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629A -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629A
KR20110130629A KR1020100050050A KR20100050050A KR20110130629A KR 20110130629 A KR20110130629 A KR 20110130629A KR 1020100050050 A KR1020100050050 A KR 1020100050050A KR 20100050050 A KR20100050050 A KR 20100050050A KR 20110130629 A KR20110130629 A KR 2011013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ady
mixed concrete
slop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537B1 (ko
Inventor
안건욱
Original Assignee
안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건욱 filed Critical 안건욱
Priority to KR102010005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5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 또는 제방 등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자전거도로 또는 인도 등의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주를 세움에 있어 지중에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천공홈을 형성하고,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몰탈기초부를 형성하며,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을 항타봉으로 타격하여 상기 몰탈기초부를 견고하게 다짐으로써 기초부분 공사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는 지주는 레미콘으로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통행로를 설치하기 위한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지중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천공홈과; 모르타르가 상기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몰탈기초부과; 상기 천공홈을 통해 삽입되는 항타봉에 의해 반복적으로 타격되며 상기 몰탈기초부를 다지도록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과; 외주면이 상기 천공홈의 내벽과 소정의 이격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천공홈에 삽입되되, 하단부는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천공홈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상기 천공홈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이격틈새에 채워져 양생된 외부레미콘고정부와;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ASS WAY FOR SLOPE}
본 발명은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 또는 제방 등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자전거도로 또는 인도 등의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주를 세움에 있어 지중에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천공홈을 형성하고,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몰탈기초부를 형성하며,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을 항타봉으로 타격하여 상기 몰탈기초부를 견고하게 다짐으로써 기초부분 공사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는 지주는 레미콘으로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또는 제방 등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에서 상기 비탈면에 자전거도로, 인도 또는 산책로 등의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비탈면을 성토 매립하여 통행로를 조성하거나, 기존 구조물을 훼손하며 비탈면에 통행로 상판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통행로를 조성하여 왔다.
하지만, 비탈면을 성토 매립하여 통행로를 조성하는 경우 도로가 비탈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행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지반이 부족하여 수많은 토사를 이용하여 지반을 확장하여야 하고, 상기 토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며, 실제 지반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보다 더 넓은 지역을 확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구조물을 훼손하며 비탈면에 통행로 상판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공사규모가 확대되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되며, 복구비 등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1728호(등록일자:2009.06.02)에는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a 믿 도 1b에는 상기 등록특허 제0901728호에 개시된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100)는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R)에 시공되는 인도(100)에 있어서, 상기 인도(100)는 상기 구조물(R)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측방향에서 지반에 삽입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110); 상기 복수개 지지수단(110)의 상단부 일정 영역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상기 구조물(R) 하측에 구조물(R)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구조물(R)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수단(11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50) 및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되, 일측 내주면은 상기 연결수단(150)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수단 고정부(171)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은 고정수단과 체결되도록 외부로 개방되는 나사산(172)이 형성된 커플러(170); 를 내부에 포함하는 콘크리트부(120);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부(120)에 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30); 및 상기 베이스부재(1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조물(R)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도를 형성하는 인도형성부재(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지지수단(110)이 구조물(R)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110)에 인도형성부재(140)가 비탈면 방향으로 캔틸레버(외팔보) 형태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인도형성부재(140)에 작용하는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휨모멘트가 상기 인도형성부재(140)와 상기 지지수단(110)을 연결하는 베이스부재(130) 및 연결수단(150)에 집중 작용함으로써 피로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 또는 제방 등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자전거도로 또는 인도 등의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주를 세움에 있어 지중에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천공홈을 형성하고,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모르타르를 채워 몰탈기초부를 형성하며,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을 항타봉으로 타격하여 상기 몰탈기초부를 다짐으로써 기초부분 공사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는 지주는 레미콘으로 확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통행로를 설치하기 위한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지중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천공홈과; 모르타르가 상기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몰탈기초부과; 상기 천공홈을 통해 삽입되는 항타봉에 의해 반복적으로 타격되며 상기 몰탈기초부를 다지도록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과; 외주면이 상기 천공홈의 내벽과 소정의 이격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천공홈에 삽입되되, 하단부는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천공홈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상기 천공홈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이격틈새에 채워져 양생된 외부레미콘고정부와;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상기 항타기초블럭은, 내부가 빈 블럭체로,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상기 천공홈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는 측벽판과, 상기 측벽판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지주삽입공이 형성된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는, 그 내부로 상기 항타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판의 지주삽입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며 상기 중공부가 상기 항타기초블럭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항타봉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항타봉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판의 지주삽입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가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항타기초블럭의 내부와 상기 중공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내부레미콘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상기 항타기초블럭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항타봉에 의해 타격되는 경우 상기 몰탈기초부이 다져지며 상기 몰탈기초부에 내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상기 지주는, 외주면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레미콘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레미콘고정부는, 레미콘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로 주입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로 채워지는 레미콘이 상기 레미콘배출공으로 배출되며 상기 이격틈새에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단단하게 다져진 몰탈기초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초부분 공사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나아가 기존 구조물의 훼손 없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비탈면 통행로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주요부 시공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상판부 시공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상판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주요부 시공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상판부 시공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상판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 또는 제방 등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S)이 존재하는 구조물(R)에서 상기 비탈면(S)에 자전거도로, 인도 또는 산책로 등의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비탈면을 성토 매립하여 통행로(P)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조물(R)이 도로인 경우 통상 상기 구조물(R)의 가장자리에는 가드레일(G1)이 설치되고, 상기 비탈면(S)에 설치되는 상기 통행로(P)의 가장자리에는 펜스(G2)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천공홈(10)과, 몰탈기초부(20)와, 항타기초블럭(30)과, 지주(40)와, 내부레미콘고정부(50)와, 외부레미콘고정부(60)와, 상판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천공홈(10)은 상기 상판부(70)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주(40)가 상기 비탈면(S)의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상기 비탈면(S)에 상기 구조물(R)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지중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터파기 및 콘크리트 타설 등 상기 구조물(R) 주변의 훼손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상기 지주(4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크루 타입 구멍 뚫기 장비로 해당 위치에 상기 천공홈(10)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천공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R)의 폭방향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홈(10)에 매설되는 상기 지주(40)가 상기 상판부(7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탈기초부(20)는 상기 천공홈(10)에 매설되는 상기 지주(40)의 기초가 되는 구성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모르타르(mortar)가 상기 천공홈(10)의 상부로부터 주입되어 상기 천공홈(10)의 내부 하단부에 채워져 형성된다. 상기 몰탈기초부(20)의 높이는 상기 천공홈(10)의 하단부로부터 20Cm ~ 30Cm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탈기초부(20)는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을 매개로 항타봉(F)의 반복적인 타격에 의해 다져짐으로써 모르타르가 상기 천공홈(10)의 내벽 공극을 메꿈으로써 그라우팅 효과로 기초공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은 상기 천공홈(10)을 통해 삽입되는 항타봉(F)에 의해 타격되며 상기 몰탈기초부(20)를 다지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내부가 빈 블럭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바닥판(31)과, 측벽판(32)과, 상부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31)은 상기 몰탈기초부(20)의 상부에 놓여 상기 항타봉(F)의 타격을 받는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기배출공(3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배출공(311)은 상기 바닥판(31)이 상기 항타봉(F)에 의해 타격되는 경우 상기 몰탈기초부(20)가 다져지며 상기 몰탈기초부(20)에 내포된 공기가 외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측벽판(32)은 상기 바닥판(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상기 천공홈(10)의 내벽에 밀착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측벽판(32)은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이 상기 항타봉(F)의 타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천공홈(1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바닥판(31)과 상기 상부판(33)과 함께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판(33)은 상기 측벽판(32)의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중앙에 상기 지주(40)의 하단부(40a)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지지될 수 있는 지주삽입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40)는 상기 복수개의 천공홈(10) 각각에 매설되어 상기 통행로(P)를 형성하는 상기 상판부(7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외주면이 상기 천공홈(10)의 내벽과 소정의 이격틈새(t)를 형성하며 상기 천공홈(10)에 삽입되되, 하단부(40a)는 상기 항타기초블럭(30)에 지지되고, 상단부(40b)는 상기 천공홈(10)의 상부로 상기 구조물(R)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지주(40)는 그 내부로 상기 항타봉(F)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4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중공부(41)와 연통되는 레미콘배출공(42)이 형성되며, 하단부(40a)가 상기 상부판(33)의 지주삽입공(33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며 상기 중공부(41)가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항타봉(F)이 상기 중공부(41)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의 바닥판(31)을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주(40)의 하단부(40a)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타기초블럭(30)에서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플랜지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레미콘고정부(50)는 상기 항타기초블럭(30) 및 상기 지주(40)의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항타봉(F)이 상기 지주(40)의 중공부(41)에서 제거되고 상기 지주(40)의 하단부(40a)가 상기 상부판(33)의 지주삽입공(33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주(40)의 상단부(40b)의 돌출 높이가 상기 구조물(R)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돌출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40)가 상기 항타기초블럭(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레미콘이 상기 지주(40)의 중공부(41)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항타기초블럭(30)의 내부와 상기 중공부(41)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외부레미콘고정부(60)는 상기 지주(40)가 상기 천공홈(10)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이격틈새(t)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레미콘이 상기 지주(40)의 중공부(41)로 주입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41)로 채워지는 레미콘이 상기 지주(40)의 외주연에 형성된 레미콘배출공(42)으로 배출되며 상기 이격틈새(t)에 채워져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상판부(70)는 상기 지주(40)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통행로(P)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브래킷(71)과, 지지프레임(72)과, 데크판(73)과, 데크판고정수단(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71)은 상기 지주(4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40)의 상단부(40b)와 상기 지지프레임(72)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브래킷(71)의 형상은 상기 지주(40)와 상기 지지프레임(72)을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72)은 상기 브래킷(71)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지주(40)의 상부에 상기 구조물(R)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종횡으로 교차되는 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통행로(P)를 형성하는 상기 데크판(73)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72)을 상기 통행로(P)의 폭방향으로 놓이며 상기 브래킷(71)에 고정 지지되는 가로프레임(71a)과, 상기 가로프레임(71a)의 상부에 복수개가 상기 통행로(P)의 길이방향으로 놓이며 상기 가로프레임(71a)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세로프레임(71b)으로 구성하였고, 상기 지지프레임(72)으로는 H빔 또는 각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데크판(73)은 통상 직사각형 형상의 목재판이 이용되는데 상기 통행로(P)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72)의 상부에 복수개가 연속하게 배치된다. 상기 데크판(73)은 상기 복수개의 세로프레임(71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데크판고정수단(74)은 상기 복수개의 데크판(73)을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72)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데크판(73)이 보다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데크판(73', 73'')을 상호 연결하며 고정하는 구성인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데크판고정수단(74)이 통행이 이루어지는 상기 데크판(73)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데크판(73)의 측방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자전거 또는 사람의 통행에 따른 상기 데크판(73)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의해 데크판고정수단(74)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데크판연결구(741)와, 연결피스(7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크판연결구(741)는 상기 데크판(73)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2)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741a)와 상기 프레임고정부(741a)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판(73', 73'')이 상호 접촉되는 측면에 개재되고 피스삽입공(741bb)이 형성된 대크판개재부(741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피스(742)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양선단(742a, 742b)이 각각 외력에 의해 상기 데크판(73)으로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피스(742)의 일선단(742a)이 상기 피스삽입공(741bb)에 삽입되며 외력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데크판(73', 73'') 중 어느 하나의 데크판(73')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데크판(73'')이 외력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데크판(73')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연결피스(742)의 타선단(742b)에 삽입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피스(742)를 일선단(742a)은 회전되며 상기 데크판(7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나사못 타입으로 형성하여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타선단(742b)은 가압력에 의해 상기 데크판(7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일반못 타입으로 형성하여 상기 데크판(73'')을 가압하는 방법으로 상기 데크판(73'')이 상기 연결피스(742)의 타선단(742b)에 박히도록 구성하여 상기 데크판(73)을 연속하게 배치하는 작업이 순차적으로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R 구조물 S 비탈면 P 통행로
F 항타봉 t 이격틈새
10 천공홈
20 몰탈기초부
30 항타기초블럭
31 바닥판 32 측벽판 33 상부판
311 공기배출공 331 지주삽입공
40 지주
41 중공부 42 레미콘배출공
50 내부레미콘고정부
60 외부레미콘고정부
70 상판부
71 브래킷
72 지지프레임
73 데크판
74 데크판고정수단
741 데크판연결구
741a 프레임고정부 741b 데크판개재부
742 연결피스

Claims (4)

  1. 일측 또는 양측에 비탈면이 존재하는 구조물의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통행로를 설치하기 위한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지중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되는 복수개의 천공홈과;
    모르타르가 상기 천공홈의 내부 하단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몰탈기초부과;
    상기 천공홈을 통해 삽입되는 항타봉에 의해 반복적으로 타격되며 상기 몰탈기초부를 다지도록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항타기초블럭과;
    외주면이 상기 천공홈의 내벽과 소정의 이격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천공홈에 삽입되되, 하단부는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천공홈의 상부로 돌출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가 상기 천공홈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이격틈새에 채워져 양생된 외부레미콘고정부와;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통행로를 형성하는 상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기초블럭은, 내부가 빈 블럭체로, 상기 몰탈기초부의 상부에 놓이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상기 천공홈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는 측벽판과, 상기 측벽판의 상부를 덮고 중앙에 지주삽입공이 형성된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는, 그 내부로 상기 항타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판의 지주삽입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며 상기 중공부가 상기 항타기초블럭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항타봉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항타봉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판의 지주삽입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주의 상단부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가 상기 항타기초블럭에 고정되도록 레미콘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를 통해 주입되어 상기 항타기초블럭의 내부와 상기 중공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내부레미콘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기초블럭은, 상기 바닥판이 상기 항타봉에 의해 타격되는 경우 상기 몰탈기초부이 다져지며 상기 몰탈기초부에 내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기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외주면에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레미콘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레미콘고정부는, 레미콘이 상기 지주의 중공부로 주입되는 경우 상기 중공부로 채워지는 레미콘이 상기 레미콘배출공으로 배출되며 상기 이격틈새에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1020100050050A 2010-05-28 2010-05-28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10115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50A KR101150537B1 (ko) 2010-05-28 2010-05-28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50A KR101150537B1 (ko) 2010-05-28 2010-05-28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629A true KR20110130629A (ko) 2011-12-06
KR101150537B1 KR101150537B1 (ko) 2012-06-01

Family

ID=4549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50A KR101150537B1 (ko) 2010-05-28 2010-05-28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450A (ko) * 2014-01-17 2016-09-19 로얄 어드히시브스 & 실런츠 캐나다 리미티드 하중-지지 구조물을 위한 기초 기반에서의 폴리우레탄 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6-02-29 이경표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KR101703815B1 (ko) 2016-11-29 2017-02-22 이경표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822B2 (ja) 2004-07-13 2008-01-30 日本サミコン株式会社 道路拡張構造
KR100901728B1 (ko) 2008-09-04 2009-06-09 (주)신승이앤씨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8501B1 (ko) 2009-07-10 2010-03-23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450A (ko) * 2014-01-17 2016-09-19 로얄 어드히시브스 & 실런츠 캐나다 리미티드 하중-지지 구조물을 위한 기초 기반에서의 폴리우레탄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537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716B1 (ko) 직벽형 방음벽 기초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50537B1 (ko)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101206860B1 (ko) 수직형 측벽과 아치형 천정부를 이용한 개착식 터널 시공 방법
KR101201216B1 (ko) 도로 구조물의 확장 인도
KR101726725B1 (ko) Pc블록과 현장타설을 이용한 확장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677236B1 (ko) 2중 강판 토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JP4211491B2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壁構造
KR102413915B1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KR101224613B1 (ko)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20060117746A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23034911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KR101253841B1 (ko) 편심굴착 보링공 내에 수직으로 삽입하는 기둥 및 그 시공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19261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직벽형 기초 및 이 시공 방법
EP3124705A1 (en) Formers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JP5943202B2 (ja) 複合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24176B1 (ko)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1129250B1 (ko) 가물막이와 취수탑의 외벽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취수탑용 거푸집을 사용한 취수탑 시공공법
KR10128748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설치 공법
JP4444074B2 (ja) 土留め壁を備えたl型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