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053A -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053A
KR20110133053A KR1020117025113A KR20117025113A KR20110133053A KR 20110133053 A KR20110133053 A KR 20110133053A KR 1020117025113 A KR1020117025113 A KR 1020117025113A KR 20117025113 A KR20117025113 A KR 20117025113A KR 20110133053 A KR20110133053 A KR 2011013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ouch
display
displa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526B1 (ko
Inventor
야스히로 죠노시타
다카히로 모리
마유 산다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7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16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78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0517B2/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3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이 향상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기기는,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10); 제1 표시부(110)에 중첩되어 있고 그것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132); 및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관한 정보가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170)을 실행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전자기기는, 제1 표시부(110)에 적어도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120)에 적어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204)를 포함하며, 표시 제어부(204)는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모드들로 표시되도록 표시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ELECTRONIC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센서(touch sensor)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전화,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및 고기능화되고 있다. 그 결과, 콜링(calling) 및 메일링(mailing)과 같은 통신 관련의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음악 재생, 텔레비젼 등과 같은 컴퓨터에 필적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었다.
이러한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표시 영역의 화면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소형화되고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사이즈가 제한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의 화면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조작부에 할당되는 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동일한 조작 키에 다양한 기능이 할당되어야 하거나, 메뉴의 계층이 깊어져야 함으로써, 조작성이 저하된다.
특허 문헌 1은, 화면(정보 표시 화면)과 동일한 면에 제1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측의 면에 제2의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지문 인증 등을 위해 보조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2007-141029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 이용되지 않았던 이면(裏面)에 입력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면의 입력 수단은 단순히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의 입력 수단의 보조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향상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제1 표시부에 중첩되어 있고 그것에 대한 터치(touch)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및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제1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단일의 터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를 상기 제1의 터치로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복수의 터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를 상기 제2의 터치로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모든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외연 영역의 넓이에 의해, 상기 터치가 상기 제1의 터치인지 또는 상기 제2의 터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가 상기 제2의 터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슬라이딩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보다 더 커지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의 기점(base point)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전자기기는 상기 제1 표시부와는 상이한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하고, 적어도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표시부에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와는 상이한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부에 적어도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모드(mode)들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각 표시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보다 더 크게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거하여 전자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를 검출하는 사용 빈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 빈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더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각의 정보의 표시 모드들을 일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착신 또는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수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 따르면,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1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중첩되어 그곳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의 터치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 따르면, 제1 표시부에 적어도 실행중의 어플리케이션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에 적어도 상기 실행중의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각각 다른 모드들로 표시되는, 정보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상된 조작성을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외관을 나타내는 6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좁은 영역인지 또는 넓은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평가 수법을 예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를 예시한다.
도 5(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예시한다.
도 6(a) 및 (b)는 터치 센서를 이용해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판정을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를 예시한다.
도 9(a) 및 9(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예시한다.
도 10은 터치 센서에 대한 넓은 영역의 터치의 슬라이딩에 의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예시한다.
도 11(a) 및 11(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전환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PDA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a) 내지 14(c)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의, 표시를 예시한다.
도 15(a) 및 15(b)는, 메일 또는 착신이 수신되었을 때의, 팝업(pop-up) 표시를 예시한다.
도 16(a) 및 16(b)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때의, 표시를 예시한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a) 및 18(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의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 선택되었을 때의, 표시를 예시한다.
도 19(a) 및 19(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전환 방법을 예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 형태들에 나타내어진 사이즈, 재료 및 구체적인 수치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예시일뿐이고, 그 외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구성 요소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인 휴대 전화(100)가 설명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은,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조작이 입력되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아직 실제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여도, 즉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아이콘(커맨드(command))이나 쇼트 컷 메뉴(shortcut menu)가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일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은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칭해진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액티브(inactive) 어플리케이션(170)(다른 어플리케이션)이란,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이고 실행되지 않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외관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6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100)는, 하우징의 하나의 면에 배치된 제1 표시부(110) 및 제1 표시부(110)에 반대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표시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면적을 갖는 제2 표시부(120)를 갖는다. 제1 표시부(110)에는 투명한 터치 센서(132)가 중첩되어 있다(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표시부(120)에는 터치 센서가 중첩되어 있지 않다).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는 긴 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각각이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주를 에워싼다. 하우징의 외관(터치 센서(132)가 표면에 외관을 구성함)은,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구부러진 방향들로 실질적으로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는 대체적으로 편평한 컨테이너(container) 형상을 형성한다. 이 컨테이너의 양단에는 단부 부재(114, 116)가 갖춰져 있다.
한편,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은, 정확한 타원 형상(원을 포함)만을 포함하지 않고, 정확한 타원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은, 단부가 대체적으로 원형인, 평탄한 주표면과 반원형 단부를 갖는 장환 형상(elongated circle shape), 또한 장환 형상의 주표면으로부터 중앙부가 돌출한 형상 및 타원 형상을 짧은 축 또는 긴 축으로 평탄화하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단부 부재(114, 116)는, 광 투과부(118)를 개입시켜,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광 투과부(118)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부(152)(도 13 참조)로부터의 광을 그곳을 통해 투과될 수 있게 해서 외부로 안내한다. 한편, 광 투과부(118) 없이, 단부 부재(114, 116)가,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단부 부재(114)의 제1 표시부(110)로 연결되는 면에는, 카메라(140)가 갖춰져 있다. 또,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에 해당되는 단부 부재(114)의 단면에는, 음성 출력부(142) 및 전원 버튼(146)이 갖춰져 있다. 단부 부재(114)의 단면에 대향 되게 배치되는 단부 부재(116)의 단면에는, 음성 입력부(144)가 갖춰져 있다. 즉, 음성 출력부(142) 및 음성 입력부(144)를 단부 부재(114, 116)의 단면(하우징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화를 걸 때, 하우징의 표리(表裏)에 관계없이 유저가 하우징을 파지할 수 있다.
또, 제1 표시부(110)와 단부 부재(114) 및 단부 부재(116)의 각각의 사이에 존재하는, 하우징의 넓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는, 하우징 내부에 갖춰진 스테레오 스피커(150)(도 2 참조)로부터 생성된 음(sound)을, 하우징 내부로부터 하우징 외부에 출력하는 방음구(sound output port)(148a, 14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2 표시부(120)와 단부 부재(114) 및 단부 부재(116)의 각각의 사이의 존재하는, 하우징의 넓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는, 하우징 내부에 갖춰진 스테레오 스피커(150)로부터 생성된 음을, 하우징 내부로부터 하우징 외부에 출력하는 방음구(148c, 148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방음구(148a, 148b) 및 방음구(148c, 148d)는, 하우징의 넓이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서의 단부 부재(114) 및 단부 부재(116)의 광 투과부(118)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방음구(148a, 148b, 148c, 148d)에는, 스테레오 스피커(150)로부터 발생된 음을 유도하기 위한 도음로(sound guiding path)(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각각의 방음구로부터 음을 균등하게 출력할 수 있다.
(기능 구성)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가 좁은 영역인지 또는 넓은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수법을 예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0)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터치 센서(132), 카메라(140), 음성 출력부(142), 음성 입력부(144), 스테레오 스피커(150), 제어부(200), 무선 통신부(210) 및 기억부(메모리)(220)를 갖는다.
제어부(200)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의해 휴대 전화(10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콜링 기능, 문자 입력 기능, 음악 재생 기능, TV시청 기능 등을 실현하는 기억부(2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통신망을 개입시켜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스케줄 관리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200)는, 실행 제어부(202) 및 표시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즉, 터치 센서(132)에 대한 조작이 좁은 영역에서 입력되는 경우에, 실행 제어부(202)는 상기 조작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송신한다(현재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보다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즉, 터치 센서(132)에 대한 조작이 넓은 영역에서 입력되는 경우에, 실행 제어부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과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리스트 화면(나중에 설명함)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한편, 좁은 영역 및 넓은 영역은, 특정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평가 수법에 준거하여, 상대적인 관계가 판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영역이라도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서(132)에 의해 단일의 터치가 검출되었는지 또는 복수의 터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 즉,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센서(132)가 하나의 위치에서 터치되었는지 또는 복수의 위치에서 터치되었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된 터치 센서(132)에 대한 모든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외연 영역(132a)의 넓이에 의해,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연 영역(132a)에 의한 판단을 행할 때, 터치 영역들 사이에서 터치 센서(132)에 대해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 면적에 의해,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 면적의 총계가 판단 대상으로서 사용된다. 터치 면적의 총계가 소정의 면적보다 넓으면,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상기 총계가 소정의 면적보다 좁으면, 좁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소정의 면적은, 통계학적으로 구해진, 손가락 사이즈의 면적을 사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가 단말을 사용하기 전에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의해 상기 소정의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04)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실행 제어부(202) 및 표시 제어부(204)의 동작이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기억부(220)는, ROM, RAM, EEPROM, 비휘발성 RAM, 플래시 기억부, HDD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부(200)(표시 제어부(204))로 처리되는 프로그램이, 그 외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는, 예를 들면, 수지 기판상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디스플레이,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로서, TFT 액정 디스플레이가 이용된다.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는, 표시 제어부(204)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을 표시한다.
제1 표시부(110)는 터치 센서(132)와 조합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십자 키, 조이스틱 등과 같은 관련된 조작 키에 대응한 기능을 실현한다. 한편, 터치 센서(132)는 제2 표시부(120)에도 중첩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13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이루어져 제1 표시부(110)에 시인 가능하게 중첩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른바 터치 스크린 타입이 터치 센서(132)로서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표시부(110)의 이면에 부착되는 압력 검출 타입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타입의 터치 감지 방법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압식과 정전기에 의한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식의 2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음성 출력부(142)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휴대 전화(100)에 의해 수신된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테레오 스피커(150)는, 착신음, 제1 표시부(110) 및 터치 센서(132)에 의한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작음, TV 음성, 음악, 알람음 등을 출력한다.
음성 입력부(144)는,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 인식 장치를 포함하여 전화를 걸 때 입력된 유저의 음성을 휴대 전화(100)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 전화망에 있어서의 기지국(212)(도 2 참조)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은, 기지국(212)내에서 프레임이 시분할된 복수의 타임 슬롯(time slot)이 각각 휴대 전화(100)의 채널에 할당되어 통신 등을 행하는 시분할 멀티플렉스(time division multiplex)를 포함한다.
(동작 설명)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의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있어서의 표시를 예시한다. 특히, 도 4(a)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100)을 나타내고, 도 4(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100)을 나타내며, 도 4(c)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100)를 나타낸다. 또,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을 예시한다. 특히, 도 5(a)는 리스트 화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제어부(204)는, 제1 표시부(110)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관한 정보, 즉,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120)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리스트 화면은 전환될 어플리케이션이 열기된 화면이다.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관한 정보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에 관한 정보보다 더 크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 각각 어플리케이션은 띠 형상으로 표시된다.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나타내는 띠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나타내는 띠보다 더 넓게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이면으로부터조차도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인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띠는 단부 부재(114, 116)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전환의 방향, 즉, 스크롤(scroll)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하지만, 띠는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휴대 전화(100)가 기동할 때 등), 휴대 전화(100)의 표면에 있는 제1 표시부(110)에 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넓은 영역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화면에 있어서, 터치 센서(132)에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 Phone(콜링)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표시된다. 넓은 영역의 터치를 반복할 경우, Mail(메일), Music(음악), Navi(네비게이션), Camera(카메라), Media(미디어), 및 Phone의 순서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전환된다. 순서가, 제2 표시부(120)에 리스트 화면으로서 표시된다.
한편, 제1 표시부(110)에 새롭게 표시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직도 기동(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커맨드)가 표시된다. 이것은, 좁은 영역의 터치(탭(tap))에 의해 기동(실행)된다. 또, 이미 어플리케이션이 기동(실행)되고 있었을 경우에, 그 상태에 대응한 화면이 표시된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도, 좁은 영역의 터치(탭)에 의해 입력된다.
여기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고,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에도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띠가 확대되어(예를 들어, 넓이가 넓게 됨) 표시된다.
또,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 터치 센서에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1 표시부(110)에 콜링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고,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에 넓게 되어 표시되는 띠가 콜링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따라서, 휴대 전화(100)의 배면(이면)으로부터 조차도,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현재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인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실행 중인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ACTIVE)이라고 하는 인디케이션(indication)이,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현재 액티브(active)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황조차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리스트 화면에 열기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은, 바람직하게 유저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이다. 환언하면, 휴대 전화(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모두가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즉시 전환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선택되지 않았던 어플리케이션은, 대기 화면상에 갖춰진 하위 계층으로 나아가는 메뉴 커맨드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리스트 화면에 존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리스트 화면에 끼어들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터치 센서(132)를 이용하여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판정을 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a)은 복귀 판정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6(b)은 휴지 상태와 복귀의 플로차트(flow chart)를 나타낸다.
전력의 소모를 억제하여 동작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이상 동안에 조작이 없었던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휴지 상태로 시프트(shift)하여, 콜링 기능과 같은 일부의 주요 기능을 제외하고,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어부(200)는, 휴대 전화(100)의 조작이 개시될 경우에, 휴지 동작으로부터 복귀한다. 휴대 전화(100)는 터치 센서(13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각종 조작을 행한다. 하지만, 터치 센서(132)는 터치를 검지하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단지 터치 센서(132)로 터치를 검지한 것에 의해 복귀 동작이 실행되면, 휴대 전화(200)는 가방이나 포켓에 넣고 있었을 경우에는 좀처럼 휴지 상태로 시프트하지 않게 되어, 전력이 신속하게 소모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판정하기 위해 특정의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센서(132)의 우하 부분에 복귀 판정 영역(134)이 설정되어 있다. 복귀는, 복귀 판정 영역(134)에만 소정 시간 이상 동안에 터치가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정된다.
제어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휴지 상태와 복귀의 구체적인 예가, 도 6(b)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휴대 전화가 휴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제어부(200)는 복귀 판정 영역(134)만이 소정 시간 이상 동안에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S100: NO), 제어부(200)는 S100의 판단을 계속한다. S100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S100: YES)에, 제어부(200)는 복귀한다(S102). 이때, 제어부(200)는 제1 표시부(110)에는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120)에는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예컨대, 전원 버튼(146)이 눌려지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대기 화면에 있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 또는 전환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대해서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임의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S104: YES), 제어부(200)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전환하거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대해서의 처리를 행하여(S106),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다음의 조작을 기다린다(S108). 복귀 후에 임의의 조작이 없었던 경우에(S104: NO) 또는 조작을 기다리는 상태(S108)에서, 제어부(200)는 소정 시간 동안에 조작이 없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0). S110에서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S110: NO), 제어부(200)는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고(S106), 조작이 없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S110: YES), 휴대 전화는 휴지 상태로 시프트한다(S112). 휴지 상태 후에는, 다시 복귀 판정 영역(134)만이 소정 시간 이상 동안에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 구성에 의해, 터치 센서(132)만을 갖는 휴대 전화(100)에 대해서도 높은 정밀도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휴지 상태에서, 복귀 판정 영역(134)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지 화면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면적을 갖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를 구비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부의 정보량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표시부(110)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이 표시되고, 그리고 제2 표시부(120)에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 센서(132)의 좁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현재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으로서 간주되고,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 동작으로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 부재(114)의 단면에 전원 버튼(146)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단부 부재(114, 116) 그 자체는 스위치 기구를 갖는 전원 버튼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버튼을 더 크게 만드는 것에 의해, 조작성을 향상되고, 전원 버튼이 외관상 잘 눈에 띄지 않으므로 미감이 향상된다. 또, 커넥터 등을 배치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부 부재(114, 116)의 단면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음을 위해 터치 센서(132)상에 가상 키가 표시될 수 있고, 단부 부재(114)에 모음 선택 키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부 부재(116)에는 엔터 키(enter key)가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개개의 가상 키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따라서 입력 조작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외관 구성)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인 휴대 전화(300)가 설명된다. 휴대 전화(300)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와 동일한 외관 구성을 갖는다.
(기능 구성)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300)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300)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터치 센서(132), 카메라(140), 음성 출력부(142)), 음성 입력부(144), 스테레오 스피커(150), 제어부(400), 무선 통신부(210), 기억부(메모리)(220) 및 슬라이딩 검출부(332)를 갖는다.
제어부(400)는 중앙 처리장치(CPU)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회로에 의해 휴대 전화(30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콜링 기능, 문자 입력 기능, 음악 재생 기능, TV 시청 기능 등을 실현하는, 기억부(2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통신망을 개입시켜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스케줄 관리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400)는 실행 제어부(402) 및 표시 제어부(404)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32)에의 조작이 좁은 영역에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실행 제어부(402)는 조작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송신한다(현재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 터치 센서(132)에의 조작이 넓은 영역에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검출부(332)의 검출에 응답하여, 실행 제어부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과는 상이한, 그리고 리스트 화면(나중에 설명됨)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들 중 하나를 실행한다. 따라서, 오조작으로 인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을 저감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404)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404)는, 제1 표시부(110)에 적어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을, 그리고 제2 표시부(120)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와는 달리, 리스트 화면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나타내는 띠가 표시되지 않고,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나타내는 띠가 스크롤된다.
슬라이딩 검출부(332)는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의 슬라이딩을 검출하여, 그것을 실행 제어부(402)에 송신한다.
(동작 설명)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300)의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서의 표시를 예시한다. 특히, 도 8(a)은 대기 화면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300)를 나타내고, 도 8(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300)를 나타내며, 도 8(c)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때의 휴대 전화(300)를 나타낸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30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을 예시한다. 특히, 도 9(a)는 리스트 화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휴대 전화(300)가 기동할 때 등), 휴대 전화(300)의 표면에 있는 제1 표시부(110)에 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넓은 영역에서의 터치의 슬라이딩에 의해 해제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화면에 있어서, 터치 센서(132)에 대해 터치의 슬라이딩이 넓은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슬라이딩 방향으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 및 리스트 화면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스크롤된다. 예를 들면, 스크롤 방향(501)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Phone(콜링)이 표시되어 리스트 화면으로부터 Phone의 띠가 삭제된다. 슬라이딩이 스크롤방향으로 반복되면, Mail(메일), Music(음악), Navi(네비게이션), Camera(카메라), Media(미디어), 및 Phone의 순서(스크롤 방향(501)의 순서)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전환된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됨에 따라, 리스트 화면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도 스크롤된다. 환언하면, 실행 제어부(402)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나타내는 띠에 인접하는 띠에 대응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의해 그것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 그것은, 리스트 화면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들 중 스크롤 방향(501)의 단부(상단)에 위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제1 표시부(110)에 새롭게 표시됨에 따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띠가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서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으로부터 삭제된다. 또,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서,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의 스크롤 방향(501)의 대향 하는 단부(하단)에 그것이 추가된다. 상기한 동작 화면의 전환은, 연속적이고 매끄럽게 행해진다. 따라서, 이면의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에 열기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회전되어 표면으로 이동되며, 그 다음으로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치 컨테이너가 회전되었던 것과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차례차례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크롤 방향(501)이 예시되었다. 하지만, 반대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 방향(502)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의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스크롤되어 리스트 화면의 양단에는 Phone 및 Camera가 배치된다.
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상태로부터 슬라이딩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더 이루어지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제2 표시부(120)의 리스트 화면의 양단에는 Mail 및 Media가 배치된다.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표시부(110)에 더하여 상이한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12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표시 제어부(404)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제2 표시부(120)에 표시시키면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들 중 하나를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2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들 중 일부(리스트 화면의 일부)를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터치 센서(132)에 대한 넓은 영역의 터치의 슬라이딩에 의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을 예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양쪽 엄지 손가락에 의한 터치 센서(132) 상의 슬라이딩을 행하는 것에 의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전환된다는 것을 상정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유저는 단말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용이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손가락 터치가 넓은 영역이도록, 그리고 한쪽 손가락 터치가 좁은 영역이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전환이 보다 적합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1은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다른 전환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에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표시되고,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점으로서의,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띠로부터 넓은 영역으로 터치를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도 11(a) 참조), 실행 제어부(402)는 슬라이딩의 기점에 표시되는 띠에 대응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 전환할 수 있다(도 11(b) 참조). 이것에 의해,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도달하기까지 넓은 영역에서의 터치의 슬라이딩을 반복하지 않고 전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은 리스트 화면에 열기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의 일부일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인, PDA(500)이 설명된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PDA(500)를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를 갖는 휴대 전화(100, 300)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하우징의 일측에만 표시부를 갖는 전자기기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PDA(500)는 단일의 표시부(510) 및 표시부(510)에 중첩된 투명한 터치 센서(530)를 갖는다. 터치가 좁은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 화면에 관하여 조작을 실행하고,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전환하는 본 발명이 단일의 표시부(510)를 갖는 PDA(500)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환언하면, 표시부(510)에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이 표시된다. 터치 센서(530)에 대한 조작이 좁은 영역에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조작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송신된다(현재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 또, 터치 센서(530)에 대한 조작이 넓은 영역에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과는 상이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510)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과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함께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다음에 전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구성은 예시일 뿐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예를 들면,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은 띠 형상으로만 표시되지 않고, 표시부(510)의 단부에 배열된 아이콘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또,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나타내는 영역(띠 등)은 표시 또는 비표시 사이를 바람직하게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좁은 영역에서 입력이 이루어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조작하는 동안은,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바람직하게 숨겨진다. 그 다음에, 넓은 영역에서의 입력시에, 전환될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하나의 표시부(510)가 갖춰진 경우라도, 유저가 전환될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170)을 용이하게 알 수 있고, 현재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대해서 될 수 있는 한 큰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의 전환시의 화면은 간단히 전환될 수 있고, 또는 스크롤 하는 것 같은 화면 효과를 수반할 수 있다. 화면이 스크롤되는 경우에, 넓은 영역에서 터치에 대한 슬라이딩이 검출되면, 슬라이딩 방향으로 스크롤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넓은 영역에서의 조작이 특정 방향을 갖지 않는 경우에, 스크롤이 임의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스크롤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크롤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프리셋(preset)될 수 있다. 손가락이 스크롤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될 수 있고, 상이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행해지는 경우에, 다른 임의의 동작이 할당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가 설명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와 동일한 외관 구성을 갖는다.
(기능 구성)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600)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조작부(130), 카메라(140), 음성 출력부(142), 음성 입력부(144), 스테레오 스피커(150), 발광부(152), 제어부(200), 무선 통신부(210), 및 기억부(메모리)(220)를 갖는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00)가 표시 제어부(204)를 또한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204)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표시부(110)의 제1의 표시 영역(161)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04)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의 표시 영역(181)과,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제2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한편, 각각의 제2의 표시 영역(171)들은 개개의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에 의거하며, 배열되게 하여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04)는 제2의 표시 영역(171)들을 각각 다른 모드들로 표시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모드는, 컬러에서의 변화, 도트 패턴(dot pattern) 및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과 같은 배경 패턴에서의 변화, 폰트(font)에서의 변화 등을 포함한다. 그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 제공될 것이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20)가 스킨 데이터 기억부(222)를 또한 포함한다.
스킨 데이터 기억부(222)는 복수의 스킨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킨 데이터란,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문자, 버튼 등의, 외관을 정의한 데이터이다.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거하여 스킨 데이터가 선택되면, 스킨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1의 표시 영역(161) 및 제2의 표시 영역(171)의 표시 모드들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
조작부(130)는 이른바 정보 입력 수단이며, 키보드, 십자 키, 조이스틱과 같은 가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의 확대 및 조작성의 향상의 양쪽을 실현하기 위해서 조작부(130)로서 터치 센서(132)가 포함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센서(132)는 제1 표시부(110)와의 조합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십자 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조작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한편, 터치 센서(132)가 제2 표시부(120)에 또한 중첩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거하여(조작부(130)의 조작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204)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 따라서, 유저의 선호에 따라 설정을 행할 수가 있고, 그에 의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부(152)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며, 광 투과부(118)를 통해서 외부에 광을 조사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부(15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장식적 특성(ornamental property)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광 투과부(118)에 소정의 착색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LED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컬러를 부여할 수 있다.
(동작 설명)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의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의, 표시를 예시한다. 특히, 도 14(a)는 대기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의 휴대 전화(600)를 나타내고, 도 14(b)는 도 14(a)에 있어서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제2 표시 영역)의 수가 감소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며, 도 14(c)는 도 14(b)의 제2의 표시 영역(171)의 표시가 띠 형상으로부터 페넌트(pennant)(삼각형) 형상으로 변경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휴대 전화(600) 기동 때 등), 휴대 전화(600)의 표면에 있는 제1 표시부(110)에 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조작부(130)가 조작될 때 해제된다.
이때, 제2 표시부(120)에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의 표시 영역(171)이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예를 들면, 그것들이 띠 형상(띠 형상 표시 영역)으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알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의 표시 영역(171)이 상이한 모드들의 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내는 것이 어떤 어플리케이션인지를 첫눈에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들은 스킨 데이터 기억부(222)에 기억된 스킨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으로 일괄해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또,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거하여,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수가 감소되면, 제2의 표시 영역(171)의 각 표시 면적이 대응하여 증대한다. 당연히,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수가 증대되면, 제2의 표시 영역(171)의 각 표시 면적이 대응하여 감소된다. 즉, 비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수에 따라 제2의 표시 영역(171)의 각 표시 면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물리적인 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제2 표시부(120)내에 모든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수용할 수 있다. 또, 띠의 표시 면적에 의해,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된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대략적인 수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표시 영역(171)은 페넌트(삼각형)의 표시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다리꼴 및 육각형과 같은 다른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제2의 표시 영역(171)을 띠 형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영역들을 시인할 때, 스마트한 인상을 주는 효과가 실현된다. 하지만, 여러 가지 표시 모드들이 선택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시인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메일 또는 음성의 수신되었을 때의 팝업 표시를 예시한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600)가 메일을 수신했을 경우, 수신이 적어도 제2 표시부(120)(제2의 표시 영역(171))에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면으로부터도 메일의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600)가 콜(call)을 수신했을 때, 수신이 적어도 제2 표시부(120)(제2의 표시 영역(171))에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서, 도 5(a)는 제2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제1 표시부(11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30)가 조작됨에 따라,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제1의 표시 영역(161)으로서, Phone(콜링)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제2 표시부(120)에, 제3의 표시 영역(181)이 표시된다(도 16 참조).
상기 조작이 반복되면, 제1 표시부에는 Mail(메일), Music(음악), Navi(네비게이션), Camera(카메라), Media(미디어), 및 Phone의 순서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되며, 그 사이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제1의 표시 영역(161) 및 제3의 표시 영역(181)이 표시된다(도 16 참조).
또한,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제1의 표시 영역(161)의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이 아직도 기동되지 않은(실행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커맨드)을 표시한다. 이것은,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해 기동(실행)된다. 또한, 이미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에 대응한 동작 화면이 표시된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600)의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때의, 표시를 예시한다. 특히, 도 16(a)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며, 도 16(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낸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경우, 제1의 표시 영역(161) 및 제3의 표시 영역(181)에 표시된다. 터치 센서(132)로 조합을 통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1의 표시 영역(161)에는,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주된 표시가 표시되어야 할지라도, 제3의 표시 영역(181)은 그 개략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의 제3의 표시 영역(181)은 제2의 표시 영역(171)보다 더 커지게(예를 들어, 넓이가 넓어짐) 표시된다. 또, 제3의 표시 영역(181)의 단부에 대응하는 광 투과부(118a)에, 발광부(152)로부터의 광이 안내됨으로써, 소정의 컬러를 가진 광이 방출된다. 따라서, 제2 표시부(120)의 제3의 표시 영역(181)은 제2의 표시 영역(171)보다 더 눈에 띄기 때문에, 용이하게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어플리케이션인지를 시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6(a)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되면, 도 16(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환언하면, 콜링 어플리케이션은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부터 삭제되어 제1의 표시 영역(161) 및 제3의 표시 영역(181)에 새롭게 표시된다.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고 리스트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ACTIVE)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현재 액티브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상황을 알 수 있다.
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되는 경우라도, 제3의 표시 영역(181)의 넓이나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제3의 표시 영역(181)의 단부에 대응하는 LED들이 광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발광부(152)가 새로운 제3의 표시 영역(181)의 단부에 대응하는 광 투과부(118a)를 개입시켜, 제3의 표시 영역을 조명한다. 발광부(152)는, 제2의 표시 영역(171)(제3의 표시 영역(181)의 후보이기도 함)의 각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LED를 갖는다.
한편, 도 16에는, 제2의 표시 영역들(171) 중 하나가 제3의 표시 영역(181)이 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하지만,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제3의 표시 영역(181)을 끼어들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3의 표시 영역(181)은 동작 화면이나 개략으로 표시될 수 있고, 넓게 될 수 있으며, LED들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또, 제3의 표시 영역(181)이 끼어든 경우에는, 기존의 제2의 표시 영역(171)의 넓이가 좁아져서 전체적인 밸런스를 달성할 수 있다.
전력의 소모를 억제해 가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소정 시간 이상 동안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00)는 휴지 상태로 시프트하여 콜링 기능과 같은 일부의 주요 기능을 제외하고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정지한다. 제어부(200)는, 휴대 전화(600)의 조작이 개시되면, 휴지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휴대 전화(600)는 터치 센서(132)를 이용하여 각종 조작을 행한다. 하지만, 터치 센서(132)는 터치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단지 터치 센서(132)와의 터치를 검출한 것에 의해서 복귀 동작이 실행되면, 가방이나 포켓에 그것을 넣고 있었을 경우에 좀처럼 휴지 상태로 시프트하지 않으므로, 전력이 신속하게 소모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지 상태로부터의 복귀를 판정하기 위한 특정의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센서(132)의 우하 부분에 복귀 판정 영역(134)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면, 복귀는, 터치가 복귀 판정 영역(134)에만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판정된다. 전원 버튼(146)이 눌러지면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휴지 상태와 복귀의 구체적인 예가, 도 6(b)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휴대 전화가 휴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제어부(200)는 복귀 판정 영역(134)만이 소정 시간 이상 동안 터치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S100: NO), 제어부(200)는판단을 계속한다.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S100: YES)에, 제어부는 복귀한다(S102). 이때, 제어부(200)는 제1 표시부(110)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부(120)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00)는, 대기 화면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조작이 있었는지, 또는 전환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임의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S104: YES)에, 제어부(200)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을 전환하거나 조작하고(S106),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다음의 조작을 기다린다(S108). 복귀 후에 임의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S104: NO), 또는 조작 대기 상태(S108)에서, 제어부(200)는 소정 시간 조작 동안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0). S110에서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 경우(S110: NO)에, 제어부(200)는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고(S106),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110: YES), 휴대 전화는 휴지 상태로 시프트한다(S112). 휴지 상태 후에, 제어부는 다시 복귀 판정 영역(134)만이 소정 시간 이상 동안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한 구성에 의해, 터치 센서(132)만을 갖는 휴대 전화(600)와 더불어서도, 높은 정밀도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휴지 상태에서는, 복귀 판정 영역(134)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지 화면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600)에 따르면,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상이한 모드들로 표시됨으로써, 양호한 시인성을 실현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 부재(114)의 단면에 전원 버튼(146)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단부 부재(114, 116) 그 자체가 스위치 기구를 갖는 전원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부 부재(114, 116)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외관 구성)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인 휴대 전화(700)가 설명된다. 휴대 전화(700)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00)와 동일한 외관 구성을 갖는다.
(기능 구성)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700)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700)는, 제1 표시부(110), 제2 표시부(120), 조작부(130), 사용 빈도 검출부(136), 카메라(140), 음성 출력부(142), 음성 입력부(144), 스테레오 스피커(150), 발광부(152), 제어부(400), 무선 통신부(210) 및 기억부(220)를 갖는다.
제어부(400)는 중앙 처리장치(CPU)를 포함한 반도체 집적회로에 의해 휴대 전화(700)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콜링 기능, 메시지 입력 기능, 음악 재생 기능, TV 시청 기능 등을 실현하는 기억부(2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및 통신망을 개입시켜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 스케줄 관리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한다. 제어부(400)는, 실행 제어부(402) 및 표시 제어부(404)를 포함한다.
실행 제어부(402)는 터치 센서(132)에 대한 조작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에 송신한다(현재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 또, 실행 제어부(402)는, 터치 센서(132)의 조작에 의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표시 제어부(404)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404)는, 제1 표시부(110)에 적어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제1의 표시 영역(161)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04)는, 제2 표시부(120)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수 있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제2의 표시 영역(171)을 표시한다.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는, 제3의 표시 영역(181)이 표시되지 않고 제2의 표시 영역(171)이 스크롤된다는 점에서,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600)와는 상이하다.
사용 빈도 검출부(136)는, 휴대 전화(600)에 있어서의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사용 빈도를 표시 제어부(204)에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204)는 더 높은 사용 빈도에 근거하여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제2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한편, 사용 빈도에 관하여,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일정 이상의 사용 회수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검출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위 랭킹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검출될 수 있다. 또,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이력)이 검출되어, 제2 표시부(120)의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표시부(120)에 제2의 표시 영역(171)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발광부(152)는 하우징 내부로부터 외부로 광을 방출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152)가 제3의 표시 영역(181)을 조명한다. 하지만,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에 의해 만들어진 설정에 근거하여, 임의의 제2의 표시 영역(171)의 단부를 조명할 수 있다.
(동작 설명)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70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이 설명된다. 여기서, 도 9(a)는 제2 표시부(12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제1 표시부(110)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휴대 전화(700)가 기동할 때 등), 휴대 전화(700)의 표면측에 있는 제1 표시부(110)에 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조작부(130)가 조작될 때, 해제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대기 화면에서, 터치 센서(132)에 터치의 슬라이딩이 행해지는 경우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제1의 표시 영역(161) 및 제2의 표시 영역(171)이 스크롤된다(도 10 참조).
예를 들면, 슬라이딩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Phone이 선택되어 제1의 표시 영역(161)에 표시된다. 또, Phone를 나타내는 제2의 표시 영역이 삭제된다. 또한, 상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반복되면, Mail(메일), Music(음악), Navi(네비게이션), Camera(카메라), Media(미디어), 및 Phone의 순서(스크롤 방향(501)의 순서)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된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됨에 따라, 제2의 표시 영역(171)도 스크롤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 제2의 표시 영역(171) 중 스크롤 방향(501)으로 단부(상단)에 위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제1 표시부(110)에 새롭게 표시됨에 따라, 제2 표시부(120)로부터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띠가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서 삭제된다. 또,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스크롤 방향(501)으로 스크롤되면서, 제2 표시부(120)의 스크롤 방향(501)으로의 대향 하는 단부(하단)에 추가된다. 상기한 동작 화면의 전환은 연속적이고 매끄럽게 행해진다. 따라서, 이면에서의 제2의 표시 영역(17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이 회전되어 표면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에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마치 컨테이너가 회전되었던 것처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차례차례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롤 방향(501)이 예시되었다. 하지만, 반대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 방향(502)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700)의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의,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때의, 표시를 나타낸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제2의 표시 영역(171)이 스크롤되어 제2 표시부(120)의 양단에 Phone 및 Camera가 배열된다.
또,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태로부터 스크롤 방향(501)으로 슬라이딩이 더 이루어지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콜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제2 표시부(120)의 양단에 Mail 및 Media가 배열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이한 표시 모드들을 갖는 띠들을 스크롤하는 것에 의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될 수 있어서,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표시부(110)에 더하여 상이한 면에 배치되는 제2 표시부(120)가 더 갖춰져 있는 경우에, 표시 제어부(204)는 제1의 표시 영역(161)을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하고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제2 표시부(120)에 표시하면서, 제2의 표시 영역들(171) 중 하나를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환언하면, 표면의 제1 표시부(110)에, 제2의 표시 영역(171)의 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의 슬라이딩에 의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예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센서(132)에 대한 슬라이딩을 양쪽 엄지 손가락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된다고 상정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용이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9(a) 및 19(b)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전환 방법을 예시한다. 도 19(a) 및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10)에 제2의 표시 영역(171)이 표시될 수 있고, 제2의 표시 영역(171)을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 전환이 행해질 수 있다. 즉, 기점으로서의,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띠로부터 터치를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도 19(a) 참조), 실행 제어부(402)는 슬라이딩의 기점에 표시되는 띠에 대응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도 19(b) 참조). 이것에 의해,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도달하기까지, 터치 센서(132)에 대한 터치의 슬라이딩을 반복하지 않고 전환을 간략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제2의 표시 영역(171)은,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는 그것의 단변들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연속된다. 하지만, 평판 형상을 갖는 제1 표시부(110) 및 제2 표시부(12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들에서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160)으로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이 아직 기동(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커맨드)가 표시된다. 하지만, 전환에 수반하여, 제어부(200, 400)가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132)가 제1 표시부(110)에 중첩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132)는 제2 표시부(120)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Phone, Mail, Music, Navigation, Camera 및 Media의 기능들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기능들 중 일부만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기능들(예를 들면, 스케줄 기능)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로서 휴대 전화 및 PDA가 예시되었다. 하지만, 휴대 전화에 더하여,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카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텔레비젼, 게임기, DVD 플레이어,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의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권리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9년 3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77857호 및 2009년 3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077858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개시가 이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터치 센서를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갖는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100, 300, 600, 700: 휴대 전화 114: 단부 부재
116: 단부 부재 118: 광 투과부
110: 제1 표시부 120: 제2 표시부
130: 조작부 132: 터치 센서
132a: 외연 영역 134: 복귀 판정 영역
136: 사용 빈도 검출부 140: 카메라
142: 음성 출력부 144: 음성 입력부
146: 전원 버튼 148(148a, 148b, 148c, 148d): 방음구
150: 스테레오 스피커 152: 발광부
160: 액티브 어플리케이션 161: 제1의 표시 영역
170: 비액티브 어플리케이션(다른 어플리케이션)
171: 제2의 표시 영역 181: 제3의 표시 영역
200, 400: 제어부 202, 402: 실행 제어부
204, 404: 표시 제어부 210: 무선 통신부
220: 기억부 212: 기지국
332: 슬라이딩 검출부 500: PDA
510: (단일의) 표시부 530: 터치 센서

Claims (20)

  1.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active application)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에 중첩되어 그것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의 터치보다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단일의 터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터치를 상기 제1의 터치로서 판단하고,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복수의 터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터치를 상기 제2의 터치로서 판단하는, 전자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모든 검출된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외연 영역(outer edge region)의 넓이에 의해, 상기 터치가 상기 제1의 터치인지 또는 상기 제2의 터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상기 제2의 터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의 슬라이딩(sliding)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인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전자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보다 더 커지게 표시되는, 전자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인, 전자기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의 기점(base point)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전자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는 상이한 면에 배열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하고, 적어도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기기.
  11.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와는 상이한 면에 배열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적어도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각각 상이한 모드(mode)들로 표시하는 전자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각 표시 면적들을 상이하게 하는, 전자기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보다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더 커지게 표시하는, 전자기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로서, 표시하는, 전자기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를 검출하는 사용 빈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사용 빈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더 높은 사용 빈도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기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표시되는 각각의 정보의 표시 모드들을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전자기기.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착신시 또는 데이터 수신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표시부에 수신을 표시하는, 전자기기.
  19.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1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 및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에 중첩되어 있고 그것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제1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가 상기 제1의 터치보다 더 넓은 영역을 갖는 제2의 터치로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적어도 실행중인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1 표시부에 표시하고, 적어도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2 표시부에 배열되게 하여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가 각각 상이한 모드들로 표시되는, 정보 표시 방법.
KR1020117025113A 2009-03-26 2010-03-26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KR101368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7858A JP5421631B2 (ja) 2009-03-26 2009-03-26 電子機器
JPJP-P-2009-077858 2009-03-26
JPJP-P-2009-077857 2009-03-26
JP2009077857A JP5480517B2 (ja) 2009-03-26 2009-03-26 電子機器
PCT/JP2010/055468 WO2010110459A1 (ja) 2009-03-26 2010-03-26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053A true KR20110133053A (ko) 2011-12-09
KR101368526B1 KR101368526B1 (ko) 2014-02-27

Family

ID=4278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113A KR101368526B1 (ko) 2009-03-26 2010-03-26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92881B2 (ko)
KR (1) KR101368526B1 (ko)
WO (1) WO2010110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78B1 (ko) 2011-02-09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2681771B (zh) * 2011-03-03 2016-09-14 株式会社堀场制作所 测量装置
JP2013073352A (ja) * 2011-09-27 2013-04-22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型電子機器、入力操作受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78305B1 (ko) * 2011-12-30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610857A1 (en) * 2011-12-30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38568B2 (en) 2012-02-27 2019-10-08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CN103294426B (zh) * 2012-02-27 2016-03-02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电子设备和显示系统
TW201342139A (zh) * 2012-04-06 2013-10-16 Shun On Electronic Co Ltd 觸控顯示面板
EP2869177A4 (en) * 2012-06-27 2016-02-24 Nec Corp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US9811216B2 (en) * 2012-09-14 2017-11-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monitor,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9414503B2 (en) * 2012-09-14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ulti-display device
CN103152484B (zh) * 2013-03-06 2015-06-17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闹铃关闭的方法和系统
CN105283356B (zh) * 2013-06-12 2017-12-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应用程序控制方法以及信息终端
US9971473B2 (en) 2013-10-04 2018-05-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lectronic device
WO2015049715A1 (ja) 2013-10-04 2015-04-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電子機器
US9841944B2 (en) 2013-10-28 2017-12-12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870119B (zh) * 2014-02-21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4571844B (zh) * 2013-10-28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904458B2 (en) 2014-02-17 2018-02-27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N103870112B (zh) * 2014-02-17 2017-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3870116B (zh) * 2014-02-18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446460B (zh) * 2014-06-13 2018-11-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交互类附件及电子设备
CN105487741B (zh) * 2014-09-16 2020-04-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353943A (zh) * 2015-12-01 2016-02-24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显示方法以及装置
JP6833319B2 (ja) * 2016-02-12 2021-02-2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6201214A (zh) * 2016-07-21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527856A (zh) * 2016-10-26 2017-03-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显示方法及终端
CN108664080A (zh) * 2017-03-31 2018-10-1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电子装置及非瞬时电脑可读取记录介质
KR20180134668A (ko) 2017-06-09 2018-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2274A (ja) 1997-09-25 1999-04-13 Nec Corp スクロール装置
JP2003162355A (ja)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JP2003173228A (ja) 2001-12-05 2003-06-20 Fujitsu Ten Ltd 表示装置
JP3761165B2 (ja) 2002-05-13 2006-03-29 株式会社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テクノロジーズ 表示制御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4178363A (ja) 2002-11-28 2004-06-24 Sony Electronics Inc 端末装置
JP4462942B2 (ja) 2004-01-30 2010-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2005323241A (ja) 2004-05-11 2005-11-1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US7719522B2 (en) 2004-09-24 2010-05-18 Apple Inc. Raw data track pad device and system
US7728823B2 (en) 2004-09-24 2010-06-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aw data of track pad device
JP2007034055A (ja) 2005-07-28 2007-02-08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079157A (ja) 2005-09-14 2007-03-29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撮影装置
CN101243382B (zh) 2005-09-15 2013-01-30 苹果公司 处理跟踪板装置的原始数据的系统和方法
JP2007141029A (ja) 2005-11-21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装置
US8842074B2 (en) * 2006-09-06 2014-09-2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JP5080773B2 (ja) 2006-09-28 2012-11-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4927633B2 (ja) 2006-09-28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4932565B2 (ja) 2007-03-29 2012-05-1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操作方法
JP5184018B2 (ja) 2007-09-14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4900824B2 (ja) 2007-09-18 2012-03-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
US20090158216A1 (en) * 2007-12-14 2009-06-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up a computer system at startup
KR101556147B1 (ko) * 2008-11-12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JP5694757B2 (ja) * 2010-12-24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908691B2 (ja) * 2011-09-28 2016-04-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2881B2 (en) 2017-06-27
KR101368526B1 (ko) 2014-02-27
US20120013562A1 (en) 2012-01-19
WO2010110459A1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526B1 (ko) 전자기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표시 방법
JP5184018B2 (ja) 電子機器
JP5480517B2 (ja) 電子機器
KR101640464B1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115467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20110092826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CN102177482A (zh) 具有与显示器相背对的用户输入界面的电子装置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JP5421631B2 (ja) 電子機器
KR20140037320A (ko) 이동통신 단말기
GB2327558A (en) Two-way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pad-based user interface
JP2010152759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支援方法、及び、文字入力支援プログラム
JP5542975B2 (ja) 電子機器
JP2008305294A (ja) フルキーボードを搭載した携帯型端末装置及びフルキーボード表示方法
JP2013073446A (ja) 携帯電子機器
JP574879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切替方法
JP2013229062A (ja) 電子機器
JP5748799B2 (ja) 電子機器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1331A (ko) 광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응용방법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11925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9472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