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952A -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952A
KR20110130952A KR1020100050531A KR20100050531A KR20110130952A KR 20110130952 A KR20110130952 A KR 20110130952A KR 1020100050531 A KR1020100050531 A KR 1020100050531A KR 20100050531 A KR20100050531 A KR 20100050531A KR 20110130952 A KR20110130952 A KR 2011013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nput
sound source
background music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614B1 (ko
Inventor
유휘만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0005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614B1/ko
Priority to US13/117,835 priority patent/US8728822B2/en
Priority to JP2011118628A priority patent/JP5530977B2/ja
Publication of KR2011013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63F2300/6081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generating an output signal, e.g. under timing constraints, for spatia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21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 G10H2210/026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for games, e.g. video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325Synchronizing two or more audio tracks or files according to musical features or musical tim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ANCE GAME}
본 발명은 연주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주게임은 사용자가 연주 조작을 통해 음악을 연주하면 정해진 음과 비주얼 등의 클립이 단순히 처음 부분부터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주게임 방식으로는 사용자의 게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으며, 여러 번 게임을 하다 보면 게임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사운드뿐만 아니라 영상에 대한 연출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사운드 설정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연주 입력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단계;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을 출력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을 출력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백그라운드 음악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 중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백그라운드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음원을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백그라운드 음악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 중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영상을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음악 및 상기 음악과 연계된 영상 중 하나 이상이 재생되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악 및 상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사운드뿐만 아니라 영상에 대한 연출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 화면의 예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 방식의 예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롱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숏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뮤트신호의 발생과, 롱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뮤트신호의 발생과, 롱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음원 전환 효과를 위한 숏 연주음원, 연주 지시자 및 뮤트신호의 설정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예시에 따른 음원 전환 효과를 나타낸 신호 그래프이다.
도 14는 음원 전환 효과를 위한 숏 연주음원, 연주 지시자 및 뮤트신호의 다른 설정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예시에 따른 음원 전환 효과를 나타낸 신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100, 이하 "연주게임장치"라 함)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연주 연출조작에 따라 해당 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연주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사운드 설정부(110)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연주 입력부(150)와,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제1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특정 제2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백그라운드 음악(BS: Background Sound)은 연주게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되거나, 디폴트 또는 게임 환경 설정값에 따라 설정된 음악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1연주음원 및 제2연주음원 각각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주음악이거나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주음일 수 있다. 여기서, 연주음악은 노래 등의 리듬을 갖는 음원이고, 연주음은 리듬을 갖기보다는 특정 악기의 소리나 특정 효과음을 의미한다.
제1연주음원은 백그라운 음악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기화된 연주음원으로서, 백그라운드 음악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일하거나 거의 비슷한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 연주음원의 한 종류이다. 제2연주음원은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 재생구간과 동기화된 연주음원으로서, 제1연주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 연주음원의 다른 한 종류이다. 제1연주음원은 제2연주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제1연주음원을 롱 연주음원(LS: Long Performance Sound Source)이라고 하고, 제2연주음원을 숏 연주음원(SS: Short Performance Sound Source)이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연주입력신호(IN: Performance Input Signal)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발생 된 신호로서, 이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조작하기 시작한 '입력시점'과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지속적으로 조작한 시간인 '입력지속시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입력시점은 연주 연출의 타이밍에 대한 연주 판정과 출력할 연주음원의 선택과 관련된 정보이고, 입력지속시간은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에 대한 연주판정과 선택된 연주음원의 출력지속시간과 관련된 정보이다. 연주입력신호의 발생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장치는 버튼 형태 또는 스틱 형태 등의 별도의 입력장치일 수도 있고,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터치 입력장치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그 어떠한 형태의 입력장치로도 구현가능하다.
전술한 사운드 설정부(110)가 연주음원으로서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해 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는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으로부터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을 확인하고,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과 동기화된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운드 설정부(110)가 연주음원으로서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동기화하여 설정해 둔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된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에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으로부터 확인된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이 포함된 백그라운드 음악의 구간과 동기화된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면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과 대응되는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특정 제2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함께 출력하고, 판단 결과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백그라운드 음악만 계속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구간에서 뮤트신호(MS: Mute Signal)를 발생시키는 뮤트신호 발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뮤트신호 발생부(130)는, 뮤트신호가 발생되는 시간에 대한 시작과 끝 위치를 설정 정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뮤트신호 발생부(130)는, 복수의 뮤트신호를 각기 다른 또는 동일 길이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뮤트신호 발생부(130)에서의 뮤트신호 발생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는, 뮤트신호의 발생이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백그라운드 음악의 볼륨을 줄여서 출력하거나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뮤트신호의 발생이 종료되면,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줄였던 볼륨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출력하거나 출력되지 않던 백그라운드 음악을 다시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뮤트신호 발생부(130)는, 연주음원이 없는 부분에서 뮤트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뮤트신호의 발생 시간에 사용자가 연주를 하게 되면, 백그라운드 음악 (및 백그라운드 영상)이 잠시 꺼지는 듯한 연출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연주 연출조작에 따라 해당 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도 함께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폭 넓은 연주 연출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과 대응된 백그라운드 영상과,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연주영상 또는 복수의 제2연주음원과 각각 대응된 제2연주영상을 설정하는 영상 설정부(120)와, 백그라운드 영상, 제1연주영상 및 제2연주영상 중 하나 이상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영상 출력 제어부(170)는, 백그라운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 음악과 대응하여 설정된 백그라운드 영상을 출력하고,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백그라운드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연주영상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특정 제2연주음원과 대응된 제2연주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뮤트신호 발생부(130)에 의해 뮤트신호가 발생하면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이 제어되는데, 이와 함께 백그라운드 영상의 출력도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출력 제어부(170)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구간에서 뮤트(Mute)신호의 발생이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백그라운드 영상의 화면에 대한 투명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백그라운드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트신호가 존재하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발생하면 백그라운드 영상을 투명하게 출력하거나 검은색의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 제어부(170)는, 뮤트신호의 발생이 종료되면 백그라운드 영상의 화면에 대한 투명도 또는 색상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출력하거나 백그라운드 영상을 다시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연주 연출조작에 따라 해당 연주음원의 출력과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등의 사운드 출력 제어는 물론, 이러한 사운드 출력 제어와 연계된 영상 출력 제어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사운드 및 영상에 대한 연주 연출을 가능하게 하여 연주게임의 흥미를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백그라운드 영상, 제1연주영상 및 제2연주영상 각각은, 미리 설정된 영상이거나 미리 설정된 이미지나 사진 등일 수도 있다.
제1연주영상은 백그라운드 음악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기화된 연주음원인 제1연주음원(롱 연주음원)과 대응되는 연주영상으로서, 백그라운드 영상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일하거나 거의 비슷한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 연주영상의 한 종류이다. 제2연주영상은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 재생구간과 동기화된 연주음원인 제2연주음원(숏 연주음원)과 대응되는 연주영상으로서, 제1연주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 연주영상의 다른 한 종류이다. 제1연주음원이 제2연주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제1연주음원을 롱 연주음원이라고 하고, 제2연주음원을 숏 연주음원이라고 하는 것처럼, 제1연주영상을 롱 연주영상이라 하고 제2연주영상을 숏 연주영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주 지시자(PI: Performance Indicate)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연주 지시자는, 화면상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고정형이거나,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형일 수 있다.
전술한 화면 표시부(140)는, 연주 지시자가 고정형인 경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 지시자(MI: Moved Indicate)를 더 표시하고,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인 경우 연주 지시자가 이동하여 도달하는 위치에 고정 지시자(FI: Fixed Indicate)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연주 지시자는,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즉, 연주 연출 조작 시점)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한 기능 이외에,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을 알려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 근처에 연주 지시자를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연주게임 방식의 다양성과 흥미 유발을 위해, 제2연주음원이 설정되지 않은 곳에 연주지시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화면 표시부(140)는, 연주 지시자를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 근처 또는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과는 무관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 도면을 참조하면, 연주 지시자 PI1, PI2 및 PI4 각각은 제2연주음원 SS1, SS2 및 SS4이 설정된 지점 근처에 표시되어 있고, 연주 지시자 PI3은 제2연주음원과는 무관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연주 지시자 각각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하여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연주입력신호에 따른 연주 연출을 판정하는 연주 판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주 판정부(180)는,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연주 지시자의 위치와 다른 지시자의 위치를 비교하여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른 연주 연출의 타이밍이 맞는지를 판정하거나,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과 연주 지시자의 길이를 비교하여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이 맞는지를 판정하는 연주 판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주 지시자는, 화면상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고정형이거나,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연주 지시자와 비교되는 다른 지시자는, 연주 지시자가 고정형인 경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 지시자이고,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인 경우 연주 지시자가 이동하여 도달하는 위치에 고정 지시자일 수 있다.
전술한 연주 판정부(180)에 의한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 지속시간 중 하나 이상의 판정 결과에 따라, 제1연주음원과, 제2연주음원과,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 연주영상과, 제2연주음원과 대응된 제2연주영상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시간 또는 출력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판정 결과에 따라 연주음원 및/또는 연주영상의 출력 시간 제어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연주 판정부(180)에 의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연주 지시자의 위치와 다른 지시자의 앞 부분의 위치가 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타이밍이 맞다고 판정되고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과 연주 지시자의 길이(시간적 길이)가 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이 맞다고 판정된 경우에만,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음원 또는 제2연주음원이 출력되고, 영상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영상 또는 해당 제2연주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위의 예와 같이, 연주 연출의 타이밍과 지속시간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만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연주음원(제1연주음원/제1연주영상 또는 제2연주음원/제2연주영상)을 출력하는 엄격한 연주음원/연주영상 출력 방식 이외에도, 게임 난이도, 게임자 레벨, 또는 게임 옵션 등에 따라, 아래와 같은 완화된 연주음원/연주영상 출력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완화된 연주음원/연주영상 출력방식 중 하나로서, 전술한 연주 판정부(180)에 의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과 연주 지시자의 길이가 불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이 틀린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연주 지시자의 위치와 다른 지시자의 앞 부분의 위치가 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타이밍이 맞다고 판정된 경우,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음원 또는 제2연주음원이 출력되고, 영상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영상 또는 해당 제2연주음원이 출력될 수도 있다.
더 완화된 연주음원/연주영상 출력방식 중 하나로서, 전술한 연주 판정부(180)에 의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연주 지시자의 위치와 다른 지시자의 앞 부분의 위치가 불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타이밍이 틀린 것으로 판정되고,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과 연주 지시자의 길이가 불일치하여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이 틀린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연주 지시자의 위치가 다른 지시자의 중간 부분에 있다면, 사운드 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음원 또는 제2연주음원이 출력되고, 영상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연주 지시자의 길이만큼의 해당 제1연주영상 또는 해당 제2연주음원이 출력될 수도 있다.
판정 결과에 따라 연주음원 및/또는 연주영상의 출력 여부가 제어될 수도 있는데, 가령, 판정 결과, 연주 지시자에 대하여 연주를 잘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즉,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또는 지속시간이 틀린 경우), 해당 연주음원(제1연주음원/제1연주영상 또는 제2연주음원/제2연주영상)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연주 판정부(180)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틀린 연주(즉,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또는 지속시간이 틀린 것으로 판정된 연주 연출) 또는 바른 연주(즉,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또는 지속시간이 맞는 것으로 판정된 연주 연출)에 대응되는 효과음 및 효과영상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주 판정 결과, 연주 지시자에 대하여 연주를 잘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즉,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또는 지속시간이 틀린 경우), 해당 연주음원(제1연주음원 또는 제2연주음원)이 출력되는 대신, 해당 틀린 연주에 대응되는 효과음 및 효과영상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백그라운드 음악 및/또는 백그라운드 영상은 겹쳐서 출력될 수도 있고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오락실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기일 수 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 Station Portabl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edia Player), 스마트 폰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휴대형 단말기이거나, 데스크 탑이나 랩 탑 등의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는 입력장치, 메모리(저장장치), 사운드 출력장치(예: 스피커 등), 영상 출력장치(예: 디스플레이 등) 등을 구비한 어떠한 기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연주게임 화면 구성의 예시들을 도 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며, 도 2의 연주게임 화면 구성의 예시들에 따른 연주게임 방식들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가 연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엘리먼트(연주 지시자, 연주음원, 뮤트신호 등)의 설정 방식과 연주 연출의 예시에 따른 사운드 출력의 제어를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하 예시적 설명에서는, 제1연주음원, 제2연주음원, 제1연주영상 및 제2연주영상을 각각 롱 연주음원, 숏 연주음원, 롱 연주영상 및 숏 연주영상으로 기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 화면에 대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연주게임을 위한 연주게임 화면에는 연주 연출을 위한 조작 시점, 즉,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한 연주 지시자(PI)가 이동형 또는 고정형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연주 지시자가 고정형인 경우의 연주게임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2의 (a)이고,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인 경우의 연주게임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2의 (b)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연주게임 화면에는 PI1, PI2, PI3 및 PI4를 포함하는 4개의 고정형 연주 지시자가 표시된다. 이 경우, 연주게임 화면에는 이동 지시자(MI)가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위쪽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형 연주 지시자들인 PI1, PI2, PI3 및 PI4를 순서대로 지나가면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 지시자(MI)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현재 재생지점을 지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동형 판정 지시자(판정부)라고도 할 수 있다.
만약, 이동 지시자(MI)가 PI1, PI2, PI3 및 PI4 중 하나의 고정형 연주 지시자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해당 연주입력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고정형 연주 지시자의 길이(시간적 길이)만큼 입력장치를 지속적으로 조작하여 해당 연주입력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연주게임 화면에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아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PI1, PI2, PI3 및 PI4를 포함하는 4개의 이동형 연주 지시자가 표시된다. 이 경우, 연주게임 화면에는 이동형 연주 지시자가 도달 가능한 하단에 고정 지시자(FI)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지시자를 고정형 판정 지시자(판정부)라고도 할 수 있다.
만약, PI1, PI2, PI3 및 PI4 중 하나의 이동형 연주 지시자가 고정 지시자(FI)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해당 연주입력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이동형 연주 지시자의 길이(시간적 길이)만큼 입력장치를 지속적으로 조작하여 해당 연주입력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의 (a) 및 (b)에서의 연주게임 화면의 구성은, 이동 가능한 지시자(도 2의 (a)의 이동 지시자(MI)와 도 2의 (b)의 이동형 연주 지시자(PI1,PI2,PI3,PI4))가 세로 방향(위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형태를 갖는 구성이다.
연주게임 화면의 구현 방식이나 사용자 선택 등에 따라서는, 이동 가능한 지시자(도 2의 (a)의 이동 지시자(MI)와 도 2의 (b)의 이동형 연주 지시자(PI1,PI2,PI3,PI4))의 이동하는 방향 측면에서, 연주게임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지시자가 세로 방향(위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로 타입의 구성일 수도 있고, 가로 방향(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 타입의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지시자(도 2의 (a)의 이동 지시자(MI)와 도 2의 (b)의 이동형 연주 지시자(PI1,PI2,PI3,PI4))의 이동하는 경로 측면에서, 연주게임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지시자가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직선 경로 이동 타입의 구성일 수도 있고,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곡선 경로 이동 타입의 구성일 수도 있다.
도 2에 예시된 연주게임 화면에서의 연주 지시자와, 다른 지시자(이동 지시자 및 고정 지시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그 형태, 색상, 개수 등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연주게임 화면에서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을 지시하는 어떠한 재생 바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 방식의 예시도들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연주게임 화면 구성(고정형 연주 지시자와 이동 지시자가 표시된 연주게임 화면 구성)에서의 연주게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b)의 연주게임 화면 구성(이동형 연주 지시자와 고정 지시자가 표시된 연주게임 화면 구성)에서의 연주게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주게임을 위해, 소정의 전체 재생시간을 갖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 정보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 정보 등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과 동기화될 연주음원이 결정되어 설정된다. 도 3에서, 연주음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기화되는 롱 연주음원(LS, 제1연주음원)인 것으로 가정한다.
설정된 롱 연주음원(LS)의 길이(전체 재생시간)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길이(전체 재생시간)는 기본적 동일하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만약, 롱 연주음원(LS)의 길이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면, 백그라운드 음악(BS)이 끝나는 시점에 연주게임의 스테이지가 종료되므로 덜 재생된 롱 연주음원(LS)의 데이터만큼 데이터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설정되면, 설정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롱 연주음원(LS)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사운드 설정부(11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롱 연주음원들의 리스트만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알려주어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하거나, 기 저장된 롱 연주음원들 중에서, 설정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롱 연주음원을 검색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주게임을 위한 백그라운드 음악(BS)와 롱 연주음원(LS)이 설정되고 나면, 연주게임을 위한 사용자 가이드 역할을 하는 지시자들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되는데,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시자는 연주 지시자(PI: Performance Indicate)와, 이와 대응되는 다른 지시자가 있다.
연주 지시자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고정형 연주 지시자일 수도 있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이동형 연주 지시자일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게임 화면에 고정형 연주 지시자(PI1~PI4)가 표시된 경우, 연주게임 화면에는, 이러한 고정형 연주 지시자를 향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진행 또는 속도 등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지시자(MI)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 지시자(MI)의 위치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현재 재생 위치에 해당하며, 이동 지시자(MI)의 이동 방향은, 그 어떠한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형 연주 지시자의 위치는, 직선 형태로 나열되거나 곡선 형태 등의 다른 형태로 나열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지시자(MI)의 이동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게임 화면에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진행 또는 속도 등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연주 지시자(PI1~PI4)가 표시된 경우, 연주게임 화면에는, 이러한 이동형 연주 지시자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진행 또는 속도 등에 따라 이동하면서 향하게 되는 고정 지시자(FI)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형 연주 지시자의 이동 방향은, 그 어떠한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형 연주 지시자의 이동 형태는, 직선 형태로 이동하거나 곡선 형태 등의 다른 형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과 롱 연주음원(LS)이 설정된 이후,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재생되어 출력되기 시작하면서, 동시에 연주 지시자 및 그와 대응되는 다른 지시자들이 표시되고, 이동 가능한 지시자(들)이 이동하면서 연주게임이 시작된다. 이후, 연출 방식, 사운드 출력 제어 및 연출 판정 방식은 도 3의 (a)와 (b)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와 (b) 각각에서의 연출 방식, 사운드 출력 제어 및 연출 판정 방식은,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이든 고정형이든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 3의 (a)와 같은 연주게임 화면 구성에서 연출 방식, 사운드 출력 제어 및 연출 판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이동하고 있는 이동 지시자(MI)가 고정형 연주 지시자와 일치하게 되는 타이밍에,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고정형 연주 지시자의 길이 또는 원하는 시간 동안 조작하여 연주 연출을 시도한다. 연주게임 장치(100)는, 이러한 연주 연출 시도에 따라 입력장치를 통해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의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점과 동기화된 롱 연주음원(LS)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롱 연주음원(LS)을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를 한다. 이때, 롱 연주음원(LS)과 연계된(대응된) 롱 연주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고정형 연주 지시자와 이동 지시자(MI)의 위치를 비교하여 연주 판정을 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은 연주게임 화면 구성에서 연출 방식, 사운드 출력 제어 및 연출 판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이동하고 있는 이동형 연주 지시자(PI1~PI4)가 고정 지시자(FI)와 일치하게 되는 타이밍에,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동형 연주 지시자의 길이 또는 원하는 시간 동안 조작하여 연주 연출을 시도한다. 연주게임 장치(100)는, 이러한 연주 연출 시도에 따라 입력장치를 통해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의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점과 동기화된 롱 연주음원(LS)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롱 연주음원(LS)을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를 한다. 이때, 롱 연주음원(LS)과 연계된(대응된) 롱 연주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이동형 연주 지시자와 고정 지시자(FI)의 위치를 비교하여 연주 판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주 판정과 사운드 출력 제어(및 영상 출력 제어)는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주 판정 결과에 관계없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따라 해당 연주음원(롱 연주음원 또는 숏 연주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연주 판정 결과에 따라,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따라 해당 연주음원(롱 연주음원 또는 숏 연주음원)을 출력의 상태나 출력 유무를 제어할 수도 있고, 다른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 화면 구성의 예시와, 그에 따른 연주게임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전술한 연주게임 방식(연주 연출, 사운드 출력 제어, 영상 출력 제어, 연주 판정 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특히,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에 대한 예시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연주입력신호와 그에 따른 사운드 출력 제어 등을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아래에서는, 연출 방식, 사운드 출력 제어 및 연출 판정 방식 등은,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이든 고정형이든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 언급되는 연주 지시자는 이동형 연주 지시자일 수도 있고 고정형 연주 지시자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주 지시자와 대응되는 다른 지시자(고정 지시자, 이동 지시자)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롱 연주음원(LS)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PI1~PI4)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IN0~IN4)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예시 도면에서, 롱 연주음원(LS)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전체 재생시간에 대하여 동기화되어 설정된다. 그리고, 4개의 연주 지시자(PI1~PI4)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특정 구간에 특정 길이(시간적 길이)로 표시되며, 고정형 지시자를 향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흐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형 연주 지시자이거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흐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지시자가 향하게 되는 고정형 연주 지시자일 수 있다.
도 4의 예시 도면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5번의 연주 연출을 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연주게임장치(100)는 각기 다른 입력시점에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다. 연주입력신호 IN0는 S0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0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0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O 시점와 E0-S0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1는 S1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1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1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1 시점과 E1-S1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2는 S2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2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2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2 시점과 E2-S2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3은 S3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3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3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3 시점과 E3-S3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4는 S4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4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4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4 시점과 E4-S4 시간이다.
전술한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 각각에 대하여, 연주게임장치(100)는 그에 맞는 롱 연주음원에 대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기화된 롱 연주음원(LS)을 연주음원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 제어의 결과를 도 5를 참조하여 신호 그래프 형태로 알아본다.
도 5는 도 4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주게임을 시작하기 전, S 시점에서 E 시점까지 재생되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연주게임을 위한 음악으로 설정되고,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 연주음원(LS)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전체 재생시간(S~E)에 동기화되어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연주게임을 시작하면, 도 5의 (a)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재생되어 S 시점부터 재생되어 출력되기 시작하여 E 시점까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화면에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재생 흐름에 맞추어 이동 지시자가 이동하면서, 도 5의 (c)와 같은 형태로 4개의 연주 지시자(PI1~PI4)를 지나가게 된다. 사용자는 이동 지시자와 연주 지시자의 위치가 일치하는 시점에 정확히 연주 연출을 하기 위하여, 입력장치를 조작하게 되면, 그때마다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연주 지시자의 가이드에 따라 입력된 연주입력신호가 IN1, IN2, IN4이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지시자가 연주 지시자가 없는 곳을 지나갈 때에도 연주 연출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주 지시자의 가이드 없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연주 연출 조작하여 입력된 연주입력신호는 IN0와 IN3이다. 또는 연주 지시자 PI3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연주 연출 조작을 하지 못하여 그 시점에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 전술한 바에 따라 입력된 모든 연주입력신호 IN0~IN4는 도 5의 (e)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연주게임장치(100)는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에 맞는 롱 연주음원(LS)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롱 연주음원(LS)의 출력은 도 5의 (b)와 같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대응되는 롱 연주음원의 지점부터 롱 연주음원을 출력하기 시작하여,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도 5의 (e) 및 (b)를 참조하면, 입력시점이 SO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0-S0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0에 대해서는, 롱 연주음원은 SO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0-S0 시간 동안 출력된다. 입력시점이 S1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1-S1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1에 대해서는, 롱 연주음원은 S1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1-S1 시간 동안 출력된다. 입력시점이 S2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2-S2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2에 대해서는, 롱 연주음원은 S2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2-S2 시간 동안 출력된다. 입력시점이 S3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3-S3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3에 대해서는, 롱 연주음원은 S3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3-S3 시간 동안 출력된다. 입력시점이 S4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4-S4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4에 대해서는, 롱 연주음원은 S4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4-S4 시간 동안 출력된다.
도 5의 (a)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과, 도 5의 (b)의 롱 연주음원(LS)의 출력을 보면, 롱 연주음원(LS)이 출력되는 구간(S0~E0 구간, S1~E1 구간, S2~E2 구간, S3~E3 구간, S4~E4 구간)에서는 롱 연주음원(LS)과 백그라운드 음악(BS)이 함께 출력되고, 롱 연주음원(LS)이 출력되지 않는 나머지 구간에서는 백그라운드 음악(BS)만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의 연주 연출 조작에 따른 연주 연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숏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예시 도면에서,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 각각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특정 재생구간에 동기화되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개수의 숏 연주음원(SS)을 백그라운드 음악(BS)과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것은,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전체 재생시간과 동기화된 롱 연주음원(LS)을 설정하는 것에 비해, 연주음원의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은, 모두 다른 숏 연주음원일 수도 있고, 연주음원의 데이터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숏 연주음원일 수도 있다. 또한,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 중 하나 이상의 숏 연주음원은, 둘 이상의 숏 연주음원을 조합한 형태의 숏 연주음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주음원의 데이터 용량을 줄이는 효과 이외에도 독특한 연주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예시 도면에서, 4개의 연주 지시자(PI1~PI4)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특정 재생구간에 특정 길이(시간적 길이)로 표시된다. 4개의 연주 지시자 중 PI3은 숏 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이 아닌 곳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4개의 연주 지시자(PI1~PI4)는 고정형 지시자를 향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흐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형 연주 지시자이거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흐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지시자가 향하게 되는 고정형 연주 지시자일 수 있다.
도 6의 예시 도면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5번의 연주 연출을 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연주게임장치(100)는 각기 다른 입력시점에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다. 연주입력신호 IN0는 S0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0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0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O 시점와 E0-S0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1는 S1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1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1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1 시점과 E1-S1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2는 S2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2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2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2 시점과 E2-S2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3은 S3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3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3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3 시점과 E3-S3 시간이다. 연주입력신호 IN4는 S4 시점에 입력되기 시작하여 E4 시점까지 지속되므로, 연주입력입력신호 IN4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은 S4 시점과 E4-S4 시간이다.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 중 IN0와 IN3은 연주 지시자가 표시된 않은 지점(시점)에 사용자가 임의로 연주 연출 조작하여 입력된 연주입력신호이다. 나머지 연주입력신호 IN1, IN2, IN4 각각은 연주 지시자 PI1, PI2, PI4의 가이드에 따라 사용자가 연주 연출 조작하여 입력된 연주입력신호이다.
전술한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 각각에 대하여, 연주게임장치(100)는 그에 맞는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에 대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4군데의 구간과 각각 동기화된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을 연주음원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사운드 출력 제어의 결과를 도 7을 참조하여 신호 그래프 형태로 알아본다.
도 7은 도 6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주게임을 시작하기 전, S 시점에서 E 시점까지 재생되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연주게임을 위한 음악으로 설정되고,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의 S1~E1 근처 구간, S2~E2 근처 구간, S3~E3 근처 구간 및 S4~E4 근처 구간에 각각 동기화되어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연주게임을 시작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BS)이 재생되어 S 시점부터 재생되어 출력되기 시작하여 E 시점까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화면에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재생 흐름에 맞추어 이동 지시자가 이동하면서, 도 7의 (c)와 같은 형태로 4개의 연주 지시자(PI1~PI4)를 지나가게 된다. 사용자는 이동 지시자와 연주 지시자의 위치가 일치하는 시점에 정확히 연주 연출을 하기 위하여, 입력장치를 조작하게 되면, 그때마다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연주 지시자의 가이드에 따라 입력된 연주입력신호가 IN1, IN2 및 IN4이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지시자가 연주 지시자가 없는 곳을 지나갈 때에도 연주 연출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주 지시자의 가이드 없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연주 연출 조작하여 입력된 연주입력신호는 IN0와 IN3이다. 또는 연주 지시자 PI3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연주 연출 조작을 하지 못하여 그 시점에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 전술한 바에 따라 입력된 모든 연주입력신호 IN0~IN4는 도 7의 (e)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연주게임장치(100)는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에 맞는 숏 연주음원을 출력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숏 연주음원(SS1~SS4)의 출력은 도 7의 (b)와 같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대응되는 롱 연주음원의 지점부터 미리 설정된 해당 숏 연주음원을 출력하기 시작하여,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도 7의 (b), (d) 및 (e)를 참조하면, 연주게임장치(100)가 입력시점이 SO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0-S0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0을 입력받으면,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 중에서 연주입력신호 IN0의 입력시점 SO과 대응되는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재생시점과 관련하여 동기화된 숏 연주음원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게 되고, 도 7의 예시에서는 그러한 숏 연주음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시점이 SO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0-S0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0에 대해서는 숏 연주음원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도 7의 (b), (d) 및 (e)를 참조하면, 입력시점이 S1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1-S1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1에 대해서는, 해당 숏 연주음원 SS1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숏 연주음원 SS1이 S1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1-S1 시간 동안 출력된다. 또한, 입력시점이 S2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2-S2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2에 대해서는, 해당 숏 연주음원 SS2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숏 연주음원 SS2가 S2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2-S2 시간 동안 출력된다. 또한, 입력시점이 S3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3-S3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3에 대해서는, 해당 숏 연주음원 SS3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숏 연주음원 SS3이 S3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3-S3 시간 동안 출력된다. 또한, 입력시점이 S4 시점이고 입력지속시간이 E4-S4 시간인 연주입력신호 IN4에 대해서는, 해당 숏 연주음원 SS4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숏 연주음원 SS4가 S4 시점에 대응되는 지점부터 E4-S4 시간 동안 출력된다. 이와 같이, 5개의 연주입력신호(IN0~IN4)에 대한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의 출력은 도 7의 (b)와 같다.
도 7의 (a)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과, 도 7의 (b)의 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의 출력을 보면,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이 출력되는 구간(S0~E0 구간, S1~E1 구간, S2~E2 구간, S3~E3 구간, S4~E4 구간)에서는 해당 숏 연주음원과 백그라운드 음악(BS)이 함께 출력되고, 4개의 숏 연주음원(SS1~SS4)이 출력되지 않는 나머지 구간에서는 백그라운드 음악(BS)만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의 연주 연출 조작에 따른 연주 연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연주입력신호에 따라 롱 연주음원 또는 숏 연주음원의 출력 제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연주입력신호에 따른 롱 연주음원 또는 숏 연주음원의 출력 제어뿐만 아니라 뮤트신호를 발생시켜 백그라운드 음악(BS)도 함께 출력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뮤트신호(MS)의 발생과, 롱 연주음원(LS)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PI1~PI4)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IN0~IN4)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예시에서 뮤트신호(MS)만 추가로 발생한 것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시점에서 S4~E4 사이 시점까지 뮤트신호(MS)가 뮤트신호 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이 제어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신호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와 비교하여, 도 9의 (c)에서의 뮤트신호 그래프가 더 추가되었고, 그에 따라 도 9의 (a)에서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그래프만 달라졌을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도 9의 (c)에서 도시된 뮤트신호(BS)의 발생에 따라, 뮤트신호(BS)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연주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출력되고 있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상태 변경은, 뮤트신호(BS)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발생한 연주입력신호 IN2의 입력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의 불륨이 최소로 변경된 것이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변경 상태는 뮤트신호(MS)가 존재할 때까지 지속되다 뮤트신호(MS)가 없으지면 이전 상태의 불륨 크기로 복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뮤트신호의 발생과, 롱 연주음원의 설정과, 연주 지시자의 표시와,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예시에서 뮤트신호(MS)만 추가로 발생한 것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 시점에서 S4~E4 사이 시점까지 뮤트신호(MS)가 뮤트신호 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이 제어되는 것은 도 11에 도시된 신호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의 예시에 따른 연주게임에서 사운드 출력 제어를 신호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과 비교하여, 도 11의 (c)에서의 뮤트신호 그래프가 더 추가되었고, 그에 따라 도 11의 (a)에서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그래프만 달라졌을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도 11의 (c)에서 도시된 뮤트신호(BS)의 발생에 따라, 뮤트신호(BS)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연주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출력되고 있던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의 (a)에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상태 변경은, 뮤트신호(BS)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발생한 연주입력신호 IN2의 입력에 따라, 백그라운드 음악(BS)의 불륨이 최소로 변경된 것이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음악(BS)의 출력 변경 상태는 뮤트신호(MS)가 존재할 때까지 지속되다 뮤트신호(MS)가 없으지면 이전 상태의 불륨 크기로 복귀된다.
도 12는 음원 전환 효과를 위한 숏 연주음원(SS), 연주 지시자(PI) 및 뮤트신호(MS)의 설정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숏 연주음원(SS)의 길이, 연주 지시자(PI)의 길이 및 뮤트신호(MS)의 길이를 모두 일치시켜 설정하여, 사용자가 연주 지시자(PI)의 길이만큼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연주 연출 조작을 통해 연주입력신호(IN)를 발생시키면, 도 13에서와 같이, 그 전에 출력되고 있던 백그라운드 음악(MS)이 해당 숏 연주음원(SS)으로 바뀌고, 뮤트신호(MS)가 없어지는 시점에 백그라운드 음악(BS)로 복귀되는 음원 전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음원 전환 효과를 위해, 2개의 숏 연주음원(SS1,SS2), 연주 지시자(PI) 및 뮤트신호(MS)의 다른 설정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2개의 숏 연주음원(SS1, SS2)의 길이 합, 연주 지시자(PI)의 길이 및 뮤트신호(MS)의 길이를 모두 일치시켜 설정하여, 사용자가 연주 지시자(PI)의 길이만큼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연주 연출 조작을 통해 연주입력신호(IN)를 발생시키면, 도 14에서와 같이, 백그라운드 음악(MS)이 숏 연주음원 SS1로 바뀌고, 숏 연주음원의 설정이 변경되는 시점에 다시 숏 연주음원 SS2로 바뀌며, 뮤트신호(MS)가 없어지는 시점에 백그라운드 음악(BS)로 복귀되는 음원 전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가 제공하는 연주게임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00)가 제공하는 연주게임방법은, 하나의 롱 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숏 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단계(S1600)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602)와,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롱 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롱 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숏 연주음원 중 특정 숏 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특정 숏 연주음원을 출력하고,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1604) 등을 포함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S1602 단계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방법은, 백그라운드 음악과 대응된 백그라운드 영상과, 롱 연주음원과 대응된 롱 연주영상 또는 복수의 숏 연주음원과 각각 대응된 숏 연주영상을 설정하는 단계(S160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S1602 단계 이후, 백그라운드 영상, 롱 연주영상 및 숏 연주영상 중 하나 이상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16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롱 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숏 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기능과,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롱 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롱 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복수의 숏 연주음원 중 특정 숏 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입력지속시간 동안 특정 숏 연주음원을 출력하고,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7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700)는, 백그라운드 음악과,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710)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1720)와,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 중 입력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백그라운드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음원을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장치(17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입력장치(1720)는, 연주 연출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 도구로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장치(1720)는, 일 예로서, 버튼 형태 또는 스틱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터치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온/오프(On/Off) 입력이 가능한 어떠한 입력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사운드 출력장치(1730)는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으로서, 사운드 코덱 등을 포함하는 사운드 재생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8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800)는, 백그라운드 음악과,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810)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1820)와, 백그라운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 중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영상을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18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입력장치(1820)는, 연주 연출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 도구로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장치(1820)는, 일 예로서, 버튼 형태 또는 스틱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터치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온/오프(On/Off) 입력이 가능한 어떠한 입력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영상 출력장치(1830)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으로서, 비디오 코덱 등을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9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게임장치(1900)는,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1910)와, 음악 및 이 음악과 연계된 영상 중 하나 이상이 재생되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가 존재하면, 사운드 출력 장치(193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및 영상 출력 장치(19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상태를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장치(1920)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제어신호가 뮤트(Mute)신호인 경우, 출력 제어 장치(1920)는, 뮤트신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음악이 최소의 볼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악 출력 제어와, 영상이 특정 투명도나 특정 색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입력장치(1920)는, 연주 연출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 도구로서,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장치(1920)는, 일 예로서, 버튼 형태 또는 스틱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터치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온/오프(On/Off) 입력이 가능한 어떠한 입력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출력 제어 장치(192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다양한 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연출 조작만으로 사운드뿐만 아니라 영상에 대한 연출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음악 기반의 연주게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사운드 설정부;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연주 입력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사운드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부는,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으로부터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과 동기화된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부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된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에서,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으로부터 확인된 현재 재생지점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구간과 동기화된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면,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현재 재생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과 함께 출력하고,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만 계속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구간에서 뮤트(Mute)신호를 발생시키는 뮤트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 제어부는,
    상기 뮤트신호의 발생이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볼륨을 줄여서 출력하거나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뮤트신호의 발생이 종료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볼륨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다시 출력함으로써,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과 대응된 백그라운드 영상과, 상기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 연주영상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과 각각 대응된 제2연주영상을 설정하는 영상 설정부; 및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 상기 제1 연주영상 및 상기 제2연주영상 중 하나 이상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제어부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과 대응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과 입력지속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 연주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과 대응된 제2연주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제어부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특정구간에서 뮤트(Mute)신호의 발생이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의 화면에 대한 투명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뮤트신호의 발생이 종료되면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의 화면에 대한 투명도 또는 색상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백그라운드 영상을 다시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주 지시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지시자는,
    상기 화면상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고정형이거나,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연주 지시자가 고정형인 경우,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표시되는 이동 지시자를 더 표시하고,
    상기 연주 지시자가 이동형인 경우, 상기 연주 지시자가 이동하여 도달하는 위치에 고정 지시자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 근처에 상기 연주 지시자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2연주음원이 설정된 지점과는 무관한 위치에 상기 연주 지시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지시자 각각은,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을 사용자에게 지시해주기 위하여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서, 상기 연주 지시자의 위치와 다른 지시자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에 따른 연주 연출의 타이밍이 맞는지를 판정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과 상기 연주 지시자의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연주 연출의 지속시간이 맞는지를 판정하는 연주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판정부에 의한 상기 연주 연출의 타이밍 및 지속시간 중 하나 이상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연주음원과, 상기 제2연주음원과, 상기 제1연주음원과 대응된 제1 연주영상과, 상기 제2연주음원과 대응된 제2연주영상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시간 또는 출력 여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판정부에 의한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틀린 연주 또는 바른 연주에 대응되는 효과음 및 효과영상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주음원 및 상기 제2연주음원 각각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주음악이거나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연주음이고,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은 모두 다르거나 하나 이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18.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단계;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을 출력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19.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하나의 제1연주음원을 백그라운드 음악과 동기화하여 설정하거나, 복수의 제2연주음원을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하나 이상의 구간에 각각 동기화하여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고 있는 동안, 연주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1연주음원을 출력하거나,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연주음원 중 특정 제2연주음원의 특정지점부터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 동안 상기 특정 제2연주음원을 출력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백그라운드 음악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을 출력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연주음원 중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백그라운드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음원을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21. 백그라운드 음악과,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간과 동기화되어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연주영상 중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해당하는 상기 백그라운드 음악의 재생시점에 동기화된 연주영상을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지속시간에 따른 시간만큼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22. 연주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음악 및 상기 음악과 연계된 영상 중 하나 이상이 재생되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연주입력신호의 입력시점에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악 및 상기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뮤트(Mute)신호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장치는,
    상기 뮤트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음악이 최소의 볼륨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악 출력 제어와, 상기 영상이 특정 투명도나 특정 색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출력 제어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게임을 위한 장치.

KR1020100050531A 2010-05-28 2010-05-28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15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31A KR101150614B1 (ko) 2010-05-28 2010-05-28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3/117,835 US8728822B2 (en) 2010-05-28 2011-05-27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ance game
JP2011118628A JP5530977B2 (ja) 2010-05-28 2011-05-27 演奏ゲーム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31A KR101150614B1 (ko) 2010-05-28 2010-05-28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52A true KR20110130952A (ko) 2011-12-06
KR101150614B1 KR101150614B1 (ko) 2012-05-30

Family

ID=4502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31A KR101150614B1 (ko) 2010-05-28 2010-05-28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28822B2 (ko)
JP (1) JP5530977B2 (ko)
KR (1) KR101150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414A1 (en) * 2012-06-01 2013-12-05 Songalbum,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audio layers
JP6123118B2 (ja) * 2015-03-31 2017-05-1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123066B2 (ja) 2015-03-31 2017-05-1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WO2017142321A2 (ko) * 2016-02-19 2017-08-24 (주)네오위즈게임즈 음악 연주 게임장치, 게임방법 및 기록매체
KR101926421B1 (ko) * 2016-02-19 2018-12-07 주식회사 네오위즈 음악 연주 게임장치, 게임방법 및 기록매체
KR101922894B1 (ko) 2016-04-11 2018-11-28 주식회사 네오위즈 음악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6674498B2 (ja) * 2018-04-18 2020-04-01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129A (en) * 1993-07-14 1996-04-30 Fakespac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puter-generated virtual environment in response to audio signals
JP2922509B2 (ja) 1997-09-17 1999-07-26 コナミ株式会社 音楽演出ゲーム機、音楽演出ゲーム用の演出操作指示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用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5990405A (en) * 1998-07-08 1999-11-23 Gibson Guitar Cor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a simulated musical concert experience
JP3088409B2 (ja) * 1999-02-16 2000-09-18 コナミ株式会社 音楽ゲーム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方法及び該システムにおける演出指示連動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JP2000254351A (ja) 1999-03-09 2000-09-19 Jaleco Ltd ビジュアルジョッキー表示方法
AU2001244489A1 (en) * 2000-04-07 2001-12-17 Thurdis Developments Limited Interactive multimedia apparatus
JP2004195185A (ja) 2002-10-21 2004-07-15 Aruze Corp 遊技機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プログラム
JP3545755B2 (ja) * 2002-11-20 2004-07-21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312758A (ja) * 2004-04-30 2005-11-10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EP2027577B1 (en) * 2006-03-29 2019-05-08 Harmonix Music Systems, Inc. Game controller simulating a guitar
US20070256541A1 (en) * 2006-05-04 2007-11-08 Mccauley Jack J Musical video game console and methods therefor
US8317614B2 (en) * 2008-04-15 2012-11-27 Activision Publish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a music video game with a drum system game controller
US8414395B2 (en) * 2008-06-11 2013-04-09 Activision Publishing, Inc. Strum processing for music video game on handheld device
KR100867401B1 (ko) 2008-08-05 2008-11-06 (주)펜타비전 오디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895259B1 (ko) 2008-12-09 2009-04-29 (주)펜타비전 전체음 제어 음악 게임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0977B2 (ja) 2014-06-25
US20110294577A1 (en) 2011-12-01
US8728822B2 (en) 2014-05-20
KR101150614B1 (ko) 2012-05-30
JP2011245307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614B1 (ko) 연주게임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0434420B2 (en) Music game software and input device utilizing a video player
CN109414621B (zh) 音乐游戏装置及方法,以及记录其程序的计算机可读取记录介质
US8702509B2 (en) Game system,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US9076264B1 (en) Sound sequencing system and method
JP2006192158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056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1240138A (ja) 演奏ゲーム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US8696452B2 (en) Game system,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US20120214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user control of multiple roles within a music simulation
US201601397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udio/video presentations
JP2011206267A (ja) ゲーム装置、ゲームの進行方法、及びゲーム進行プログラム
JP5486467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システム
US8629343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3046661A (ja) ゲーム機における楽曲切り替え装置
JP7429766B1 (ja) プログラム、会話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841047B1 (ko)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KR101926421B1 (ko) 음악 연주 게임장치, 게임방법 및 기록매체
JP2006208959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JP6601615B2 (ja) 動画処理システム、動画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7375003B2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JP6598266B1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5459522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プログラム
KR101181640B1 (ko) 음악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6416028B2 (ja) カラオケ用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