출하는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일정 시간 수신하지 않고 있는지 여부는, 통상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일정 시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유니캐스트 프레임 미수신」이라고 판정하는 것으로 하고, ONU는, 이하의 식 (1)에 나타내는 상향 통신 이상 검출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상향 통신에 이상이 생겨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향 통신 이상 검출 조건=
일정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 AND 유니캐스트 프레임 미수신 … (1)
상기 (1)에서는, 일정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하향 통신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유니캐스트 프레임 미수신인 것에 의해, 상향 통신이 정상이 아닌 것을 확인하는 것에 상당한다.
더욱 회로 구성을 간략화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식 (2)에 나타내는 통신 이상 검출 조건을 이용하여 상향 통신에 이상이 생겨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향 통신 이상 검출 조건=
하향 신호 광 입력 정상 AND 유니캐스트 프레임 미수신 … (2)
하향 신호 광 입력이 정상인지 여부는, 통상의 ONU의 수신 기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식 (2)의 경우, 하향 신호 광 입력이 정상인 것에 의해 하향 통신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상당한다. 단, 상기 식 (2)의 경우, OLT(20)의 고장에 의해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정상적으로 송신하지 않고 있는 케이스로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ONU의 회로 규모의 제약의 범위 내이면 식 (1)의 조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해, 상향 통신에 이상이 생기고 있는 것은 판단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어떤 ONU가 이상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음 단계로서,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ONU를 특정하여 그 ONU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개개의 ONU가 강제 발광 정지 제어를 실시하고, 그 제어에 의해 상향 통신 이상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각 ONU가 모니터한다. 이 경우, 개개의 ONU가 같은 타이밍에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면, 어떤 ONU의 강제 발광 정지에 의해 상향 통신이 회복되었는지가 불분명하게 되기 때문에, 같은 타이밍에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각 ONU가 동시에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ONU를 식별자 등 ONU마다의 고유한 번호를 이용하여 발광 정지 개시 시각을 구하도록 하고, 발광 정지 개시 시각이 ONU간에 중복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오토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OLT에서 ONU에 부여되는 LLID(Logical link identification)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LLID는, ONU 링크업 실시시에 OLT로부터 ONU에 할당되는 ONU에 고유한 번호이다. 각 ONU는, 미리 설정한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을, 자신에게 할당된 LLID에 근거하여 구한 소정의 값을 승산하여, 승산 시간으로 한다. 그리고, 각 ONU는, 상기 식 (1) 또는 식 (2)에 근거하여 상향 통신의 이상을 검출한 시간(연속 발광 이상 상태 검출 시간)을 기점으로 하여, 그 기점으로부터 승산 시간 경과한 시각을 강제 발광 개시 시각으로서 설정하면, 각 ONU는 중복되지 않고서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여기서도, 도 3, 도 4와 같이 ONU가 3대(ONU(1-1~1-3)) 접속되어 있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또한, ONU(1-1)에는 LLID로서 LLID#0(LLID 번호의 값이 "0")이, ONU(1-2)에는 LLID#2(LLID 번호의 값이 "2")가, ONU(1-3)에는 LLID#3(LLID 번호의 값이 "3")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OLT(20)가 송신하는 디스커버리 게이트의 송신 주기를 1초로 하고, 각 ONU의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은 5초로 한다. 디스커버리 게이트의 송신 주기,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하지 않고, 몇 초간으로 설정하더라도 좋다.
우선, ONU(1-1~1-3)는, 각각이, 상기 식 (1) 또는 상기 식 (2)에 근거하는 상향 통신 이상 검출 조건에 근거하여, 상향 통신의 이상 즉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을 검출(DET)한다(단계 S51, S52, S53). 이때, ONU(1-1~1-3)의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검출 타이밍의 오차(이상 발생으로부터 검출까지의 시간)는, 각각 접속되는 광섬유의 길이 및 각 ONU의 동작 클록 편차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1㎳ 이하의 오차에 들어간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 오차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제어에 있어서는 무시할 수 있는 크기라고 생각하여, ONU(1-1~1-3)는, 모두 시각 T1에 연속 발광 이상 상태를 검출한 것으로 한다.
ONU(1-1~1-3)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를 검출하면,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개시하는 시각인 ONU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각 T2를 하기 식 (3)에 따라 산출한다.
ONU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각 T2
=T1+(LLID 번호+1)*강제 발광 정지 시간 … (3)
예컨대, ONU(1-1)의 경우는, 상기 (3)에 근거하여 T2를 산출하면, T2=T1+1*5가 되어, ONU(1-1)는, T1로부터 5초 경과한 시점 T2로부터 5초간 강제적으로 발광을 정지한다(단계 S54). 마찬가지로, ONU(1-2)는, T1로부터 15초 후의 시점 T3에 강제 발광 정지를 5초간 실시하고(단계 S55), ONU(1-3)는, T1로부터 20초 후의 시점 T4에 강제 발광 정지를 5초간 실시한다(단계 S56). 따라서, ONU(1-1~1-3)가 각각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는 시각은 중복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ONU가 중복되지 않게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기 위해, LLID를 이용하여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간을 결정하도록 했지만, 이외에도, ONU의 다른 고유 정보에 근거하여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간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각 ONU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처리에 의해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 그 처리 결과에 근거하여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ONU를 특정하고, 상향 방향의 통신 이상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도 6b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는 ONU의 특정과 통신 이상 해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도 3, 도 4, 도 5를, 마찬가지로 ONU가 3대(ONU(1-1~1-3))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ONU(1-1~1-3)의 강제 발광 정지 실시 순서는, 도 5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ONU에 대응하는 고유한 값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6a, 도 6b에서는, 도 5의 예와 같이, 연속 이상 상태 검출 후, ONU(1-1)가 최초로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고, 그 후, ONU(1-2), ONU(1-3)의 차례로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ONU(1-1~1-3)는, 각각 연속 발광 이상 상태를 검출한다(단계 S61).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검출 후, 각 ONU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강제 발광 정지의 개시 시간을 구하고, 우선, ONU(1-1)가 강제 발광 정지를 실행한다(단계 S62). ONU(1-1)가 강제 발광 정지 후에, ONU(1-1~1-3)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3).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디스커버리 게이트를 수신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한다.
ONU(1-1~1-3)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63 예)는, ONU(1-1)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원인의 ONU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향 통신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ONU(1-1)의 강제 발광 상태를 계속한다(단계 S64). 구체적으로는, ONU(1-1)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는, 자신의 강제 발광 상태를 계속하고, 또한, ONU(1-2, 1-3)는, 자신이 구한 자신의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간이 되어도 강제 발광 정지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ONU(1-1)는, 이상 ONU가 자신(ONU(1-1))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 자신의 LED의 점등을 실시하고(단계 S65), 이상 발광 상태 ONU를 특정하여 분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66).
또, LED의 점등은, 각 ONU가 LED 점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실시하지만, 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LED의 점등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지만, 이상을 식별하기 위한 점등 방법을 미리 정하여 두고, 그 점등 방법으로 실시한다.
한편, 단계 S63에서, ONU(1-1~1-3)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63 아니오)는, ONU(1-1)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67). ONU(1-1)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67 예)에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해제한다(단계 S68).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67 아니오)는, ONU(1-1)는, 단계 S63으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67에서는, ONU(1-2, 1-3)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지만, 단계 S67이 실시되는 사이 대기하고, ONU(1-1)가 단계 S63을 실시하는 것과 동등한 타이밍에 ONU(1-2, 1-3)도 단계 S63의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68에서 ONU(1-1)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해제 후, 다음 강제 발광 정지 처리로서 ONU(1-2)가, 자신의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간에 근거하여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69). 그리고, 단계 S63과 같이, ONU(1-1~1-3)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70), 해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0 예)에는, ONU(1-2)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원인의 ONU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향 통신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ONU(1-2)의 강제 발광 상태를 계속한다(단계 S71). 그리고, ONU(1-2)는, 이상 ONU가 자신(ONU(1-2))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 LED의 점등을 실시하고(단계 S72), 이상 발광 상태 ONU를 특정하여 분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66).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0 아니오)는, ONU(1-2)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3). ONU(1-2)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3 예)에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해제한다(단계 S74).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3 아니오), ONU(1-2)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73에서는, ONU(1-1, 1-3)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지만, 단계 S73이 실시되는 사이 대기하고, ONU(1-2)가 단계 S70을 실시하는 것과 동등한 타이밍에 ONU(1-1, 1-3)도 단계 S73의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74에서 ONU(1-2)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해제 후, 다음 강제 발광 정지 처리로서 ONU(1-3)가, 자신의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간에 근거하여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75). 그리고, 단계 S63과 같이, ONU(1-1~1-3)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76), 해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6 예)에는, ONU(1-3)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원인의 ONU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향 통신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ONU(1-3)의 강제 발광 상태를 계속한다(단계 S77). 그리고, ONU(1-3)는, 이상 ONU가 자신(ONU(1-3))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 LED의 점등을 실시하고(단계 S78), 이상 발광 상태 ONU를 특정하여 분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66).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6 아니오)는, ONU(1-3)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79). ONU(1-3)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9 예)에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해제하고(단계 S80), 이상 발광 상태의 요인이 ONU가 아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상의 요인의 ONU를 특정하지 않고서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81). 또, 이때, 이상의 요인의 ONU가 특정되지 않은 것을 사용자에 통지하기 위해, LED의 점등이나 다른 수단에 의한 통지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계 S79에서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9 아니오), 단계 S76으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 S79에서는, ONU(1-1, 1-2)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지만, 단계 S79가 실시되는 사이 대기하고, ONU(1-3)가 단계 S76을 실시하는 것과 동등한 타이밍에 ONU(1-1, 1-2)도 단계 S76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ONU를 특정하고, 특정한 ONU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향 통신을 회복할 수 있다. 또, 도 3, 도 4, 도 5, 도 6a, 도 6b에서는, ONU가 3대인 경우를 예로 동작을 설명했지만, ONU의 수에 제약은 없고 ONU의 수만큼 같은 동작을 실시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1로 되돌아가, 본 실시의 형태의 ONU(1)의 강제 발광 정지에 관한 동작 순서를 설명한다. 또, 도 1에서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에 관한 구성 요소와 그 처리에 관한 접속 관계만을 나타내고 있고, 통상 통신을 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 등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우선, 광 송수신부(2)는, 광섬유(14)를 경유하여 OLT(20)로부터 송신되는 디스커버리 게이트(10)나 OLT(20)가 각 ONU 앞으로 송신하는 유니캐스트 프레임(11~13)을 광 신호로서 수신하고, 수신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프레임 검출부(4)에 송출한다. 또한, 광 송수신부(2)는, 데이터의 송신시에는, 전기 신호인 송신 데이터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섬유(14)에 출력한다.
광 입력 검출부(3)는, OLT(20)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가 소정의 신호 레벨(광 송수신부(2)에서 정확하게 전기 신호로 재생할 수 있는 광 입력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 즉, 정상적인 광 입력 레벨로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오발광 검출부(5)에 통지한다.
수신 프레임 검출부(4)는, 광 송수신부(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근거하여, 그 신호가 OLT(20)로부터 송신된 디스커버리 게이트(10)인지, 또는, OLT(20)로부터 각 ONU 앞으로 송신되는 유니캐스트 프레임(11~13)인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오발광 검출부(5)에 통지한다.
오발광 검출부(5)는, 광 입력 검출부(3)로부터 정상적인 광 입력 레벨을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통지받은 경우, 수신 프레임 검출부(4)로부터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근거하여, 소정의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여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오발광 검출부(5)는, 소정의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또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수신 프레임 검출부(4)로부터 유니캐스트 프레임(11~13)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자신의 ONU도 포함시켜 동일 OLT(20)에 접속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ONU가, 연속 발광 상태가 되는 이상에 의해 상향 방향의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연속 발광 이상 상태)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오발광 검출부(5)는, 연속 발광 이상 상태를 검출한 경우, 그 취지를 LED 제어부(8) 및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에 통지한다.
또한, 오발광 검출부(5)는,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수신 프레임 검출부(4)로부터 유니캐스트 프레임(11~13)을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가 있었던 경우, 연속 발광 이상 상태는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취지를 LED 제어부(8) 및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에 통지한다.
또, 여기서는, 광 입력 검출부(3)로부터 정상적인 광 입력 레벨을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통지받은 경우, 수신 프레임 검출부(4)로부터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에 근거하여, 소정의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하향 통신의 정상성을 판단하도록 했다. 즉, 상술한 식 (1) 및 식 (2)의 양쪽의 조건에 근거하여 하향 통신의 정상성을 판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상술한 식 (1)과 같이 하향 통신의 정상성을 소정의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있는지에 따라 판단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식 (2)와 같이, 소정의 주기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대신에, 광 입력 검출부(3)로부터의 통지에 근거하여 하향 통신의 정상성을 판단하더라도 좋다.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각 ONU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 시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자신의 LLID 등의 고유 ID에 근거하여 예컨대 상기 식 (3)으로 나타낸 식 등에 따라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각을 구한다. 그리고, 구한 강제 발광 정지 개시 시각이 되면 강제 발광 정지부(7)에 소정의 강제 발광 정지 시간 동안 발광을 정지하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도록 통지한다. 또한,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강제 발광 정지부(7)가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오발광 검출부(5)에서 연속 발광 이상 상태가 해제된 통지를 받은 경우, 자신의 ONU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로 되어 있는 ONU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강제 발광 정지부(7)에 계속해서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이 만료되더라도 계속해서 강제 발광 정지 지시를 계속함과 아울러, 자신의 ONU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로 되어 있는 ONU인 것으로 판단한 취지를 LED 제어부(8)에 통지한다.
LED 제어부(8)는,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로부터 자신의 ONU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로 되어 있는 ONU인 것으로 판단한 통지를 받은 경우에는, 자신이 이상 ONU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LED를 점등한다.
또,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일단 자신의 ONU가 연속 발광 이상 상태로 되어 있는 ONU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ONU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여 다시 전원을 투입한 경우에도 계속하여 강제 발광 정지 상태를 계속하고, 또한 LED의 점등을 계속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의 기능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기능이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EEE std 802.3-2005 또는 IEEE 802.3av에서 규정되는 통신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OLT(2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각 ONU에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고, 각 ONU가 그 신호에 응답하는 통신 방법이면, 본 실시의 형태의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있는지의 판단의 대신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소정의 신호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있는지의 판단을 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EEE std 802.3-2005 또는 IEEE 802.3av에서 규정되는 범용 ONU에, 오발광 검출부(5),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 강제 발광 정지부(7)를 추가하고, 오발광 검출부(5)가,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또한, 디스커버리 게이트(10)를 수신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범용 ONU에 대한 추가 회로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연속 발광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각 ONU의 강제 발광 정지 처리 시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개시를 지시하고, 강제 발광 정지부(7)가 지시에 근거하여 강제적으로 발광을 정지하도록 했다. 또한,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6)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 중에, 오발광 검출부(5)로부터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해제를 통지받은 경우는, 자신이 연속 발광 이상 상태의 원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강제 발광 정지 상태를 계속하도록 했다. 그 때문에, 연속 발광 이상의 원인이 되는 ONU를 특정하고, 특정한 ONU를 강제적으로 발광 정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신속하게 이상 상태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이상 검출 방법은, PON 시스템에 유용하며, 특히, OLT과 ONU의 사이에서 핸드쉐이크에 의한 처리를 행하는 PON 시스템에 적합하다.
1, 1-1~1-5 : ONU
2 : 광 송수신부
3 : 광 입력 검출부
4 : 수신 프레임 검출부
5 : 오발광 검출부
6 : 강제 발광 정지 제어부
7 : 강제 발광 정지부
8 : LED 제어부
10 : 디스커버리 게이트
11~13 : 유니캐스트 프레임
14 : 광섬유
20 : OLT
21 : 광 커플러
22-1~22-5 : 사용자 단말

Claims (13)

  1.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반송하고,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하는 자신 앞으로의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로서,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별을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이상 발광 검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종별로서, 상기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소정의 기준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임계치가 경과하더라도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를 이상 발광 상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이 검출하는 종별로서,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상기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를 이상 발광 상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레벨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 레벨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광 입력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또한, 상기 입력 레벨이 정상인 경우를 이상 발광 상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레벨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 레벨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광 입력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또한, 상기 입력 레벨이 정상인 경우를 이상 발광 상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지 시간 동안, 강제적으로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의 발광을 정지하는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는 강제 발광 정지 수단과,
    상기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접속하는 광 가입자 단말 장치와 접속하는 다른 광 가입자 종단 장치와 겹치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발광을 정지하는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한 시간에 상기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실시하도록 상기 강제 발광 정지 수단을 제어하는 강제 발광 제어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발광 정지 시간을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에게 할당된 LLID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실시 중에,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것을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은,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실시 중에,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 발광 상태의 원인 장치인 것으로 특정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정지 수단에 대하여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LED를 점등시키는 LED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은, 상기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LED 제어 수단에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LED의 점등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은,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실시 중에,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것을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에 통지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은, 강제 발광 정지 처리의 실시 중에,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 발광 상태의 원인 장치인 것으로 특정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정지 수단에 대하여 강제 발광 정지 처리를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LED를 점등시키는 LED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강제 발광 제어 수단은, 상기 이상 발광 상태가 해제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LED 제어 수단에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자신이 이상인 것을 표시하기 위한 LED의 점등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
  12.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와, 복수의 광 가입자 종단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에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가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반송하고,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 앞으로의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PON 시스템으로서,
    상기 광 가입자 종단 장치는,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별을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이상 발광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N 시스템.
  13.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반송하고,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하는 자신 앞으로의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는 광 가입자 종단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광 가입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별을 검출하는 수신 프레임 검출 단계와,
    상기 수신 프레임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이상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이상 발광 검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 검출 방법.
KR1020117023488A 2009-04-07 2009-04-07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KR20110134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1616 WO2010116410A1 (ja) 2009-04-07 2009-04-07 光加入者終端装置、pon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901A true KR20110134901A (ko) 2011-12-15

Family

ID=4293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488A KR20110134901A (ko) 2009-04-07 2009-04-07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33963A1 (ko)
EP (1) EP2418805A4 (ko)
JP (1) JP5236069B2 (ko)
KR (1) KR20110134901A (ko)
CN (1) CN102388577A (ko)
WO (1) WO2010116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76B1 (ko) 2014-09-24 2016-01-15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이상 복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3387B2 (ja) * 2011-10-06 2015-09-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伝送制御装置、伝送制御プログラム及び終端装置
US20140369676A1 (en) * 2012-03-22 2014-12-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n system, olt, and onu
CN102970074B (zh) * 2012-10-29 2015-05-13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Epon系统中olt侧的异常发光onu硬件检测装置
CN103001691B (zh) * 2012-10-29 2015-03-18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Epon系统中olt侧的onu非法发送窗告警诊断方法及装置
CN102932054B (zh) * 2012-10-29 2015-04-08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Epon系统中olt侧的onu长发光告警诊断方法及装置
US10033459B2 (en) * 2013-02-15 2018-07-24 Lantiq Deutschland Gmbh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gue optics network unit
EP4009594B1 (en) * 2017-02-10 2023-07-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Bandwidth allocation device and bandwidth allocation method
EP3742149B1 (en) * 2018-02-23 2021-10-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direction path monitoring device
CN109861750B (zh) * 2018-11-23 2020-09-08 武汉烽火技术服务有限公司 长发光onu的排查方法及系统
CN112118499B (zh) * 2019-06-19 2023-07-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网络单元onu掉电告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1100146A1 (ja) * 2019-11-20 2021-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7486406B2 (ja) * 2020-11-20 2024-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通信装置
US20230040541A1 (en) * 2021-08-05 2023-02-09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Power Saving For Multi-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 (PON)
JP2023077813A (ja) * 2021-11-25 2023-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局側装置、光通信システム及び探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439A (ja) * 1988-10-28 1990-05-07 Nissin Electric Co Ltd 光通信用送信受信モジュールの障害発生時処理方法
JP4509398B2 (ja) * 2001-01-16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バースト送受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7230926B2 (en) * 2002-03-12 2007-06-12 Intel Corporation Isolation technique for networks
JP2006174270A (ja) * 2004-12-17 2006-06-29 Sumitomo Electric Ind Ltd 局側装置、端末装置および障害発生装置検出方法
JP2007027819A (ja) * 2005-07-12 2007-02-01 Fujitsu Access Ltd 受動光網システムにおける光出力制御方法及び加入者宅側通信装置
CN100536381C (zh) * 2005-12-23 2009-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光网络维护方法和光线路终端
JP2007194983A (ja) * 2006-01-20 2007-08-02 Oki Electric Ind Co Ltd パッシブ光ネットワーク
US20090034411A1 (en) * 2007-08-03 2009-02-05 Tellabs Vienna Inc. Automated diagnostics and troubleshooting mechanism for end-users and technicians
JP5276935B2 (ja) * 2008-09-12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動光網システムおよびその障害特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076B1 (ko) 2014-09-24 2016-01-15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이상 복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6410A1 (ja) 2010-10-14
EP2418805A1 (en) 2012-02-15
JPWO2010116410A1 (ja) 2012-10-11
US20120033963A1 (en) 2012-02-09
CN102388577A (zh) 2012-03-21
EP2418805A4 (en) 2017-03-08
JP5236069B2 (ja)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901A (ko) 광 가입자 종단 장치, pon 시스템 및 이상 검출 방법
US8774623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in optical network terminal
US20140369676A1 (en) Pon system, olt, and onu
KR101402527B1 (ko) 수동형 광 네트워크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66496A (ja) 光加入者線端局装置、異常監視装置および光加入者線終端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4572182B2 (ja) 光加入者通信システム、光加入者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光加入者装置の異常発光抑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551893B2 (ja) 不正光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6376404B2 (ja) Pon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局側装置及び故障端末特定方法
CN105790832A (zh) 异常发光光网络单元onu的检测诊断方法和装置
US20150215034A1 (en) Pon system and olt
JP4827651B2 (ja) 光伝送方法及び装置
JP5434461B2 (ja) 障害onu特定方法及び障害onu特定装置
JP2007318524A (ja) 光加入者線終端装置
KR101586076B1 (ko)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이상 복구 시스템 및 방법
JP2008277947A (ja) Pon光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局側装置及び故障判定方法
CN104852764A (zh) Pon系统中olt检测ont异常发光的系统及方法
JP5064352B2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5661199B2 (ja) 通信障害検出装置
KR101251302B1 (ko) Pon 시스템 및 그에 대한 ont 이상 검출 방법
JP2011035738A (ja) 障害onu特定方法及び装置
JP2012151737A (ja) 局側光網終端装置、光通信システム、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JP2011066608A (ja) 局内装置、加入者装置、光通信システム、故障装置特定方法、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261961B1 (ko) Pon 시스템 및 그에 대한 ont 이상 검출 방법
JP5560986B2 (ja) 局側光通信装置および誤発光検出方法
JP2016119637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