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188A -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 Google Patents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188A
KR20110126188A KR1020117025913A KR20117025913A KR20110126188A KR 20110126188 A KR20110126188 A KR 20110126188A KR 1020117025913 A KR1020117025913 A KR 1020117025913A KR 20117025913 A KR20117025913 A KR 20117025913A KR 20110126188 A KR20110126188 A KR 2011012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adhesive film
protective fil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619B1 (ko
Inventor
가즈야 사또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64Peeling insulating layer, e.g. foil, or separating mas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6Lamination
    • H05K2203/066Transfer laminating of insulating material, e.g. resist as a whole layer, not as a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은 제1 필름 (11)과, 접착 필름 (12)와, 제2 필름 (1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 (15)를 구비하는 벨트형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으로서, 접착 필름 (12)가, 제2 필름 (13)의 길이 방향의 단면 (13a)와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와의 교차부 (X)를 면 내에 가지면서,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와 직교하는 기준면 (16)보다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에 따르면, 접착 필름을 협지한 필름 중 한쪽 필름만을 충분히 확실하게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FILM AND REEL FOR ANISOTROPIC ELECTROCONDUCTIVE CONNECTION}
본 발명은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reel)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대향하는 회로 기판이나 전자 부품을 가열,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가압 방향의 전극이나 단자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재료로서, 이방 도전성 필름(이하, ACF라 함)이나 절연성 접착 필름(이하, NCF라 함) 등의 회로 접속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ACF는 인쇄 배선 기판, LCD용 유리 기판, 연성 인쇄 기판 등의 기판이나, IC, LSI 등의 반도체 소자나 패키지 등을 접속시킬 때, 서로 대향하는 전극간에 배치되고, 가열 가압에 의해 전극이나 단자끼리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ACF 및 NCF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이나 단자끼리의 도전성과, 인접하는 전극이나 단자끼리의 절연성을 양립시키는 이방 도전 접속을 발현한다. 이렇게 하여, 이들 접착 필름은 회로 기판이나 전자 부품 사이의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접착)이라는 둘다의 기능을 갖는다.
대표적인 ACF 및 NCF에는,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 성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ACF는 상기 접착제 성분 중에 필요에 따라서 배합되는 도전성 입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진다. 이들 접착 필름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지지 필름에 적층한 벨트형 양태로 제품화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접착 필름의 표면을 외기 중의 분진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접착 필름의 지지 필름과는 반대측의 주면 상에 보호 필름이 더 적층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도 4에 상술한 지지 필름, 접착 필름 및 보호 필름을 적층한 3층 구조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를 나타낸다.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은 지지 필름 (41), ACF 등의 접착 필름 (42) 및 보호 필름 (43)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구성을 갖는다.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은 상기 각 필름 (41), (42) 및 (43)을 적층한 후,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적층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얻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의 길이 방향의 단면 (4a)는 적층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각각의 필름 (41), (42) 및 (43)의 단면은 서로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3층 구조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을 이용한 회로 기판이나 전자 부품에서의 전극 등의 접속은 통상 하기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으로부터 보호 필름 (43)을 박리 제거한다. 이어서, 노출된 접착 필름 (42)의 한쪽 주면을 회로 기판 등의 피착체 표면에 접촉시켜 가(假) 압착한다. 그 후, 지지 필름 (41)을 박리 제거한다. 또한, 노출된 접착 필름 (42)의 다른 한쪽 주면을 다른 피착체 표면에 접촉시켜, 이들의 적층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함으로써(본(本) 압착), 이들의 회로 기판 등이 구비하는 전극 등의 접속이 완료된다. 보호 필름 (43)의 박리 제거는, 예를 들면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접착 필름 (42) 및 보호 필름 (43) 사이를 박리하여 행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1017호 공보
그런데, 최근 각종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그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회로 기판이나 전자 부품도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ACF 등의 접착 필름은 그 박막화와 함께 필름 폭을 한층 좁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은, 박막화 및 필름폭의 협소화에 따라서 보호 필름 (43)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는 것이 점차 곤란해지고 있다. 즉, 상기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은, 단면 (4a)가 상술한 바와 같은 양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막 두께가 얇아지거나 필름 폭이 좁아지거나 하면, 손가락 등에 의해 보호 필름 (43) 및 접착 필름 (42) 사이만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접착 테이프를 보호 필름 (43) 및 지지 필름 (41)의 노출된 주면에 접착시켜, 이들을 서로 인장함으로써 보호 필름 (43)을 박리 제거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박리하는 경우, 보호 필름 (43) 및 접착 필름 (4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도 지지 필름 (41) 및 접착 필름 (42) 사이의 박리 강도가 어느 정도 높아야만 한다. 그런데, 이들 박리 강도는 접착 필름 (42)의 구성 재료에도 의존하고, 그 구성 재료는 접착 필름 (42)의 용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 때문에,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보호 필름 (43)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는 데 필요한 상기 박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접착 필름을 협지한 필름 중 한쪽 필름만을 충분히 확실하게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는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을 구비한 릴체(reel)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필름과, 접착 필름과, 제2 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는 벨트형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으로서, 접착 필름이, 제2 필름의 길이 방향의 단면과 접착 필름의 주면과의 교차부를 면 내에 가지면서, 접착 필름의 주면과 직교하는 기준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을 제공한다.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의 경우, 접착 필름 (42) 및 지지 필름 (41)에 접촉되지 않고 보호 필름 (43)만을 집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0)의 보호 필름 (43)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은, 접착 필름이 상술한 기준면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필름을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적어도 접착 필름만을 집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접착 필름 및 경우에 따라서는 그에 더해 제1 필름을 적층 방향의 제1 필름측으로 절곡시키면, 제2 필름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제2 필름 및 접착 필름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제2 필름이 그 길이 방향의 단면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제2 필름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또는 제2 필름 및 제1 필름에 접착된 접착 테이프를 가지고 접착 필름 및 제2 필름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제2 필름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은 제2 필름의 단면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이 소형화되더라도, 제2 필름의 단면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필름에 접촉되지 않고 접착 필름 등만을 더욱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확실하면서 간편하게 제2 필름을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심과, 그 권심에 권회된 상술한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을 구비하는 릴체를 제공한다. 이 릴체로부터 인출한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은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확실하게 제2 필름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필름을 협지한 필름 중 한쪽 필름만을 충분히 확실하게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는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1, 21, 31… 지지 필름, 12, 22, 32… 접착 필름, 13, 23, 33… 보호 필름, 15, 25, 35… 적층체, 18… 지시 수단.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 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벨트형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길이 방향 단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은 제1 필름인 지지 필름 (11)과, 접착 필름 (12)와, 제2 필름인 보호 필름 (1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 (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은, 보호 필름 (13)의 접착 필름 (12)와는 반대측의 주면 상에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수단 (18)을 구비하고 있다.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의 폭은 0.3 내지 320 mm이면 바람직하고, 0.5 내지 10 mm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보호 필름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고 하는 유리한 효과를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필름 (11), 접착 필름 (12) 및 보호 필름 (13)의 길이 방향 (L)의 단면 (11a), (12a) 및 (13a)는 적층체 (15)의 적층 방향 (S)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 단면 중, 지지 필름 (11)의 단면 (11a) 및 접착 필름 (12)의 단면 (12a)는 서로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는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보다 돌출되어 있고, 그 결과,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는 본 발명에서의 기준면 (16), 즉 보호 필름의 단면 (13a)와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과의 교차부 (X)를 면 내에 가지면서,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와 직교하는 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접착 필름 (12)는 기준면 (16)보다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은, 접착 필름 (12)가 기준면 (16)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13)을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만을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이들 필름 (11) 및 (12)를 적층체 (15)의 적층 방향 (S) 지지 필름 (11)측으로 절곡시키면, 보호 필름 (13)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필름 (11) 및 (12)와 보호 필름 (13)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 (13)이 단면 (13a)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보호 필름 (13)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하여, 필름 (11) 및 (12)와 보호 필름 (13)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1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는 접착 필름 (12) 및 지지 필름 (11)을 손가락 등으로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 및 접착 필름 (12)의 단면 (12a) 사이의 거리 (D)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m가 되도록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거리 (D)가 1 mm 미만이면,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를 선택적으로 집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거리 (D)가 100 mm를 초과하면, 보호 필름 (13)의 박리 제거 용이성은 거의 변하지 않지만, 보호해야 하는 접착 필름 (12) 표면의 노출 부분이 많아지고, 접착 필름 (12)의 손실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지지 필름 (11)은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을 적층한 구성의 것일 수도 있다. 지지 필름 (1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배향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및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이 높으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점에서 PET 필름 및/또는 OPP 필름이 바람직하고, PET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필름 (11)은, 접착 필름 (12)가 설치되는 측의 주면을 필요에 따라서 이형 처리제로 처리한 것일 수도 있고, 그 주면에 조화 처리를 실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형 처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실리콘알키드, 아미노알키드, 알킬알키드 및 멜라민을 들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 (11)은 그의 주면을 중합체 등으로 코팅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처리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접착 필름 (12)는 지지 기재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 접착 필름 (12)는 지지 필름 (11)의 주면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지지 필름 (11)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지지 필름 (11)과는 다른 지지 기재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얻어진 필름을, 그 지지 기재로부터 박리한 후, 지지 필름 (11)의 주면 상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지지 필름 (11)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 필름 (12)는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을 적층한 구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 필름 (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한 접착 필름을 하지(下地)층으로 하고, 그 위에 접착 필름을 더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또는, 지지 필름 (11)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접착 필름과, 보호 필름 (13) 상에 동일하게 형성된 접착 필름을 서로 대향시켜 압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접착 필름 (12)의 원료가 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이방 도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이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잠재성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은 종래의 이른바 이방 도전성 접착제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접착제 조성물은 종래의 이방 도전성 접착제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 필름 (12)는, 도전성 입자를 통해 대향하는 전극 및/또는 단자간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이들을 구비하는 기판이나 장치를 접착시킨다.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접착 필름 (12)는, 대향하는 전극 및 또는 단자간을 직접 접촉시켜, 이들을 구비하는 기판이나 장치를 접착시킴으로써 이들 전극 및/또는 단자간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각 성분 이외에도 종래의 이방 도전성 접착제에 포함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 필름 (12)가 2층 이상을 적층한 구성을 갖는 경우, 각 층은 서로 동일한 조성일 수도 다른 조성일 수도 있다. 즉, 각 층의 원료인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층 및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층이 둘다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 필름 (12)가 2층을 적층한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지지 필름 (11)측의 층이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층이며, 보호 필름 (13)측의 층이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층일 수도 있다.
보호 필름 (13)은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을 적층한 구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배향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및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는, 굽힘 탄성이 높고 비용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OPP 또는 PET 필름이 바람직하고, PET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 (13)을 접착 필름 (12) 상에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 필름 (12) 표면에 추가로 보호 필름 (13)을 라미네이터 등으로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는, 지지 필름 (11)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접착 필름과, 보호 필름 (13) 상에 동일하게 형성된 접착 필름을 서로 대향시켜 압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보호 필름 (13)은 필요에 따라서 이형 처리제로 표면 처리할 수도 있고, 그 표면을 조화 처리할 수도 있다. 이형 처리제로서는 실리콘, 실리콘알키드, 아미노알키드, 알킬알키드, 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 (13)의 표면을 중합체 등으로 코팅할 수도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를 기준면 (16)보다 돌출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지지 필름 (11), 접착 필름 (12) 및 보호 필름 (13)의 적층체를 얻은 후에, 보호 필름 (13)의 단부만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는,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의 적층체를 형성한 후에, 미리 접착 필름 (12)의 주면 (12b)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보호 필름 (13)을 배치하여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 사이의 박리 강도와 보호 필름 (13) 및 접착 필름 (12) 사이의 박리 강도의 차는 0.001 내지 10 N/m이면 바람직하다.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은 보호 필름 (13)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기 위해서,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 사이가 보호 필름 (13) 및 접착 필름 사이보다도 박리 강도가 강한 것이 좋다. 한편, 회로 기판 등의 피착체에 접착 필름 (12)를 압착시킨 후에 지지 필름 (11)을 박리 제거하는 것을 고려하면, 피착체 및 접착 필름 (12) 사이가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 사이보다 박리 강도가 강한 것이 좋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상기 수치 범위 내에 있는 박리 강도의 차가 바람직하다.
종래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에 있어서, 박리 강도의 차가 상기 수치 범위 내에 있으면, 보호 필름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에 있어서도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1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박리 강도는 레오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박리 강도의 차는 지지 필름 (11) 및 접착 필름 (12) 사이의 박리 강도, 및/또는 보호 필름 (13) 및 접착 필름 (12) 사이의 박리 강도를 하기와 같이 하여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착 필름 (12)의 원료인 접착제 조성물 중의 수지(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을 적게 하거나, 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게 하거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나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을 많게 하거나, 지지 필름 (11) 및 보호 필름 (13)의 표면을 조화 처리하거나 할 수 있다. 또는, 박리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착 필름 (12)가 도전성 입자나 절연성 고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는, 박리 강도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지지 필름 (11)이나 보호 필름 (13)을 이형 처리제로 표면 처리하거나, 이들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지지 필름 (11), 접착 필름 (12) 및 보호 필름 (13)의 두께는 그의 용도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필름 (11) 및 보호 필름 (13)의 두께는 단위 폭당 인장 신장률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조정하면 바람직하고, 박리 강도의 차가 상기 수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지시 수단 (18)은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보호 필름 (13)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 그 단면 (13a)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지시 수단 (18)에 의해 단면 (13a)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보호 필름 (13)의 박리 제거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수단 (18)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흑색 벨트형 부재로서, 그 길이 방향축이 보호 필름 (13)의 단면 (13a)와 평행해지록 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은 권심(도시하지 않음)에 권회되어 릴체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릴체를 구성함으로써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10)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벨트형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길이 방향 단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20)은, 지지 필름 (21)과, 접착 필름 (22)와, 보호 필름 (2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 (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필름 (21), 접착 필름 (22) 및 보호 필름 (23)의 길이 방향 (L)의 단면 (21a), (22a) 및 (23a)는, 적층체 (25)의 적층 방향 (S)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 필름 (11)은 접착 필름 (22)의 단면 (22a)보다 돌출되어 있고, 접착 필름 (22)는 보호 필름 (23)의 단면 (23a)보다 돌출되어 있다. 그 결과, 지지 필름 (21)의 주면 (21b) 및 접착 필름 (22)의 주면 (22b)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보호 필름 (23)의 단면 (23a)는 본 발명에서의 기준면 (26), 즉 보호 필름 (23)의 단면 (23a)와 접착 필름 (22)의 주면 (22b)와의 교차부 (X)를 면 내에 가지면서, 접착 필름 (22)의 주면 (22a)와 직교하는 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접착 필름 (22)는 기준면 (26)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접착 필름 (22)의 단면 (22a)는, 기준면 (27), 즉 접착 필름 (22)의 단면 (22a)와 지지 필름 (21)의 주면 (21b)와의 교차부 (Y)를 면 내에 가지면서, 지지 필름 (21)의 주면 (21b)와 직교하는 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 필름 (21)은 기준면 (27)보다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20)은, 접착 필름 (22)가 기준면 (26)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23)을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지지 필름 (21) 및 접착 필름 (22)만을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이들 필름 (21) 및 (22)를 적층체 (25)의 적층 방향 (S) 지지 필름 (21)측으로 절곡시키면, 보호 필름 (23)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필름 (21) 및 (22)와 보호 필름 (23)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 (23)이 단면 (23a)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보호 필름 (23)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하여, 필름 (21) 및 (22)와 보호 필름 (23)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2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20)은, 지지 필름 (21)이 기준면 (27)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23) 및 접착 필름 (22)를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지지 필름 (21)만을 선택적으로 집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지지 필름 (21)을 적층체 (25)의 적층 방향 (S) 지지 필름 (21)측으로 절곡시키면, 보호 필름 (23)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필름 (21) 및 (22)와 보호 필름 (23)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 (23)이 단면 (23a)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보호 필름 (23)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하여, 필름 (21) 및 (22)와 보호 필름 (23)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2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지지 필름 (21) 및 접착 필름 (22) 사이의 박리 강도가 보호 필름 (23) 및 접착 필름 (2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큰 경우, 이 박리 제거는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지지 필름 (21)의 주면 (21b) 및 접착 필름 (22)의 주면 (22b)는, 지지 필름 (21) 및 접착 필름 (22)를 손가락 등으로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접착 필름 (22)의 단면 (22a) 및 지지 필름 (21)의 단면 (21a) 사이의 거리 (D1)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m가 되도록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필름 (23)의 단면 (23a) 및 접착 필름 (22)의 단면 (22a) 사이의 거리 (D2)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cm가 되도록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벨트형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길이 방향 단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30)은, 지지 필름 (31)과, 접착 필름 (32)와, 보호 필름 (3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 (3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필름 (31), 접착 필름 (32) 및 보호 필름 (33)의 길이 방향 (L)의 단면 (31a), (32a) 및 (33a)는, 적층체 (35)의 적층 방향 (S)에 대하여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는, 지지 필름 (31)이 접착 필름 (32)의 단면 (32a)보다 돌출되어 있고, 접착 필름 (32)가 보호 필름 (33)의 단면 (33a)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호 필름 (33)의 단면 (33a)는 본 발명에서의 기준면 (36), 즉 보호 필름 (33)의 단면 (33a)와 접착 필름 (32)의 주면 (32b)와의 교차부 (X)를 면 내에 가지면서, 접착 필름 (32)의 주면 (32b)와 직교하는 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접착 필름 (32)는 기준면 (36)보다 돌출되어 있다.
접착 필름 (32)의 단면 (32a)는 기준면 (37), 즉 접착 필름 (32)의 단면 (33a)와 지지 필름 (31)의 주면 (31b)와의 교차부 (Y)를 면 내에 가지면서, 지지 필름 (31)의 주면 (31b)와 직교하는 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 필름 (31)은 기준면 (37)보다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30)은, 접착 필름 (32)가 기준면 (36)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33)을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지지 필름 (31) 및 접착 필름 (32)만을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이들 필름 (31) 및 (32)를 적층체 (35)의 적층 방향 (S) 지지 필름 (31)측으로 절곡시키면, 보호 필름 (33)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필름 (31) 및 (32)와 보호 필름 (33)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 (33)이 단면 (33a)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보호 필름 (33)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하여, 필름 (31) 및 (32)와 보호 필름 (33)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3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30)은, 지지 필름 (31)이 기준면 (37)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필름 (33) 및 접착 필름 (32)를 손가락 등으로 집지 않고 지지 필름 (31)만을 선택적으로 집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집은 지지 필름 (31)을 적층체 (35)의 적층 방향 (S) 지지 필름 (31)측으로 절곡시키면, 보호 필름 (33)의 굽힘 탄성의 작용에 의해 필름 (31) 및 (32)와 보호 필름 (33)이 서로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 (33)이 단면 (33a)측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후, 또한 보호 필름 (33)의 박리된 부분을 집거나 하여, 필름 (31) 및 (32)와 보호 필름 (33)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 충분히 확실하게 보호 필름 (33)만을 선택적으로 박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지지 필름 (31) 및 접착 필름 (32) 사이의 박리 강도가 보호 필름 (33) 및 접착 필름 (3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큰 경우, 이 박리 제거는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단면의 경사는, 지지 필름 (31) 및 접착 필름 (32)를 손가락 등으로 선택적으로 집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노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보호 필름 (33)의 단면 (33a)와 접착 필름 (32)의 주면 (32b)와의 교차부 (X)와, 접착 필름 (32)의 단면 (32a)와 지지 필름 (31)의 주면 (31b)와의 교차부 (Y) 사이의 거리 (D1)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m가 되도록 경사져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필름 (32) 단면 (32a)와 지지 필름 (31)의 주면 (31b)와의 교차부 (Y)와, 지지 필름 (31) 단면 (31a)의 하단부 (Z) 사이의 거리 (D2)가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200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50 cm가 되도록 경사져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보호 필름의 접착 필름측과는 반대측의 주면 상에 지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호 필름 (33)의 단면 (33a)의 하단 (X)를 지시하기 위해서, 단면 (33a) 상에 지시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지시 수단은 보호 필름에 직접 유성 잉크 등으로 쓰여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지시 수단 대신에 보호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착색함으로써, 그 단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보호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경우, 그 보호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한 상태이면, 그 단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제1 필름과, 접착 필름과, 제2 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는 벨트형의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으로서,
    상기 접착 필름이, 상기 제2 필름의 길이 방향의 단면과 상기 접착 필름의 주면과의 교차부를 면내에 가지면서, 상기 접착 필름의 상기 주면과 직교하는 기준면보다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착 필름의 주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단면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폭이 0.5 내지 10 ㎜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제1 필름 및 접착 필름 간의 박리 강도와, 제2 필름 및 접착 필름 간의 박리 강도의 차가, 0. 001 내지 10 N/m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단면 및 상기 접착 필름의 단면간의 거리 D1이 1 내지 100 ㎜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의 단면 및 상기 접착 필름의 단면간의 거리 D2가 10 내지 200 ㎝인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7. 권심과, 그 권심에 권회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을 구비한 릴체(reel).
KR1020117025913A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KR101180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6982 2007-05-23
JP2007136982A JP5104034B2 (ja) 2007-05-23 2007-05-23 異方導電接続用フィルム及びリール体
PCT/JP2008/058430 WO2008142985A1 (ja) 2007-05-23 2008-05-02 異方導電接続用フィルム及びリール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729A Division KR101183299B1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188A true KR20110126188A (ko) 2011-11-22
KR101180619B1 KR101180619B1 (ko) 2012-09-06

Family

ID=400317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915A KR20110126189A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사용 방법
KR1020097016729A KR101183299B1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KR1020117025913A KR101180619B1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915A KR20110126189A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의 사용 방법
KR1020097016729A KR101183299B1 (ko) 2007-05-23 2008-05-02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04034B2 (ko)
KR (3) KR20110126189A (ko)
CN (4) CN102352194B (ko)
TW (2) TWI456322B (ko)
WO (1) WO2008142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45B1 (ko) * 2020-02-06 2020-05-29 (주)에이치케이 전자파 차폐필름용 이형필름의 부착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094A1 (ja) * 2009-03-26 2010-09-3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材リール
JP5459099B2 (ja) * 2010-06-24 2014-04-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759168B2 (ja) * 2010-12-24 2015-08-0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リール体及びリール体の製造方法
JP5737134B2 (ja) * 2011-10-21 2015-06-17 Tdk株式会社 粘着シート、表示器用部品および粘着シート製造方法
US9252390B2 (en) 2012-08-07 2016-02-02 Joled Inc. Production method for joined body, and joined body
JP6170290B2 (ja) * 2012-10-11 2017-07-26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6677966B2 (ja) * 2014-11-17 2020-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封止用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6096308A (ja) * 2014-11-17 2016-05-26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689135B2 (ja) * 2016-05-20 2020-04-2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テープ構造体
JP6829998B2 (ja) * 2017-01-25 2021-02-17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基材付接着シート及び半導体モジュール
JP6641338B2 (ja) * 2017-11-02 2020-0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9341909B (zh) * 2018-11-20 2020-11-10 郑州大学 一种多功能柔性应力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2260U (ko) * 1971-08-17 1973-04-19
JPS4832660U (ko) * 1971-08-23 1973-04-20
JPS4856600U (ko) * 1971-10-29 1973-07-19
JPS55127741U (ko) * 1979-03-01 1980-09-09
JPS61120178U (ko) * 1985-01-17 1986-07-29
JPH0437239U (ko) * 1990-07-20 1992-03-30
JPH0621573U (ja) * 1992-03-13 1994-03-22 昌一 柴田 クリーナー用ロール巻粘着テープ
JP3552274B2 (ja) * 1994-05-20 2004-08-1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ート状接着材の剥離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JPH11100553A (ja) * 1997-09-29 1999-04-13 Toray Ind Inc Tab用接着剤付きテープのロールおよびtab用接着剤付き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3276090A (ja) * 2002-03-25 2003-09-30 Sony Chem Corp フィルム状接着剤の貼付装置
CN100548840C (zh) * 2002-07-30 2009-10-14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粘接材料带连接体及粘接材料带的连接方法
JP2004211017A (ja) * 2003-01-08 2004-07-29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テープ、接着剤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接着剤テープの圧着方法
JP3921452B2 (ja) * 2003-03-04 2007-05-30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異方導電性フィルムの積層テープ製造方法
DE602004018720D1 (de) * 2003-09-09 2009-02-12 Nitto Denko Corp Anisotrop-leitender Film , Herstellungs- und Gebrauchsverfahren
WO2006075483A1 (ja) * 2005-01-12 2006-07-20 Idemitsu Kosan Co., Ltd. TFT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Al配線を備えた透明導電膜積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Al配線を備えた透明導電膜積層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酸化物透明導電膜材料
JP2006278837A (ja) * 2005-03-30 2006-10-12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KR20100117680A (ko) * 2005-08-04 2010-11-03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이방도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307B1 (ko) * 2006-01-16 2007-02-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두께 편차를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45B1 (ko) * 2020-02-06 2020-05-29 (주)에이치케이 전자파 차폐필름용 이형필름의 부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4034B2 (ja) 2012-12-19
TWI456322B (zh) 2014-10-11
CN102324272A (zh) 2012-01-18
KR101180619B1 (ko) 2012-09-06
KR101183299B1 (ko) 2012-09-14
TW200912491A (en) 2009-03-16
KR20110126189A (ko) 2011-11-22
JP2008293751A (ja) 2008-12-04
TWI396022B (zh) 2013-05-11
CN102352194A (zh) 2012-02-15
CN102354816A (zh) 2012-02-15
CN101606282A (zh) 2009-12-16
WO2008142985A1 (ja) 2008-11-27
TW201314329A (zh) 2013-04-01
CN102352194B (zh) 2015-11-25
KR20090122923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619B1 (ko) 이방 도전 접속용 필름 및 릴체
JP4614003B2 (ja) 異方導電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体及び回路部材の接続方法
JP4596089B2 (ja) 接着材リール
JP4596086B2 (ja) 接着材リール
KR102601787B1 (ko)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접속 구조체, 그리고 필름 구조체, 및 필름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2007294996A (ja) シールドフィルム、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シールド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シール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2077305A (ja) 異方導電接続用フィルム及びリール体
JP5024117B2 (ja) 回路部材の実装方法
JP2008303067A (ja) 接着材リ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接続体の製造方法
CN111655810B (zh) 构件连接方法和粘接带
KR100686781B1 (ko) 대전방지층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
JP2011077125A (ja) 配線板、配線板の製造方法、配線板の接続構造及び配線板の接続方法
WO2020184267A1 (ja)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体、並びにフィルム構造体、及びフィルム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23497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커버레이 적층용 이형필름
JP517749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49589A (ko) 접속 필름의 제조 방법
JP2505751Y2 (ja) 耐屈曲性熱圧着接続部材
JP2009135093A (ja) 異方導電フィルム、異方導電フィルム用リール、異方導電フィルム巻、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体
JP201113880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