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815A - 전선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전선권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0815A KR20110120815A KR1020110022819A KR20110022819A KR20110120815A KR 20110120815 A KR20110120815 A KR 20110120815A KR 1020110022819 A KR1020110022819 A KR 1020110022819A KR 20110022819 A KR20110022819 A KR 20110022819A KR 20110120815 A KR20110120815 A KR 201101208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nding
- winding drum
- guide
- ratch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여 전선이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하고, 전선이 감긴 상태에서 풀림을 제한하거나 전선이 풀린 상태에서 감김을 제한할 수 있어 운반이나 사용할 때 전선이 풀려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기 위해 권취드럼의 외주 측에 설치된 전선안내장치와, 권취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권취드럼과 지지프레임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래칫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할 수 있고, 전선이 감긴 상태에서 풀림을 제한하고 풀린 상태에서 감김을 제한할 수 있어 운반하거나 사용할 때 전선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권취장치는 넓은 공간이나 전원콘센트가 없는 야외에서 전기를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할 때 전선을 연장하여 전기를 끌어다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4044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의 권취를 위한 원통형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콘센트, 그리고 권취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선권취장치는 권취드럼에 감긴 전선을 풀어 길게 연장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회전손잡이를 돌려 권취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전선을 권취드럼에 다시 감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권취장치는 사용 중 권취드럼이 불필요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전선이 풀리거나 감겨 사용이 불편하였고, 전선을 권취드럼에 감은 상태에서 차량 등으로 운반을 할 때도 진동 등에 의해 전선이 풀리는 현상으로 인해 전선이 엉키거나 전선 피복이 벗겨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선을 감을 때도 고르게 감기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여 전선이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전선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이 감긴 상태에서 풀림을 제한하거나 전선이 풀린 상태에서 감김을 제한할 수 있어 운반이나 사용할 때 전선이 풀려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 측에 설치된 전선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안내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 측에서 권취드럼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안내로드와, 안내로드에 결합되어 안내로드를 따라 왕복슬라이딩 하면서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로드는 제1안내로드와, 제1안내로드와 평행하게 이격된 제2안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안내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전선안내홈을 갖춘 제1안내롤러와, 제1안내롤러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안내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내부로 전선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제2안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선권취장치는 상기 권취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래칫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래칫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래칫몸체부와,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권취드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칫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래칫몸체부 내부의 상기 회전축 외면에 마련된 기어부와, 상기 래칫몸체부 내의 상기 기어부 외측에 시소형으로 설치되고 그 일부가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래칫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며 그 양측에 상기 기어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각각 마련된 래칫레버와, 상기 제1 또는 제2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레버를 가압하는 볼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을 감을 때 전선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를 보호하도록 완충함과 동시에 전선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플러그와 인접하는 전선의 외면에 설치된 완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장치는 플러그와 인접하는 전선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플러그 반대편의 전선에 이동 가능 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의 전선 외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권취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래칫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안내장치가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기 때문에 전선이 엉킴 없이 고르게 감기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는 래칫장치의 조작을 통해 전선이 감긴 상태에서 풀림을 제한하거나 전선이 풀린 상태에서 감김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사용할 때 전선이 풀려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의 플러그 쪽에 설치되는 완충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선을 감을 때 급속한 감김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전선 및 플러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의 안정된 감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래칫레버의 제1걸림부가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래칫레버의 제2걸림부가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래칫레버의 제1걸림부가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래칫레버의 제2걸림부가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 예의 전선권취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1)을 감거나 풀 수 있는 원통형의 권취드럼(10), 권취드럼(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 전선(1)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는 전선안내장치(30), 권취드럼(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는 래칫장치(40)를 포함한다.
권취드럼(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전선(1)을 감을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마련된 권취부(11)와, 이 권취부(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원판형의 이탈방지판(12,13)을 구비한다. 또 한쪽 이탈방지판(12)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14)와, 사용자가 권취드럼(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15)가 설치된다. 콘센트(14)는 권취된 전선(1)의 일단과 연결된다.
지지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철 소재로 마련되고 각각 ㄷ형으로 절곡된 제1프레임부(21)와 제2프레임부(22)를 포함하며, 제1프레임부(21)와 제2프레임부(22)가 A형을 이루도록 상부에서 상호 연결된 형태이다. 제1프레임부(21)와 제2프레임부(22)의 상호 연결된 상부는 운반손잡이(23)가 되고, 상호 이격된 하부는 각각 지면 등과 접하여 전선권취장치의 안정된 지지를 구현하는 제1지지다리(21a)와 제2지지다리(22a)가 된다. 안정된 지지를 위해서는 제1 및 제2지지다리(21a,22a)의 길이가 상측 운반손잡이(23)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프레임(20)은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권취드럼(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1프레임부(21)와 제2프레임부(22)의 상하 중간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재(24)와, 권취드럼(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부재(24)로부터 권취드럼(1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된 지지축(25)을 구비한다.
래칫장치(40)는 권취드럼(10)이 지지프레임(20)의 지지부재(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축(25)과 함께 연결을 매개하며, 권취드럼(10)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래칫장치(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지지부재(24)에 고정되는 래칫몸체부(41)와, 권취드럼(10)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권취드럼(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래칫몸체부(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회전축(42)을 구비한다. 또 래칫몸체부(4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42) 외면에 마련된 기어부(43)와, 래칫몸체부(41) 내의 기어부(43) 외측에 지지핀(44)에 의해 시소형태로 설치된 래칫레버(45)를 구비한다. 래칫레버(45)는 사용자가 래칫몸체부(41)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래칫몸체부(41) 외부로 노출되며, 기어부(4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마련된 제1걸림부(45a)와 제2걸림부(45b)를 구비한다.
또 래칫장치(40)는 제1 또는 제2걸림부(45a,45b)가 기어부(43)에 걸리도록 래칫레버(45)가 회전한 상태에서 래칫레버(45)를 가압하는 볼(46) 및 스프링(47)을 포함한다. 볼(46)과 스프링(47)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몸체부(41) 내부의 수용홈(48)에 진퇴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볼(46)과 접하는 래칫레버(45) 외면에는 산형돌기부(45c)가 마련된다. 이는 래칫레버(45)를 조작할 때 산형돌기부(45c)가 볼(46)을 넘어 이동함으로써 볼(46)이 가압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47)에 의해 지지된 볼(46)이 래칫레버(45)의 외면을 가압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제1걸림부(45a) 또는 제2걸림부(45b)가 기어부(4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래칫몸체부(4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지지부재(24)에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두 체결나사부(41a,41b)를 구비한다. 이들 체결나사부(41a,41b)는 지지프레임(20)의 지지부재(24)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공(24a,24b)에 결합된 후 고정너트(41c)가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는 바람직한 예로써 이러한 래칫몸체부(41)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래칫몸체부(41)의 고정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도 리벳, 고정나사, 용접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정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래칫몸체부(4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에 의해서 그 중심부가 지지되는 형태일 경우, 체결나사부(41a,41b)에 고정너트(41c)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래칫몸체부(41)를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즉 체결나사부(41a,41b)가 지지부재(24)의 체결공(24a,24b)에 진입하여 래칫몸체부(41)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형태만으로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결나사부(41a,41b)는 단지 지지부재(24)의 체결공(24a,24b)으로 진입하여 걸리는 걸림돌기로 대체될 수 있다.
래칫장치(40)의 회전축(4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5)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일단에 고정된 결합판(49)이 권취드럼(10) 측면의 이탈방지판(13)에 고정나사 또는 리벳 체결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권취드럼(10)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는 원통형 회전축(42)이 지지축(25)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판(49)에 의해 권취드럼(10)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권취드럼(10)이 소형인 경우에는 지지축(25)을 배제한 상태에서 권취드럼(10)이 래칫장치(40)의 회전축(42)에 결합되는 것만으로 권취드럼(10)의 지지를 구현할 수 있다. 래칫장치(40)의 래칫몸체부(41)가 지지프레임(20)의 지지부재(24)에 고정되고, 회전축(42)이 래칫몸체부(41)로 진입하여 래칫몸체부(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축(42)에 권취드럼(10)의 측면이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래칫장치(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레버(4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걸림부(45a)가 기어부(43) 외면에 걸리도록 하면, 회전축(42)의 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때 권취드럼(10)은 전선(1)이 풀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레버(45)를 반시게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걸림부(45b)가 기어부(43) 외면에 걸리도록 하면, 회전축(4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때 권취드럼(10)은 전선의 감김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전선(1)을 완전히 감은 상태에서 전선(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안내장치(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드럼(10)의 외주 측에 설치되어 전선(1)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한다. 전선안내장치(30)는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며 권취드럼(10)의 외주 측에서 권취드럼(10)의 중심축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안내로드(33)와, 안내로드(33)에 결합되어 안내로드(33)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하면서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6)를 구비한다.
안내로드(33)는 권취드럼(10)의 상측에 권취드럼(10)과 약간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권취드럼(10)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제1안내로드(31)와, 제1안내로드(31)와 평행하게 이격된 제2안내로드(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안내부재(36)는 제1안내로드(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전선안내홈(34a)이 형성된 제1안내롤러(34)와, 제1안내롤러(34)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제2안내로드(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전선안내홈(35a)이 형성된 제2안내롤러(35)를 포함한다.
제1안내롤러(34)와 제2안내롤러(35)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있도록 상호 약간 이격되고, 이들의 전선안내홈(34a,35a) 사이로 전선이 통과하도록 상호 마주하여 설치됨으로써 전선(1)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한다. 또 전선(1)이 감기거나 풀릴 때 회전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서 전선이 권취드럼(10)에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질 때 전선(1)이 두 안내롤러(34,35)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안내롤러(34)와 제2안내롤러(35)의 이격거리는 전선(1)의 굵기보다 작아야 한다.
도 1에서 부호 3은 플러그(2)가 설치된 위치와 소정거리 이격된 전선(1)의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3)이다. 이는 전선(1)을 감을 때 스토퍼(3)가 제1 및 제2안내롤러(34,35)에 걸려 더 이상의 감김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2)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선(1)을 풀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장치(40)의 래칫레버(45)를 풀림방향(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걸림부(45a)가 기어부(43) 외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권취드럼(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42)의 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반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1)을 당기면 권취드럼(1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선(1)이 쉽게 풀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선권취장치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전선을 풀어 전원을 연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 전선(1)이 풀리는 과정에서 래칫장치(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레버(45)의 제1걸림부(45a)가 기어부(43)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47)에 의해 지지된 볼(46)이 래칫레버(45)를 가압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권취드럼(1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여 전선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래칫레버(45)의 접촉저항에 의해 권취드럼(10)의 회전속도가 전선(1)의 풀림속도보다 빨라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전선이 과도하게 풀려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선(1)은 풀리는 과정에서 제1안내롤러(34)와 제2안내롤러(35)에 의해 풀림이 안내되기 때문에 원활히 풀리고, 전선을 푼 상태에서는 권취드럼(10)의 역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선이 권취드럼(10)에 다시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 후 권취드럼(10)에 전선(1)을 다시 감고자 할 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장치(40)의 래칫레버(45)를 감김방향(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걸림부(45b)가 기어부(43) 외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회전축(43)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시계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15)를 잡고 권취드럼(10)을 감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이 권취드럼(10)에 감긴다. 이때는 제1 및 제2안내롤러(34,35)가 전선(1)의 감김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감김을 안내하기 때문에 전선(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고, 권취드럼(10)에 전선(1)이 고르게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전선(1)에 결합된 스토퍼(3)가 제1 및 제2안내롤러(34,35)에 걸리도록 전선이 완전히 감긴상태에서는 권취드럼(10)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래칫레버(45)의 제2걸림부(45b)가 기어부(43)에 걸려 권취드럼(10)의 풀림방향 회전(역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전선이 풀리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후 보관이나 운송 중 전선(1)이 풀려서 엉키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선권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 예의 전선권취장치는 전선안내장치(60)가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며 권취드럼(10)의 외주 측에 권취드럼(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안내로드(61)를 구비하고, 이 안내로드(61)에 안내부재(64)가 설치된 것이다.
안내부재(64)는 안내로드(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안내부(62)와, 제1안내부(6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내부로 전선(1)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제2안내부(63)를 구비한다. 이러한 안내부재(64)는 제2안내부(63)가 전선(1)의 풀림과 감김을 안내하고, 제1안내부(62)가 안내로드(61)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선(1)이 권취드럼(10)에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한다.
또 제2실시 예는 전선(1)을 감을 때 전선(1)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2)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함과 동시에 전선(1)이 감긴 상태에서 전선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플러그(2)와 인접하는 위치의 전선(1) 외면에 설치된 완충장치(70)를 구비한다.
완충장치(70)는 플러그(2)와 인접하는 전선(1)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재(71)와, 고정부재(71)를 기준으로 플러그(2) 반대편의 전선(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72)와, 양단이 고정부재(71)와 슬라이딩부재(72)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고정부재(71)와 슬라이딩부재(72) 사이의 전선(1) 외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73)을 구비한다.
이러한 완충장치(70)는 전선(1)이 권취드럼(10)에 완전히 감길 때 완충장치(70)가 급속한 감김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전선(1) 및 플러그(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전선(1)이 완전히 감길 때는 완충과 동시에 슬라이딩부재(72)가 안내부재(64)에 걸리면서 완충스프링(73)이 약간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선(1)을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선(1)의 흔들림 없이 안정된 감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0: 권취드럼, 20: 지지프레임,
24: 지지부재, 30,60: 전선안내장치,
40: 래칫장치, 41: 래칫몸체부,
42: 회전축, 43: 기어부,
45: 래칫레버, 46: 볼,
47: 스프링, 70: 완충장치.
24: 지지부재, 30,60: 전선안내장치,
40: 래칫장치, 41: 래칫몸체부,
42: 회전축, 43: 기어부,
45: 래칫레버, 46: 볼,
47: 스프링, 70: 완충장치.
Claims (8)
-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 측에 설치된 전선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안내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 측에서 권취드럼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안내로드와, 안내로드에 결합되어 안내로드를 따라 왕복슬라이딩 하면서 전선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드는 제1안내로드와, 제1안내로드와 평행하게 이격된 제2안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안내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전선안내홈을 갖춘 제1안내롤러와, 제1안내롤러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안내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안내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안내부와, 상기 제1안내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내부로 전선이 통과하는 원통형의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래칫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래칫몸체부와,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권취드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칫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래칫몸체부 내부의 상기 회전축 외면에 마련된 기어부와, 상기 래칫몸체부 내의 상기 기어부 외측에 시소형으로 설치되고 그 일부가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래칫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며 그 양측에 상기 기어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각각 마련된 래칫레버와, 상기 제1 또는 제2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레버를 가압하는 볼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전선을 감을 때 전선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를 보호하도록 완충함과 동시에 전선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플러그와 인접하는 전선의 외면에 설치된 완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장치는 플러그와 인접하는 전선의 외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플러그 반대편의 전선에 이동 가능 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와, 양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사이의 전선 외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권취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권취드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결합부분에 설치된 래칫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래칫몸체부와,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권취드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칫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래칫몸체부 내부의 상기 회전축 외면에 마련된 기어부와, 상기 래칫몸체부 내의 상기 기어부 외측에 시소형으로 설치되고 그 일부가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래칫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며 그 양측에 상기 기어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각각 마련된 래칫레버와, 상기 제1 또는 제2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레버를 가압하는 볼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04520 | 2010-04-29 | ||
KR2020100004520 | 2010-04-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0815A true KR20110120815A (ko) | 2011-11-04 |
KR101154419B1 KR101154419B1 (ko) | 2012-06-15 |
Family
ID=4539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2819A KR101154419B1 (ko) | 2010-04-29 | 2011-03-15 | 전선권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441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5617B1 (ko) * | 2013-04-09 | 2014-08-01 | 공병화 |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
KR101440960B1 (ko) * | 2013-05-13 | 2014-09-17 | 오상연 | 전선 권취기 |
KR200489919Y1 (ko) * | 2019-03-21 | 2019-08-28 | 주재문 | 전선권취용 릴 |
KR20230006312A (ko) * | 2021-07-02 | 2023-01-10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와이어의 정렬장치 |
KR102519596B1 (ko) * | 2022-10-27 | 2023-04-10 | 정현찬 |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
KR102549037B1 (ko) * | 2022-05-19 | 2023-06-29 |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 전선권취용 릴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15Y1 (ko) | 2013-01-10 | 2014-05-29 | 이종성 | 배선케이블용 릴 스톱퍼 |
KR20190092786A (ko) | 2018-01-31 | 2019-08-08 | 주식회사 제이에스몰 | 캠핑용 케이블 릴 |
KR102125972B1 (ko) * | 2018-08-16 | 2020-06-25 | 신중근 | 전선 권취드럼 거치장치 |
KR102126961B1 (ko) * | 2018-11-06 | 2020-06-25 | 한국철도공사 | 원통형 전선릴의 가이드 장치 |
KR102118121B1 (ko) * | 2019-12-27 | 2020-06-12 | 양진문 | 안전 로프 설치를 위한 권선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993Y1 (ko) * | 2002-12-17 | 2003-03-31 | 한전기공주식회사 | 이탈방지장치가 장착된 케이블 릴 |
KR100416274B1 (ko) | 2003-06-13 | 2004-01-28 | 한국수자원공사 | 이더넷 통신과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통신 케이블용 릴 |
KR200420672Y1 (ko) * | 2006-04-06 | 2006-07-04 | 권동철 | 휴대용 전선릴 |
-
2011
- 2011-03-15 KR KR1020110022819A patent/KR1011544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5617B1 (ko) * | 2013-04-09 | 2014-08-01 | 공병화 |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
KR101440960B1 (ko) * | 2013-05-13 | 2014-09-17 | 오상연 | 전선 권취기 |
KR200489919Y1 (ko) * | 2019-03-21 | 2019-08-28 | 주재문 | 전선권취용 릴 |
KR20230006312A (ko) * | 2021-07-02 | 2023-01-10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와이어의 정렬장치 |
KR102549037B1 (ko) * | 2022-05-19 | 2023-06-29 |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 전선권취용 릴장치 |
KR102519596B1 (ko) * | 2022-10-27 | 2023-04-10 | 정현찬 |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4419B1 (ko) | 201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4419B1 (ko) | 전선권취장치 | |
US8684390B1 (en) | Retractable tow strap apparatus | |
US20140274516A1 (en) | Housing device | |
KR102036871B1 (ko) | 케이블 릴의 공회전 방지장치 | |
US9254779B2 (en) | Large heavy duty ratchet | |
US20140345097A1 (en) | Ratcheting tie-down with strap quick release feature | |
KR101227018B1 (ko) | 핸드 랩핑장치 | |
CN207217928U (zh) | 开关插座 | |
KR20140115199A (ko) | 가이드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 |
JP4034276B2 (ja) | ケ−ブルリ−ル | |
KR102126961B1 (ko) | 원통형 전선릴의 가이드 장치 | |
TW201101626A (en) | Wire tenser | |
KR101610350B1 (ko) | 휴대용 멀칭장치 | |
KR200484478Y1 (ko) |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 |
KR101394015B1 (ko) |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 |
KR102064071B1 (ko) |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 |
US20100025645A1 (en) | Ratchet Device with Self-Storing Strap | |
KR20120116669A (ko) |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 |
CN206915507U (zh) | 一种用于圆形绳子的紧绳器 | |
KR101901494B1 (ko) | 줄감기용 장치 | |
CN211846499U (zh) | 消防水带盘卷装置 | |
CN211619670U (zh) | 一种线缆绕线盘 | |
US20130161440A1 (en) | Tensioning assembly | |
KR200411957Y1 (ko) | 줄넘기 손잡이 | |
RU201066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с протяженным гибким элементо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