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96B1 -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596B1
KR102519596B1 KR1020220140730A KR20220140730A KR102519596B1 KR 102519596 B1 KR102519596 B1 KR 102519596B1 KR 1020220140730 A KR1020220140730 A KR 1020220140730A KR 20220140730 A KR20220140730 A KR 20220140730A KR 102519596 B1 KR102519596 B1 KR 10251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uider
opening
fixing
cable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찬
정현영
정재환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정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찬 filed Critical 정현찬
Priority to KR102022014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수의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케이블을 권선 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을 제공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회전축 양단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뻗어 형성되되, 그 뻗은 상호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블가이더와, 상기 개구부와 회전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면에는 케이블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케이블 선단을 고정구에 고정한 상태로 케이블가이더가 회전되면서 수용공간에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후, 케이블 선단을 고정구에서 빼내어 인출시키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을 케이블가이더에 잠금 또는 해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케이블가이더가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케이블가이더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구에 선단이 고정된 케이블이 케이블가이더 내부에 권선 되고, 하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케이블가이더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나아가 상기 케이블가이더에 권선된 케이블 선단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케이블가이더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수단이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Winding device for the installation cable}
본 발명은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포설된 케이블을 권선시켜 지상에 보관한 후, 다음 포설 시 권선 된 케이블 선단을 권선장치에서 빼내어 바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여 권선작업을 쉽고 간편하면서도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맨홀과 맨홀 거리는 250m 내외로 설비되어 있고, 이러한 맨홀을 이용하여 지중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드럼에 권선 된 케이블을 풀어 그 선단을 최초 맨홀과 다음에 배치된 2번째 맨홀을 통과시켜 포설하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2번째 맨홀(3)과 3번째 맨홀(3) 사이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3~4명 작업인원이 지상에서 케이블(1)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8"자 형태로 사린 후, 다음 구간을 포설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의 사용용도에 따라서 두께 및 강도를 갖춘 케이블을 별도의 기구없이 "8"자 형태로 구부리기가 매우 힘에 부쳐 작업의 곤란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통대를 권선 하는 선통기를 이용하여 릴방식으로 케이블을 권선할 수 있으나, 다음 구간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없다.
즉, 케이블을 릴방식으로 권선 되는 선통대를 이용할 수 있으나 다음 구간 포설시에는 최초 권선 된 케이블 선단을 맨홀에 진입시켜야 하지만 그 선단은 선통대 내면에 권선 되어 뽑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케이블의 말단은 드럼과 케이블압출기에 걸려 포설하고 있음으로써, 사용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8"자 형태로 사리 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큰 힘이 들어도 이를 감내하며 작업하고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821호 (2011.04.12.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7-0001685호 (1997.03.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1차 포설을 완료한 케이블을 권선장치를 이용하여 릴 형태로 권선하고, 다음 2차 포설 시에는 권선장치에 권선된 케이블 선단을 인출시켜 다음 구간을 포설하도록 하여 소수의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케이블을 권선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회전축 양단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뻗어 형성되되, 그 뻗은 상호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케이블가이더와, 상기 개구부와 회전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면에는 케이블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로 케이블 선단을 고정구에 고정한 상태로 케이블가이더가 회전되면서 수용공간에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후, 케이블 선단을 고정구에서 빼내어 인출시키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개폐프레임을 케이블가이더에 잠금 또는 해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케이블가이더가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케이블가이더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구에 선단이 고정된 케이블이 케이블가이더 내부에 권선되고, 하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케이블가이더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케이블가이더들 중 어느 한 케이블가이더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반대 측 케이블가이더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회전중심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린 후 당겨져 고정되는 걸이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수단은, 케이블가이더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가 관통된 핀고정구멍과, 상기 핀고정구멍 중 어느 한 핀고정구멍으로 슬라이드방식으로 출몰되어 케이블가이더를 고정하거나 해체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태로 받침대 상부에 고정되는 핀브래킷과, 상기 가이드홀로 선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핀과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블가이더에 권선 된 케이블 선단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케이블가이더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중공회전축을 관통하여 받침대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레이퍼축과, 상기 스크레이퍼축의 일측에 고정되고, 중앙에서 단수가 상방향으로 뻗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다수가 뻗어 형성되되, 그 뻗은 단부들의 높이가 케이블가이더의 단부를 벗어나도록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고정구에서 빼내어진 선단을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하면 권선 된 케이블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인출시키는 스크레이퍼바와, 상기 스크레이퍼축의 일단과 고정되어 스크레이퍼바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바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바의 회전으로 들어올린 케이블이 일측방향으로 자연히 흘러 케이블가이더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경사안내면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 1차 포설을 완료한 케이블 선단을 개방된 개폐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고정구에 끼워 고정한 후, 포설압출기로 케이블을 전진시키면 자유롭게 회전하는 케이블가이더가 회전하면서 케이블이 릴방식으로 권선장치에 간편하게 권선 되고, 이후 2차 포설 시에는 케이블가이더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후, 개폐프레임들을 모두 열어 케이블가이더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케이블 선단을 뽑아 인출하여 케이블압출기로 전진시켜 포설할 수 있음으로써, 권선장치를 이용하여 소수 작업인원으로도 케이블을 손쉽고 간편하게 권선 및 인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구에서 뽑은 케이블 선단을 스크레이퍼바에 올리고 모터를 작동시켜 스크레이퍼바를 케이블 권선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권선 시 밀착되어 이탈이 쉽지 않은 케이블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밀착된 케이블들에서 쉽고 간편하게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스크레이퍼바 단부에 안내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들려진 케이블은 그 안내경사면을 따라 케이블가이더 일측방향으로 자연히 흘러 이탈되고, 이렇게 이탈된 케이블 선단을 다음 포설구간에 구비된 케이블압출기를 이용하여 포설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작업자들에게는 쉽고 간편하게 포설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선단을 "8"자 형태로 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장치의 일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장치의 타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된 케이블이 인출수단을 통해 권선장치에서 인출된 후,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프레임이 잠금수단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압출기로 이송된 케이블 선단이 고정구에 고정되어 권성 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선장치(10)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와 같이 크게, 케이블(1)이 내부에 릴 방식으로 권선 되는 케이블가이더(100)와, 그 케이블가이더(100)의 개방부분을 개폐하는 개폐프레임(200)과, 그 개폐프레임(200)을 잠금 및 해체하는 잠금수단(300)과, 상기 케이블가이더(10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400)와, 상기 케이블가이더(100)가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하는 고정수단(500)이 포함된다.
나아가, 상기 케이블가이더(100)에 가장 안쪽에 권선된 케이블(1) 선단을 뽑아 사용할 수 있는 인출수단(6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케이블가이더(100)는 1차 포설을 완료한 케이블(1)을 릴방식으로 권선 하는 동시에 권선을 완료한 케이블(1)이 외부로 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한 쌍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칭형상을 이루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회전축(110)의 양단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뻗어져 지지하고, 그 이격된 간격은 외부에서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130)가 내부 수용공간(120)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권선 된 케이블(1)의 선단이 그 개구부(13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에 배치된 케이블가이더(100)들을 각각 고정하고 아울러, 타측에 구비된 케이블가이더(100)들을 각각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링(140)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공회전축(110)의 일측에서 타측에 배치된 케이블가이더(100)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지지대(15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권선 된 케이블(1)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대(150)를 경사지게 고정하면 권선되는 케이블(1)이 경사가 시작되는 중공회전축(110)의 일측방향으로 간섭 없이 수용공간(120)으로 진입하여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다.
상기 개폐프레임(200)은 케이블가이더(100)에 형성된 개구부(130)를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개구부(130)가 형성된 일측 케이블가이더(100)와 힌지(220)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케이블(1) 선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2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구(210)는 내부로 케이블(1) 선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수단(300)은 개폐프레임(200)이 개구부(130)에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그거나 풀어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케이블가이더(100)들 중 어느 한 케이블가이더(100)의 단부에 고정돌기(310)를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310)와 대응하는 타측 케이블가이더(100)에는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몸체(320)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320)의 회전축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돌기(310)에 걸리는 걸이구(3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320)를 회전시키면 편심된 걸이구(330)가 고정돌기(310)에 걸린 상태로 당겨져 개폐프레임(200)이 개구부(130)를 폐쇄하고, 역으로 회전시키면 편심 배치된 걸이구(330)가 고정돌기(310)에서 벗어나 개구부(13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400)는 케이블가이더(100)를 회전 가능하게 받치는 동시에 시공 장소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단과 내부로 수용된 케이블가이더(1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1) 선단이 고정구(210)에 고정된 상태로 케이블압출기(2)가 작동되면 케이블(1)이 이송력에 의해서 케이블가이더(100)를 회전시켜 내부에 권선 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받침대(400)의 하면에는 포설 시공 장소로 수월하게 운반하는 바퀴(4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공회전축(110)의 일측이 배치되는 받침대(400) 내면에는 진입한 케이블(1) 권선 시 당겨져 중공회전축(110)과의 거리가 좁혀짐을 방지하도록 안내구(4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구(420)는 케이블(1)의 이송력으로 케이블가이더(100)가 회전하면서 권선 되면 그 당김력에 의해서 거리가 좁혀져 중공회전축(110)에 걸리지 않고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케이블가이더(100) 내부로 진입한 케이블(1)의 내측면 즉, 중공회전축(110)과 마주하는 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받침대(400)에 내측에 봉형상으로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케이블(1)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되도록 회전방식으로 형성된 롤러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받침대(40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더(100)를 고정하거나 해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가이더(100)의 일측에 핀고정구멍(510)이 형성되되, 상기 핀고정구멍(510)은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도록 방사상에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구멍(510)들 중 어느 한 핀고정구멍(510)에 출몰되는 고정핀(520)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핀(520)이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핀브래킷(530)은 핀고정구멍(510)과 마주하는 받침대(400)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핀브래킷(530)의 외주면에는 고정핀(520)이 이동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장공형상의 가이드홀(531)이 핀브래킷(530)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531)을 통과한 후, 내부에 수용된 고정핀(520)과 고정하는 손잡이(540)가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540)를 가이드홀(531)을 따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고정핀(520)이 슬라이드 되면서 핀고정구멍(510)으로부터 출몰되어 케이블가이더(100)를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0)으로 케이블가이더(100)를 고정하는 이유는 권선이 완료된 케이블(1)의 말단 부분은 전 포설 구간 및 케이블압출기(2)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케이블가이더(100)를 회전시키면 케이블(1)이 강제로 당겨지면서 훼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케이블(1) 인출 시에는 케이블가이더(100)가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1)의 선단부터 케이블가이더(100)에서 풀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가이더(100) 내부에 권선 된 케이블(1)은 상호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1) 전체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큰 힘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이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권선장치(10)에 케이블(1)을 들어올려 쉽고 간편하게 인출시키는 인출수단(6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인출수단(600)은 케이블가이더(100) 중앙에 형성된 중공회전축(110)을 관통하는 스크레이퍼축(610)이 받침대(400)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축(610)의 일측에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휠스크페이퍼가 구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바(620)는 중앙에서 단수가 상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다수가 뻗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바(620)의 뻗은 높이는 케이블가이더(100)의 단부를 벗어나도록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케이블(1)의 선단을 케이블가이더(100)에서 빼낸 후 들어올려 스크레이퍼바(620) 상면에 안착한다.
더불어, 상기 스크레이퍼축(610)의 일단에 모터(630)가 설치되어, 상기 모트의 구동력으로 횔스크레이퍼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바(620) 중 다수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스크레이퍼바(620)들은 케이블(1)을 인출하기 위해 들어올릴 때 발생하는 하중을 지탱하도록 지지링(621)으로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스크레이퍼바(620)의 최상 단부를 일측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안내면(640)을 형성시켜 들어올린 케이블(1)이 상기 경사안내면(640)을 따라 권선장치(10) 외부로 자연히 흘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선장치(10)를 이용한 케이블(1)의 권선과 인출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블(1)을 권선 하기 위해서는, 잠금수단(300)으로 개폐프레임(200)들 중 어느 한 개폐프레임(200) 즉, 케이블(1) 선단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프레임(200)을 열어 개구부(130)를 개방한 후, 1차 포설이 완료한 케이블(1) 선단을 고정구(210)에 끼워 고정한다.
다음, 상기 개폐프레임(200)으로 개구부(130)를 닫은 후, 잠금수단(300)으로 잠근다.
이후, 상기 케이블압출기(2)를 작동시키면 케이블(1)에 이송력이 전달되면서 전진하려 하지만 고정구(210)에 선단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그 이송력이 케이블가이더(100)를 회전시켜 케이블(1)이 릴방식으로 케이블가이더(100)에 권선된다.
다음 권선이 완료되면 고정수단(500)으로 케이블가이더(10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케이블(1)의 선단은 케이블가이더(1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나머지부분이 릴방식으로 밀착된 상태로 권선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1)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잠금수단(300)을 열어 개구부(130)를 폐쇄한 각각의 개폐프레임(200) 모두를 개방하여 케이블가이더(100) 가장 안쪽에 배치된 케이블(1) 선단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 상기 케이블(1)을 고정구(210)에서 빼낸 후 들어올려 스크레이퍼바(620)의 상단에 안착한다.
이후, 상기 모터(630)를 작동하면 스크레이퍼바(620)가 회전하면서 케이블(1)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밀착 권선 된 케이블(1)을 간편하게 빼내게 된다.
다음, 상기 케이블(1)을 스크레이퍼바(620)가 들어올리면 경사안내면(640)을 따라 권선장치(10) 일측방향으로 자연히 흘러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되는 케이블(1)은 2차 포설을 위해 설비된 케이블압출기(2)의 압출력으로 다음 맨홀로 진입하여 포설된다.
이러한 권선 및 인출방식은 포설 시공을 완료할 때까지 반복작업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최소의 작업인원으로 쉽고 간편하게 케이블(1)을 권선할 수 있고, 아울러 다음 포설을 하기 위한 케이블(1) 선단을 케이블가이더(100)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유용한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권선장치: 10 케이블가이더: 100
중공회전축: 110 수용공간: 120
개구부: 130 고정링: 140
지지대: 150 개폐프레임: 200
고정구: 210 힌지: 220
잠금수단: 300 고정돌기: 310
몸체: 320 걸이구: 330
받침대: 400 바퀴: 410
안내구: 420 고정수단: 500
핀고정구멍: 510 고정핀: 520
핀브래킷: 530 가이드홀: 531
손잡이: 540 인출수단: 600
스크레이퍼축: 610 스크레이퍼바: 620
지지링: 621 모터: 630
경사안내면: 640

Claims (5)

  1. 중앙에 배치되는 중공회전축(110) 양단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뻗어 형성되되, 그 뻗은 상호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 수용공간(120)과 연통하는 개구부(130)가 형성되는 케이블가이더(100);
    상기 개구부(130)와 회전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면에는 케이블(1)의 선단을 고정하는 고정구(210)가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30)를 폐쇄한 상태로 케이블(1) 선단을 고정구(210)에 고정한 상태로 케이블가이더(100)가 회전되면서 수용공간(120)에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개구부(130)를 개방한 후, 케이블(1) 선단을 고정구(210)에서 빼내어 인출시키는 개폐프레임(200);
    상기 개폐프레임(200)을 케이블가이더(100)에 잠금 또는 해체하는 잠금수단(300);
    상기 케이블가이더(100)가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케이블가이더(100)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구(210)에 선단이 고정된 케이블(1)이 케이블가이더(100) 내부에 권선되고, 하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410)가 설치된 받침대(400);
    상기 케이블가이더(10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300)은, 케이블가이더(100)들 중 어느 한 케이블가이더(10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10)와,
    상기 고정돌기(310)와 대응하는 반대 측 케이블가이더(100)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320)와,
    상기 몸체(320)의 회전중심 편심 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310)에 걸린 후 당겨져 고정되는 걸이구(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00)은, 케이블가이더(100)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가 관통된 핀고정구멍(510)과,
    상기 핀고정구멍(510) 중 어느 한 핀고정구멍(510)으로 슬라이드방식으로 출몰되어 케이블가이더(100)를 고정하거나 해체하는 고정핀(520)과,
    상기 고정핀(52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의 가이드홀(531)이 형성된 상태로 받침대(400) 상부에 고정되는 핀브래킷(530)과,
    상기 가이드홀(531)로 선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핀(520)과 고정되는 손잡이(5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더(100)에 권선 된 케이블(1) 선단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케이블가이더(100)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수단(60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중공회전축(110)을 관통하여 받침대(400)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레이퍼축(610)과,
    상기 스크레이퍼축(6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중앙에서 단수가 상방향으로 뻗거나 또는 방사상으로 다수가 뻗어 형성되되, 그 뻗은 단부들의 높이가 케이블가이더(100)의 단부를 벗어나도록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고정구(210)에서 빼내어진 선단을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하면 권선 된 케이블(1)을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인출시키는 스크레이퍼바(620)와,
    상기 스크레이퍼축(610)의 일단과 고정되어 스크레이퍼바(620)를 회전시키는 모터(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바(620)의 단부는 일측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바(620)의 회전으로 들어올린 케이블(1)이 일측방향으로 자연히 흘러 케이블가이더(100)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경사안내면(6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KR1020220140730A 2022-10-27 2022-10-27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KR10251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30A KR102519596B1 (ko) 2022-10-27 2022-10-27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30A KR102519596B1 (ko) 2022-10-27 2022-10-27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596B1 true KR102519596B1 (ko) 2023-04-10

Family

ID=8598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730A KR102519596B1 (ko) 2022-10-27 2022-10-27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5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85U (ko) 1996-10-29 1997-01-21 김재경 바닥청소가 용이한 저수탱크
KR200284223Y1 (ko) * 1999-06-08 2002-08-03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선 자동 풀기대
KR200308993Y1 (ko) * 2002-12-17 2003-03-31 한전기공주식회사 이탈방지장치가 장착된 케이블 릴
KR200391396Y1 (ko) * 2005-03-14 2005-08-05 주식회사 오피시스 점퍼 코드릴
KR101028821B1 (ko) 2010-11-18 2011-04-12 장한전력(주) 케이블가이드가 구비된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20110120815A (ko) * 2010-04-29 2011-11-04 서수현 전선권취장치
KR20200012622A (ko) * 2018-07-27 2020-0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화질 동영상 전송을 위한 자동 복합 전선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85U (ko) 1996-10-29 1997-01-21 김재경 바닥청소가 용이한 저수탱크
KR200284223Y1 (ko) * 1999-06-08 2002-08-03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선 자동 풀기대
KR200308993Y1 (ko) * 2002-12-17 2003-03-31 한전기공주식회사 이탈방지장치가 장착된 케이블 릴
KR200391396Y1 (ko) * 2005-03-14 2005-08-05 주식회사 오피시스 점퍼 코드릴
KR20110120815A (ko) * 2010-04-29 2011-11-04 서수현 전선권취장치
KR101028821B1 (ko) 2010-11-18 2011-04-12 장한전력(주) 케이블가이드가 구비된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20200012622A (ko) * 2018-07-27 2020-0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화질 동영상 전송을 위한 자동 복합 전선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9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선 연결기구
KR102519596B1 (ko) 포설 케이블용 권선장치
JP3897179B2 (ja) 日射遮蔽装置の昇降コード巻取り機構
US4786213A (en) Device for storing a wire in a wire bolting means
KR102276455B1 (ko) 지중 송배전 설비 운영 관리용 산소 농도 감지 맨홀 뚜껑
US4890957A (en) Cable laying apparatus
EP0195687A2 (en) Cable laying apparatus
KR102305592B1 (ko) 지하 통신구 운영 관리용 맨홀 뚜껑
KR101043284B1 (ko) 케이블레이드 로프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30791B1 (ko) 터널형 비닐하우스 내부 보온덮개 개폐장치
GB2346867A (en) Cassette for use in temporary barrier system
JP6605850B2 (ja) ガイド機構と巻き取り装置
WO2023004466A1 (en) Flexible element dispenser
US5911381A (en) Stocking device for coilable elements and method of use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CN211198152U (zh) 一种接地线绕线器
JP3486380B2 (ja) カーテンの開閉装置
JP2750223B2 (ja) ケーブルまたはその他の部材のための巻取り式ストック方法およびストック装置および該ストック装置の使用方法
KR20230024691A (ko) 배관 와인딩 장치
JP7055347B2 (ja) 巻上げドラムおよびカーテン開閉装置
JP3761279B2 (ja) 埋設式ポール
CN217626960U (zh) 电缆小车
KR102424789B1 (ko)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CN220273159U (zh) 一种输变电线路安装维护装置
CN218552983U (zh) 一种避免消防水带使用时发生卷曲的绕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