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869A -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869A
KR20110127869A KR1020100047353A KR20100047353A KR20110127869A KR 20110127869 A KR20110127869 A KR 20110127869A KR 1020100047353 A KR1020100047353 A KR 1020100047353A KR 20100047353 A KR20100047353 A KR 20100047353A KR 20110127869 A KR20110127869 A KR 2011012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ing
horse
fixed
link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희 filed Critical 김윤희
Priority to KR102010004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7869A/ko
Publication of KR2011012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쇽업저버와 스프링만을 사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승마 연습시 유동충격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유동을 유도할 수 있어 승마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승마감을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HORSEBACK RIDING MOTION-DRIVEN UNIT WITH ADVANCED SHOCK ABSORBING AND RIDING}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쇽업저버와 스프링을 혼용하여 충격흡수력을 향상시키고, 기구의 부드러운 동작을 유도하여 승마감을 극대화시킨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란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며 올바른 신체 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인 동시에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전신운동으로, 이러한 승마는 타운동과 달리 허리를 곧게 펴고 하는 운동으로 자세교정에 도움이 되고, 또 출렁이는 말 위에 있으면 장기능 강화에도 좋으며, 특히 여성이나 학생의 변비 남성들의 전립선 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폐활량 향상과 종아리나 허벅지 등 하체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승마를 하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정신 집중력과 신체의 리듬감을 기를 수 있으며, 폐활량이 늘어나고 골반이 튼튼해지는 동시에 담력을 키울 수 있으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 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다.
이와 같이 승마는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경제적 능력이나 장소와 시간 등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승마는 단시간에 습득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초적인 훈련이 요구된다.
이에,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으면서 초보자나 경험자를 위한 승마용 운동기구가 제공되면 승마를 위한 기초 연습이 가능하여 승마를 배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승마할 때와 유사한 흔들림(모션)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이용하여 승마시의 균형감각을 익히고, 다양한 상황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감각훈련을 할 수 있어 실제 승마시 매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실용 제2008-719호의 다방향 승마용 기구, 등록특허 제812851호의 스윙운동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이들 개시 기술들은 안장을 전, 후, 좌, 우로 흔들어주도록, 즉 롤링작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승마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개시 기술들은 다수의 링크와 크랭크 및 스틱바를 사용하여 구동하다 보니 움직임시 충격이 심하고 모션이 부드럽지 못하여 승마감을 익히는데 상당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승마를 경험하지 못한 초보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부주의할 경우 안장으로부터 떨어져 낙마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도 매우 높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쇽업저버와 스프링을 혼용 결합한 간단한 구조만을 통해 승마 운동기구의 동작을 더욱 부드럽게 유도하여 충격을 줄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마치 실제 말을 탄 듯한 승마감을 주어 승마 연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쇽업저버에는 양단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탄성 완충기능을 배가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쇽업저버와 스프링만을 사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승마 연습시 유동충격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유동을 유도할 수 있어 승마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승마감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에 승마자가 탑승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의 요부인 유동프레임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착지되는 베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외관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태를 취하고 있어 쉽게 전도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승마자가 운동기구에 착좌했을 때 안정성을 최대로 확보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는 연결축(200)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축(200)의 상단에는 유동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부(300)는 승마감을 제공하도록 캠을 이용하여 대략 원운동하면서 전,후,상,하로 요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부(300)의 상부에는 모형말(400)이 씌워지고, 승마자가 상기 모형말(400) 위에 착좌한 상태에서 본 발명 기구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형말(400)이 전,후,상,하로 유동되면서 승마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승마자로 하여금 승마 연습 또는 승마 운동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유동부(300)의 구조 개선에 주된 구성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동부(300)의 연결구조를 단순한 스틱바(Stick Bar) 형태가 아닌 완충기능을 갖는 이중 스프링 타입으로 구성하여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고 부드러운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스틱바를 통해 리지드(Rigid)하게 연결 구속되었기 때문에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하고 끊김은 물론 끊기는 순간 유동충격이 크게 발생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킨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부(300)는 고정판(31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310)은 상기 유동부(30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축(200)의 상단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10)에는 그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말모형(400)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구동모터(M1,M2)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M1,M2)의 회전축은 감속기(320)와 연결되며, 상기 감속기(320)는 상기 고정판(3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1,M2)에 의해 발생된 회동력은 상기 감속기(320)를 거쳐 감속된 상태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감속기(320)는 하나의 입력(구동모터와 연결된 부분)에 대해 두 개의 출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출력단에는 캠(330)이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M1,M2)는 서로 동기되게 제어됨으로써 마치 하나의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운용된다.
그리고, 상기 캠(330)에는 구동링크(340)가 연결 고정되며, 상기 구동링크(340)와 간격을 두고 종동링크(350)가 마련된다.
종래에는 상기 구동링크(340)와 종동링크(350)가 일체로 된 스틱바 형태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이 서로 분리되고, 이들을 쇽업저버(360)가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쇽업저버(360)는 일종의 가스스프링으로서 구동링크(340)와 종동링크(350) 간의 동력전달시 발생되는 유동충격을 공압 혹은 유압 방식으로 흡수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쇽업저버(360)의 충격흡수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더욱 더 부드러운 유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쇽업저버(360)의 각 단에 걸림되고 쇽업저버(360)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3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쇽업저버(360)를 통한 충격완충 및 코일스프링(370)에 의한 탄성완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더 원활하고 부드러운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링크(350)들은 연결프레임(38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유동부(30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기구는 특별한 쇽업저버 또는 여기에 더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통해 동력전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충격을 완전히 흡수 제거함으로써 더욱 더 부드러운 운동이 가능하여 승마자에게 실제와 유사한 승마감을 전달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300 : 유동부
310 : 고정판 320 : 감속기
330 : 캠 340 : 구동링크
350 : 종동링크 360 : 쇽업저버
370 : 코일스프링 380 : 연결프레임
400 : 모형말

Claims (2)

  1.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축과,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유동부와, 유동부에 씌워진 모형말을 포함하는 승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연결축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구비된 2개의 출력단에 연결된 캠과;
    상기 캠과 연결된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간격을 두고 구비된 종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쇽업저버와;
    상기 종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체를 이루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쇽업저버에는 양단에 걸림되는 코일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탄성 완충기능을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KR1020100047353A 2010-05-20 2010-05-20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KR20110127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53A KR20110127869A (ko) 2010-05-20 2010-05-20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353A KR20110127869A (ko) 2010-05-20 2010-05-20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69A true KR20110127869A (ko) 2011-11-28

Family

ID=4539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353A KR20110127869A (ko) 2010-05-20 2010-05-20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7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530B2 (ja) 乗馬用運動器具
US9623279B2 (en) Unstable rowing simulator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0854579B1 (ko)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KR101600025B1 (ko) 승마장치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CN107837489B (zh) 一种旋摆牵拉健身装置及其实现方法
KR101442469B1 (ko) 트랙주행기를 장착한 어린이바이킹그네.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1485011B1 (ko) 승마 운동 기구
CN108096806A (zh) 一种悬浮式的蛙泳训练装置
KR20110127869A (ko) 충격흡수 및 승마감이 향상된 승마 운동기구
KR101161608B1 (ko) 승마 시뮬레이터
CN103191546B (zh) 飞骑娱乐健身器
KR101782357B1 (ko) 복합 운동 장치
KR101127668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1077490B1 (ko) 승마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101366149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130086912A (ko) 승마 운동기구의 비월장치
CN202654648U (zh) 骑马健身器
CN217163104U (zh) 悠荡健身游乐装置
KR101225914B1 (ko) 승마 운동기구의 도약장치
CN2905031Y (zh) 电动骑马机的主体结构
CN201712736U (zh) 步动骑马式健身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