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90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0901A KR20110120901A KR1020117019547A KR20117019547A KR20110120901A KR 20110120901 A KR20110120901 A KR 20110120901A KR 1020117019547 A KR1020117019547 A KR 1020117019547A KR 20117019547 A KR20117019547 A KR 20117019547A KR 20110120901 A KR20110120901 A KR 201101209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cleaning
- valve body
- washing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2—Pressurised cleaning liquid delivered by a pump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2)와, 피세정물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6)와, 세정조(2)에 고정되는 회전 베어링(13)과, 회전 베어링(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세정 펌프(6)로 가압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7)을 구비한다. 세정 노즐(7)은, 분사구(19, 20)를 갖는 복수의 유로(15, 16)를 구비하는 노즐부(100)와, 밸브체(21)를 내장하는 회전축(14)을 갖는다. 밸브체(21)는 개구부(22)와 폐구부(23)를 가지며, 회전축(14) 내를 세정 노즐(7)과 함께 회전하면서 유수 방향으로 진퇴 이동함으로써 회동하여, 복수의 유로(15, 16)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전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밸브체(21)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절수를 실현하면서 식기의 세정 편차를 없애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수를 이용해서 식기 등을 세정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하, 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 내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회전 가능한 세정 노즐(101)은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4개의 부실(103a~103d)로 구분되어 있다. 각 부실(103a~103d)의 선단부에는 세정수의 분사력으로 세정 노즐(101)을 회전시키는 추진 구멍(104)이 마련되어 있다.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토출부(105)와 세정 노즐(101)의 회전축(102) 사이에는 원통형의 수통(受筒)(106)이 마련되어 있다. 수통(106) 내에는 부자(107)가 마련되어 있다.
부자(107)는,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수통(106) 내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대각이 되는 부실(103c, 103d)로 통하는 개구부(108a)를 폐쇄한다. 한편,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108b)로부터 부실(103a, 103b)로 세정수가 유입한다. 이에 의해, 세정 노즐이 회전하면서 세정수를 분사한다. 펌프를 정지하면, 부자(107)는 수통(106) 내를 하강한다. 다시, 펌프를 구동하면, 부자(107)는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수통(106) 내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대각이 되는 부실(103a, 103b)로 통하는 개구부(108b)를 폐쇄하고 개구부(108a)를 개방한다. 따라서, 대각이 되는 부실(103c, 103d)로 세정수가 유입한다. 이에 의해, 세정 노즐(101)이 반전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정수를 분사한다.
즉, 펌프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부자(107)는 수통(106) 내를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여, 세정 노즐(101)의 회전 방향을 정역전환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세척기에서는 펌프를 정지해서 세정수의 유로를 전환하는 경우, 부자(107)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통(106) 내를 하강하여 세정 노즐(101)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부자(107)가 세정 노즐(101)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 수통(106)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자(107)가 세정 노즐(10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동안에도 세정 노즐(101)은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에 부자(107)가 세정 노즐(101)을 향해 상승하여 계합하는 경우, 전회에 막고 있던 유로를 다시 막을 가능성이 있다.
즉, 부자(107)가 세정 노즐(101)과 이격되어 있는 동안, 부자(107)와 세정 노즐(101)은 서로 독립해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부자(107)는 유로를 순번에 따라 차단할 수 없다. 그 결과, 세정 노즐(101)의 회전 방향의 전환이 불규칙하게 되어, 세정수가 닿는 식기 등에 편향이나 세정 편차가 생긴다.
본 발명은, 절수를 실행하면서, 세정 노즐 내의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함으로써, 식기로의 세정수 분사의 편향을 없애서 식기를 편차 없이 세정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세정조에 고정되는 회전 베어링과, 회전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세정 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한다. 세정 노즐은, 분사구를 갖는 복수의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부와, 밸브체를 내장하는 회전축을 갖는다. 밸브체는 개구부와 폐구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내를 상기 세정 노즐과 함께 회전하면서 유수 방향으로 진퇴 이동함으로써 회동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전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밸브체는 세정 노즐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절수를 실현하면서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절수를 실현하면서 식기의 세정 편차를 없애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일부 절결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와 노즐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 개략도,
도 1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세정 노즐 근방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세정 노즐의 일부 절결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일부 절결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와 노즐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 개략도,
도 1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세정 노즐 근방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세정 노즐의 일부 절결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정 노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밸브체와 노즐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본체(1)에는 도어(도시하지 않음)로 개폐 가능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세정조(2)가 마련되며,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은 식기바구니(4)에 세트되어 세정조(2) 내에 수용된다. 급수 밸브(5)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작하여 세정조(2)에 물을 공급한다. 세정 펌프(6)는 세정조(2) 내에 고인 세정수를 가압해서 세정 노즐(7)에 공급한다. 세정 노즐(7)은 세정조(2) 내에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정물(3)을 세정한다. 피세정물(3)에 분사되는 세정수는 피세정물(3)을 세정하기 위한 세제액과, 피세정물(3)을 헹구기 위한 헹굼수를 포함한다.
세정조(2) 내의 바닥부에는 세정 펌프(6)의 흡입측과 연통한 배수구(8)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구(8)는 찌꺼기를 수집하는 배수 필터(9)와 찌꺼기 필터(10)를 구비하고 있다. 찌꺼기 필터(10)는 배수 필터(9)보다 세밀하게 착탈 가능하며, 사용자는 찌꺼기 필터(10)를 떼어내 수집한 찌꺼기를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2) 내에 고인 세정수와 세정조(2) 내의 건조용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11)가 세정조(2) 내의 바닥부에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12)가 세정조(2)의 바닥면 외벽에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바닥부에 마련된 세정 노즐(7)은 세정조(2)에 고착되어 고정된 회전 베어링(13)에 회전축(14)을 끼워 맞춤으로써 회전 베어링(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세정 노즐(7)을 세정조(2)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고착하는 것 외에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어태치먼트부를 쌍방에 마련함으로써 고정해도 좋다. 또한, 세정 노즐(7)은 노즐부(100)와 회전축(14)을 구비하며 각각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다. 노즐부(100)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1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양측에 직선적이고 수평으로 연장 설치된다. 또한, 노즐부(100)는, 그 내부에 회전축(14)측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병행으로 연장되는 대칭인 복수의 유로를 구비한다.
도 2를 이용하여 노즐부의 유로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부(100)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를 갖는다. 또한, 노즐부(100)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연통하는 제 1 세정 유로(15)를 구비한다. 노즐부(100)는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와 연통하는 제 2 세정 유로(16)를 구비한다. 제 1 세정 유로(15) 및 제 2 세정 유로(16)는 노즐부(100) 내를 격벽(34)에 의해 4개로 구분함으로써 마련되어 있으며, 대각이 되도록 각각 2개소씩 배치되어 있다. 제 1 세정 유로(15)의 상면측에는 제 1 분사구(19)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세정 유로(16)의 상면측에는 제 2 분사구(20)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는 제 1 세정 유로(15)의 위치에 대응하며, 대각이 되도록 2개소 마련되어 있다.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는 제 2 세정 유로(16)에 대응하며,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교차하도록 대각으로 2개소 마련되어 있다.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는 격벽(34)에 의해 구획된 중심각이 대략 90도인 부채 형상의 개구부이다. 즉,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가 교대로 늘어섬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14)은 내벽 바닥부에 회전축측 계합부(28)를 가지고 있다. 회전축측 계합부(28)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면(28a)과, 인접하는 두 개의 경사면(28a)를 잇는 복수의 단차부(28b)를 가지고 있다. 이때, 각 단차부(28b)와 세정 노즐(7)의 격벽(34)이 세정 노즐 상방에서 보았을 때, 일정 각도(예를 들면 x도)만큼 어긋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는 세정 펌프(6)의 토출측과 연통하고 있어서, 세정 펌프(6)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세정 노즐(7)에 축 개구부(24)를 통해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14) 내에는 노즐부(100)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체(21)가 마련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21)는 대략 평면 형상을 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부(100)의 세정 유로 입구(17, 18)측인 밸브체(21)와 계합하는 면(A)도 평면 형상이다. 밸브체(21)는 회전 중심에 중공 원통부(30)를 갖는다. 밸브체(21)는 개구부(22)와 폐구부(23)를 갖는다. 개구부(22)는 중공 원통부(30)를 중심으로 하여 대각에 2개소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폐구부(23)도 중공 원통부(30)를 중심으로 대각에 2개소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2)와 폐구부(23)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에 대응한, 중심각이 대략 90도인 부채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노즐부(100)의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측에는 하방을 향해 지지축(29)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공 원통부(30)를 삽입할 수 있다. 밸브체(21)가 상승할 때에, 지지축(29)이 밸브체(21)의 상승 동작의 가이드부가 된다. 폐구부(23)의 상면의 외주측에는 산 형상의 상면 계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폐구부(23)의 하면의 외주 단부에는 하면 계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하면 계합부(27)는 회전축측 계합부(28)와 계합할 수 있도록, 회전축측 계합부(28)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식기세척기 본체(1)의 개구부로부터 식기 등의 피세정물(3)을 식기바구니(4)에 세트하고, 피세정물(3)을 세정조(2)에 수납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소정량의 세제를 투입한 후, 도어를 닫음으로써 식기세척기의 본체(1)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운전을 개시한다. 피세정물(3)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 피세정물(3)에 부착한 세제나 찌꺼기를 씻어내는 헹굼 공정, 그리고 피세정물(3)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의 순서로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가 급수 밸브(5)를 동작시켜서, 소정량의 세정수가 세정조(2)에 급수되며, 이어서 세정 펌프(6)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 노즐(7)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이때, 세정조(2) 내에 마련한 시즈 히터 등의 발열체(11)는 통전되어 있어서 세정수를 가열하면서 세정 공정은 실행된다. 또한, 온도 센서(12)는 세정조(2)의 벽을 거쳐서 세정조(2) 내의 세정수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으며, 온도 센서(12)가 소정 온도 이상을 검지하면, 제어부는 발열체(11)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세정수의 순환은 세정 펌프(6)가 동작함으로써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펌프(6)가 동작함으로써, 세정수는 배수 필터(9)와 찌꺼기 필터(10)를 통과하여, 순환 경로(33) 내에 마련된 세정 펌프(6)에 흡입된다. 이어서, 세정 펌프(6)가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조(2) 내의 바닥부에 마련한 세정 노즐(7)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세정 펌프(6)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는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로부터 회전축(14) 내로 유입한다.
밸브체(21)는 유입된 세정수로부터 밸브체(21)의 자중보다 큰 수압을 폐구부(23)의 하면에서 받아서 상승을 시작한다. 즉, 밸브체(21)는 유입된 세정수로부터 밸브체(21)의 자중보다 큰 수압을 폐구부(23)의 하면에서 받아서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를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밸브체(21)가 노즐부(100)와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면 계합부(26)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에 계합함으로써,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와 폐구부(23)가 일치한다. 또한, 동시에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밸브체(21)의 개구부(22)가 일치한다. 이에 의해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는 밸브체(21)의 폐구부(23)로 폐색되며, 세정수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로부터 노즐부(100) 내의 제 1 세정 유로(15)에 유입한다. 제 1 세정 유로(15)에 유입된 세정수는 복수 마련된 제 1 분사구(19)로부터 피세정물(3)에 분사된다. 이때, 세정수의 분사의 반력에 의해 세정 노즐(7)은 좌회전으로 회전한다. 또한, 밸브체(21)는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를 폐색한 채로, 세정 노즐(7)과 동기하여 회전한다.
제 1 분사구(19)로부터 소정 시간 세정수를 분사시키면, 제어부는 세정 펌프(6)를 소정 시간 정지시킨다. 그 결과, 밸브체(21)는 자중보다 큰 수압을 폐구부(23)에서 받지 않게 되므로,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로부터 이격되어 하강을 시작한다.
이때, 세정 펌프(6)의 정지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가 세정 노즐(7)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 세정조(2) 내의 수위는 세정 노즐(7)의 노즐부(100)보다 낮기 때문에, 세정 노즐(7) 내에 분사하지 않고 남은 세정수가 세정 펌프(6)로 향해 역류, 즉 하강하기 시작한다. 나아가 밸브체(21)는 제 1 또는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를 막고 있는 상태로 세정조(2) 내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밸브체(21)는 상면에서 역류하는 세정수의 수압을 받는다. 이에 의해, 밸브체(21)의 하강이 가속되므로, 밸브체(21)의 전환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체(21)는, 하면 계합부(27)가 회전축(14)의 회전축측 계합부(28)와 계합함으로써 하강이 정지된다. 밸브체(21)는 회전축측 계합부(28)와 계합하고 있을 때 세정 노즐(7)과 동기하여 회전한다.
다음에 세정 펌프(6)의 구동이 개시되며, 밸브체(21)는 유입된 세정수로부터 밸브체(21)의 자중보다 큰 수압을 폐구부(23)의 하면에서 받아서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를 향해 다시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밸브체(21)가 노즐부(100)와 계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면 계합부(26)가, 상기한 바와 달리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에 계합함으로써,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폐구부(23)가 일치한다. 또한, 동시에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와 밸브체(21)의 개구부(22)가 일치한다. 이에 의해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는 밸브체(21)의 폐구부(23)로 폐색되며, 세정수는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로부터 노즐부(100) 내의 제 2 세정 유로(16)에 유입한다. 제 2 세정 유로(16)에 유입된 세정수는 복수 마련된 제 2 분사구(20)로부터 피세정물(3)에 분사된다. 밸브체(21)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를 폐색한 채로, 세정 노즐(7)과 동기하여 회전한다. 이때, 세정수의 분사의 반력에 의해 세정 노즐(7)은 우회전으로 회전한다. 즉, 밸브체(21)에 의한 유로의 전환에 의해, 세정 노즐(7)의 회전 방향이 반전된다. 이와 같이, 밸브체(21)에 의한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의 전환 동작을 소정 시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밸브체(21)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17)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의 어느 하나를 폐색하고 있는 경우, 및 회전축측 계합부(28)와 계합하고 있는 경우, 세정 노즐(7)과 함께, 세정 노즐(7)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그 외에, 즉, 밸브체(21)가 회전축(14) 내를 유수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진퇴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세정 노즐(7)과는 완전하게는 동기하고 있지 않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밸브체(21)는 진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약 90도 회동한다. 즉, 밸브체(21)는 회전축(14) 내를 유수 방향으로 진퇴 동작할 때, 세정 노즐(7)의 회전 각도에 더하여, 세정 유로 입구를 전환하는 분량(약 90도)만큼 회동한다. 여기서, 밸브체(21)는, 진퇴 동작하고 있는 동안, 세정 노즐(7)과 독립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관성에 의한 회전이 생긴다. 그러나, 회전축측 계합부(28)와 세정 유로 입구(17, 18)의 거리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밸브체(21)의 진퇴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매우 짧게 해서, 세정 노즐(7)과 밸브체(21)의 회전의 차이를 억제함으로써 관성에 의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밸브체(21)는 진퇴 동작에 의해 약 90도만 세정 노즐(7)에 대해 회동하여, 확실한 세정 유로의 전환을 실현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밸브체(21)의 구성과 전환 동작,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정 펌프(6)를 운전시킴으로써, 밸브체(21)는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로부터 유입된 세정수의 수압을 폐구부(23)에서 받아서 상승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상면 계합부(26)의 경사 부분이, 도 2에 도시하는 노즐부(100) 내의 유로를 분리하기 위해서 마련된 십자 형상의 격벽(34)에 슬라이딩하며, 밸브체(21)는 회전하면서 대략 연직 상방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 계합부(26)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에 계합하여, 밸브체(21)의 폐구부(23)가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에 대향하여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를 폐색한다. 동시에, 개구부(22)가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에 대향하여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의 개방을 이룬다. 이때, 상면 계합부(26)는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밸브체(21)는 격벽(34)에 슬라이딩하면서, 제 2 세정 유로 입구(18)와 계합하여 상면 계합부(26)의 경사에 의해 제 1 소정 각도(예를 들면, 45도)만큼 회동한다.
소정 시간 세정 펌프(6)가 운전을 계속해서 제 1 세정 유로 입구(17)가 개구되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와 연통한 제 1 세정 유로(15)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어서, 세정 펌프(6)를 일단 정지하면, 밸브체(21)는 자중보다 큰 수압을 폐구부(23)에서 받지 않게 되므로, 제 1 세정 유로 입구(17)로부터 이격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을 시작한다. 이때, 하면 계합부(27)를, 도 4에 도시하는 회전축(14)에 마련된 회전축측 계합부(28)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면서 계합하여, 밸브체(21)는 제 2 소정 각도(예를 들면, 45도)만큼 회동한다. 밸브체(21)는, 하면 계합부(27)가 회전축측 계합부(28)의 단차부(28b)와 접촉하는 것으로 정지한다.
다시 세정 펌프(6)를 동작시킴으로써, 밸브체(21)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격벽(34)에 슬라이딩하며, 제 1 각도만큼 회동하여 제 1 세정 유로 입구(17)에 계합한다.
즉, 밸브체(21)는 한번의 진퇴 이동에 의해,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합계의 각도인 약 90도 회동한다. 한편, 제 1 세정 유로 입구(17)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8)는, 함께 중심각이 제 1 각도와 제 2 각도를 합계한 각도(90도)의 부채 형상이다. 즉, 밸브체(21)는, 진퇴 동작, 즉, 상하의 왕복 운동을 1회 함으로써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합계인 각도(약 90도)만큼 회동하여,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를 전환하는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밸브체(21)가 4회 왕복 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360도 회동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세정 펌프(6)를 단속적으로 운전함으로써, 밸브체(21)가 진퇴 동작하여, 밸브체(21)와 노즐부(100)가 계합하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를 순차 폐색해서,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 유로 입구(17, 18)을 순차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로 밸브체(21)를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전축(14)의 유로 내에는 밸브체(21) 이외에는 세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없고, 나아가 세정 노즐(7)과 밸브체(2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밸브체(21)의 상면 계합부(26)는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와 끼워 맞춤되며, 하면 계합부(27)는 회전축(14)의 회전축측 계합부(28)와 끼워 맞춤된다. 따라서, 밸브체(21)는, 세정 펌프(6)의 구동시에는 상면 계합부(26)가 끼워 맞춤되어 회동하고, 세정 펌프 정지시에는 하면 계합부(27)가 끼워 맞춤되어 회동함으로써, 밸브체(21)와, 세정 노즐(7)의 유로 입구와, 회전축(14)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항상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밸브체(21)는 세정 노즐(7)과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절수를 실현하면서 식기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34)과 단차부(28b)가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x도) 어긋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밸브체(21)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는, 노즐부(100)의 분사구(19, 20)로부터 분사되어 피세정물(3)을 세정한 후, 다시 배수구(8)로 돌아온다. 이때, 피세정물(3)로부터 탈락한 찌꺼기 등은 세정수와 함께 찌꺼기 필터(10)에 유입한다. 찌꺼기 필터(10)를 통과할 수 없는, 찌꺼기 필터(10)에 복수 마련된 구멍보다 큰 찌꺼기는 찌꺼기 필터(10)에 포집된다.
소정 시간 세정 공정을 끝내면, 오염물을 포함한 세정수는 식기세척기 본체(1) 외부로 배출되며, 새롭게 세정수가 공급된다. 세정 펌프(6)를 운전해서 세정 노즐(7)로부터 다시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제나 찌꺼기 등이 부착된 피세정물(3)을 헹군다. 소정 시간 운전한 후, 세정수를 배출하고, 다시 세정수를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이 헹굼 공정은 연속해서 3회 정도 실행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세정수를 식기세척기 본체(1) 외부로 배출하고 헹굼 공정은 종료한다. 이어서 건조 공정을 실시하며, 소정 시간 건조를 실행한 후, 운전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세정 노즐(7)의 노즐부(100)의 각각의 세정 유로에 연통하는 세정 유로 입구와 밸브체(2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항상 소정의 위치로 정해지므로, 유로의 전환이 확실하게 안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분사구로부터 세정수를 피세정물(3)에 분사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하게, 고밀도로, 세정조(2) 내 전체의 피세정물(3)에 균일하게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정 펌프(6)의 능력이 동등해도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9)과 중공 원통부(30)에 의해서, 밸브체(21)의 유수 방향으로의 이동, 밸브체(21)와 제 1 및 제 2 세정 유로 입구(17, 18)의 끼워 맞춤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그와 함께, 지지축(29)이 밸브체(21)의 상방, 세정수의 유동 방향으로는 밸브체(21)의 하류측에 마련됨으로써, 세정수는 밸브체(21)의 개구부(22)를 통과해 흐르기 때문에, 지지축(29)에 의해 흐름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정수가 흐르는 유로에 마련되는 전환 구성에 의한 유동 저항을 적게 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유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1)의 중공 원통부(30)는 세정 유로 입구측 단부면을 포함한 측벽에 측벽 개구부(31)를 마련하고 있어서, 밸브체(21)의 중공 원통부(30)와 지지축(29)의 끼워 맞춤 간극에 끼어들어간 이물질을 측벽 개구부(31)로부터 흘려 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물질이 가득 차는 것에 의한 밸브체(21)의 진퇴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서 확실하게 유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1)의 중공 원통부(30)에서,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측, 즉, 세정수의 유동 방향으로 하면 밸브체(21)의 상류측의 흐름에 대해 대략 수직인 단부면은 바닥벽(30a)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측벽에 물 빠짐 구멍(32)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로부터 유입된 세정수와 세정수 중의 이물질은 직접 중공 원통부(30)에 인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세정 펌프(6)의 정지시 등에, 중공 원통부(30)의 상방으로부터 침입한 세정수나 이물질은 물 빠짐 구멍(32)을 통과하여, 중공 원통부(30) 내로부터 흘러나온다. 따라서, 실제 사용상에 견딜 수 있는 구성이 되어 확실하게 유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1)와 회전축(14)의 내벽 사이에 간극(D)을 마련한다. 이 간극(D)을 배수 필터(9)의 개구부의 폭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3)로부터 씻겨진 찌꺼기 등이 배수 필터(9)를 통과하여 밸브체(21)와 회전축(14)의 내벽 사이에 끼어들어가 밸브체(21)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불량이 생기는 일 없이 밸브체(21)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의 직경을 밸브체(21)의 직경[폐구부(23)의 직경]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밸브체(21)의 하면 계합부(27)와 끼워 맞춤되는 회전축측 계합부(28)는 회전축(14)의 축 개구부(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 없이 밸브체(21)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세정수의 유동 저항이 적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9, 20)를 각 유로(15, 16)에 있어서 각각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도록 배설하는 것에 의해, 세정 노즐(7)이 회전함으로써 분사구(19, 20)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원의 궤적을 통과하지만, 세정 노즐(7)의 외경 내에 있어서의 분사구(19, 20)의 궤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피세정물(3)에 대해서, 고밀도로 보다 균일하게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7)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유로에 의해 회전 방향이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정 노즐(7)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분사구(19, 20)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가 복수의 각도로부터 피세정물(3)에 분사되게 되어, 피세정물(3)의 표리 양면을 보다 확실히 세정할 수 있는 등,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어서 세정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세정 노즐(7)은, 분사구(19, 20)로부터의 분사 흐름의 반력을 이용하여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분사구(19, 20)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세정 노즐(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사발류나 깊이가 깊은 접시류 등에 대해서는, 경사 방향으로 분사하지 않으면 세정수를 그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은 곤란하여 세정할 수 없다. 또한, 세정 노즐(7)은 분사의 반력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어서, 바로 윗쪽에서 경사진 분사의 회전력의 합계가 회전 추진력이 되기 때문에, 회전에 대하여 후퇴 방향의 분사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한 방향의 회전만으로는, 장소에 따라, 경사진 분사의 강약이 존재하여 세정력의 편차를 일으킨다.
세정 노즐(7)을, 정역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강약의 관계가 반대로 되기 때문에, 정회전에서는 침입성이 나빴던 부위에의 침입성이 좋아지고, 이들을 반복함으로써, 세정력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어서 세정조(2) 내에 세트된 피세정물(3)의 전체를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다.
분사구(19, 20)의 분사 각도, 방향 등이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보다 광범위한 한편 효율적인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제와 열로 오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시와, 세제나 오염을 헹구는 헹굼 공정시에 있어서, 밸브체(21)에 의해 각 유로(15, 16)를 전환하는 간격이 상이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분사 시간이 긴 세정 공정시에 전환하는 회수를 줄임으로써, 전환시에 있어서의 시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체(21)를 각 유로(15, 16)의 입구(17, 18)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하여, 밸브체(21)가 면(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수에 혼재하는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일 없이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펌프(6)의 동작의 개시와 정지에 대응시켜서 밸브체(21)를 진퇴 이동시켜, 세정 노즐(7)의 복수의 유로(15, 16)로의 세정수 공급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세정 펌프(6)의 회전수를 고회전과 저회전으로 변화시켜서 밸브체(21)를 진퇴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밸브체(21)가 면(A)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배수 필터(9)와 찌꺼기 필터(10)의 간극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배수 필터(9)와 찌꺼기 필터(10)를 통과하여 밸브체(21)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질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면(A)과 밸브체(21) 사이에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세정 펌프(6)를 정지했을 때에, 그 사이에 협지된 이물질이 탈락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항상 신뢰성이 높은 전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21)에 마련된 계합부가, 노즐부에 마련된 각 유로 입구에 계합함으로써 유로의 전환을 실행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이 아니어도 좋다. 예컨대, 밸브체(21)에 마련된 계합부와 노즐부에 마련된 계합부가 서로 계합함으로써 유로의 전환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밸브체에 의한 유로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어서, 절수를 실현하면서 식기의 세정 편차를 없애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식기 이외의 세척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본체 2 : 세정조
3 : 피세정물 4 : 식기바구니
5 : 급수 밸브 6 : 세정 펌프
7 : 세정 노즐 8 : 배수구
9 : 배수 필터 10 : 찌꺼기 필터
11 : 발열체 12 : 온도 센서
13 : 회전 베어링 14 : 회전축
15 : 제 1 세정 유로(유로) 16 : 제 2 세정 유로(유로)
17 : 제 1 세정 유로 입구(유로의 입구)
18 : 제 2 세정 유로 입구(유로의 입구)
19 : 제 1 분사구 20 : 제 2 분사구
21 : 밸브체 22 : 개구부
23 : 폐구부 24 : 축 개구부
26 : 상면 계합부 27 : 하면 계합부
28 : 회전축측 계합부 28a : 경사면
28b : 단차부 29 : 지지축
30 : 중공 원통부 30a : 바닥벽
31 : 측벽 개구부 32 : 물 빠짐 구멍
33 : 순환 경로 34 : 격벽
100 : 노즐부 101 : 세정 노즐
102 : 회전축 103a, 103b, 103c, 103d : 부실
104 : 추진 구멍 105 : 토출부
106 : 수통 107 : 부자
108a, 108b : 개구부
3 : 피세정물 4 : 식기바구니
5 : 급수 밸브 6 : 세정 펌프
7 : 세정 노즐 8 : 배수구
9 : 배수 필터 10 : 찌꺼기 필터
11 : 발열체 12 : 온도 센서
13 : 회전 베어링 14 : 회전축
15 : 제 1 세정 유로(유로) 16 : 제 2 세정 유로(유로)
17 : 제 1 세정 유로 입구(유로의 입구)
18 : 제 2 세정 유로 입구(유로의 입구)
19 : 제 1 분사구 20 : 제 2 분사구
21 : 밸브체 22 : 개구부
23 : 폐구부 24 : 축 개구부
26 : 상면 계합부 27 : 하면 계합부
28 : 회전축측 계합부 28a : 경사면
28b : 단차부 29 : 지지축
30 : 중공 원통부 30a : 바닥벽
31 : 측벽 개구부 32 : 물 빠짐 구멍
33 : 순환 경로 34 : 격벽
100 : 노즐부 101 : 세정 노즐
102 : 회전축 103a, 103b, 103c, 103d : 부실
104 : 추진 구멍 105 : 토출부
106 : 수통 107 : 부자
108a, 108b : 개구부
Claims (11)
-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조에 고정되는 회전 베어링과,
상기 회전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세정 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 노즐은, 분사구를 갖는 복수의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부와, 밸브체를 내장하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밸브체는 개구부와 폐구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 내를 상기 세정 노즐과 함께 회전하면서 유수 방향으로 진퇴 이동함으로써 회동하며, 상기 밸브체와 상기 노즐부가 계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로로의 세정수의 공급을 전환하는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의 자중보다 큰 수압을 받았을 경우에 상기 유로의 입구를 향해 변위하며, 상기 밸브체의 자중보다 작은 수압을 받았을 경우 또는 수압을 받지 않은 경우에 상기 유로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변위하여, 상기 유로를 전환하는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면에 상면 계합부를 갖고, 하면에 하면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의 입구를 향해 변위함으로써 상기 상면 계합부가 상기 유로의 입구와 계합하여 제 1 각도만큼 회동하며,
상기 유로의 입구로부터 이격되도록 변위함으로써 하면 계합부가 상기 회전축의 내벽 바닥부에 마련된 회전축측 계합부와 계합하여 제 2 각도만큼 회동해서, 상기 유로를 전환하는
식기세척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유로로서 제 1 세정 유로와 제 2 세정 유로를 가지며,
상기 유로의 입구로서 상기 제 1 세정 유로와 연통하는 제 1 세정 유로 입구와, 상기 제 2 세정 유로와 연통하는 제 2 세정 유로 입구를 갖는
식기세척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정 유로 입구와 상기 제 2 세정 유로 입구는 중심각이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의 합계의 각도인 부채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회전 중심에 중공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노즐부의 상기 유로의 입구 측에 하방을 향해서 마련된 지지축이 상기 중공 원통부에 삽입되도록 한
식기세척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통부는, 삽입된 지지축의 선단과의 대향부에 바닥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바닥벽의 주연부에 물 빠짐 구멍을 마련한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회전축 내벽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간극은 배수 필터의 개구부의 폭 이상으로 설정한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노즐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기 유로에 의해 회전 방향이 상이하도록 구성한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복수의 유로에 있어서 각각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하도록 마련한
식기세척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로의 입구와 계합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세정조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43369 | 2009-02-26 | ||
JP2009043369A JP4947071B2 (ja) | 2009-02-26 | 2009-02-26 | 食器洗い機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0901A true KR20110120901A (ko) | 2011-11-04 |
Family
ID=4266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9547A KR20110120901A (ko) | 2009-02-26 | 2010-02-25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947071B2 (ko) |
KR (1) | KR20110120901A (ko) |
CN (1) | CN102271569B (ko) |
TW (1) | TWI406648B (ko) |
WO (1) | WO201009809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4650A1 (ko) * | 2017-01-02 | 2018-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6629B1 (ko) * | 2010-12-31 | 2017-09-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101769378B1 (ko) * | 2011-05-12 | 2017-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KR101769377B1 (ko) * | 2011-05-12 | 2017-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 |
JP5731296B2 (ja) * | 2011-06-28 | 2015-06-10 | 株式会社ハーマン | 食器洗浄乾燥機 |
CN110384457A (zh) * | 2018-04-21 | 2019-10-29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洗鞋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113471U (ko) * | 1973-01-17 | 1974-09-27 | ||
JP2506688B2 (ja) * | 1986-10-07 | 1996-06-1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CN100393270C (zh) * | 2002-05-23 | 2008-06-11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餐具清洗机 |
JP3956870B2 (ja) * | 2003-03-10 | 2007-08-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食器洗い機 |
-
2009
- 2009-02-26 JP JP2009043369A patent/JP4947071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2-25 WO PCT/JP2010/001263 patent/WO201009809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25 CN CN201080004423.0A patent/CN102271569B/zh active Active
- 2010-02-25 KR KR1020117019547A patent/KR201101209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2-26 TW TW99105626A patent/TWI40664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4650A1 (ko) * | 2017-01-02 | 2018-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AU2017389240B2 (en) * | 2017-01-02 | 2020-11-05 | Lg Electronics Inc. | Dishwasher |
US11457792B2 (en) | 2017-01-02 | 2022-10-04 | Lg Electronics Inc. | Dishwash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947071B2 (ja) | 2012-06-06 |
JP2010194138A (ja) | 2010-09-09 |
TWI406648B (zh) | 2013-09-01 |
WO2010098097A1 (ja) | 2010-09-02 |
TW201034612A (en) | 2010-10-01 |
CN102271569B (zh) | 2013-09-25 |
CN102271569A (zh) | 201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132358A1 (ja) | 食器洗い機 | |
KR20130016308A (ko) | 식기 세척기 | |
KR20110120901A (ko) | 식기세척기 | |
JP4674523B2 (ja) | 食器洗い機 | |
JP2008073131A (ja) | 食器洗い機 | |
JP2006075635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180025761A (ko) | 식기세척기 | |
KR20120126598A (ko) | 식기세척기 | |
KR20110109343A (ko)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126596A (ko) | 식기세척기 | |
JP4654767B2 (ja) | 食器洗い機 | |
JP2010264160A (ja) | 食器洗い機 | |
JP4215060B2 (ja) | 食器洗い機 | |
JP3835393B2 (ja) | 食器洗い機 | |
JP2011224233A (ja) | 食器洗い機 | |
KR101240787B1 (ko)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 |
JP2012213542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JP4654768B2 (ja) | 食器洗い機 | |
JP2008229224A (ja) | 食器洗い機 | |
JP3829795B2 (ja) | 食器洗い機 | |
JP2011224234A (ja) | 食器洗い機 | |
JP2008253545A (ja) | 食器洗い機 | |
JP2010148542A (ja) | 食器洗い機 | |
CN110267576B (zh) | 餐具清洗机 | |
JP4595676B2 (ja) | 食器洗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