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278A - 삭도용 캐리지 - Google Patents

삭도용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278A
KR20110130278A KR1020100049844A KR20100049844A KR20110130278A KR 20110130278 A KR20110130278 A KR 20110130278A KR 1020100049844 A KR1020100049844 A KR 1020100049844A KR 20100049844 A KR20100049844 A KR 20100049844A KR 20110130278 A KR20110130278 A KR 2011013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lifting
power
power generat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905B1 (ko
Inventor
이재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4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B66C21/10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tra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삭도용 캐리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삭도용 캐리지는 주삭(30)을 따라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10)과; 주삭(30)을 따라 발전 차량(10)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선(13)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승강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며 승강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7)가 설치된 고정대(22)와 화물(L)의 하중을 받고 승강 와이어(W)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21)를 구비하는 캐리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캐리지로부터 화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분리함으로써 캐리지의 공차 하중을 줄여 허용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삭도용 캐리지{Carriage for cableway}
본 발명은 삭도(索道)용 캐리지(Carriag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싣기 위한 캐리지와, 이 캐리지와 떨어져 나란히 움직이며 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차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삭도용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경사 지형에서의 화물 운반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대와 고지대의 두 지점에 하부 주기둥(133)과 상부 주기둥(131)을 세우고, 이 하부 주기둥(133)과 상부 주기둥(131)을 주삭(130)으로 연결한 다음 주삭(130)에 엔진 캐리지(120)를 설치하여 엔진 캐리지(120)로 화물(250)을 운반한다.
즉, 엔진 캐리지(120)는 주삭(130)을 따라 고지대와 저지대 사이를 왕복하면서 화물(250)을 운반하게 되는데, 엔진 캐리지(120)는 고지대에 설치된 윈치(110)와 연결되어 윈치(110)가 예삭(140)을 끌어당기면 엔진 캐리지(120)가 고지대 쪽으로 이동하고 윈치(110)가 예삭(140)을 풀어주면 엔진 캐리지(120)가 저지대 쪽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물(250)을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 캐리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예삭(140)과 연결되는 본체(211)와, 상기 본체(211) 내측 상부 좌, 우 양단에 설치되는 좌, 우측 경유롤러(212,213)와, 상기 본체(21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엔진(214)과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유압유닛(215)과 승강와이어(240)가 감기는 드럼(216)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지(210)와;
주삭(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내부에 형성된 롤러체(221)와, 상기 롤러체(221)와 본체(211) 상부를 연결하는 베이스고정판(222)으로 이루어지는 주행체(220)와;
상기 본체(211)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면 중앙에는 화물(250)을 고정할 수 있는 훅(231)이 구비되고 좌, 우 양측에는 승강와이어(240)가 경유하는 좌, 우측 지지롤러(232,233)가 설치되는 지지체(230)와;
상기 한쪽 끝단은 드럼(216)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우측 경유롤러(213)와 좌측 경유롤러(212)를 거쳐 좌, 우측 지지롤러(232,233)를 경유하여 본체(211) 저면의 우측 일단에 고정되는 승강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화물(250)을 내리고 싶을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로 캐리지(210)를 제어하여 화물(250)을 아래로 내리면 된다.
즉, 리모트 컨트롤을 사용하여 엔진(214)을 작동시키면 엔진(214)의 구동력이 유압유닛(215)의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를 거쳐 드럼(216)에 전달되고, 드럼(216)의 작동에 의해 드럼(216)에 감긴 승강와이어(240)가 풀어지면서 승강와이어(240)는 우측 경유롤러(213)와 좌측 경유롤러(212)와 좌, 우측 지지롤러(232,233)를 경유하여 아래로 처지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지지체(230)가 하강하게 되어 화물(250)을 아래로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엔진 캐리지(120)는 화물(250)을 승강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214)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공차 중량이 무거워 화물(250) 중량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엔진(214), 유압펌프,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유압유닛(215)의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어렵고 비싸다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유압유닛(215)과 캐리지(210)가 일체로 제작되므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운반해야할 화물(250)의 하중에 따라 적절한 엔진 캐리지(120)를 사용해야 하는데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기 곤란한 문제도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지로부터 화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분리함으로써 캐리지의 공차 하중을 줄여 실을 수 있는 허용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삭도용 캐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승강시키는 장치로 전동 윈치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삭도용 캐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지와 분리된 발전 차량으로 구성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교체가 가능한 삭도용 캐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상 이동과 고장시 안전 장소로 이동하여 정비나 교환이 용이하도록 바퀴를 설치한 분리된 발전 차량을 포함하는 삭도용 캐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삭도용 캐리지는, 주삭을 따라 예삭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과; 주삭을 따라 발전 차량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에 의해 견인되며, 발전 차량으로부터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승강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며 승강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고정대와 화물의 하중을 받고 승강 와이어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하는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는 승강 수단은 전동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 차량은 섀시에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전 차량의 내연 기관은 리모콘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 윈치는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동 윈치에는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타코미터나 회전검출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리지의 고정대에는 승강대에 실린 화물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대는 원형이나 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막대형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 차량과 캐리지 간에 연결된 전력선은 유연성과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외장 케이블(armored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리지의 고정대에는 승강대와의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제한 센서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삭도용 캐리지는, 주삭을 따라 예삭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과; 주삭을 따라 발전 차량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에 의해 견인되며, 발전 차량으로부터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후크가 형성된 체인이나 승강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 수단은 전동 체인블록이나 전동 호이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리지로부터 화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분리함으로써 캐리지의 공차 하중을 줄여 허용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을 승강시키는 장치로 전동 윈치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가격이 비싸지 않은 장점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캐리지와 발전 차량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발전 차량에 바퀴를 설치함으로써 지상 이동과 고장시 안전 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정비나 교환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에 적용되는 전동 윈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구성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 캐리지의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지 캐리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에 적용되는 전동 윈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 부호 10과 20은 본 발명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를 구성하는 발전 차량과 캐리지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는 캐리지(20)와, 상기 캐리지(20)와 분리되어 상기 캐리지(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차량(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캐리지(20)와 발전 차량(10)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게 되면, 전체 무게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개별 부분(10, 20)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어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캐리지(20)나 발전 차량(10)을 유연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발전 차량(10)은 주삭(30)에 매달려 움직일 수 있도록 롤러를 구비한 주행체(34)에 이송로드(32)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송로드(32)의 일측에 예삭(31)이 부착되어 견인되며, 내연기관(미도시)과 발전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전력을 발생시킨다.
내연기관과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캐리지(20)에 필요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내연기관의 작동은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 구성도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발전 차량(10)에는 내연기관(미도시)과 발전기(미도시)가 섀시(12)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섀시(12)에는 바퀴(11)가 설치되어 지상에서 이동시에 용이하게 끌고 다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지상에서도 차량에 싣지 않고 견인하여 이동할 수 있고, 짧은 거리라면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리지(20)는 주삭(30)에 매달려 움직일 수 있도록 롤러를 구비한 주행체(35)에 이송로드(33)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송로드(33)의 일측에 예삭(31)이 부착되어 견인되는데, 주삭(30)을 따라 발전 차량(10)과 떨어져 나란히 견인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20)에는 상기 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선(13)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화물(L)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며 화물(L)의 하중을 받는 승강대(21)가 승강와이어(W)로 승강 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력선(13)은 화물의 운송 중에 마모나 접힘에 강하도록 유연성과 강성을 갖는 외장 케이블(armored cab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 작동하는 전동 윈치(50)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와 같은 전동 윈치(5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기모터(51)와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52), 기어박스(53)와 와이어 드럼(54)을 구비하며,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정지 및 승강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전동 윈치(50)에는 타코미터나 회전검출기를 설치하여 승강와이어(W)의 이동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승강대(21)의 위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동 윈치(50)에 얼마나 승강와이어(W)가 감긴 것인지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전동 윈치(50)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승강대(21)가 고정대(22) 쪽으로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는, 캐리지(20)의 고정대(22)에 위치제한 센서를 부착하여 승강대(21)와의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캐리지(2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면에서 보아 상측으로부터 이송로드(32)에 고정대(22)의 좌우측단이 장착되며, 고정대(22)의 우측단에는 승강 수단인 전동 윈치(50)가 설치되고, 전동 윈치(50)의 하측으로 가이드롤러(27)가 장착되며 승강와이어(W)의 일단이 결속되는 우측 고정베이스판(26)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대(22)의 좌측단에는 2개의 가이드 롤러(27)가 장착되는 좌측 고정베이스판(24)이 부착되어 있다.
하측으로는 승강와이어(W)로 상기 고정대(22)에 매달려 전동 윈치(5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21)의 좌우측단에는 지지롤러(25)가 설치되어 승강와이어(W)가 걸려 있다.
또 상기 승강대(21)의 하측에는 화물(L)을 걸 수 있도록 후크(28)가 마련되어 도면과 같이 화물(L)을 매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대(21)는 원형이나 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막대형 지지대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20)의 고정대(22)에는 승강대(21)에 실린 화물(L)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부착하여 허용 하중 이상의 화물(L)을 싣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와이어(W)는 전동 윈치(50)의 와이어 드럼(54)에 일단이 결속되어 있고, 타단은 전동 윈치(50)의 하측에 부착된 우측 고정 베이스판(26)에 결속되어 있으며, 와이어 드럼(54)으로부터 출발하여 좌측 고정 베이스판(24)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27)를 경유하여 승강대(21)의 우측에 설치된 지지 롤러(25)를 거쳐 다시 좌측 고정 베이스판(24)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27)을 경유하고, 이어 우측 고정 베이스판(26)의 가이드 롤러(27)을 거쳐 승강대(21)의 좌측에 설치된 지지 롤러(25)를 경유하여 우측 고정 베이스판(26)에 결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윈치(50)의 작동에 따라 승강대(21)가 상하로 평행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삭도용 캐리지에 적용된 캐리지(2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을 포함하지 않아 종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구조가 간단한 전동윈치(50)를 승강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면 부호 70은 발전 차량(10)과 캐리지(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예삭(31)을 감거나 푸는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 윈치부(70)를 지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발전기와 전동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도 일반적이 동력 캐리지와 마찬가지로 주기둥(60, 62) 사이를 주삭(30)으로 연결하고 지상에 설치된 지상 위치부(70)에서 발전 차량(10)과 캐리지(20)에 연결된 예삭(31)을 당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화물(L)을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상 윈치부(70)의 작동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이동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화물(L)의 승강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는 발전 차량(10)과 캐리지(20)로 구성되며, 캐리지(20)에 장착된 전동 윈치(50)는 발전 차량(10)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화물(L)의 승강은 승강대(21)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승강대(21)의 승강은 전동 윈치(50)에 의해 수행된다.
지상의 화물(L)을 운반을 위해 공중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리모콘(미도시)을 조작하여 전동 윈치(50)을 작동시켜 승강대(21)를 내리고 승강대(21)에 마련된 후크(28)에 균형을 고려하여 화물(L)을 걸고, 다시 리모콘을 조작하여 전동 윈치(50)를 작동시켜 승강대(21)를 올리면 된다.
주삭(30)을 따라 화물(L)을 운반 중에는 전동 윈치(50)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리모콘(미도시)을 이용하여 발전 차량(10)의 내연기관은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중에 화물(L)을 내려야 하는 경우에는 리모콘으로 발전 차량(10)의 내연기관을 가동시킬 수 있다.
목적지 상공에 화물(L)이 도착하면, 발전 차량(10)의 내연기관을 리모콘으로 가동시켜 전력을 전동 윈치(50)에 공급하고, 전동 윈치(50)를 리모콘으로 조작하여 승강대(21)를 내려 화물(L)을 하강시키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의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체인블럭(50')이나 전동 호이스트(미도시) 자체를 캐리지(20')로 사용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는, 주삭(30)을 따라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10)과; 주삭(30)을 따라 발전 차량(10)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선(13)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후크(28')가 형성된 체인(C)이나 승강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수단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체인블럭(50')이나 전동 호이스트(미도시)와 같이 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화물(L)을 승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동 윈치(50)에 사용하는 타코미터나 회전검출기는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대(22)에 설치하는 위치제한 센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삭도용 캐리지는, 삭도를 따라 화물을 운반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험준한 산악 지대에서 자재의 운반에 사용할 수 있다.
10 발전 차량 11 바퀴
12 하우징 13 전력선
20 20' 캐리지 21 승강대
22 고정대 23 전동 윈치
24 고정 베이스판 25 지지롤러
26 고정 베이스판 27 가이드 롤러
28 28' 후크 30 주삭
31 예삭 32 이송 로드
33 이송 로드 50 전동 윈치
50' 전동 체인블럭 51 전기 모터
52 브레이크 53 기어 박스
54 와이어 드럼 60, 62 주기둥
70 지상 윈치부 C 체인
L 화물 W 승강 와이어

Claims (12)

  1. 주삭(30)을 따라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10)과;
    주삭(30)을 따라 발전 차량(10)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선(13)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승강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이 설치되며 승강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7)가 설치된 고정대(22)와 화물(L)의 하중을 받고 승강 와이어(W)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21)를 구비하는 캐리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삭도용 캐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0)에 설치되는 승강 수단은 전동 윈치(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차량(10)은 섀시(12)에 바퀴(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차량(10)의 내연 기관은 리모콘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윈치(50)는 리모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윈치(50)에는 이동 거리를 제어하는 타코미터나 회전검출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0)의 고정대(22)에는 승강대(21)에 실린 화물(L)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8. 제 1항에 있어서,
    승강대(21)는 원형이나 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막대형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차량(10)과 캐리지(20) 간에 연결된 전력선(13)은 유연성과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외장 케이블(armored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0)의 고정대(22)에는 승강대(21)와의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제한 센서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11. 주삭(30)을 따라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 내연기관과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 차량(10)과;
    주삭(30)을 따라 발전 차량(10)과 떨어져 나란히 예삭(31)에 의해 견인되며,발전 차량(10)으로부터 전력선(13)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아, 후크(28')가 형성된 체인(C)이나 승강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승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지(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삭도용 캐리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전동 체인블록(50')이나 전동 호이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캐리지.
KR1020100049844A 2010-05-27 2010-05-27 삭도용 캐리지 KR10111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44A KR101114905B1 (ko) 2010-05-27 2010-05-27 삭도용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44A KR101114905B1 (ko) 2010-05-27 2010-05-27 삭도용 캐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78A true KR20110130278A (ko) 2011-12-05
KR101114905B1 KR101114905B1 (ko) 2012-03-06

Family

ID=454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44A KR101114905B1 (ko) 2010-05-27 2010-05-27 삭도용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2067A (zh) * 2021-05-19 2021-09-07 赵霄雯 一种客运索道托压索轮轮衬更换工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5419A (zh) * 2016-10-17 2017-01-11 广西大学 一种吊臂式t型双线缆索运输装置
CN110395274B (zh) * 2019-08-06 2020-10-30 四川川煤华荣能源股份有限公司 货运索道及其改造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4199B2 (ja) 2000-03-10 2004-11-04 敏彦 馬渡 索道運搬装置
KR200401381Y1 (ko) 2005-08-19 2005-11-16 이재흥 삭도용 수평 캐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2067A (zh) * 2021-05-19 2021-09-07 赵霄雯 一种客运索道托压索轮轮衬更换工装
CN113352067B (zh) * 2021-05-19 2024-05-03 赵霄雯 一种客运索道托压索轮轮衬更换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05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1904B (zh) 臂架型起重机集装箱吊具稳定器
CN205312915U (zh) 一种双梁门式起重机
EP3527527A1 (en) Work vehicle provided with gondola device
KR101114905B1 (ko) 삭도용 캐리지
CN107406239B (zh) 用于iso集装箱的跨车装置
JP5636556B2 (ja) 多機能ゴンドラ装置
CN206427987U (zh) 一种适用于电力设备运输的抬升装置
CN205312909U (zh) 一种双梁双小车桥式起重机
CN114906774A (zh) 一种多功能搬运机器人
CN101495358B (zh) 维修车辆
CN202829251U (zh) 矿用架空乘人装置
CN213085275U (zh) 一种地铁移动吊装设备
KR101083620B1 (ko)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타이어형 포털 크레인 시스템, 및타이어형 포털 크레인의 이동 방법
RU2730711C1 (ru) Мобильная шахтная лебедка
CN103818304B (zh) 一种车载电动篷布遮盖装置
CN208101806U (zh) 一种旁路电缆车
CN106253147A (zh) 车载箱式移动电缆盘装置
JP5543102B2 (ja) ヤードクレーンの給電装置
CN103072876A (zh) 风机专用的爬塔机提升系统
CN106410734A (zh) 一种移动式铁包加揭盖设备供电系统
CN202978101U (zh) 一种多功能电力施工机械
CN102795545A (zh) 轮胎式起重机吊具的减摇装置
JP2020152500A (ja) 揺れ止め機構付のブロック搬送据付装置
US2514494A (en) Traveling crane trolley
CN210505272U (zh) 气动单轨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