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045A -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 Google Patents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045A
KR20110133045A KR1020117024019A KR20117024019A KR20110133045A KR 20110133045 A KR20110133045 A KR 20110133045A KR 1020117024019 A KR1020117024019 A KR 1020117024019A KR 20117024019 A KR20117024019 A KR 20117024019A KR 20110133045 A KR20110133045 A KR 2011013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solutio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iperidin
vacu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카 바르바
탐 뱅크셔 듀프리
피터 티모시 프라이
매튜 콜린 소어 피페
레바씨 페페튜아 지바라트남
토마스 마틴 크럴
캐런 레슬리 스코필드
도날드 스미스
토마스 스타로스케
알란 존 윌리엄 스테워트
데이비드 프렌치 스톤하우스
사이몬 앤드류 스웨인
데이비드 매튜 위트홀
Original Assignee
프로시디온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시디온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프로시디온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GPR119의 증진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며,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대사성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하기 화학식(I)의 치료용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I)]

Description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본 발명은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대사성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치료용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GPR119의 증진제로서의 활성을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비-인슐린 의존 제2형 당뇨병과 관련된 병리생리학적 기전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들은 많은 부작용의 가능성을 가지며, 환자의 높은 비율에서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및 고혈당증(hyperglycemia)을 충분히 지적하지 못한다.
치료로는 종종 각각의 환자들이 식이, 운동, 혈당강하제 및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특히 부작용이 거의 없고 복용이 용이한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대사성 증후군(증후군 X)을 가진 사람들은 관상 동맥 질환이 걸릴 위험이 높으며, 상기 대사성 증후군은 중심성 비만(복부 내 초과 지방 조직), 내당력, 고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저HDL 콜레스테롤,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위험 인자의 집합(cluster)을 특징으로 한다. 심근 허혈 및 미세 혈관 질환은 치료되지 않은 또는 잘 조절되지 않는 대사성 증후군과 관련되어 형성된 병적 상태이다.
비만은 신체 크기에 대한 초과된 지방 조직 질량을 특징으로 한다. 임상적으로, 체지방 질량은 체질량 지수(BMI; 중량(kg)/키(m)2), 또는 허리 둘레에 의해 측정된다. BMI가 30 초과일 때, 및 의학적으로 과체중의 결과로 나타나면 각각 비만으로 간주된다. 가끔은 의학적 견해로서 증가된 체중, 특히 비정상적인 체지방의 결과로서 증가된 체중이 비만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는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 및 많은 다른 합병증, 예를 들면, 관절염, 뇌졸중, 담낭 질환, 근육 및 호흡 장애, 요통 및 심지어 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특히 부작용이 거의 없고 복용하기 좋으며, 특히 체중을 유지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체중을 감소시키는 제제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GPR119(이전에는 GPR116으로 불림)는 WO00/50562에서 인간 및 랫트 수용체로 개시되고, US 6,468,756에서 또한 마우스 수용체로 개시된 SNORF25로 식별된 GPCR 다(등록 번호: AAN95194(인간), AAN95195(랫트) 및 ANN95196(마우스)).
인간 내에서, GPR119는 췌장, 소장, 결장 및 지방 조직에서 발현된다. 인간 GPR119 수용체의 발현 프로파일은 당뇨 치료용 타겟으로서 이의 잠재적인 유용성을 나타낸다.
GPR119 증진제는 위장관으로부터 GLP-1의 분비를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게 해서, GPR119 증진제는(1) 췌장으로부터 분비되는 당-의존 인슐린을 증가시켜 경구 내당력을 향상시키고;(2) β-세포 cAMP 농도 증가에 의해 질환의 진행을 약화시키며; 및(3)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는 GLP-1의 작용을 통해 가능한 체중 감소를 유발시킨다.
국제 특허 출원 WO2005/061489, WO2006/070208, WO2006/067532, WO2006/067531, WO2007/003960, WO2007/003961, WO2007/003962, WO2007/003964, WO2007/116229, WO2007/116230, WO2007/138362, WO2008/081204, WO2008/081205, WO2008/081206, WO2008/081207, WO2008/081208, WO2009/050522, WO2009/050971, WO2010/004343, WO2010/004344, WO2010/004345, WO2010/004347 및 WO2010/00166에는 GPR119 수용체 증진제가 개시되어 있다.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IV(DPP-IV)는 어디에나 존재하나, 매우 특정적이며, 폴리펩타이드로부터 끝에서 두번째 위치에서 N-말단 디펩타이드를 L-프롤린 또는 L-알라닌으로 분해시키는 세린 프로테아제이다. DPP-IV 억제제를 가지고 수행한 연구들을 통해 DPP-IV의 원칙적인 역할은 GLP-1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LP-1의 작용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분비는 자극을 받고, 글루카곤 분비는 억제되며, 위 배출은 느려진다. DPP-IV 억제제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DPP-IV 억제제의 예로는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시타글립틴(sitagliptin), 알로글립틴(alogliptin) 및 삭사글립틴(saxagliptin)을 포함한다.
GPR119 증진제 및 DPP-IV 억제제의 조합의 사용 가능성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는 환자에게 두 개의 분리된 제형 제품을 투여하거나, 상기 두 개의 활성 성분의 물리화학적,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및 약력학적(pharmacodynamic) 특성에 있어서, 양립성을 성취해야 하는 내재적 문제를 가진 두 개의 활성 성분의 공중-제형(co-formulation)의 투여가 요구된다.
본 출원의 우선일 이후에 공개된 국제 특허 출원 WO2009/034388에는 GPR119의 증진제 및 DPP-IV의 억제제로서 이중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한 GPR119의 증진제 및 DPP-IV의 억제제로서 이중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GPR119의 증진제로서의 활성을 가지고, 또한 DPP-IV의 억제제일 수 있으며,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대사성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I)]
Figure pct00001
(이때, p는 1 또는 2이고;
Z는 C(O)OR4, C(O)NR4R5 또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 -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이고;
X는 R6R66, O 및 NR7로부터 선택되고;
Y는 플루오로 또는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는 C2 -4 알킬렌 사슬이고, 이때 X가 CR6R66인 경우, 상기 알킬렌 사슬 내 탄소들 중 하나는 O로 치환될 수 있고;
A는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R1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 - 4알킬 또는 C1 - 4할로알킬이고;
q는 1 또는 2이고;
R2
Figure pct00002
,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1 이상의 할로 또는 메틸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메틸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1 또는 2이고;
R4는 C2 -6 알킬 또는 C3 -6 사이클로알킬이고, 이때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C1 - 4알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R5는 수소 또는 C1 - 4알킬이고;
R6 및 R66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또는 C1 - 4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 - 4알킬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PR119의 증진제로서의 활성을 가지고, 또한 DPP-IV의 억제제일 수 있으며,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대사성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I)]
Figure pct00003
(이때, p는 1 또는 2이고;
Z는 C(O)OR4, C(O)NR4R5 또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 -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이고;
X는 R6R66, O 및 NR7로부터 선택되고;
Y는 플루오로 또는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는 C2 -4 알킬렌 사슬이고, 이때 X가 CR6R66인 경우, 상기 알킬렌 사슬 내 탄소들 중 하나는 O로 치환될 수 있고;
A는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R1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 - 4알킬 또는 C1 - 4할로알킬이고;
q는 1 또는 2이고;
R2
Figure pct00004
,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1 이상의 할로 또는 메틸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메틸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1 또는 2이고;
R4는 C2 -6 알킬 또는 C3 -6 사이클로알킬이고, 이때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C1 - 4알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R5는 수소 또는 C1 - 4알킬이고;
R6 및 R66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또는 C1 - 4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 - 4알킬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Ia)에 정의한 바와 같이 입체화학을 가지며, 이러한 화합물은 DPP-IV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화학식(Ia)]
Figure pct00005
.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p는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고, 즉, 4-,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p는 동일하고, 즉, 4-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p는 바람직하게는 2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Z는 C(O)OR4이다.
R4는 바람직하게 C2 -6 알킬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Z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 -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이다.
Z가 헤테로아릴일 때, 바람직한 헤테로아릴기는 옥사디아졸 및 피리미딘을 포함한다.
X는 바람직하게 CR6R66 또는 O이고, 더 바람직하게 O이다.
Y는 바람직하게 C2 -4 알킬렌 사슬이고, 예를 들면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 알킬렌 사슬이다.
X가 CR6R66일 때, 상기 알킬렌 사슬 내 탄소들 중 하나는 O로 치환될 수 있고, 이때 R2는 바람직하게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다.
A는 바람직하게 메타- 또는 파라-연결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메타 또는 파라 연결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더 바람직하게 파라-연결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파라 연결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다.
A는 바람직하게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또는 피리다진, 더 바람직하게 피리딘 또는 피리미딘, 예를 들면. 2- 또는 3-피리딜 또는 2- 또는 5-피리미디닐이고, 이때 상기 2-, 3- 또는 5- 는 상기 피롤리딘 또는 피페리딘 고리의 부착 지점을 의미한다.
R2는 바람직하게 페닐 또는 피리딜, 더 바람직하게 페닐,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 치환된 페닐이다.
R2가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일 때, 1 내지 3개의 할로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할로기는 바람직하게 플루오로이다.
R2가 피리딜일 때, 2-피리딜인 것이 바람직하다.
R2가 치환된 피리딜일 때, 바람직하게 1 내지 3개의 할로 또는 메틸기에 의해 치환되고, 더 바람직하게 1 또는 2 메틸기에 의해 치환된다.
언급될 수 있는 화합물 군으로는 화학식(Ib)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있다:
[화학식(Ib)]
Figure pct00006
(이때, p는 1 또는 2이고;
Z는 C(O)OR4, C(O)NR4R5 또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 -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이고;
X는 R6R66, O 및 NR7로부터 선택되고;
Y는 플루오로 또는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는 C2 -4 알킬렌 사슬이고, 이때 X가 CR6R66인 경우, 상기 알킬렌 사슬 내 탄소들 중 하나는 O로 치환될 수 있고;
A는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R1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 - 4알킬 또는 C1 - 4할로알킬이고;
q는 1 또는 2이고;
R2
Figure pct00007
또는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메틸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1 또는 2이고;
R4는 C2 -6 알킬이고;
R5는 C1 - 4알킬이고;
R6 및 R66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또는 C1 - 4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 - 4알킬이다).
상기 화학식(Ib)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은 화학식(Ia)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입체화학을 갖는다.
각 변수를 위한 바람직한 기들이 일반적으로 상기에 별도로 나열되어 있으나, 이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I)에서 각 변수를 위한 바람직한 기들로부터 선택되는 여러 또는 각 변수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바람직한 나열된 기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언급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유리 염기 또는 이의 약학적인 염으로서 실시예에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 800 미만, 더 바람직하게 600 미만이다.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일 수 있는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알킬기의 예로는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차- 및 3차-부틸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 고리는 2개까지의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부가적인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또는 6-원 N-포함 헤테로아릴 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헤테로아릴 고리의 예로는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및 트리아지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1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광학 이성질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이러한 가능한 부분입체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라세미 혼합물, 이들의 실질적으로 순수하게 분리된 거울상 이성질체, 모든 가능한 기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나아가, 입체 이성질체들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분리된 특정 입체 이성질체들 또한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들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공정의 일련의 과정 동안,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라세미화 또는 에머피화 공정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러한 공정의 생성물은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호변 이성질체(tautomer)가 존재할 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가능한 호변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용매화물의 형태 또는 다형적 형태로 존재할 때, 본 발명은 가능한 용매화물 및 다형적 형태를 포함한다.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의 형태는 상기 용매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프로판올,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성인 경우, 이의 대응하는 염은 일반적으로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를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염기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제1철, 제2철,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및 나트륨 염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비독성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1차, 2차 및 3차 아민,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및 합성된 치환 아민과 같은 사이클릭 아민 및 치환된 아민의 염을 포함한다. 염이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비독성 염기로는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하이드라바민(hydrabamine), 이소프로필아민, 라이신, 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성일 때, 이의 대응하는 염은 일반적으로 무기산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독성 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예를 들면,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술폰산, 시트르산, 에탄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브롬화수소산, 염화수소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말레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점액산, 니트르산, 파모산, 판토텐산, 인산, 숙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 용도를 위하여 의도되었기 때문에, 이들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 예를 들면 적어도 60% 순수, 더 적합하게는 적어도 75% 순수, 특히 적어도 98% 순수한 형태로 제공된다(%는 중량/중량).
화학식(I)의 화합물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R1, R2, R3, R4, R5, R6, R66, R7, A, X, Y, Z, m, n, p, q은 화학식(I)에 정의된 바와 같다. PG는 보호기이고, Hal은 할로겐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V)의 화합물은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120 ℃에서 DBU 및 DMSO 하에서 화학식(III)의 아민류를 이용하여 화학식(II)의 적절한 할로방향족 화합물의 SNAr 치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IV)의 화합물은 Buchwald-Hartwig 조건, 예를 들면, 110 ℃에서 톨루엔과 같은 적절한 용매 내 Pd2(dba)3 및 BINAP 하에서 화학식(III)의 아민류를 이용한 화학식(II)의 적절한 할로방향족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후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조건을 사용하여 아민 관능기를 탈보호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I)의 화합물을 얻는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8

화학식(II)의 빌딩블록(building block)(이때, X는 O임)은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V)의 알콜은 표준 Mitsonobu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톨루엔과 같은 적절한 용매 내에서 아조디카르복실 디피페리딘 및 트리부틸포스포린을 사용하여 화학식(VI)의 하이드록시아릴로 처리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9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O임)은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VII)의 메실레이트는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을 DCM에 용해시켜 화학식(V)의 알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80 ℃에서 K2CO3를 DMF에 용해시켜 화학식(VII)의 메실레이트 및 화학식(VI)의 하이드록시아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0

대안적으로,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O임)은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V)의 알콜은 표준 SNAr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120 ℃에서 DBU 및 DMSO 하에서 화학식(VIII)의 적절한 디할로아릴 화합물로 처리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11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NR7임)은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X)의 아민은 표준 SNAr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120 ℃에서 DBU 및 DMSO 하에서 화학식(VIII)의 적절한 디할로아릴 화합물로 처리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12

대안적으로,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NR7임)은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VII)의 메실레이트는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 NaH를 DMF에 용해시켜 화학식(X)의 아민으로 처리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pct00013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C2 -4 알킬렌이며, R6 및 R66는 모두 수소임)은 반응식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II)의 알킨은 화학식(V)의 알콜로부터 표준 산화제, 예를 들면 데스-마틴 페리오디난(Dess-Martin Perio디nane)을 이용하여 산화에 의해 대응 알데히드(XI)가 제조되고, 적절한 염기, 예를 들면 nBuLi로 미리 처리된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을 이용한 화학식(XI)의 알데히드의 후속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III)의 알킨은 표준 Sonogashira 커플링 조건 하에서 화학식(VIII)의 디할로아릴 화합물을 이용한 화학식(XII)의 알킨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III)의 알킨으로부터 표준 환원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수소 분위기 하에서 탄소상 10% 팔라듐을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에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pct00014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CH2)sO이며, 이때 s는 2 또는 3이고, R6 및 R66는 플루오린이 아님)은 반응식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IV)의 메실레이트는 화학식(XV)의 알콜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을 DCM에 용해시킨 용액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IV)의 메실레이트를 화학식(XVI)의 알콜을 이용하여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 NaH가 DMF에 용해된 용액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pct00015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CH2)sO(CH2)t이며, 이때 s 및 t는 1 또는 2이나, s와 t의 합은 3보다 크지 않음)은 반응식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VIII)의 메실레이트는 화학식(XVII)의 알콜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을 DCM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VIII)의 메실레이트를 화학식(XIX)의 알콜을 이용하여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 NaH를 DMF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pct00016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O(CH2)s이며, 이때 R6 및 R66는 모두 수소이고, s는 2 또는 3임)은 반응식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I)의 알킬은 화학식(XX)의 알콜 및 적절한 알킬화제, 예를 들면 프로파길 브로마이드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실온에서 NaH를 DMF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II)의 알킨은 화학식(XXI)의 알킨을 표준 Sonogashira 커플링 조건 하에서 화학식(VIII)의 디할로아릴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II)의 알킨으로부터 표준 환원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탄소상 10% 팔라듐을 수소분위기 하에서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pct00017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C3 -4 알킬렌 또는 O(CH2)s이며, 이때 R6은 알킬이고, R66은 수소이며, s는 2 또는 3임)은 반응식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IV)의 포스포늄 브로마이드는 화학식(XXIII)의 알킬 브로마이드로부터 트리페닐포스핀을 THF에 용해시킨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VI)의 알킨은 화학식(XXIV)의 포스포늄 브로마이드를 표준 Wittig 조건 하에서 화학식(XXV)의 케톤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VI)의 알킨으로부터 표준 환원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탄소상 10% 팔라듐을 수소분위기 하에서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18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C3 -4 알킬이며, 이때 R6 및 R66은 플루오린임)은 반응식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VII)의 케톤은 화학식(XIII)의 알킨에 80 ℃에서 산화수은 및 황산을 메탄올/물에 용해시킨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VII)의 케톤으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술퍼 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DCM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19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O(CH2)s이며, 이때 R6 및 R66은 플루오린이고, s는 2 또는 3임)은 반응식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VIII)의 케톤은 화학식(XXII)의 알킨에 80 ℃에서 산화수은 및 황산을 메탄올/물에 용해시킨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VIII)의 케톤으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술퍼 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DCM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3]
Figure pct00020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C2 -4 알킬렌이며, 이때 R6은 플루오린이고, R66은 수소임)은 반응식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IX)의 알콜은 화학식(XXVII)의 케톤으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소듐 보로하이드라드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IX)의 알콜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술퍼 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DCM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21

화학식(II)의 빌딩블록(이때, X는 CR6R66이고, Y는 O(CH2)s이며, 이때 R6은 플루오린이고, R66은 수소이며, s는 2 또는 3임)은 반응식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XXX)의 알콜은 화학식(XXVIII)의 케톤으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소듐 보로하이드라드를 메탄올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XXX)의 알콜로부터 표준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술퍼 트리플루오라이드를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DCM에 용해시킨 용액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22

화학식(III)의 빌딩블록의 예 및 합성은 하기에 개시되어 있다: Benbow et.al., WO2007/148185; Brackes et.al., Bioorg. Med. Chem. Lett., 2007, 17 2005-2012; Pei et.al., J. Med. Chem., 2007, 50(8), 1983-1987; Cox et.al., Bioorg. Med. Chem. Lett., 2007, 17 4579-4583; Wright et.al., Bioorg. Med. Chem. Lett., 2007, 17 5638-5642.
화학식(V),(IX),(XV),(XVII),(XX) 및(XXIII)의 빌딩블록의 합성은 하기에 개시되어 있다: Bertram et.al., WO2008/081204; Fang et. al., WO2008/070692; Ma et.al., WO2009/014910; Alper et. al., WO2008/097428.
화학식(I)의 다른 화합물들은 상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 또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에 대한 세부 사항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적어도 2개, 예를 들면 5 내지 1,000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및 더 바람직하게 10 내지 100개의 화학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 라이브러리(library)로서,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 라이브러리는 조합의 "분리(split) 및 혼합(mix)" 접근에 의해 또는 다른 용액을 사용한 다중 평행 합성에 의해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사용한 고체상 화학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의 제조 동안, 중간체 화합물 내 불안정한 관능기들,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카르복시 및 아미노기는 보호될 수 있다. 보호기는 화학식(I)의 화합물의 다른 제조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거나, 최종 화학식(I)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불안정한 관능기를 보호하는 방법 및 그 결과로서 보호된 유도체를 분해하는 방법의 포괄적인 논의는 예를 들면,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T.W. Greene and P.G.M. Wuts,(1991) Wiley-Interscience, New York, 2차 개정판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중간체의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 포함된다.
상기 반응식들 또는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새로운 중간체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화학식(II),(IV),(XIII),(XXII),(XXVI),(XXVII),(XXVIII),(XXIX),(XXVIII) 및 (XXX)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과 관련된 상기 인용된 다양한 바람직한 기들은 또한 중간체 화합물에 적용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GPR119 증진제로서, 예를 들면 당뇨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중 GPR119 증진제/DPP-IV 억제제로서, 예를 들면 당뇨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 용도를 위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결합하여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비독성의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비독성의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GPR119 및 선택적으로 DPP-IV를 조절함으로써 질환을 치료하는, 그 결과로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치료 성분 또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직장, 국소 및 비경구(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 포함) 투여를 위한 적절한 조성물을 포함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조건에서 가장 적절한 경로는 특정 대상 및 활성 성분이 투여되는 병태의 특성 및 가혹함(severity)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편리하게 단위 복용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약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제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종래 약학적 제형 기술에 따라 활성 성분이 약학적 담체와 혼화물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투여,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 내 포함)에 바람직한 제형 형태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예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별개의 적절한 경구 투여용 유닛(unit), 예를 들면 캅셀제, 카세제(cachet) 또는 정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용액, 수용성 액체 내 현탁액, 비수용성 액체, 에멀젼(o/w), 또는 에멀젼(w/o)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 나열된 일반적인 복용 형태에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서방출 수단 및/또는 운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관련된 활성 성분을 1 이상의 필수 성분으로 구성된 담체 내에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양쪽 모두와 함께 균일하게 및 혼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생성물은 바람직한 형상으로 편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약학적 조성물 내에서 1 이상의 다른 치료적 활성 화합물과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용되는 약학적 담체는 예를 들면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스, 테라 알바(terra alba), 수크로오스, 탈크, 젤라틴, 아가, 펙틴, 아카시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액체 담체의 예로는 설탕 시럽,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물이 있다. 기체 담체의 예로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 형태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서, 어떠한 편리한 약학적 매체(me디a)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글리콜류, 오일류, 알콜류, 착향제, 보존제, 착색제 등이 경구 액제, 예를 들면 현탁액제, 엘릭시르제 및 용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반면 담체류, 예를 들면 전분류, 당류, 미결정 셀룰로오스, 희석제, 과립화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등이 경구 고형제, 예를 들면 분말, 캅셀제 및 정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캅셀제가 바람직한 경구 투여 유닛이며, 이에 의해 고체 약학적 담체가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정제는 표준 수(水)성 또는 비수(水)성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는 선택적으로 1 이상의 보조 성분 또는 보조제와 함께 압축 또는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된 정제는 적절한 기계에서 선택적으로 결합제, 활택제, 불활성 희석제, 계면활성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활성 성분을 유동 없는 형태, 예를 들면 분말 또는 과립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된다. 몰딩된 정제는 적절한 기계에서 불활성 액체 희석제에 적셔진 분말화된 화합물의 혼합물을 몰딩함으로써 제조된다. 각 정제는 바람직하게 약 0.05 mg 내지 약 5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각 카세제 또는 캅셀제는 바람직하게 약 0.05 mg 내지 약 5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인간에게 경구 투여를 목적으로 하는 제형은 약 0.5 mg 내지 5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총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의 범위의 적절한 및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단위 투여 형태는 일반적으로 약 1 mg 내지 약 2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25 mg, 50 mg, 100 mg, 200 mg, 300 mg, 400 mg, 500 mg, 600 mg, 800 mg, 또는 1000 mg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용으로 적절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물에 활성 화합물을 녹인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 있다. 현탁액은 또 한 글리콜,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오일 내의 이들의 혼합물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방부제는 미생물의 해로운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용으로 적절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멸균 수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이러한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즉석 제조를 위해 멸균 분말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모든 경우들에 있어서, 최종 주사가능한 형태는 멸균상태여야 하며 용이한 주입가능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흘러야 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제조 및 보관 상태 하에서 안정해야 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 미생물, 예를 들면 박테리아 및 곰팡이의 오염 작용에 대하여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야채 오일류 및 이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국소용에 적절한 형태, 예를 들면 에어로졸, 크림, 연고, 로션, 살포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하여, 종래 가공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림 또는 연고는 친수성 물질과 물에, 바람직한 농도를 갖는 크림 또는 연고를 제조하기 위하여 약 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화합물을 함께 혼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에 적절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담체는 고체이다. 혼합물은 단위 투여 좌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담체는 코코아 버터 및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물질들을 포함한다. 상기 좌약은 먼저 상기 조성물을 연질 또는 용융된 담체(들)과 혼합하고 이후 몰드 내에서 냉각 및 성형함으로써 편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담체 성분에 부가적으로, 상기 기재된 약학적 제형들은 적절하게는 1 이상의 부가 담체 성분, 예를 들면 희석제, 완충제, 착향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활택제, 방부제(항산화제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조제들이 의도된 대상의 혈액과 함께 상기 제형에 등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또한 분말 또는 액상 농축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1일당 약 0.01 mg/kg 내지 약 150 mg/kg의 체중인 것이 상술된 병태의 치료에 유용하며, 또는 대안적으로 환자당 1일당 약 0.5 mg 내지 약 7 g인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면, 비만은 1일당 약 0.01 내지 50 mg의 화합물/kg의 체중, 또는 대안적으로 환자당 1일당 약 0.5 mg 내지 3.5 g의 투여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투여량은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성별,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속도, 약의 조합 및 치료중인 구체적인 질환의 심각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PR119 및 선택적으로 DPP-IV가 작용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R119 및 선택적으로 DPP-IV가 작용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환 또는 병태는 당뇨, 비만,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 합병증, 예를 들면 신경증, 신증(腎障害), 망막증, 백내장, 심혈관 합병증 및 지질혈증을 포함한다. 또한, 섭취된 지방에 비정상적 민감성을 가져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이끄는 환자들의 치료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대사성 질환들, 예를 들면 대사성 증후군(증후군 X),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고지질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과콜레스테롤혈증, 저HDL 수준 및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대사성 증후군(증후군 X), 내당능 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고지질혈증, 고중성지방혈증 , 과콜레스테롤혈증, 저HDL 수준 또는 고혈압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병태의 치료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병태의 치료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병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들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치료적 및 예방적 치료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 치료를 위해 알려진 화합물들 또는 조합 치료법들과 비교시 유용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단독 또는 1 이상의 다른 치료적으로 활성 화합물들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치료적으로 활성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동일한 질환 또는 병태 또는 다른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치료적으로 활성 화합물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분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만 및/또는 당뇨의 치료를 위한 다른 활성 화합물, 예를 들면 인슐린 및 인슐린 유도체, 위 리파아제 저해제, 췌장 리파아제 저해제, 설포닐우레아 및 유도체, 메트포민, α2 증진제, 글리타존, PPAR-γ 증진제, 혼합 PPAR-α/γ 증진제, RXR 증진제, 지방산 산화 저해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β-증진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저해제, 지질 저하제,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아제 저해제와 같은 비구아니드류; 췌장 리파아제 저해제, MCH-1 길항제 및 CB-1 길항제(또는 역 길항제), 아밀린 길항제, 리폭시게나아제 저해제, 소모스타틴 유도체, 글루코키나아제 활성화제, 글루카곤 길항제, 인슐린 신호전달 증진제, PTP1B 억제제, 글루코네오제네시스 억제제, 항리폴라이트제(antilypolitic agent), GSK 억제제, 갈라닌 수용체 증진제, 식욕억제제, CCK 수용체 증진제, 렙틴, 세로토닌계/도파민계 항비만 약물과 같은 항비만제류; 시부트라민, CRF 길항제, CRF 결합 단백질, 티로미메트 화합물, 알도오즈 리덕타아제 억제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NHE-1 억제제 또는 소르비톨 탈수소화제 억제제와 같은 재흡수 저해제류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제, 예를 들면 당뇨 또는 비만의 치료용 또 다른 제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조합 치료법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또 다른 제제, 예를 들면 당뇨 또는 비만의 치료용 또 다른 제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내의 당뇨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또 다른 제제의 당뇨의 치료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의 치료를 위한 또 다른 제제와 조합에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또 다른 제제(들)은 동시 투여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분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동시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른 제제(들) 모두를 포함하는 제형의 투여, 또는 각 제제의 다른 제형의 동시 또는 분리 투여를 포함한다. 만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른 제제(들)의 약리적 프로파일이 허용되는 경우, 두 개의 제제의 동시 투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당뇨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또 다른 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또 다른 항당뇨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방법들에 있어서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특허 문헌 및 특허 출원을 포함하는(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모든 공개 문헌들은 마치 개별적인 공개 문헌이 전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참조 문헌으로서 통합되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나, 하기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물질 및 방법
특별한 설명 없이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SiO2(40-63 메쉬) 상에서 수행되었다. LCMS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얻었다: Atlantis 3 μ C18 컬럼(3.0 × 20.0 mm, 유속 = 0.85 mL/min), 0.1% HCO2H을 포함하는 H2O-MeCN 용액으로 용출, 6분 동안 220 nm에서 UV 검출. 기울기(gradient) 용출 정보: 0.0-0.3분 100% H2O; 0.3-4.25분: 10% H2O-90% MeCN까지 기울기 상승; 4.25-4.4분: 100% MeCN까지 기울기 상승; 4.4-4.9분: 100% MeCN에서 기울기 유지; 4.9-6.0분: 100% H2O으로 돌아감. 질량 스펙트럼은 양이온 모드(ES+) 또는 음이온 모드(ES-) 중 어느 하나의 전기분사 이온화 소스를 이용하여 얻었다.
LCMS-방법 2의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얻었다: Xbridge C18 컬럼(2.1 × 50 mm, 2.5 μM, 유속 0.8 mL/min), MeCN-10 mM NH4HCO3 용액으로 용출, 1.5분 동안 215-350 nm에서 UV 검출. 기울기 용출 정보: 0-0.8분: 98% MeCN-2% NH4HCO3 내지 98% NH4HCO3-2% MeCN; 0.8-1.2분: 98% NH4HCO3 2% MeCN에서 유지. 질량 스펙트럼은 양이온 모드(ES+)의 전기분사 이온화 소스를 이용하여 얻었다.
LCMS-방법 3의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얻었다: Xbridge C18 컬럼(2.1 × 50 mm, 2.55 μM, 유속 0.8 mL/min), MeCN-10 mM NH4HCO3 용액으로 용출, 5분 동안 215-350 nm에서 UV 검출. 기울기 용출 정보: 0-4분: 98% MeCN-2% NH4HCO3 내지 98% NH4HCO3-2% MeCN; 4-4.6분: 98% NH4HCO3 2% MeCN에서 유지. 질량 스펙트럼은 양이온 모드(ES+)의 전기분사 이온화 소스를 이용하여 얻었다.
LCMS-방법 4의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얻었다: Xbridge C18 컬럼(3.0 × 150 mm, 5μM, 유속 1.0 mL/min), MeCN-10 mM NH4HCO3 용액으로 용출, 5분 동안 215-350 nm에서 UV 검출. 기울기 용출 정보: 0-0.1분: 5% MeCN-95% NH4HCO3에서 유지; 0.1-3.0분: 5% MeCN-95% NH4HCO3 내지 5% NH4HCO3-95% MeCN; 3.0-3.9분: 5% NH4HCO3-95% MeCN에서 유지. 질량 스펙트럼은 양이온 모드(ES+)의 전기분사 이온화 소스를 이용하여 얻었다.
키랄-HPLC는 Daicel chiralpak IA 250 × 20 mm, 5 μM 컬럼에서 수행되었다.
약어 및 두문자어(acronym): AcOH: 아세트산; ADDP: 아조디카르복실 디피페리디드; BA: n-부틸아민; CHCl3: 클로로포름; DBU: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크-8-엔; DCM: 디클로로메탄; DEA: 디에틸아민; DIPE: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DMAP: 디메틸피리딘-4-일아민; DMF: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EDCI:(3-디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 Et2O: 디에틸 에테르; EtOH: 에탄올;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h: 시간; HCl: 염산; HCO2H: 포름산; H2O: 물;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일수화물;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H: 이소헥산; IMS: 산업용 변성 알콜; IPA: 이소프로필 알콜; LAH: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 M: 몰;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gSO4: 황산 마그네슘; min: 분; MTBE: 메틸-t-부틸 에테르; Na2CO3: 탄산나트륨; NaHCO3: 탄산수소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a2SO4: 황산나트륨; NH4Cl: 염화암모늄; NH4HCO3: 중탄산암모늄; NH4OH: 수산화암모늄; Pd: 팔라듐; RT: 머무름 시간; r.t.: 실온; sat: 포화; SCX: 강 양이온 교환수지; SiO2: 실리카겔;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sOH: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하기 화합물들의 합성은 하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3S,4S)-3,4-디아지도-1-벤질피롤리딘 및 5-브로모-4,4-디플루오로펜타논산: Benbow et. al., WO2007/148185; t-부틸 4-((R)-3-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R)-3-피페리딘-4-일 부탄-1-올 염산염 및(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 Fyfe et. al., WO2008/081204; 3-[1-(5-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3-일)피페리딘-4-일]프로판-1-올: Fyfe et. al., WO2008/081206; 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딘: Fyfe et. al., WO2008/081208; 메탄설폰산 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필 에스테르 및(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 Barba et. al., WO2009/034388.
3-피페리딘-4-일-프로판-1-올 염산염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구입되었다. 모든 다른 화합물들은 상업적 원료로부터 이용가능하였다.
제조예 1:(R)-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부탄-1-올
Figure pct00023
t-부틸 4-((R)-3-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30.0 g, 117 mmol)이 DCM(150 mL)에 용해된 용액에 TFA(75 mL)를 0 ℃에서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용액을 이 온도에서 0.5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DCM에 용해시킨 다음 포화 수용성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R)-3-피페리딘-4-일부탄-1-올을 얻었다. 이 물질의 일부(10.0 g, 63.7 mmol)를 DMSO(6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14.3 mL, 95.5 mmol) 및 2,5-디클로로피리미딘(14.3g, 95.5 mmol)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100 ℃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로 반응 종료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1M HCl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IH, 1:4 내지 7:1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58 min, m/z(ES+) = 270.1 [M + H]+.
제조예 2:(R)- 메탄설폰산 -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24
(R)-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부탄-1-올(제조예 1, 500 mg, 1.86 mmol), 및 트리에틸아민(777 μL, 5.58 mmol)을 DCM(1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288 μL, 3.7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0 ℃에서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물로 희석하고 유기물을 DCM 내로 추출한 다음(×2), 상분리기로 통과시켰다.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0 min, m/z(ES+) = 348.1 [M + H]+.
제조예 3:(R)- 메탄설폰산 -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25
(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2.00g, 7.50mmol)이 DCM(30 mL)에 용해된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610 μL, 7.90 mmol) 및 트리에틸아민(2.01 mL, 15.0 mmol)을 0 ℃에서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상기 반응물을 DCM(100 mL)로 희석하고 포화 수용성 NaHCO3 용액(100 mL) 안으로 부었다.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0.1M HCl(10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MgSO4),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IH,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42 min; m/z(ES+) = 346.1 [M + H]+.
제조예 4:(R)-5- 클로로 -2-{4-[1- 메틸 -3-(2- 클로로피리미딘 -5- 일옥시 )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pct00026
(R)-메탄설폰산-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 641 mg, 1.85 mmol),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480 mg, 3.69 mmol) 및 탄산칼륨(510 mg, 3.69 mmol)의 혼합물을 DMF(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80 ℃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3)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1M NaOH 용액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72 min; m/z(ES+) = 382.1 [M + H]+.
제조예 5:(R)-2- 브로모 -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 피페 리딘-4-일] 부톡시 }피리딘
Figure pct00027
(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500 mg, 1.87 mmol), 2-브로모-5-하이드록시피리딘(32.5 mg, 1.87 mmol) 및 트리 n-부틸 포스핀(930μL, 3.74mmol)의 혼합물을 건조 톨루엔(2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ADDP(942 mg, 3.74 mmol)를 톨루엔(2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도달시킨 후 추가적으로 72 시간 교반한 다음 이소-헥산 (100 mL)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조 잔사(crude residue)를 EtOAc에 용해시키고, 0.1M NaOH 용액, 0.1M 시트르산,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IH,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7 min; m/z(ES+) = 425.3 [M + H]+.
제조예 6:(R)-4- 클로로 -6-{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28
(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1.48 g, 5.54 mmol)을 THF(25 mL)에 용해시킨 건조 용액을 0 ℃로 냉각한 다음, 수소화 나트륨(60% 미네랄 오일 내, 252 mg, 6.29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으로 15분 이상 가열하였다. 4,6-디클로로피리미딘(750 mg, 5.03 mmol)을 THF에 용해시킨 용액을 5분 이상 적가한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반응물을 6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tOAc 및 염수로 분배한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여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IH, 100:0, 90:10, 80:20,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05 min; m/z(ES+) = 380.3 [M + H]+.
제조예 7:(R)-2- 클로로 -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29
(R)-메탄설폰산-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제조예 3, 560 mg, 1.62 mmol),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423 mg, 3.24 mmol) 및 탄산칼륨(447 mg, 3.24 mmol)의 혼합물을 DMF(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7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75 mL)로 세척한 다음 EtOAc(2 ×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1M NaOH 용액,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4 min; m/z(ES+) = 380.1 [M + H]+.
제조예 8: 2- 클로로 -5- 메톡시 -4- 메틸피리미딘
Figure pct00030
아르곤 하에서 2,4-디클로로-5-메톡시피리미딘(1.5 g, 8.38 mmol)을 THF(1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메틸보록신(1.2 g, 9.22 mmol),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6 g, 0.84 mmol) 및 인산 칼륨(3.6 g, 16.76 mmol)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100:0, 90:10, 80:20,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45 min; m/z(ES+) = 159.0 [M + H]+.
제조예 9: 2- 클로로 -4- 메틸피리미딘 -5-올
Figure pct00031
아르곤 하에서 2-클로로-5-메톡시-4-메틸피리미딘(제조예 8, 1.1 g, 6.94 mmol)을 DCM(20 mL)에 용해시킨 건조 용액을 -78 ℃로 냉각시킨 다음, 보론 트리브로마이드(2.63 mL, 27.82 mmol)르 15분 이상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78 ℃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다시 -78 ℃로 냉각시킨 다음 MeOH을 적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NaHCO3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pH가 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유기물을 EtOAc 내로 추출시키고,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DCM으로 미립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13 min; m/z(ES+) = 145.0 [M + H]+.
제조예 10:(R)-2- 클로로 -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 )피페리딘-4- ] 부톡시 }-4-메틸피리미딘
Figure pct00032
(R)-메탄설폰산-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제조예 3, 250 mg, 0.72 mmol), 2-클로로-4-메틸피리미딘-5-올(제조예 9, 110 mg, 0.76 mmol) 및 탄산칼륨(200 mg, 1.45 mmol)의 혼합물을 DMF(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8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EtOAc 및 염수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염수, 다음으로 포화 Na2CO3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22 min; m/z(ES+) = 394.2 [M + H]+.
제조예 11: 5- 브로모 -2-{(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딘
Figure pct00033
5-브로모-2-피리딘올(390 mg, 2.24 mmol) 및(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400 mg, 1.50 mmol)을 THF(1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283 μL, 1.80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471 mg, 1.80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때, 추가적으로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283 μL, 1.80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의 일부(471 mg, 1.80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을 MeOH(1 mL)로 종결시킨 후,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으로 용해시킨 다음 3M NaOH 용액, 1M HCl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85:15,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42 min; m/z(ES+) = 423.2, 425.4 [M + H]+.
제조예 12:(R)-5-브로모-2-{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 )피페리딘-4- ] 부톡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34
5-브로모-2-하이드록시피리미딘(196 mg, 1.12 mmol) 및 (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200 mg, 0.75 mmol)을 THF(7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141 μL, 0.9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35 mg, 0.9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을 MeOH(1 mL)로 종결시킨 후,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으로 용해시킨 다음 3M NaOH 용액, 1M HCl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6 min; m/z(ES+) = 424.2, 426.2 [M + H]+.
하기 화합물은 (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을 적절한 할로겐화 헤테로사이클릭 빌딩 블록과 반응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2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제조예 구조 이름 LCMS
13
Figure pct00035
(R)-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라진 RT =4.50 min; m/z(ES+) = 424.1, 426.1 [M + H]+.
14
Figure pct00036

3-클로로-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다진 RT =3.59 min; m/z(ES+) = 380.2 [M + H]+.
제조예 15: 4-(R)-3-하이드록시-1-메틸 프로필 )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037
아르곤 하에서, (R)-3-피페리딘-4-일 부탄-1-올 염산염(2.5 g, 12.91 mmol)를 DCM(150 mL)에 용해시킨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5.4 mL, 38.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이소-프로필 클로로포르메이트를 톨루엔(1M, 15.49 mmol, 15.49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1시간 이상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켜 16시간 이상 적가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유기 분획을 분리하여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시트르산으로 희석시키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59 min; m/z(ES+) = 244.2 [M + H]+.
제조예 16: 4-((R)-3- 메탄설포닐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038
4-(R)-3-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5, 3.30 g, 13.56 mmol)을 DCM(5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4.72 mL, 33.9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0 ℃로 냉각시켰다.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25 mL, 16.27 mmol)을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10분 이상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을 포화 NaHCO3 용액으로 종결시킨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여 시트르산 용액(0.5M),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58 min; m/z(ES+) = 322.2 [M + H]+.
제조예 17: 4-[(R)-3-(2- 클로로피리미딘 -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카 복실 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039
4-((R)-3-메탄설포닐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6, 300 mg, 1.56 mmol),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213 mg, 1.63 mmol) 및 탄산칼륨(430 mg, 3.11 mmol)의 혼합물을 DMF(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실링된 튜브에서 72시간 동안 7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하고 유기상을 분리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4 min; m/z(ES+) = 356.1 [M + H]+.
제조예 18: 2- 브로모 -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3- 메틸피리딘
Figure pct00040
아르곤 하에서, (R)-메탄설폰산-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제조예 3, 250 mg, 0.72 mmol) 및 6-브로모-5-메틸피리딘-3-올(143 mg, 0.76 mmol)을 DMF(5.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탄산칼륨(200 mg, 1.4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링된 튜브에서 16시간 동안 70 ℃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용액을 염수(2 × 50 mL), 포화 NaHCO3 용액 및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60 min; m/z(ES+) = 439.1 [M + H]+.
제조예 19: 2- 클로로 -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41
제조예 4의 방법을 사용하여 메탄설폰산 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필 에스테르 및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으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3.95 min; m/z(ES+) = 366.1 [M + H]+.
제조예 20: 메탄설폰산 (R)-3-[1-(3-에틸-[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42
(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탄-1-올(2.0 g, 10.97 mmol)을 DCM(3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0 mL, 14.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0 ℃로 냉각시켰다. 이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0 L, 13.1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교반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20 mL)을 첨가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여 1M 시트르산(30 mL), 포화 NaHCO3 용액(3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29 min; m/z(ES+) = 332.2 [M + H]+.
제조예 21: 2- 클로로 -5-{(R)-3-[1-(3-에틸-[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43
메탄설폰산(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0, 2.22 g, 6.71 mmol),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0.96 g, 7.38 mmol) 및 탄산칼륨(2.78 g, 20.13 mmol)의 혼합물을 DMF(30 mL)에 용해시키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50 ℃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서 염수(70 mL)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70:30, 60:4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84 min; m/z(ES+) = 366.2 [M + H]+.
제조예 22: 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프로판-1-올
Figure pct00044
3-피페리딘-4-일-프로판-1-올 염산염(15.00 g, 0.08 mol)을 DMSO(12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DBU(29.95 mL, 0.20 mol)을 5분 이상 적가하였다. 2,5-디클로로피리미딘(17.43 g, 0.12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4시간 동안 110 ℃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200 mL)로 희석시킨 후, EtOAc(3 × 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1M HCl(2 × 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60:4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52 min; m/z(ES+) = 256.1 [M + H]+.
제조예 23: 5- 클로로 -2-{4-[5-(2- 클로로피리미딘 -5- 일옥시 )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pct00045
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프로판-1-올(제조예 22, 766 mg, 3.0 mmol)을 DCM(2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50 mL, 3.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23 mL, 3.0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15분 이상 수행하였다. 1M HCl를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EtOAc 내에 부었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1M HCl,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액을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물질을 DMF(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2-클로로-5-하이드록시피리미딘(390 mg, 3.0 mmol) 및 탄산칼륨(828 mg, 6.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80 ℃에서 가열하였다. DMF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사를 EtOAc에 재용해시켰다. 유기 용액을 염수(× 2)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최소 부피의 MeOH로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53 min; m/z(ES+) = 368.1 [M + H]+.
제조예 24: 2- 클로로 -5-{3-[1-(5-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3-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
Figure pct00046
제조예 23의 방법을 이용하여 3-[1-(5-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3-일)피페리딘-4-일]프로판-1-올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4.22 min; m/z(ES+) = 366.2 [M + H]+.
제조예 25:(3S,4S)-4- 아지도 -1- 벤질피롤리딘 -3- 일아민
Figure pct00047
(3S,4S)-3,4-디아지도-1-벤질피롤리딘(15.6 g, 64.10 mmol)을 THF(50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후 트리페닐포스핀(16.5 g, 62.81 mmol)을 THF(10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4시간 이상 적가시킨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상온으로 상승시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THF(500 mL) 및 물(1.3 mL)에 재용해시키고 4시간 동안 가열환류시킨 다음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2O로 미립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Et2O 내에서 다시 취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90:10, 80:20, 50:50, 0:100 다음으로 MeOH:NH4OH, 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0.77 min; m/z(ES+) = 218.1 [M + H]+.
제조예 26:((3S,4S)-4- 아지도 -1- 벤질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48
(3S,4S)-4-아지도-1-벤질피롤리딘-3-일아민(제조예 25, 6.0 g, 27.74 mmol) 및 트리에틸아민(4.6 mL, 33.29 mmol)을 DCM(10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으로 냉각시킨 다음, 디 t-부틸디카보네이트(7.3 g, 33.29 mmol)를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20분 이상 적가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킨 다음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포화 NaHCO3 용액,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7.37 - 7.26(m, 5H), 4.09 - 4.02(m, 1H), 3.84 - 3.76(m, 1H), 3.68 - 3.59(m, 2H), 3.12 - 3.01(m, 1H), 2.91 - 2.82(m, 1H), 2.55 - 2.35(m, 2H), 1.46(s, 9H).
제조예 27:((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49
WO2007/148185 내의 방법을 이용하여 (3S,4S)-4-아지도-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6)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8: [(3S,4S)-1-벤질-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0
WO2007/148185 내의 방법을 이용하여 (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7)로부터 2 단계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9: 3- 벤질옥시 -2- 메틸프로피온알데히드
Figure pct00051
아르곤 하에서, 3-벤질옥시-2-메틸프로판-1-올(1.91 g, 10.60 mmol)을 DCM(3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데스-마틴 페리오디난(dess-martin periodinane)(4.94 g, 11.6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EtOAc(150 mL)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2 × 100 mL), 물(100 mL), 염수(10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80:2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9.74(d, 1H), 7.41 - 7.27(m, 5H), 4.54(s, 2H), 3.74 - 3.62(m, 2H), 2.73 - 2.63(m, 1H), 1.15(d, 3H).
제조예 30: 5- 벤질옥시 -4- 메틸펜트 -2- 에논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2
아르곤 하에서, (메톡시카보닐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2.76 g, 8.25 mmol)을 DMF(5 mL)에 용해시킨 건조 용액에 3-벤질옥시-2-메틸프로피온알데히드(제조예 29, 1.4 g, 7.86 mmol)를 DMF(9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7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ㅇ르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 4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60 mL), 포화 NaHCO3 용액(60 mL), 염수(6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85:1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59 min; m/z(ES+) = 235.1 [M + H]+.
제조예 31: 5- 하이드록시 -4- 메틸 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3
5-벤질옥시-4-메틸펜트-2-에논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30, 600 mg, 2.56 mmol)를 EtOH(3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탄소상 팔라듐(10%, 409 mg, 0.36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H(60 mL)로 세척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DMSO-d6): 4.45 - 4.38(m, 1H), 3.58(s, 3H), 3.26 - 3.17(m, 2H), 2.38 - 2.23(m, 2H), 1.69 - 1.59(m, 1H), 1.52 - 1.42(m, 1H), 1.36 - 1.24(m, 1H), 0.81(d, 3H).
제조예 32: 4-메틸-5-옥소 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4
아르곤 하에서, 5-하이드록시-4-메틸 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31, 370 mg, 2.53 mmol)을 DCM(8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을 데스-마틴 페리오디난(1.18 g, 2.78 mmol)으로 처리한 다음, 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DCM(50 mL)로 희석하고, 물(50 mL)로 세척하였다. 물층을 DCM(50 mL)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층을 모아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9.64(d, 1H), 3.68(s, 3H), 2.48 - 2.34(m, 3H), 2.13 - 2.00(m, 1H), 1.77 - 1.65(m, 1H), 1.14(d, 3H).
제조예 33: [(3S,4S)-1-벤질-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5
아르곤 하에서, 4-메틸-5-옥소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32, 230 mg, 1.60 mmol)을 DCM(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7, 465 mg, 1.6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후 상기 반응물을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406 mg, 1.91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연속하여 교반시켰다. 반응을 포화 Na2CO3 용액(20 mL)으로 종결시킨 다음 EtOAc(4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톨루엔(6 mL)에 용해시키고 90 ℃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 후, 조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농축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IH:Et3N, 9: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47 min; m/z(ES+) = 388.2 [M + H]+.
제조예 34: 5- 하이드록시 -3- 메틸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6
아르곤 하에서, 모노메틸-3-메틸글루타레이트(1.0 g, 6.24 mmol)를 THF(1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보론-디메틸실파이드 복합체(1M DCM에 용해, 9.37 mL, 9.37 mmol)를 20분 이상 적가한 다음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상온으로 상승시켜 추가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물 및 AcOH(1:1, 2 mL)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EtOAc(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차가운 포화 NaHCO3 용액(3 × 50 mL), 염수(5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 3.73 - 3.64(m, 5H), 2.39 - 2.31(m, 1H), 2.25 - 2.11(m, 2H), 1.64 - 1.48(m, 3H), 1.00 - 0.96(m, 3H).
제조예 35: 3- 메틸 -5- 옥소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7
아르곤 하에서, 5-하이드록시-3-메틸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34, 800 mg, 5.47 mmol)를 DCM(15 mL)에 용해시킨 건조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데스-마틴 페리오디난(2553 mg, 6.02 mmol)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상온으로 상승시켜 추가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DCM(5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2 × 50 mL),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9.76(s, 1H), 3.67(s, 3H), 2.60 - 2.49(m, 2H), 2.42 - 2.27(m, 3H), 1.05 - 1.01(m, 3H).
제조예 36: [(3S,4S)-1-벤질-4-(4-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8
아르곤 하에서, ((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7, 600 mg, 2.06 mmol)을 DCM(10 mL)에 용해시킨 건조 용액에 3-메틸-5-옥소펜타논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35, 312 mg, 2.1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여기에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524 mg, 2.47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추가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5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5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DCM(30 mL)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상을 모아 포화 NaHCO3 용액(50 mL),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50:50, 30:7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42 min; m/z(ES+) = 388.2 [M + H]+.
제조예 37: [(3S,4S)-1-벤질-4-(4- 브로모부티릴아미노 ) 피롤리딘 -3-일] 카르밤 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59
아르곤 하에서, ((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7, 302 mg, 1.04 mmol)를 DCM(1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159 μL, 1.1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0 ℃로 냉각시켰다. 4-브로모부티릴 클로라이드(126 μL, 1.09 mmol)를 상기 용액에 적가한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2CO3 용액으로 분리하고, 유기층을 제거하였다. 수상을 DCM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상 분리기를 통과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51 min; m/z(ES+) = 440.2, 442.2 [M + H]+.
제조예 38:((3'S,4'S)-1'-벤질-2-옥소-[1,3'] 바이피롤리디닐 -4'-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60
[(3S,4S)-1-벤질-4-(4-브로모부티릴아미노)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37, 532 mg, 1.21 mmol)을 THF(10 mL) 및 DMF(5 mL)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수소화 나트륨(60% 미네랄 오일에 용해, 101 mg, 2.5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실온으로 상승시켜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에 용해시키고, 물(× 3)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1.99 min; m/z(ES+) = 360.2 [M + H]+.
제조예 39: [(3S,4S)-1-벤질-4-(5- 브로모 -4,4- 디플루오로펜타노일아미노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61
5-브로모-4,4-디플루오로펜타논산(1.34 g, 6.17 mmol), EDCI(1.89 g, 9.88 mmol), HOBt(0.83 g, 6.17 mol) 및 트리에틸아민(2.58 mL, 18.52 mmol)의 혼합물을 DMF(15mL)에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에 용액 of((3S,4S)-4-아미노-1-벤질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7, 1.89 g, 6.48 mmol)을 DMF(1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상기 반응물을 5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시간 후에 EDCI(0.59 g, 3.09 mmol) 및 트리에틸아민의 일부(0.43 mL, 3.09 mmol)를 추가적으로 첨가하고 4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을 지속시켰다. 진공에서 DMF을 제거하고, 조 잔사를 물에서 취하였다. 혼합물을 EtOAc(3 × 10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염수:물(1:1)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9:1:0.1, 96:4: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92 min; m/z(ES+) = 490.1, 492.1 [M + H]+.
제조예 40: [(3S,4S)-1-벤질-4-(5,5- 디플루오로 -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62
[(3S,4S)-1-벤질-4-(5-브로모-4,4-디플루오로펜타노일아미노) 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39, 600 mg, 1.22 mmol)을 DMF(6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수소화 나트륨(60% 미네랄 오일에 용해, 98 mg, 2.4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점진적으로 실온으로 상승시키면서 30분 이상 교반시켰다. 거품이 멈출 때까지 포화 NH4Cl 용액을 적가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9:1:0.1, 98:2:0.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42 min; m/z(ES+) = 410.2 [M + H]+.
제조예 41: [(3S,4S)-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63
[(3S,4S)-1-벤질-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28, 2.6 g, 7.07 mmol)를 MeOH(14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1 mL/min의 유속으로 H-큐브 장치(10% pd/C Catcart 70,10 bar, 90 ℃)를 통해 통과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5.25 - 5.07(m, 1H), 4.85 - 4.62(m, 1H), 4.34 - 4.07(m, 1H), 3.49 - 3.28(m, 3H), 3.24(s, 1H), 2.99(s, 1H), 2.87 - 2.73(m, 1H), 2.52 - 2.39(m, 2H), 2.38 - 2.22(m, 2H), 1.91 - 1.74(m, 1H), 1.54 - 1.38(m, 9H).
하기 화합물은 제조예 41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벤질이 보호된 아민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제조예 구조 이름 LCMS
42
Figure pct00064
[(3S,4S)-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RT =2.17 min; m/z(ES+) = 298.2 [M + H]+.
43
Figure pct00065
[(3S,4S)-4-(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RT = 2.07 min; m/z(ES+) = 298.2 [M + H]+.
44
Figure pct00066
(3'S,4'S)-2-옥소-[1,3']바이피롤리디닐-4-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RT = 1.60 min; m/z(ES+) = 270.1 [M + H]+.
45
Figure pct00067

[(3S,4S)-4-(5,5-디플루오로-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RT =2.04 min; m/z(ES+) = 320.2 [M + H]+.
제조예 46: 3-(2,5- 디플루오로페닐 )-4- 니트로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68
(2E)-3-(2,5-디플루오로페닐)아크릴산(21.10 g, 114.7 mmol)을 DCM 및 MeOH(DCM:MeOH, 4:1, 250 mL)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2M Et2O에 용해, 57.34 mL, 114.7 mmol) 용액을 15분 이상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반응물의 색깔이 무색이 될 때까지 AcOH을 적가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사를 MeCN(114 mL)에 용해시키고, 니트로메탄(7.45 mL, 137.6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DBU(17.49 mL, 117.0 mmol)을 30분 이상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95:5, 90: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7.18 - 7.00(m, 3H), 4.91 - 4.77(m, 2H), 4.27 - 4.17(m, 1H), 3.75(s, 3H), 2.91(m, 2H).
제조예 47:(트랜스)-1-벤질-4-(2,5- 디플루오로페닐 )-5- 니트로피페리딘 -2-온
Figure pct00069
3-(2,5-디플루오로페닐)-4-니트로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46, 16.27 g, 62.81 mmol), 파라포름알데히드(1.94 g, 64.63 mmol) 및 벤질아민(13.7 mL, 125.62 mmol)의 혼합물을 EtOH에 용해시킨 후 실링된 튜브에서 9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EtOAc(400 mL) 및 2M HCl(600 mL)간의 분배하였다. 유기 분획을 분리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72 min; m/z(ES+) = 347.1 [M + H]+.
제조예 48:(트랜스)-1-벤질-4-(2,5- 디플루오로페닐 )-3- 니트로피페리딘 염산염
Figure pct00070
아르곤 하에서 (트랜스)-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5-니트로피페리딘-2-온(제조예 47, 10.44 g, 30.17 mmol)을 THF(9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복합체(2.0M DCM에 용해, 45.3 mL, 90.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70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혼합물을 MeOH(20 mL)로 희석시키고 1M HCl(30 mL)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추가로 MeOH(20 mL) 및 1M HCl의 일부(20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30 min; m/z(ES+) = 333.1 [M + H]+.
제조예 49: [(3R,4R)-1-벤질-4-(2,5-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1
(트랜스)-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3-니트로피페리딘 염산염(제조예 48, 11.12 g, 30.17 mmol) 및 아연 가루(15.69 g, 241.36 mmol)의 혼합물을 AcOH 및 EtOH(1:1, 11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80 ℃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는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MeOH(3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HCl을 디옥산(4M, 3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용매는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반응 물질을 Et2O(× 2) 및 톨루엔(× 3)으로 미립화하여 염산염 형태의 아민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THF(150 mL) 및 물(75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12.6 mL, 90.51 mmol)을 첨가하고, 이후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9.59 g, 45.2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상승시킨 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750 mL) 및 물(200 mL) 간에 분배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EtOAc(500 mL)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80:20)로 정제하고 이후 키랄 HPLC(IH:IPA:DEA, 90:10:0.1, 15 ml/min, 270 nm, RT = 9.8 min)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68 min; m/z(ES+) = 403.2 [M + H]+.
제조예 50: [(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2
[(3R,4R)-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9, 1.89 g, 4.70 mmol)를 MeOH(9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H-큐브 장치(10% pd/C Catcart 70, 30 bar, 80 ℃)에 1 mL/min의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2.37 min; m/z(ES+) =313.2[M + H]+.
제조예 51: 3-(2- 플루오로페닐 )-4- 니트로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3
아르곤 대기 하에서 메틸(E)-3-(2-플루오로페닐)-2-프로페노에이트(19.4 g, 108 mmol)를 MeCN(10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후, 니트로메탄(7 mL, 130 mmol) 및 DBU(16 mL, 107 mmol)을 첨가하였다. 아이스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Et2O(400 mL) 및 1M HCl(400 mL) 간에 분배시키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추가로 Et2O(2 × 20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건조시키고(MgSO4),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3:1, 2.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 CDCl3): 7.33 - 7.20(m, 2H), 7.15 - 7.03(m, 2H), 4.84 - 4.73(m, 2H), 4.24 - 4.13(m, 1H), 3.65(s, 3H), 2.88 - 2.82(m, 2H).
제조예 52:(트랜스)-1-벤질-4-(2- 플루오로페닐 )-5- 니트로피페리딘 -2-온
Figure pct00074
3-(2-플루오로페닐)-4-니트로부티르산 메틸 에스테르(제조예 51, 10.50 g, 43.5 mmol), 파라포름알데히드(1.39 g, 46.3 mmol) 및 벤질아민(9.67 mL, 87.1 mmol)의 혼합물을 EtOH(100 mL)에 용해시키고 실링된 튜브에서 10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700 mL) 및 2M HCl(300 mL)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 분획을 분리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1.5:1,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 CDCl3): 7.40 - 7.01(m, 9H), 5.09 - 5.02(m, 1H), 4.87 - 4.80(m, 1H), 4.54 - 4.46(m, 1H), 4.14 - 4.06(m, 1H), 3.88 - 3.80(m, 1H), 3.63 - 3.54(m, 1H), 2.94 - 2.79(m, 2H)
제조예 53:(트랜스)-1-벤질-4-(2- 플루오로페닐 )-3- 니트로피페리딘 염산염
Figure pct00075
아르곤 하에서, (트랜스)-1-벤질-4-(2-플루오로페닐)-5-니트로피페리딘-2-온(제조예 52, 8.0 g, 24.4 mmol)을 THF(10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복합체(2.0M THF에 용해, 37 mL, 74.0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7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실온으로 승온시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에 MeOH(50 mL), 이후 1M HCl(20 mL)를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추가적으로 MeOH(100 mL) 및 1M HCl의 일부(100 mL)를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7 min; m/z(ES+) = 315.1 [M + H]+.
제조예 54: [(3R,4R)-1-벤질-4-(2- 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6
(트랜스)-1-벤질-4-(2-플루오로페닐)-3-니트로피페리딘 염산염(제조예 53, 6.9 g, 19.7 mmol) 및 아연 가루(10.4 g, 159.1 mmol)의 혼합물을 AcOH 및 EtOH(1:1, 15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75 ℃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MeOH(100 mL)로 희석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THF(30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0 mL), 이후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6.2 g, 28.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500 mL)에 재용해시켰다. 용액을 1M NaOH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IH:EtOAc(20:1)로 재결정한 다음 키랄 HPLC(IH:IPA:DEA, 92:8:0.1, 15 ml/min, 265 nm, RT = 9.0 min)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72 min; m/z(ES+) = 385.2 [M + H]+.
제조예 55: [(3R,4R)-4-(2- 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77
하기 조건(10% pd/C Catcart 30, 30 bar, 90 ℃, 1 mL/min, MeOH에서 13 mM 농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1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R)-1-벤질-4-(2-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4)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19 min; m/z(ES+) = 295.2 [M + H]+.
제조예 56: 2,4- 디플루오로 -1-((E)-2- 니트로비닐 )벤젠
Figure pct00078
아르곤 하에서, 2,4-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25.0 g, 0.18 mol) 및 니트로메탄(11.4 mL, 0.21 mol)을 MeOH(53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15 ℃로 냉각시킨 다음, NaOH(7.4 g, 0.19 mol)을 물(26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20분 이상 적가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15 ℃에서 교반시켜 침전물이 30분 이후에 생성되었다. MeOH을 더 첨가하여 슬러리를 형성시켰으며, 15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면서 반응물을 0 ℃로 승온시켰다. 찬 물을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4M HCl(100 mL)을 첨가하였다. 유기 분획을 DCM(3 × 300 mL) 내로 추출하고, 건조시킨(Na2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사(10.00 g, 50 mmol)를 아세트산 무수물(8.13 mL, 90 mol)에 용해시킨 다음 아르곤 하에서 0 ℃로 냉각시켰다. DMAP(0.42 g, 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이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상승시켜 추가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용매는 진공에서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에 재용해시켰다. 남아있는 아세트산 무수물은 적은 부피의 1M NaOH 용액을 첨가하여 제거하였으며, 그 결과로 생성된 용액은 건조시키고(MgSO4)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60 min; m/z(ES+) = 186.1 [M + H]+.
제조예 57:(트랜스)-1-벤질-3-(2,4- 디플루오로페닐 )-4- 니트로피롤리
Figure pct00079
아르곤 하에서, 2,4-디플루오로-1-((E)-2-니트로비닐)벤젠(제조예 56, 8.0 g, 43.0 mmol)을 DCM(2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30 ℃로 냉각시킨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N-(메톡시메틸)-N-(트리메틸실릴메틸)벤질아민(11.7 mL, 45.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시킨 후, TFA(0.3 mL, 4.3 mmol)를 적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5 min; m/z(ES+) = 319.1 [M + H]+.
제조예 58: [(트랜스)-1-벤질-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0
(트랜스)-1-벤질-3-(2,4-디플루오로페닐)-4-니트로피롤리딘(제조예 57, 25.0 g, 0.08 mol) 및 아연 가루(17.8 g, 0.28 mol)의 혼합물을 AcOH 및 EtOH(1:1, 50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70 ℃로 가열하였다. 45시간 후 아연 가루의 일부(12.0 g, 0.18 mol)를 추가로 첨가하고 20분 동안 가열을 지속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에 재용해시킨 다음 포화 NaHCO3 용액,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트랜스)-1-벤질-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아민을 수득하였다: RT = 1.82 min; m/z(ES+) = 289.1 [M + H]+.
아르곤 하에서, 생성물을 THF(40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0.4 mL, 0.15 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19.0 g, 0.09 mol)를 5분 이상 첨가하고, 반응물을 16시간 이상 실온으로 승온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에 재용해시킨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Na2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에 헵탄(100 mL)을 첨가하고, 현탁액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초음파 교반하였다. 용액을 60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용매를 옮긴 다음 남아있는 고체를 깨끗한 헵탄의 일부(50 mL)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74 min; m/z(ES+) = 389.3 [M + H]+.
제조예 59: [(3R,4S)-1-벤질-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1
[(트랜스)-1-벤질-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8)의 키랄 HPLC 분리(IH:IPA:DEA, 96:4:0.1, 15 ml/min, 270 nm, RT = 9.8 min)를 통해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60: [(트랜스)-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2
5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1의 방법을 이용하여 [(트랜스)-1-벤질-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8)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38 min; m/z(ES+) = 299.1 [M + H]+.
제조예 61: [(3R,4S)-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3
5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1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S)-1-벤질-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9)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38 min; m/z(ES+) = 299.1 [M + H]+.
제조예 62: 2,4,5- 트리플루오로 -1-((E)-2- 니트로비닐 )벤젠
Figure pct00084
제조예 56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2,4,5-트리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DMAP과의 반응 후, 조 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300MHz , CDCl3): 7.97 - 7.93(m, 1H), 7.66 - 7.62(m, 1H), 7.42 - 7.26(m, 1H), 7.16 - 6.96(m, 1H)
제조예 63:(트랜스)-1-벤질-3-(2,4,5- 트리플루오로페닐 )-4- 니트로피롤리딘
Figure pct00085
반응을 0 ℃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7의 방법을 이용하여 2,4,5-트리플루오로-1-((E)-2-니트로비닐)벤젠(제조예 62)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EtOAc, 100:0, 98:2, 95:5, 90: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2: RT = 0.94 min; m/z(ES+) = 337.2 [M + H]+.
제조예 64: [(트랜스)-1-벤질-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6
(트랜스)-1-벤질-3-(2,4,5-트리플루오로페닐)-4-니트로피롤리딘(제조예 63, 11.5 g, 0.03 mol) 및 아연 가루(18.0 g, 0.28 mol)의 혼합물을 AcOH 및 IMS(1:1, 21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65 ℃로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AcOH로 세척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된 잔사를 EtOAc에 재용해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 그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80:20)로 정제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트랜스)-1-벤질-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아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2: RT = 0.82 min; m/z(ES+) = 307.2 [M + H]+.
아르곤 하에서, 생성물을 THF(1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9 mL, 0.04 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디-t-부틸 디카보네이트(4.7 g, 0.02 mol)를 5분 이상 첨가하고, 반응물을 16시간 이상 실온으로 승온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EtOAc에 재용해시킨 다음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Na2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에 헵탄을 여러번 첨가하여 미분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3: RT = 3.10 min; m/z(ES+) = 407.3 [M + H]+.
제조예 65: [(트랜스)-4-(2,4,5- Ti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7
[(트랜스)-1-벤질-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4, 40.1 g, 98.8 mmol)을 IMS(325 mL) 및 EtOAc(50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오토클레이브 내에 위치시켰다. 탄소상 팔라듐(5%, 4.0g, 1.9 mmol)을 최소 부피의 톨루엔에 용해시켜 슬러리로서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50 atm) 하에 위치시키고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조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Ac로 세척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방법 4: RT = 2.42 min; m/z(ES+) = 317.2 [M + H]+.
제조예 66: [(3R,4S)-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8
[(트랜스)-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5, 59.5g, 188 mmol)를 EtOH(200 mL)에 현탁시키고 70 ℃로 가열하였다. 현탁액에 따뜻한 (S)-(+)-나프록센(21.5 g, 93 mmol)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환류시켰다. 열을 제거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천천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EtOH로 세척한 다음 DCM(2400 mL) 및 1M NaOH(600 mL) 간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1M NaOH,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모든 과정을 두 번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3OD): 7.38 - 7.25(m, 1H), 7.14 - 7.01(m, 1H), 4.20 - 4.09(m,1 H), 3.30 - 3.21(m, 3H), 2.90 - 2.81(m, 1H), 2.77 - 2.68(m, 1H), 1.34(br. s., 9H)
제조예 67: [(트랜스)-1-벤질-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89
(트랜스)-1-벤질-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4)의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2,5-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로부터 3 단계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방법 3: RT = 3.04 min; m/z(ES+) = 389.3 [M + H]+.
제조예 68: [(트랜스)-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0
[(트랜스)-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7, 164 g, 0.42 mol)를 IMS(5.75 L)에 용해시킨 용액에 탄소상 팔라듐(10%, 50% wet, 16.4 g)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수소 분위기(대기압) 하에서 50 ℃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디PE으로 두 번(400 mL 다음으로 100 mL) 미립화시키고, 생성물을 석션으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7.05 - 6.95(m, 2H), 6.93 - 6.84(m, 1H), 4.23 - 4.11(m, 1H), 3.51 - 3.40(m, 2H), 3.30 - 3.19(m, 1H), 3.00 - 2.83(m, 2H), 1.40(s, 9H).
제조예 69: [(3R,4S)-1-벤질-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1
[(트랜스)-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7)의 키랄 HPLC 분리(IH:IPA:DEA 96:4:0.1, 15ml/min, 270nm, RT: 10.9 min)를 통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0: [(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2
반응을 30 bar의 압력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1의 방법을 사용하여 [(3R,4S)-1-벤질-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9)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35 min; m/z(ES+) = 299.2 [M + H]+.
제조예 71: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4- 메틸피리미딘 -2-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 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3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4-메틸피리미딘(제조예 10, 290 mg, 0.72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226 mg, 0.80 mmol) 및 DBU (226 mg, 1.45 mmol)의 혼합물을 DMSO(2.5 mL)에 용해시켜 실링된 튜브에서 100 ℃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적으로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의 일부(제조예 41, 75 mg, 0.26 mmol)를 첨가한 다음 추가 48시간 동안 가열을 지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시키고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2 min; m/z(ES+) = 641.4 [M + H]+.
제조예 72: [(3S,4S)-1-(2-{(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5-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4
(R)-5-브로모-2-{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12, 175 mg, 0.41 mmol)를 톨루엔(2.1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40 mg, 0.49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9 mg, 0.02 mmol), 소듐 t-부톡사이드(48 mg, 0.49 mmol) 및 (2-바이페닐)디 t-부틸포스핀(25 mg, 0.08 mmol)을 첨가한 다음 75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따.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EtOAc 및 물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4:6)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90 min; m/z(ES+) = 627.4 [M + H]+.
제조예 73: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라진-2-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 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5
(R)-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라진(제조예 13, 140 mg, 0.33 mmol)을 디옥산(4.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12 mg, 0.4 mmol) 및 포타슘 t-부톡사이드(111 mg, 1.15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 하, 마이크로파 튜브 내에서 첨가하였다.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30 mg, 0.03 mmol) 및 2,8,9-트리이소부틸-2,5,8,9-테트라아자-1-포스파바이사이클로-[3.3.3]운데칸(12 μL, 0.0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15분 동안 거품을 낸 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으로 희석한 다음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7:3, 96:4)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32 min; m/z(ES+) = 627.4 [M + H]+.
제조예 74: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5-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6
아르곤 하에서,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140 mg, 0.37 mmol) 및 [(3S,4S)-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2, 132 mg, 0.44 mmol)를 DMSO(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138 μL, 0.9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15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혼합물을 물(100 mL) 및 EtOAc(100 mL) 간에 분배시키고, 수층을 분리하여 추가적으로 EtOAc의 일부(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물(100 mL),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8:2:0.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26 min; m/z(ES+) = 641.4 [M + H]+.
제조예 75: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R)-5-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피롤 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7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4)의 키랄 HPLC 분리(Daicel 키랄 pack IA 250 × 20 mm, MeOH:THF, 80:20, 15 mL/min, 250 nm)를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76: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S)-5-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피롤 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
Figure pct00098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4)의 키랄 HPLC 분리(Daicel 키랄 pack IA 250 × 20 mm, MeOH:THF, 80:20, 15 mL/min, 250 nm)를 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77: [(트랜스)-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099
아르곤 하에서,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200 mg, 0.53 mmol) 및 [(트랜스)-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8, 314 mg, 1.05 mmol)를 DMSO(2.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79 μL, 0.5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링된 튜브 내에서 추가 반응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100 ℃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2 min; m/z(ES+) = 642.3 [M + H]+.
제조예 78: 4-((R)-3-{2-[(3S,4S)-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00
아르곤 하에서,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 150 mg, 0.42 mmol) 및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31 mg, 0.46 mmol)룰 DMSO(2.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65 μL, 0.4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링된 튜브 내에서 추가 반응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100 ℃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킨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100:0, 80:40, 70:30, 50:50, 0:100 다음으로 EtOAc:MeOH, 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0 min; m/z(ES+) = 603.3 [M + H]+.
제조예 79: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 )피페리딘-4- ] 부톡시 }-3-메틸피리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1
2-브로모-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3-메틸피리딘(제조예 18, 133 mg, 0.30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03 mg, 0.37 mmol), 소듐 t-부톡사이드(102 mg, 1.06 mmol), 2,8,9-트리이소부틸-2,5,8,9-테트라아자-1-포스파바이사이클로[3.3.3]운데칸(10 mg, 0.03 mmol)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7 mg, 0.03 mmol)의 혼합물을 디옥산(3.0 mL)에 용해시키고 아르곤으로 15분 동안 거품을 낸 후, 반응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키고, DCM 다음으로 MeOH로 세척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로부터 취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하여 통과시켰다. 진공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42 min; m/z(ES+) = 640.6 [M + H]+.
제조예 80: 4-((R)-3-{2-[(3R,4S)-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02
아르곤 하에서,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 100 mg, 0.28 mmol) 및[(3R,4S)-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0, 167 mg, 0.56 mmol)를 DMSO(4.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42 μL, 0.2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0 ℃에서 64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6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0:10, 80:2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1 min; m/z(ES+) = 618.3 [M + H]+.
제조예 81: 4-((R)-3-{2-[(트랜스)-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03
아르곤 하에서,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 200 mg, 0.56 mmol) 및 [(트랜스)-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0, 335 mg, 1.12 mmol)를 DMSO(4.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84 μL, 0.56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링된 튜브 내에서 80 ℃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로 [트랜스-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의 일부(80 mg, 0.27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을 지속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5:5, 90: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6 min; m/z(ES+) = 618.6 [M + H]+.
제조예 82: [(트랜스)-1-(5{(R)-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4
제조예 77의 방법을 이용하여 (R)-5-클로로-2-{4-[1-메틸-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제조예 4)을 [(트랜스)-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8)과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킨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고, 0.1M 시트르산,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5.24 min; m/z(ES+) = 644.2 [M + H]+.
제조예 83: [(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4-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5
(R)-4-클로로-6-{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6, 40 mg, 0.1 mmol), [(3R,4S)-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0, 30 mg, 0.1 mmol) 및 트리에틸아민(50 μL, 0.15 mmol)의 혼합물을 t-부탄올(1 mL)에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40 ℃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및 물 간에 분배시키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건조하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예비(preparative)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52 min; m/z(ES+) = 642.3 [M + H]+.
제조예 84: [(3S,4S)-1-(6-{(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딘-3-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6
5-브로모-2-{(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딘(제조예 11, 150 mg, 0.35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20 mg, 0.43 mmol), (2-바이페닐)디 t-부틸포스핀(21 mg, 0.07 mmol), 소듐 t-부톡사이드(41 mg, 0.43 mmol)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16 mg, 0.01 mmol)의 혼합물을 톨루엔(2 mL)에 용해시키고 아르곤으로 20분 동안 거품을 낸 후, 7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온도를 75 ℃로 승온시키면서 추가 24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0 mL)로 희석시키고, 물(2 × 20 mL), 포화 NaHCO3 용액(20 mL), 염수(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8:2, 96:4)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18 min; m/z(ES+) = 626.4 [M + H]+.
제조예 85: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4-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7
제조예 88의 방법을 이용하여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을 [(3S,4S)-4-(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3)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4.26 min; m/z(ES+) = 641.4 [M + H]+.
제조예 86: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S)-4-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피롤 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8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5)의 키랄 HPLC 분리(MTBE:THF 70:30, 12 ml/min, 250 nm)를 통해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87: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R)-4- 메틸 -2- 옥소피페리딘 -1-일)피롤 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09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5)의 키랄 HPLC 분리(MTBE:THF 70:30, 12 ml/min, 250 nm)를 통해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88: [(3'S,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2-옥소-[1,3'] 바이피롤리디닐 -4'-일]카 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0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128 mg, 0.34 mmol) 및 (3'S,4'S)-4'-아미노-1'-벤질-[1,3']바이피롤리디닐-2-온(제조예 44, 100 mg, 0.37 mmol)을 DMSO(700 μ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50 μL, 0.34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링된 튜브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85 ℃로 가열하였다. 물(3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2 ×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30 mL), 포화 NaHCO3 용액(30 mL), 다음으로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96 min; m/z(ES+) = 613.3 [M + H]+.
제조예 89: [(3S,4S)-4-(5,5- 디플루오로 -2- 옥소피페리딘 -1-일)-1-(5-{(R-3[1-(3-이 소프로필[1,2,4]옥사 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1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197 mg, 0.62 mmol) 및 [(3S,4S)-4-(5,5-디플루오로-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5, 304 mg, 0.80 mmol)를 DMSO(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90 mL, 0.62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85 ℃에서 3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20 mL)을 첨가하고, 조 혼합물을 EtOAc(3 ×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20 mL), 포화 NaHCO3 용액(20 mL), 다음으로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9:1, 97: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09 min m/z(ES+) = 633.4 [M + H]+.
제조예 90: [(3S,4S)-1-(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2
제조예 77의 방법을 이용하여 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제조예 19, 48 mg, 0.13 mmol)을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34 mg, 0.26 mmol)과 반응시켰다. 물(4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25 mL), 다음으로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90 min; m/z(ES+) = 613.4 [M + H]+.
제조예 91: [(3R,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3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150 mg, 0.44 mmol) 및 [(3R,4S)-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6, 150 mg, 0.47 mmol)를 DMSO(0.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59 μL, 0.62 mmol)를 첨가하고 추가 반응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70 ℃로 가열하였다. 물(25 mL)을 첨가하고, 조 혼합물을 EtOAc(5 × 1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20 mL), 염수(4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0 min m/z(ES+) = 660.4 [M + H]+.
제조예 92: [(3R,4S)-1-(5-{(R)-3-[1-(3-에틸-[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4
제조예 91을 이용하여 2-클로로-5-{(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21)을 [(3R,4S)-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6)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4.70 min; m/z(ES+) = 646.4 [M + H]+.
제조예 93: [(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3- 메틸피리딘 -2-일)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5
제조예 79를 이용하여 2-브로모-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3-메틸피리딘(제조예 18)을 [(3R,4S)-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0)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3.57 min; m/z(ES+) = 555.3 [M + H-(C5H8O2)]+.
제조예 94: 4-((R)-3-{2-[(3R,4R)-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5-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16
제조예 78의 방법을 이용하여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 139 mg, 0.36 mmol)를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 94 mg, 0.30 mmol)과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EtOAc(50 mL)로 희석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용액을 포화 NaHCO3 용액(50 mL),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5.09 min m/z(ES+) = 362.4 [M + H]+.
제조예 95: [(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7
제조예 94의 방법을 이용하여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을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5.07 min m/z(ES+) = 656.3 [M + H]+.
제조예 96:(트랜스)-3-(9H- 플루오렌 -9- 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 )-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 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8
To a 용액 of (트랜스)-3-아미노-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2.00 g, 7.13 mmol) 및 트리에틸아민(1.59 mL, 11.40 mmol)을 디옥산 및 물(2:1, 75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한 다음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2.31 g, 8.9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승온시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EtOAc으로 희석시킨 다음, 용액을 물, 1M HCl, 포화 NaHCO3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90:10, 80:20,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28 min m/z(ES+) = 503.3 [M + H]+.
제조예 97:(3R,4S)-3-(9H- 플루오렌 -9- 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 )-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 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19
(트랜스)-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6)의 키랄 HPLC 분리(IH:CHCl3:IPA:DEA 85:10:5:0.1, 15 ml/min, 270 nm, RT = 9.4 min)를 통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8: [(트랜스)-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9H- 플루오렌 -9- 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Figure pct00120
(트랜스)-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6, 1.50 g, 2.98 mmol)를 디옥산(3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HCl을 디옥산(4M, 3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으며, 이 시간 이후에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Et2O을 추가 침전물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 용매를 옮겼다. 잔사를 추가 부피의 Et2O에 현탁시키고 5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옮겼다. 이 과정을 2번 이상 반복한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2 min; m/z(ES+) = 403.1 [M + H]+.
제조예 99: [(3R,4S)-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 카르밤산 9H- 플루오렌 -9- 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
Figure pct00121
제조예 98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S)-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7)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82 min; m/z(ES+) = 403.1 [M + H]+.
제조예 100: [(3S,4S)-1-(6-{(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 피리다진 -3-일)-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2
제조예 78의 방법을 이용하여 3-클로로-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다진(제조예 14, 130 mg, 0.34 mmol)을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06 mg, 0.38 mmol)와 반응시켰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시키고, 그 결과로 생성된 용액을 물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분리하여 EtOAc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물(× 5),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5: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62 min; m/z(ES+) = 627.4 [M + H]+.
제조예 101: 4-((R)-1- 메틸 -3- 옥소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23
4-(R)-3-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5, 2.00 g, 7.41 mmol)를 DCM(5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데스-마틴 페리오디난(3.77 g, 8.9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고체 소듐 티오설페이트(2.5 g)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48 min; m/z(ES+) = 242.2 [M + H]+.
제조예 102: 4-((R)-1- 메틸부트 -3- 이닐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24
n-부틸리튬(1M THF에 용해, 3.5 mL, 3.5 mmol) 용액을 오븐 건조된 플라스트에 넣고, 아르곤 하에서 -78 ℃로 냉각시킨 다음,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2M in Et2O에 용해, 1.72 mL, 3.4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시킨 후 4-((R)-1-메틸-3-옥소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01, 830 mg, 3.44 mmol)을 THF(2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 ℃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30분 동안 0 ℃로 승온시켰다. 포화 NH4C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Et2O으로 희석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1M 시트르산,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80:20, 70:3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03 min; m/z(ES+) = 238.1 [M + H]+.
제조예 103: [(3S,4S)-1-(5- 브로모피리미딘 -2-일)-4-(2- 옥소피페리딘 -1-일)피롤리딘-3-일] 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5
제조예 78의 방법을 이용하여 5-브로모-2-클로로피리미딘을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와 반응시켰다. 조 반응 화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EtOAc으로 희석시켰다. 유기 용액을 물(× 3), 1M HCl, 포화 NaHCO3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40:60, 20:8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45 min; m/z(ES+) = 440.1, 442.1 [M + H]+.
제조예 104: 4-((R)-4-{2-[(3S,4S)-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일}-1- 메틸부트 -3- 이닐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26
[(3S,4S)-1-(5-브로모피리미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103, 100 mg, 0.23 mmol)를 DMF(0.4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4-((R)-1-메틸부트-3-이닐)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02, 81 mg, 0.34 mmol) 및 트리에틸아민(0.6 mL)을 DMF(1.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20분 동안 탈기시켰다. 요오드화 구리(9 mg, 0.04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26 mg, 0.0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 ℃에서 3시간동안 가열한 다음 8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적으로 4-((R)-1-메틸부트-3-이닐)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02, 81 mg, 0.34 mmol)를 DMF(1.0 mL)에 용해시킨 용액의 일부를 첨가하고, 온도를 14시간 동안 110 ℃로 승온시킨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6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5), 1M 시트르산, 포화 NaHCO3 용액,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tOAc,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35 min; m/z(ES+) = 597.3 [M + H]+.
제조예 105: 4-((R)-4-{2-[(3S,4S)-3-t- 부톡시카보닐아미노 -4-(2- 옥소피페리딘 -1- )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1-메틸부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27
4-((R)-4-{2-[(3S,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1-메틸부트-3-이닐)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04, 73 mg, 0.12 mmol)를 MeOH(2.4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H-큐브 장치(10% pd/C Catcart 30, 완전 수소 모드, 실온)를 통해 3 mL/min의 유속으로 통과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5: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28 min; m/z(ES+) = 601.5 [M + H]+.
제조예 106: [(트랜스)-4-(2,4-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8
아르곤 하에서,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200 mg, 0.53 mmol) 및 [(트랜스)-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0, 314 mg, 1.05 mmol)를 DMSO(4.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81 μL, 0.5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링된 튜브 내에서 80 ℃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 및 염수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9:1, 98: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82 min; m/z(ES+) = 642.3 [M + H]+.
제조예 107: 4-(1- 에톡시카보닐에틸 )-3,6- 디하이드로 -2H-피리딘-1- 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29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트리에틸-2-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9.48 mL, 44.21 mmol)를 THF(1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수소화 나트륨(60% 미네랄 오일로 용해, 1.92 g, 47.89 mmol)을 10분 이상 분율별로(portionwise)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반응물을 이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4-옥소피페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7.34 g, 36.84 mmol)를 THF(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캐뉼라를 통해 상기 혼합물에 10분 이상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승온시킨 후, 6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한 후, 잔사를 EtOAc(200 mL) 및 물(200 mL)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물(100 mL)로 세척한 다음 수 분획을 모아 EtOAc(100 mL)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유기 분획을 모아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96 min; m/z(ES+) = 184.1 [M + H-(C5H8O2)]+.
제조예 108: 4-(1- 에톡시카보닐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30
4-(1-에톡시카보닐에틸)-3,6-디하이드로-2H-피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107, 10.23 g, 36.10 mmol)를 EtOH(15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탄소상 팔라듐(10 Mol%, 4.61 g, 4.33 mmol)을 물(15 mL)에 넣은 슬러리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대기압)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플러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EtOH(100 mL)로 세척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DCM에 재용해시키고, 상 분리기를 통해 통과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4.05 min; m/z(ES+) = 186.1 [M + H-(C5H8O2)]+.
제조예 109: 4-(2- 하이드록시 -1- 메틸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
Figure pct00131
아르곤 하에서, 4-(1-에톡시카보닐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108, 5.65 g, 19.80 mmol)를 THF(20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LAH(1.50 g, 39.59 mmol)을 분율별로 15분 이상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시켰다. 물(1.5 mL), 이후 15% NaOH 용액(1.5mL), 및 최종적으로 물(4.5 mL)을 추가로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현탁액을 Et2O(100 mL)로 희석한 후,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60:40, 50:50, 40:6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4.21 - 4.06(m, 2H), 3.65 - 3.47(m, 2H), 2.74 - 2.59(m, 2H), 1.65 - 1.50(m, 3H), 1.46(s, 9H), 1.32 - 1.13(m, 3H), 0.91(d, J = 6.6 Hz, 3H)
제조예 110: 2-피페리딘-4- 일프로판 -1- 염산염
Figure pct00132
아르곤 하에서, 4-(2-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109, 7.77 g, 31.93 mmol)를 디옥산(3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켰다.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4M, 24 mL, 95.79 mmol)을 첨가한 다음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DMSO-d6): 8.94(br. s., 1H), 8.58(br. s., 1H), 3.36 - 3.18(m, 4H), 2.88 - 2.70(m, 2H), 1.75 - 1.64(m, 2H), 1.62 - 1.53(m, 1H), 1.52 - 1.31(m, 3H), 0.80(d, J = 7.0 Hz, 3H)
제조예 111: 4-(2- 하이드록시 -1- 메틸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33
아르곤 하에서, 2-피페리딘-4-일프로판-1-올 염산염(제조예 110, 1.00 g, 5.57 mmol)을 DCM(15 mL)에 넣은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1.63 mL, 11.6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이소프로필 클로로포르메이트(1M 톨루엔에 용해, 6.12 mL, 6.12 mmol)를 5분 이상 적가한 다음, 반응물을 실온으로 승온시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DCM(60 mL)로 희석시키고, 1M HCl 용액(2 × 50 mL), NaHCO3 용액(50 mL) 다음으로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40:6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4 min; m/z(ES+) = 230.2 [M + H]+.
제조예 112: 4-[2-(2- 클로로피리미딘 -5- 일옥시 )-1- 메틸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34
아르곤 하에서, 4-(2-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11, 400 mg, 1.74 mmol)를 DCM(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16 μL, 2.2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63 μL, 2.09 mmol)을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DCM(50 mL)로 희석시키고, 1M HCl 용액(50 mL), 포화 NaHCO3 용액(50 mL), 다음으로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4-(2-메탄설포닐옥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3.49 min; m/z(ES+) = 308.1 [M + H]+.
아르곤 하에서 생성물을 THF(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2-클로로피리미딘-5-올(249 mg, 1.91 mmol), 이후 탄산칼륨(600 mg, 4.3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50 ℃로 승온시켰다. DMF(2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55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적으로 DMF의 일부(2 mL)를 첨가하고 60 ℃에서 3시간 동안 가열을 지속하였다. 추가적으로 DMF(2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50 ℃에서 10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는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조 잔사를 EtOAc(50 mL) 및 물(100 mL) 간에 분배시키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EtOAc(5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포화 NaHCO3 용액(50 mL), 염수(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δH(400MHz, CDCl3): 8.29(s, 2H), 4.98 - 4.88(m, 1H), 4.29 - 4.12(m, 2H), 4.02 - 3.86(m, 2H), 2.78 - 2.64(m, 2H), 1.96 - 1.84(m, 1H), 1.70 - 1.59(m, 3H), 1.37 - 1.319(m, 8H), 1.04(d, J = 7.0 Hz, 3H).
실시예 1: 1-[(3S,4S)-4-아미노-1-(5-{(R)-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Figure pct00135
(R)-5-클로로-2-{4-[1-메틸-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제조예 4, 160 mg, 0.42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48 mg, 0.53 mmol) 및 DBU(160 mg, 1.05 mmol)의 혼합물을 DMSO(2 mL)에 넣고 10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이후 유기물을 DCM(× 3) 내로 추출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IPA, 100:0, 85:15)로 정제하여 [(3S,4S)-1-(5-{(R)-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4.67 min; m/z(ES+) = 629.3 [M + H]+.
잔사를 DCM(5 mL)에 용해시킨 다음, TFA(1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유기물을 DCM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85:1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93 min; m/z(ES+) = 529.6 [M + H]+.
실시예 2: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딘-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36
(R)-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딘(제조예 5, 200 mg, 0.47 mmol)을 디옥산(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60 mg, 0.56 mmol), 2,8,9-트리이소부틸-2,5,8,9-테트라아자-1-포스파바이사이클로-[3.3.3]운데칸(16.2 mg, 0.05 mmol), 포타슘 t-부톡사이드(159 mg, 1.65 mmol)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43 mg, 0.0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30분 동안 거품을 낸 다음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20 ℃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킨 다음 포화 NaHCO3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한 다음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하였다. 추가적으로 키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59 min; m/z(ES+) = 526.5 [M + H]+.
실시예 3: 1-[(3S,4S)-4-아미노-1-(6-{(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4-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Figure pct00137
(R)-4-클로로-6-{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6, 142 mg, 0.37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106 mg, 0.37 mmol) 및 트리에틸아민(104 μL, 0.75 mmol)의 혼합물을 t-부탄올(4 mL)에 넣고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45 ℃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용매 진공에서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에 재용해하였다. 유기 용액을 물, 다음으로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3S,4S)-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4-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3.67 min; m/z(ES+) = 627.6 [M + H]+.
잔사를 DCM(5 mL)에 재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킨 후, TFA(1 mL)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유기물을 DCM 내로 추출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5: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79 min; m/z(ES+) = 527.5 [M + H]+.
실시예 4: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38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290 mg, 0.76 mmol), [(3S,4S)-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41, 270 mg, 0.95 mmol) 및 DBU(290 mg, 1.90 mmol)의 혼합물을 DMSO(2 mL)에 넣고 10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50 mL)에 용해시키고 DCM(× 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7:3)로 정제하여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4.05 min; m/z(ES+) = 627.4 [M + H]+.
잔사를 DCM(5 mL)에 재용해시키고, TFA(1 mL)를 첨가하고 90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유기물을 DCM 내로 추출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3:7)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73 min; m/z(ES+) = 527.3 [M + H]+.
실시예 5: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4- 메틸피리미딘 -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39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4-메틸피리미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1, 225 mg, 0.35 mmol)를 DCM(6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5 mL)를 10분 이상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으로 승온시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100:0:0, 98:2:0, 97:3:0, 90:10:0, 90:10:1, 80: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4 min; m/z(ES+) = 541.3 [M + H]+.
실시예 6: 1-[(3S,4S)-4-아미노-1-(2-{(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5-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염산염
Figure pct00140
[(3S,4S)-1-(2-{(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5-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2, 14 mg, 0.02 mmol)를 디옥산(0.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4M, 0.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고, Et2O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분 동안 교반시킨 후, Et2O을 옮기었다.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67 min; m/z(ES+) = 527.3 [M + H]+.
하기 화합물들은 실시예 6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t-부틸 카바메이트 보호된 아민을 4M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과 함께 처리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실시예 구조 이름 LCMS
7
Figure pct00141
1-[(3S,4S)-4-아미노-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딘-3-일)피롤리딘-3-일]피페리딘-2-온 염산염 RT = 2.75 min; m/z(ES+) = 526.4 [M + H]+.
8
Figure pct00142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4-메틸피페리딘-2-온 염산염 RT = 2.84 min; m/z(ES+) = 541.3 [M + H]+.
9
Figure pct00143

1-[(3S,4S)-4-아미노-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다진-3-일)피롤리딘-3-일]피페리딘-2-온 염산염 RT = 2.50 min; m/z(ES+) = 527.3 [M + H]+.
실시예 10: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5- 메틸피페리딘 -2-온
Figure pct00144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5-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4, 14 mg, 0.02 mmol)를 DCM(2.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FA(0.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30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EtOAc(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6:4:0.4)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1 min; m/z(ES+) = 541.4 [M + H]+.
하기 실시예들은 실시예 10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t-부틸 카바메이트로 보호된 아민과 TFA를 처리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실시예 구조 이름 LCMS
11
Figure pct00145
(R)-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5-메틸피페리딘-2-온 RT = 2.74 min; m/z(ES+) = 541.4 [M + H]+.
12
Figure pct00146
(S)-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5-메틸피페리딘-2-온 RT = 2.76 min; m/z(ES+) = 541.4 [M + H]+.
13
Figure pct00147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라진-2-일)피롤리딘-3-일]피페리딘-2-온 RT = 2.88 min; m/z(ES+) = 527.4 [M + H]+.
실시예 14:(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 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48
아르곤 하에서, [(트랜스)-4-(2,5-디플루오로페닐)-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7, 400 mg, 0.53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0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승온시켰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0.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유지한 후, DCM 및 포화 NaHCO3 용액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키랄 HPLC(MTBE:EtOH:BA 80:20:0.1, 11 ml/min, 250 nm, RT = 38.0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이의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0 min; m/z(ES+) = 542.3 [M + H]+.
실시예 15: 4-((R)-3-{2-[(3S,4S)-3-아미노-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 르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49
아르곤 하에서, 4-((R)-3-{2-[(3S,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78, 90 mg, 0.15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0 mL)을 첨가하였다. 아이쓰 배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0: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0 min; m/z(ES+) = 503.3 [M + H]+.
실시예 16: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3- 메틸피리딘 -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50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3-메틸피리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9, 80 mg, 0.13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2.0 mL)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9:1, 98:2, 97:3, 96:4, 95:5, 90:1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예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2 min; m/z(ES+) = 540.5 [M + H]+.
실시예 17: 4-((R)-3-{2-[(3R,4S)-3-아미노-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 루엔설폰 산 염
Figure pct00151
실시예 16의 방법을 이용하여 4-((R)-3-{2-[(3R,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80)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3.08 min; m/z(ES+) = 518.5 [M + H]+.
실시예 18: 4-((R)-3-{2-[(3R,4S)-3-아미노-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 루엔설폰 산 염
Figure pct00152
아르곤 하에서, 4-((R)-3-{2-[(트랜스)-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81, 330 mg, 0.53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2.0 mL)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상 분리기를 통하여 통과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8:2, 97:3, 95:5, 90:10)로 정제하고, 이후 키랄 HPLC(MTBE:EtOH:THF:BA 77:20:3:0.1, 11mL/min, 250nm, RT = 37.9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10 min; m/z(ES+) = 518.3 [M + H]+.
실시예 19: 4-((R)-3-{2-[(3S,4R)-3-아미노-4-(2,4-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53
실시예 18의 방법을 이용하여 4-((R)-3-{2-[(트랜스)-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81)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키랄 HPLC: MTBE:EtOH:THF:BA 77:20:3:0.1, 11 mL/min, 250 nm,
RT: 34.0 min. LCMS: RT = 3.10 min; m/z(ES+) = 518.3 [M + H]+.
실시예 20: [(3R,4S)-1-(5-{(R)-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 일아민 p- 톨루엔설폰 산 염
Figure pct00154
아르곤 하에서, [(트랜스)-1-(5{(R)-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2, 180 mg, 0.28 mmol)를 DCM(4.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0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0.6 m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지속하였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0.6 m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시키는 것을 지속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승온시켰다. 포화 NaHCO3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키랄 HPLC(MTBE:EtOH:THF:BA 60:20:20:0.1, 9 ml/min, 250 nm, RT = 14.2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23 min; m/z(ES+) = 544.2 [M + H]+.
실시예 21:(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4-일) 피롤리딘 -3- 일아민
Figure pct00155
아르곤 하에서, [(3R,4S)-4-(2,5-디플루오로페닐)-1-(6-{(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4-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3, 92 mg, 0.14 mmol)를 DCM(2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0.5 mL)을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물을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에서 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시켜 정제하였다. 염기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8 min; m/z(ES+) = 542.3 [M + H]+.
실시예 22: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S)-4- 메틸피페 리딘-2-온
Figure pct00156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S)-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6, 47 mg, 0.07 mmol)를 DCM(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3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30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EtOAc(2 ×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3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7:3:0.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74 min; m/z(ES+) = 541.3 [M + H]+.
실시예 23: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R)-4- 메틸피페 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57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R)-4-메틸-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7, 52 mg, 0.08 mmol)를 DCM(5.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3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이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30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혼합물을 EtOAc(2 × 3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염수(3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7:3:0.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6 min; m/z(ES+) = 541.3 [M + H]+.
실시예 24:(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1,3’] 바이피롤리디닐 -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58
아르곤 하에서, [(3'S,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2-옥소-[1,3']바이피롤리디닐-4'-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8, 105 mg, 0.17 mmol)를 디옥산(3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4M, 1.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고, Et2O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Et2O를 옮겼다. 조 생성물을 EtOAc(20 mL) 및 포화 Na2CO3 용액(20 mL)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여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7:3:0.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2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69 min; m/z(ES+) = 513.3 [M + H]+.
실시예 25: 1-[(3S,4S)-4-아미노-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5,5- 디플루오로 피페리딘-2-온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59
아르곤 하에서,[(3S,4S)-4-(5,5-디플루오로-2-옥소피페리딘-1-일)-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89, 143 mg, 0.22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FA(1.0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에서 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시켜 정제하였다. 염기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소량의 부피의 MeOH에 재용해시켰다. TsOH(1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0 min; m/z(ES+) = 563.3 [M + H]+.
하기 실시예들은 실시예 25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t-부틸 카바메이트로 보호된 중간체를 TFA과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구조 이름 LCMS
26
Figure pct00160
4-((R)-3-{2-[(3R,4R)-3-아미노-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보cylic acid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루엔설폰산 염 RT = 3.10 min; m/z(ES+) = 532.3 [M + H]+.
27
Figure pct00161


(3R,4R)-4-(2,5-디플루오로페닐)-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페리딘-3-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RT = 3.07 min; m/z(ES+) = 556.4 [M + H]+.
실시예 28: 1-[(3S,4S)-4-아미노-1-(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일]피페리딘-2-온
Figure pct00162
아르곤 하에서, [(3S,4S)-1-(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2-일)-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0, 47 mg, 0.07 mmol)를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1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0.3 m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교반을 지속시켰다. 포화 Na2CO3 용액(30 mL)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혼합물을 EtOAc(2 ×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7:3:0.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64 min; m/z(ES+) = 513.3 [M + H]+.
실시예 29:(3R,4S)-4-(2- 플루오로페닐 )-1-(5-{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 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63
아르곤 하에서, 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제조예 19, 156 mg, 0.43 mmol) 및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 227 mg, 0.52 mmol)을 DMSO(0.9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130 μL, 0.8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적인 반응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85 ℃에서 가열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2 ×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20 mL), 포화 Na2CO3 용액, 염수(4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8:2:0.1), 이후 키랄 HPLC(MTBE:MeOH:BA 80:20:0.1, 12 ml/min, 250 nm, RT = 35.2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93 min; m/z(ES+) = 510.3 [M + H]+.
실시예 30:(3R,4S)-4-(2- 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4- 메틸피리미딘 -2-일) 피롤리딘 -3-일아민 p- 톨루엔설폰산
Figure pct00164
아르곤 하에서,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4-메틸피리미딘(제조예 10, 150 mg, 0.38 mmol) 및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 184 mg, 0.42 mmol)를 DMSO(0.7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114 μL, 0.7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링된 튜브에서 85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30 mL) 및 물(30 mL) 간에 분배시키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EtOAc(3 × 30 mL)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물(2 × 20 mL), 포화 Na2CO3 용액(50 mL), 염수(2 × 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7:3:0.3)로, 이후 키랄 HPLC(MTBE:EtOH:BA 80:20:0.1, 11 ml/min, 250 nm, RT = 17.0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4 min; m/z(ES+) = 538.3 [M + H]+.
실시예 31: 4-((R)-3-{2-[(3R,4S)-3-아미노-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65
실시예 29의 방법을 이용하여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를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키랄 HPLC: MTBE:MeOH:THF:BA 70:20:10:0.1, 11 ml/min, 250 nm, RT = 15.4 min.
LCMS: RT = 2.87 min; m/z(ES+) = 500.3 [M + H]+.
실시예 32:(3R,4S)-1-(5-{(R)-3-[1-(3-에틸-[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 일아민 p- 톨루엔설 폰산 염
Figure pct00166
아르곤 하에서, 2-클로로-5-{(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21, 150 mg, 0.41 mmol) 및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 216 mg, 0.49 mmol)을 DMSO(0.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120 μL, 0.82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80 ℃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1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4 ×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분획을 모아 물(2 × 20 mL), 염수(7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조 잔사를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에 통과시키고 염기 분획을 수집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9:1, 98:2, 97:3)로, 이후 키랄 HPLC(MTBE:MeOH:BA 80:20:0.1, 12 ml/min, 250 nm, RT = 40.6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2.79 min; m/z(ES+) = 510.3 [M + H]+.
실시예 33:(3R,4S)-1-(5-{(R)-3-[1-(3-이소프로필-[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67
실시예 21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S)-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1)를 반응시켰다. 추가적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NH4OH, 98: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1 min; m/z(ES+) = 560.5 [M + H]+.
실시예 34:(3R,4S)-1-(5-{(R)-3-[1-(3-에틸-[1,2,4] 옥사디아졸 -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 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68
실시예 33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S)-1-(5-{(R)-3-[1-(3-에틸-[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2)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2.86 min; m/z(ES+) = 546.5 [M + H]+.
실시예 35:(3R,4S)-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3- 메틸피리딘 -2-일) 피롤리딘 -3-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69
실시예 18의 방법을 이용하여 [(3R,4S)-4-(2,5-디플루오로페닐)-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3-메틸피리딘-2-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93)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워크업(work-up) 후, 조 생성물을 예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교반시킨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5 min; m/z(ES+) = 555.3 [M + H]+.
실시예 36:(3R,4S)-1-(5-{(R)-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4-(2- 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3- 일아민 p- 톨루엔설폰산
Figure pct00170
아르곤 하에서, (R)-5-클로로-2-{4-[1-메틸-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제조예 4, 175 mg, 0.46 mmol) 및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 201 mg, 0.46 mmol)을 DMSO(2.5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240 μL, 1.6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링된 튜브에서 추가적인 반응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100 ℃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염수, 포화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Na2SO4)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이후 키랄 HPLC(MTBE:EtOH:THF:BA 70:20:10:0.1, 11 ml/min, 250 nm, RT = 19.2 min)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34 min; m/z(ES+) = 526.2 [M + H]+.
실시예 37:(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3,4,5,6- 테트라하이드로 -2H-[1,2']바이피리디닐-3- 일아민 이염산염
Figure pct00171
(R)-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딘(제조예 5, 127 mg, 0.30 mmol)을 디옥산(4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 112 mg, 0.36 mmol), 2,8,9-트리이소부틸-2,5,8,9-테트라아자-1-포스파바이사이클로-[3.3.3]운데칸(10 mg, 0.03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1 mg, 1.0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20분 동안 거품을 내었다. 여기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27 mg, 0.0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10분 동안 아르곤으로 거품을 낸 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12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에 통과시켰다. 염기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추가적으로 예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4M)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4 min; m/z(ES+) = 555.5 [M + H]+.
실시예 38:(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라진-2-일)피페리딘-3- 일아민 염산염
Figure pct00172
실시예 37의 방법을 이용하여 (R)-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라진(제조예 13)을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3.26 min; m/z(ES+) = 556.2 [M + H]+.
실시예 39:(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3,4,5,6- 테트라하이드로 -2H-[1,2'] 바이피리디닐 -3- 일아민 이염산염
Figure pct00173
2-브로모-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딘(123 mg, 0.29 mmol),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 109 mg, 0.35 mmol), 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잔텐(10 mg, 0.02 mmol) 및 소듐 t-부톡사이드(101 mg, 1.05 mmol)의 혼합물을 톨루엔(4 mL)에 넣고, 아르곤으로 15분 동안 거품을 내었다.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5 mg, 0.01 mmol)을 첨가하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9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여과하고,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로 정제하였다. 염기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잔사를 DCM에 용해시키고, TFA를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혼합물을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로 정제하였다. 추가적으로 예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HCl을 디옥산에 용해시킨 용액(4M)에 재용해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8 min; m/z(ES+) = 541.4 [M + H]+.
실시예 40:(3R,4R)-4-(2,5- 디플루오로페닐 )-1-(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피페리딘-3- 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74
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제조예 19, 197 mg, 0.50 mmol) 및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 156 mg, 0.50 mmol)를 DMSO(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75 μL, 0.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 ℃에서 4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DCM로 희석하고, 용액을 염수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해 통과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MeOH에 재용해시키고,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에 통과시켰다. 염기 분획을 수집하여 진공에서 농축한 다음, MeOH로 미분화시켜 [(3R,4R)-4-(2,5-디플루오로페닐)-1-(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2-일)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4.89 min; m/z(ES+) = 642.3 [M + H]+.
생성물을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FA(4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조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에 통과시켰다. 염기 분획을 수집하여 진공에서 농축하고, 예비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에 TsOH(1 당량)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2 min; m/z(ES+) = 542.3 [M + H]+.
실시예 41:(3R,4R)-1-(5-{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4-(2,5-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 일아민 p- 톨루엔설폰산
Figure pct00175
실시예 40의 방법을 이용하여 5-클로로-2-{4-[5-(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제조예 23)를 [(3R,4R)-4-(2,5-디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0)와 반응시켜, 추가적인 예비 HPLC에 의한 정제 없이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 3.25 min; m/z(ES+) = 544.3 [M + H]+.
실시예 42:(3R,4R)-1-(5-{3-[1-(5- 클로로피리미딘 -2-일)피페리딘-4-일] 프로폭시 }피리미딘-2-일)-4-(2- 플루오로페닐 )피페리딘-3- 일아민
Figure pct00176
5-클로로-2-{4-[5-(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프로필]피페리딘-1-일}피리미딘(제조예 23, 162 mg, 0.55 mmol) 및 [(3R,4R)-4-(2-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55, 130 mg, 0.33 mmol)의 혼합물을 DMSO(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80 μL, 0.5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80 ℃에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tOAc 및 물 간에 분배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3:1)로 정제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3R,4R)-1-(5-{3-[1-(5-클로로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2-일)-4-(2-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5.28 min; m/z(ES+) = 626.4 [M + H]+.
생성물을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FA(2.5 m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잔사를 EtOAc(300 mL) 및 1M NaOH(100 mL) 간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32 min; m/z(ES+) = 526.2 [M + H]+.
하기 실시예들은 실시예 42의 방법을 이용하여 관련된 글로로피리미딘과 적절한 아민 빌딩 블록과의 반응, 및 이후 탈보호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구조 이름 LCMS
43
Figure pct00177
4-((R)-3-{2-[(3R,4R)-3-아미노-4-(2-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RT = 3.15 min; m/z(ES+) = 514.3 [M + H]+.
44
Figure pct00178


(3R,4S)-1-(5-{3-[1-(5-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3-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2-일)-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아민 RT = 3.21 min; m/z(ES+) = 546.4 [M + H]+.
실시예 45: 4-((R)-3-{2-[(3R,4S)-3-아미노-4-(2,4,5- 트리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프로필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 테르 염산염
Figure pct00179
4-[(R)-3-(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7, 160 mg, 0.51 mmol) 및 [(3R,4S)-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66, 190 mg, 0.50 mmol)의 혼합물을 DMSO(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80 μL, 0.55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물을 80 ℃로 가열하였다. 조 혼합물을 EtOAc 및 물 간에 분배시킨 다음, 유기상을 분리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1.5:1)로 정제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4-((R)-3-{2-[(3R,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프로필)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4.84 min; m/z(ES+) = 636.4 [M + H]+.
생성물을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FA(2.5 mL)를 첨가하고,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용매를 진공에서 농축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잔사를 EtOAc(300 mL) 및 1M NaOH(100 mL) 간에 분배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1M HCl 용액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15 min; m/z(ES+) = 536.3 [M + H]+.
하기 실시예들은 실시예 45의 방법을 이용하여 관련된 글로로피리미딘과 적절한 아민 빌딩 블록과의 반응, 및 이후 탈보호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구조 이름 LCMS
46
Figure pct00180
(3R,4R)-4-(2-플루오로페닐)-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페리딘-3-일아민 염산염 RT = 3.08 min; m/z(ES+) = 538.3 [M + H]+.
47
Figure pct00181


(3R,4S)-1-(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프로폭시}피리미딘-2-일)-4-(2,4,5-트리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아민 RT = 3.10 min; m/z(ES+) = 546.4 [M + H]+.
실시예 48:(3R,4S)-4-(2- 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 일아민
Figure pct00182
(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174 mg, 0.46 mmol) 및 [(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 202 mg, 0.46 mmol)을 DMSO(0.9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240 μL, 1.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00 ℃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 및 물로 분배시킨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 5), 염수로 세척하고, 물(× 5), 염수,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5:5, 90:10)로 정제하고, 이후 키랄 HPLC(MTBE:MeOH:BA 80:20:0.1, 12 mL/min, 250 nm, RT = 28.7 min)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11 min; m/z(ES+) = 524.5 [M + H]+.
실시예 49:(3S,4R)-4-(2- 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 일아민
Figure pct00183
실시예 48의 방법을 이용하여(R)-2-클로로-5-{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제조예 7) 및[(트랜스)-4-(2-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9H-플루오렌-9-일메틸 에스테르 염산염(제조예 98)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키랄 HPLC: MTBE:MeOH:BA 80:20:0.1, 12 mL/min, 250 nm, RT = 34.9 min.
LCMS: RT = 2.11 min; m/z(ES+) = 524.5 [M + H]+.
실시예 50: 4-((R)-4-{2-[(3S,4S)-3-아미노-4-(2- 옥소피페리딘 -1-일)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일}-1- 메틸부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Figure pct00184
아르곤 하에서, 4-((R)-4-{2-[(3S,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옥소피페리딘-1-일)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1-메틸부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05, 17 mg, 0.03 mmol)를 DCM(1.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0.2 mL)을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물을 교반시켰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그 결과로 생성된 잔사를 MeOH에 재용해시켰다. 용액을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로 정제하였다. 염기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95:5)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85 min; m/z(ES+) = 501.5 [M + H]+.
실시예 51:(3R,4S)-4-(2,4- 디플루오로페닐 )-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 부톡시 }피리미딘-2-일) 피롤리딘 -3- 일아민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85
아르곤 하에서, [(트랜스)-4-(2,4-디플루오로페닐)-1-(5-{(R)-3-[1-(3-이소프로필-[1,2,4]옥사디아졸-5-일)피페리딘-4-일]부톡시}피리미딘-2-일)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106, 270 mg, 0.42 mmol)를 DCM(1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킨 다음, TFA(2 m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2 mL)를 첨가하고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시킨 후, 소량의 부피의 포화 NaHC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혼합물을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100:0, 99:1, 98:2, 97:3, 95:5, 90:10)로 정제하고, 이후 키랄 HPLC(MTBE:EtOH:THF:BA 77:20:3:0.1, 11 mL/min, 250 nm, RT = 26.2 min)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염기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MeOH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3.09 min; m/z(ES+) = 542.4 [M + H]+.
실시예 52: 4-((S)-2-{2-[(3R,4S)-3-아미노-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86
아르곤 하에서, 4-[2-(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12 , 125 mg, 0.35 mmol) 및 [(3R,4S)-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르밤산 t-부틸 에스테르(제조예 70, 125 mg, 0.42 mmol)를 DMSO(0.8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DBU(52 μL, 0.3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80 ℃에서 6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EtOAc(30 mL) 및 물(30 mL) 간에 분배시키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EtOAc(20 mL)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 분획을 모아 포화 NaHCO3 용액(30 mL), 염수(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킨(MgSO4) 후,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IH:EtOAc, 2:1)로 정제하고, 이후 키랄 HPLC(MTBE:THF 90:10, 13ml/min, 250nm)로 추가 정제하여 중간체 생성물인 4-((S)-2-{2-[(3R,4S)-3-t-부톡시카보닐아미노-4-(2,5-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1-일]피리미딘-5-일옥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RT = 4.76 min; m/z(ES+) = 604.2 [M + H]+.
생성물을 DCM(5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TFA(1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추가적으로 TFA의 일부(0.5 m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시켰다. 조 혼합물을 SCX 카트리지(MeOH로, 이후 MeOH에 용해된 NH4OH로 용출)에 통과시켰다. 염기 분획을 수집하여 진공에서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유리 아민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DCM(2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TsOH(1 당량)을 MeOH(1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T = 2.94 min; m/z(ES+) = 504.2 [M + H]+.
실시예 53: 4-((R)-2-{2-[(3R,4S)-3-아미노-4-(2,5- 디플루오로페닐 ) 피롤리딘 -1-일]피리미딘-5- 일옥시 }-1- 메틸에틸 )피페리딘-1- 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 p-톨루엔설폰산 염
Figure pct00187
실시예 52의 방법을 이용하여 4-[2-(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1-메틸에틸]피페리딘-1-카복실산 이소프로필 에스테르(제조예 112)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키랄 HPLC: MTBE:THF 90:10, 13 mL/min, 250 nm.
LCMS: RT = 2.99 min; m/z(ES+) = 504.2 [M + H]+.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은 하기 실험 시스템으로 측정될 수 있다:
GPR119 이스트 리포터 실험
이스트 리포터 실험
이스트 세포-기반 리포터 분석은 이미 하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Miret J. J. et al, 2002, J. biol. Chem., 277:6881-6887; Campbell R.M. et al, 1999, bioorg. Med. Chem. Lett., 9:2413-2418; King K. et al, 1990, Science, 250:121-123); WO 99/14344; WO 00/12704; 및 US 6,100,042 참조). 요약하면, 이스트 세포들은 내인성 이스트 G-알파(GPA1)가 다중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성된 G-단백질 키메라들로 삭제되거나 치환되는 바와 같이 조립되어 왔다. 부가적으로 상기 내인성 이스트 GPCR, Ste3은 선택적인 포유류 GPCR의 이종 발현을 위해 삭제되어 왔다. 상기 이스트에 있어서, 진핵 세포 내에 보존되어 있는 페로몬 신호 변화 경로(예를 들면, 미토겐이 활성된 단백질 키나아제 경로)의 구성요소은 Fus1의 발현을 유도한다. 상기 Fus1 프로모터(Fus1p)의 조절 하에서 β-갈락토시다아제(LacZ)를 위치시킴으로써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에 의해 수용체 활성화는 효소적 판독(read-out)을 이끈다.
이스트 세포들을 Agatep 등에 의해 개시된 리튬 아세테이트 방법(Agatep, R. et al, 1998, transform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the lithium acetate/single-stranded carrier DNA/polyethylene glycol(LiAc/ss-DNA/PEG) protocol. Technical Tips Online, Trends Journals, Elsevier)을 적용하여 변형시켰다. 간단하게, 이스트 세포들을 이스트 트립톤 플레이트(YT) 상에서 밤새 배양시켰다. 담체 단일-표준 DNA(10 μg), 두 개의 Fus1p-LacZ 리포터 플라스미드(하나는 URA 선택 마커와 함께, 하나는 TRP와 함께) 각각 2 μg, 이스트 발현 벡터 내의 GPR119(인간 또는 마우스 수용체) 2 μg(복제 대상 2 μg) 및 리튬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TE 완충액을 에펜도르프(Eppendorf) 튜브 내에 피펫으로 첨가하였다. 수용체/비수용체 조절을 포함하는 이스트 발현 플라스미드는 LEU 마커를 가진다. 상기 이스트 세포들을 이 혼합물 내에 주사하고, 반응을 30 ℃에서 60분 동안 진행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이스트 세포들을 42 ℃에서 15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들을 세척하고 선택 플레이트 상에 펼쳤다. 상기 선택 플레이트는 이스트 배지에서 LEU, URA 및 TRP(SD-LUT)를 빼는 것으로 임의 정의된다. 이후, 30 ℃에서 2-3일 배양시킨 후, 선택 플레이트상에 배양된 군락(콜로니)를 LacZ 분석에 사용하였다.
β-갈락토시다아제의 형광광도 효소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간 또는 마우스 GPR119 수용체를 운반하는 이스트 세포들을 불포화 농도로(즉, 상기 세포들이 계속 분열되고, 정지상(stationary phase)에 아직 도달되지 않음) 액체 SD-LUT 배지에서 밤새 배양시켰다. 이들을 광학 분석 농도가 되도록 순수 배지에 희석한 다음, 90 μL의 이스트 세포들을 96-웰 블랙 폴리스티렌 플레이트(Costar)에 첨가하였다. DMSO 및 10% DMSO 용액에서 10배 농도로 희석된 화합물을 상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30 ℃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4시간 후, 각 웰에 β-갈락토시다아제에 대한 기질을 첨가하였다. 이 실험에서 플루오레세인 디(β-D-갈락토피라노사이드)(FDG)가 사용디었으며, 플루오레세인을 방출하는 효소의 기질은 형광광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20 μL/웰의 500μM FDG/2.5% 트리톤 X100을 첨가하였다(세포 투과를 위해 세제를 필요로 함). 상기 기질을 가진 세포들을 60분 동안 배양시킨 후, 20 μL/웰의 1M 탄산나트륨을 반응의 종결 및 형광 신호의 증가를 위해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형광 미터로 485/535 nm에서 형광값을 읽었다.
실시예 1 내지 52의 모든 화합물은 이 실험에서 배경 신호(즉, 화합물이 없이 1% DMSO의 존재 하에서 얻어진 신호)에 대하여 최소 ~1.5배의 형광 신호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최소 5배 증가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cAMP 분석
재조합 인간 GPR119이 발현된 안정한 세포주가 수립되었으며, 이 세포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세포내 사이클릭 AMP(cAMP)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상기 세포 단일층을 인산 완충액 식염수로 세척하고 1% DMSO에 자극 완충액을 혼합한 용액에서의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로 37 ℃에서 30분 동안 자극시켰다. 이후, 세포들을 용해시키고, Perkin Elmer AlphaScreenTM(증폭된 발광 근거리 동질성 분석 실험) cAMP 키트를 이용하여 cAMP 내용물을 결정하였다. 완충액 및 분석 조건은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개시된 바대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세포내 cAMP 수준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EC50 <10 μM을 나타내었다. cAMP 분석에서 1 μM 미만의 E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DPP - IV 분석 방법
생성물 7-아미노-4-메틸쿠마린을 380 nm의 여기(excitation) 및 460 nm의 발광(emission) 사이의 형광을 정량함으로써 형광 발생 펩타이드 기질인 H-Gly-Pro-7-아미노-4-메틸쿠마린(GP-AMC)의 분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DPP-IV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들은 50 mM 트리스 pH 7.6, 100 μM GP-AMC, 10-25 μU 재조합 인간 DPP-IV 및 1% DMSO의 최종 농도의 다양한 저해제 희석액으로 이루어진 100 μL/웰의 최종 부피의 96-웰 플레이트(Black OptiPlate-96F)에서 수행되었다. 37 ℃에서 30분 동안 배양 후 플레이트들을 형광계로 읽었다. 재조합 인간 DPP-IV 잔사인 Asn29-Pro766는 bioMol로부터 구입되었다.
실시예 1 내지 53의 모든 화합물은 이 실험에서 IC50 < 20 μM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Ia)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IC50 < 20 μM의 활성을 가졌다.
췌장 베타 세포( HIT - T15 )의 생체 외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당뇨 효과
세포 배양
ATCC로부터 수득된 HIT-T15 세포(통로 60)들을 10% 우아 혈청(fetal calf serum) 및 30 nM 소듐 셀레나이트으로 보충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모든 실험은 문헌에 따라 통로 70 미만에서 세포에 수행되었으며, 상기 문헌은 81 이상의 통로 수에서 이러한 세포주의 변경된 특성을 개시하고 있다(Zhang HJ, Walseth TF, Robertson RP. Insulin secretion and cAMP metabolism in HIT cells. Reciprocal and serial passage-dependent relationships. diabetes. 1989 Jan;38(1):44-8).
cAMP 실험
HIT-T15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의 표준 배양 배지에 100,000 세포/0.1 mL/웰로 놓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는 폐기하였다. 세포들을 실온 및 100 μl의 자극 완충액(Hanks 완충된 염 용액, 5 mM HEPES, 0.5 mM IBMX, 0.1% BSA, pH 7.4)에서 배양시켰다. 이를 폐기하고 0.5% DMSO의 존재 하에 자극 완충액에 0.001, 0.003, 0.01, 0.03, 0.1, 0.3, 1, 3, 10, 30 μM 범위의 화합물 희석액으로 교체하였다. 세포들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시켰다. 이후, 웰 당 용해 완충액(5 mM HEPES, 0.3% 트윈-20, 0.1% BSA, pH 7.4)을 첨가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900 rpm에서 20분 동안 흔들었다. 3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입자성 물질을 제거한 다음, 시료들을 384-웰 플레이트에 2 통으로 이동시키고, 하기의 페르킨 엘머 알파스크린 cAMP 분석 키트(Perkin Elmer AlphaScreen cAMP assay kit) 설명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간단하게, 상기 키트 설명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최종 반응 성분의 농도가 동일하도록 8 μL의 시료, 5 μL의 수용체 비드 믹스 및 12 μL의 검출 믹스를 포함하는 25 μL의 반응물이 셋업(set up) 되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0분 동안 배양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를 Packard Fusion 장치를 이용하여 읽었다. 읽혀진 cAMP 측정값을 알려진 cAMP 양(0.01, 0.03, 0.1, 0.3, 1, 3, 10, 30, 100, 300, 1000 nM)의 표준 곡선과 비교하여 cAMP의 절대값으로 변환하였다. 데이터를 XLfit 3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들은 10 μM 미만의 EC50에서 cAMP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cAMP 실험에서 1 μM 미만의 EC50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인슐린 분비 실험
HIT-T15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의 표준 배양 배지에 106 세포/1 mL/웰로 놓고, 3일 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는 폐기하였다. 세포들을 119 mM NaCl, 4.74 mM KCl, 2.54 mM CaCl2, 1.19 mM MgSO4, 1.19 mM KH2PO4, 25 mM NaHCO3, pH 7.4에서 10 mM HEPES 및 0.1% 소 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보충된 Krebs-ringer 완충액(KRB)으로 2번 세척하였다. 세포들을 1 ml KRB를 이용하여 37 ℃에서 30분 동안 배양시킨 다음, KRB는 제거되었다. 이후 KRB로 30분 동안 2번째 배양시키고, 세포를 수집한 다음 각 웰에 대하여 기초 인슐린 분비 레벨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후, 화합물 희석액(0, 0.1, 0.3, 1, 3, 10 μM)을 5.6 mM 글루코오스로 보충된 1 ml KRB에 넣고 복제 웰에 첨가하였다. 37 ℃에서 30분 동안 배양 후, 시료들을 인슐린 레벨의 측정을 위해 제거하였다. 인슐린 측정은 Mercodia Rat insulin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알려진 인슐린 농도의 표준 곡선으로 하기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다. 각 웰에 대하여 인슐린 레벨을 글루코오스의 부재에서 미리 배양함으로부터 측정된 기초 분비 레벨을 뺌으로써 교정하였다. 데이터를 XLfit 3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 μM 이하의 EC50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글루코오스 내성 테스트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강 글루코오스(Glc) 내성에 대한 효과를 수컷 Sprague-Dawley 랫트에서 평가하였다.
Glc의 투여 16시간 전에 음식을 제한하고, 연구 동안 음식 제한을 유지하였다. 연구 동안 랫트는 자유롭게 물에 접근할 수 있었다. Glc의 투여 60분 전에 상기 동물의 꼬리를 자른 다음 초기 Glc 레벨의 측정을 위해 혈액(1 방울)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랫트의 무게를 잰 다음 추가적인 혈액 시료의 제거 및 상기 Glc 적량(2 g kg-1 p.o.)으로 처리 45분 전에 테스트 화합물 또는 담체(vehicle)(20% 수성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를 구강 투여하였다. Glc 투여의 5, 15, 30, 60, 120, 및 180분 후 상기 꼬리의 잘린 말단으로부터 혈액 시료를 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글루코오스-미터(OneTouch® UltraTM, Lifescan사)를 사용하여 수집한 다음 혈액 글루코오스 레벨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 통계적으로 투여량 ≤100 mg kg-1에서 Glc 내성(excursion)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강 글루코오스(Glc) 내성에 대한 효과를 또한 수컷 C57Bl/6 또는 수컷 ob/ob 마우스에서 평가될 수 있다. Glc의 투여 5시간 전에 음식을 제한하고, 연구 동안 음식 제한을 유지하였다. 연구 동안 랫트는 자유롭게 물에 접근할 수 있었다. Glc의 투여 45분 전에 상기 동물의 꼬리를 자른 다음 초기 Glc 레벨의 측정을 위해 혈액(20 μL)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마우스의 무게를 잰 다음 추가적인 혈액 시료(20 μL)의 제거 및 상기 Glc 적량(2-5 g kg-1 p.o.)으로 처리 30분 전에 테스트 화합물 또는 담체(vehicle)(20% 수성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25% 수성 Gelucire 44/14)를 구강 투여하였다. Glc 투여의 25, 50, 80, 120 및 180분 후 상기 꼬리의 잘린 말단으로부터 혈액 시료(20 μL)를 취하였다.
Glc 레벨 측정을 위한 20 μL 혈액 시료를 상기 꼬리의 잘린 말단으로부터 1회용 마이크로 피펫(Dade Diagnostics Inc., Puerto Rico) 내로 취하여 480 μL의 용혈 시약에 첨가하였다. 이후, 희석된 용혈 혈액의 20 μL 부분 표본 사본을 96-웰 분석 플레이트에 있는 180 μL의 트린더스(Trinders) 글루코스 시약(시그마 효소(Trinder) 비색법)에 첨가하였다. 혼합 후, 시료들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Glc 표준(시그마 글루코스/우레아 질소 결합된 표준 세트)에 대하여 측정값을 읽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 통계적으로 투여량 ≤100 mg kg-1에서 Glc 내성을 감소시킨다.

Claims (20)

  1.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I)]
    Figure pct00188

    (이때, p는 1 또는 2이고;
    Z는 C(O)OR4, C(O)NR4R5 또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 -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이고;
    X는 R6R66, O 및 NR7로부터 선택되고;
    Y는 플루오로 또는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는 C2 -4 알킬렌 사슬이고, 이때 X가 CR6R66인 경우, 상기 알킬렌 사슬 내 탄소들 중 하나는 O로 치환될 수 있고;
    A는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R1은 수소, 할로, 시아노, C1 - 4알킬 또는 C1 - 4할로알킬이고;
    q는 1 또는 2이고;
    R2
    Figure pct00189
    ,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 또는 1 이상의 할로 또는 메틸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이고;
    R3은 독립적으로 할로 또는 메틸이고;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1 또는 2이고;
    R4는 C2 -6 알킬 또는 C3 -6 사이클로알킬이고, 이때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C1 - 4알킬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R5는 수소 또는 C1 - 4알킬이고;
    R6 및 R66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또는 C1 - 4알킬이며;
    R7은 수소 또는 C1 - 4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Ia)에 정의된 바와 같은 입체화학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Ia)]
    Figure pct00190
    .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는 2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Z는 C(O)OR4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Z는 C1 -4 알킬, 선택적으로 C1-4 알킬로 치환된 C3 -6 사이클로알킬, C1 -4 알콕시, C1 -4 할로알킬 및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Z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옥사디아졸 또는 피리미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X는 CR6R66 또는 O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X는 O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Y는 메틸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된 C3 -4 알킬렌 사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는 메타- 또는 파라-연결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메타- 또는 파라-연결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는 파라-연결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파라-연결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는 피리딘 또는 피리미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1 이상의 할로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2는 1 이상의 플루오로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5. 실시예 1 내지 53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된 유리 염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화합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R119가 작용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방법.
  18.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PR119 및 DPP-IV가 작용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 방법.
  19.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 방법.
  20.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대사성 증후군(증후군 X), 내당능 장애, 고지질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과콜레스테롤혈증, 저HDL 수준 또는 고혈압의 치료 방법.
KR1020117024019A 2009-03-12 2010-03-12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KR201101330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904285.4 2009-03-12
GBGB0904285.4A GB0904285D0 (en) 2009-03-12 2009-03-12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045A true KR20110133045A (ko) 2011-12-09

Family

ID=4060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019A KR20110133045A (ko) 2009-03-12 2010-03-12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20059014A1 (ko)
EP (1) EP2406251A1 (ko)
JP (1) JP2012520283A (ko)
KR (1) KR20110133045A (ko)
CN (1) CN102395578A (ko)
AU (1) AU2010222672A1 (ko)
BR (1) BRPI1009783A2 (ko)
CA (1) CA2754791A1 (ko)
CL (1) CL2011002182A1 (ko)
EA (1) EA201190207A1 (ko)
GB (1) GB0904285D0 (ko)
IL (1) IL215050A0 (ko)
MA (1) MA33241B1 (ko)
MX (1) MX2011009493A (ko)
PE (1) PE20120218A1 (ko)
SG (1) SG174363A1 (ko)
WO (1) WO2010103334A1 (ko)
ZA (1) ZA201107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7751A1 (de) * 2007-02-16 2008-08-2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Neue substituierte Arylsulfonylglycin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102007035333A1 (de) * 2007-07-27 2009-01-29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Neue substituierte Arylsulfonylglycine,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TW201113269A (en) 2009-06-24 2011-04-16 Boehringer Ingelheim Int New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WO2010149684A1 (en) 2009-06-24 2010-12-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w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EP2547339A1 (en) 2010-03-18 2013-01-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bination of a gpr119 agonist and the dpp-iv inhibitor linaglipt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nditions
GB201006167D0 (en) * 2010-04-14 2010-05-26 Prosidion Lt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GB201114389D0 (en) 2011-08-22 2011-10-05 Prosidion Ltd Novel compounds
AR083904A1 (es) 2010-11-18 2013-04-10 Prosidion Ltd Derivados de 1,4-pirrolidinas disustituidos y 3-il-aminas y sus usos en el tratamiento de desordenes metabolicos
PL2712358T3 (pl) * 2011-05-13 2017-05-31 Array Biopharma, Inc. Związki mocznika pirolidynowego, tiomocznika pirolidynowego oraz guanidyny pirolidynowej jako inhibitory kinazy trka
KR101913619B1 (ko) 2011-06-09 2018-12-28 리젠 파마슈티컬스 소시에떼 아노님 Gpr-119의 조절제로서의 신규한 화합물
GB2497351A (en) * 2011-12-09 2013-06-12 Prosidion Ltd Compounds useful as GPR119 agonists
EP2872127A1 (en) 2012-07-11 2015-05-20 Elcelyx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statins, biguanides and further agents for reducing cardiometabolic risk
WO2016131198A1 (en) * 2015-02-18 2016-08-25 Eli Lilly And Company Pyrazole compounds
EP4219449A3 (en) * 2016-03-16 2023-10-11 Kura Oncology, Inc. Substituted indole derivativ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0042A (en) 1993-03-31 2000-08-08 Cadus Pharmaceutical Corporation Yeast cells engineered to produce pheromone system protein surrogates, and uses therefor
GB9719496D0 (en) 1997-09-13 1997-11-19 Glaxo Group Ltd G protien chimeras
AU5700999A (en) 1998-09-01 2000-03-21 Basf Aktiengesellschaft Enhanced functional expression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US6221660B1 (en) 1999-02-22 2001-04-24 Synapt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DNA encoding SNORF25 receptor
NZ547965A (en) 2003-12-24 2009-12-24 Prosidion Ltd 1,2,4-Oxadiazole derivatives as GPCR receptor agonists
US20080312281A1 (en) 2004-12-24 2008-12-18 Matthew Colin Thor Fyfe G-Protein Coupled Receptor (Gpr116) Agonist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Obesity and Diabetes
EP1838706A1 (en) 2004-12-24 2007-10-03 Prosidion Limi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agonists
GB0428514D0 (en) 2004-12-31 2005-02-09 Prosidion Ltd Compounds
JP5114395B2 (ja) 2005-06-30 2013-01-09 プロシディオン・リミテッド Gpcrアゴニスト
JP2008545008A (ja) 2005-06-30 2008-12-11 プロシディオン・リミテッド Gpcrアゴニスト
NZ564759A (en) 2005-06-30 2011-08-26 Prosidion Ltd GPCR agonists
EP1909791A1 (en) 2005-06-30 2008-04-16 Prosidion Limi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agonists
WO2007116229A1 (en) 2006-04-06 2007-10-18 Prosidion Limited Heterocyclic gpcr agonists
GB0607196D0 (en) 2006-04-11 2006-05-17 Prosidion Ltd G-protein coupled receptor agonists
GB0610746D0 (en) 2006-06-01 2006-07-12 Prosidion Ltd Method of treatment
WO2007148185A2 (en) 2006-06-21 2007-12-27 Pfizer Products Inc. Substituted 3 -amino- pyrrolidino-4 -lactams as dpp inhibitors
MX2009005935A (es) * 2006-12-06 2009-06-30 Smithkline Beecham Corp Compuestos biciclicos y su uso como anti-diabeticos.
GB0700122D0 (en) 2007-01-04 2007-02-14 Prosidion Ltd GPCR agonists
ES2373181T3 (es) 2007-01-04 2012-02-01 Prosidion Ltd Agonistas de gpcr de piperidina.
AR064735A1 (es) * 2007-01-04 2009-04-22 Prosidion Ltd Agonistas de gpcr y composicion farmaceutica en base al compuesto
AR064736A1 (es) 2007-01-04 2009-04-22 Prosidion Ltd Agonistas de gpcr
BRPI0806312A2 (pt) 2007-01-04 2011-09-06 Prosidion Ltd agonistas cgpr piperidina
US20080186971A1 (en) 2007-02-02 2008-08-07 Tarar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ccess control lists (acls) in network switches using regular expression matching logic
EP2185544B1 (en) 2007-07-19 2014-11-26 Cymabay Therapeutics, Inc. N-azacyclic substituted pyrrole, pyrazole, imidazole, triazole and tetrazole derivatives as agonists of the rup3 or gpr119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metabolic disorders
EP2200609A1 (en) 2007-09-10 2010-06-30 Prosidion Limit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GB0720389D0 (en) 2007-10-18 2008-11-12 Prosidion Ltd G-Protein Coupled Receptor Agonists
WO2009050971A1 (ja) 2007-10-18 2009-04-23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金属被覆ポリイミド複合体及び同複合体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101621337B (zh) 2008-06-30 2013-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延调节装置与方法
AU2009269772A1 (en) 2008-07-10 2010-01-14 Prosidion Limited Piperidinyl GPCR agonists
GB0812641D0 (en) 2008-07-10 2008-08-20 Prosidion Ltd Compounds
CN102089301A (zh) 2008-07-10 2011-06-08 普洛希典有限公司 哌啶gpcr激动剂
GB0812648D0 (en) 2008-07-10 2008-08-20 Prosidion Lt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15050A0 (en) 2011-11-30
JP2012520283A (ja) 2012-09-06
MX2011009493A (es) 2011-10-11
CN102395578A (zh) 2012-03-28
EP2406251A1 (en) 2012-01-18
US20120059014A1 (en) 2012-03-08
CA2754791A1 (en) 2010-09-16
CL2011002182A1 (es) 2012-03-30
PE20120218A1 (es) 2012-03-19
MA33241B1 (fr) 2012-05-02
BRPI1009783A2 (pt) 2016-03-08
AU2010222672A1 (en) 2011-11-03
SG174363A1 (en) 2011-10-28
EA201190207A1 (ru) 2012-04-30
ZA201107449B (en) 2012-06-27
GB0904285D0 (en) 2009-04-22
WO2010103334A1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3045A (ko)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KR20110130476A (ko) 대사성 장애의 치료용 화합물
AU2004303604B2 (en) Heterocyclic derivatives as GPCR receptor agonists
EP2013201B1 (en) Heterocyclic gpcr agonists
KR101697982B1 (ko) 신규 피리미딘 및 피리딘 화합물 및 이들의 용도
RU2425826C2 (ru)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ITPKb
US20200024266A1 (en)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s
WO2011147951A1 (en) Cycloamino derivatives as gpr119 antagonists
US20120077793A1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TW201309702A (zh) 用於調節g蛋白質耦合受體的新穎雙環化合物
AU2009315448B2 (en) Carbamate derivatives of alkyl-heterocycles, preparation thereof and therapeutic use thereof
WO2012066077A1 (en) 1,4 di substituted pyrrolidine - 3 - yl -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TW202112768A (zh) 二取代吡唑化合物
JP2013503126A (ja) Nk3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ピロリジン誘導体
AU2012311698A1 (en) N-piperidin-4-yl derivatives
WO2012006955A1 (en) Compounds for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CN111909133B (zh) 作为布鲁诺酪氨酸激酶抑制剂的取代的1-氨基-1h-咪唑-5-甲酰胺
WO2011128394A1 (en) 3-substituted 5-(pyrrolidine-1-carbonyl) pyrrolidine and its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WO2013026587A1 (en) 1,4 disubstituted pyrrolidine - 3 - yl -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AU2010209825A1 (en) Piperidine derivatives as NK3 receptor antagonists
GB2488360A (en) Heterocyclic GPCR agon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