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669A -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 Google Patents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669A
KR20120116669A KR1020110034251A KR20110034251A KR20120116669A KR 20120116669 A KR20120116669 A KR 20120116669A KR 1020110034251 A KR1020110034251 A KR 1020110034251A KR 20110034251 A KR20110034251 A KR 20110034251A KR 20120116669 A KR20120116669 A KR 2012011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nd
winding
urinary
urinary gland
win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1003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669A/ko
Publication of KR2012011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0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out flanges, e.g. co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요비선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요비선의 권취 및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권취부에 요비선을 삽입한 후 권취부에서 요비선을 회전시켜 권취부로부터 요비선을 노출시키거나 또는 권취부에 요비선을 권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요비선의 꼬임 발생을 방지하면서 요비선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요비선의 사용 후 권취 및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WINDER FOR WIRE AND WINDING METHOD USING WINDER}
본 발명은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비선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요비선의 권취 및 수납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전선, 전화선, 통신선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선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선은 보호관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그리고 보호관에 선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요비선(Fish Tape, Wire Follow)이 사용된다. 통산 요비선으로는 전화선이나 통신선 등과 비교하여 휨이 적게 발생하는 피아노선, 철선 등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2개 이상의 합성수지 선을 꼬아서 제작한 요비선의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합성수지 선을 꼬아서 제작한 요비선은 일반 요비선에 비하여 탄성이 우수하여 보호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또한 우수하다.
이와 같은 요비선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보호관으로 요비선을 밀어 넣어 보호관의 일측으로 요비선을 노출시킨다. 이후 요비선의 끝부분에 전선을 체결한 후 보호관에서 요비선을 다시 빼내면 보호관으로 전선이 삽입된다.
즉, 보호관에 수작업으로 요비선을 먼저 투입하고 요비선의 끝에 전선을 결합하여 다시 빼내어 전선 인입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요비선은 원형으로 말려있는 상태에서 풀면서 보호관으로 삽입하여야 하므로, 푸는 과정에서 말려 있는 부위가 꼬이게 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 꼬여있는 부위를 풀면서 다시 감아줘야 하므로, 권취 및 수납 보관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요비선의 꼬임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요비선의 사용 후 권취 및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 및 요비선이 원형으로 말려서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에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요비선이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요비선이 상기 바디에서 배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요비선을 가이드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비선이 상기 권취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비선을 상기 권취부로 인입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안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비선의 일단이 상기 권취부를 통과한 후 다른 부위에 체결된 후 상기 귄취부에 권취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으로 감겨진 요비선을 지지프레임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요비선의 일단부가 반원 형태의 권취기구로 삽입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권취기구를 상기 요비선을 따라 회전시키는 제1 요비선 삽입단계; 상기 권취기구의 다음 회전에 따라 삽입될 상기 요비선 부위에 상기 요비선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요비선 고정단계; 및 상기 권취기구를 상기 요비선을 따라 계속 회전시켜 상기 권취기구의 내부로 상기 요비선을 삽입하는 제2 요비선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취기구가 반원 형태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권취기구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에 의하면, 요비선의 꼬임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요비선의 사용 후 권취 및 수납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요비선 삽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요비선 고정단계 및 제2 요비선 삽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는 요비선(10)이 권취되는 바디(20)와, 요비선(10)이 바디(20)로 삽입되도록 바디(20)에 형성되는 권취부(30)를 포함한다.
또한, 권취기구는 요비선(10)이 바디(20)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요비선(10)을 가이드하는 유도부(40) 및 이 유도부(40)에 결합되는 안전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바디(20)는 요비선(10)을 권취할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바디(20)는 요비선(10)이 풀리거나 권취될 때 작업자가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면에 파지부(60)가 형성된다.
파지부(60)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바디(20)에는 요비선(10)을 원형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권취부(30)가 형성된다.
권취부(30)는 곡선 형태를 가지도록 바디(20)의 반원 형태를 따라 형성되며, 요비선(10)이 바디(20)의 일단으로 삽입되어 타단으로 배출되도록 요비선(10)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권취부(30)는 요비선(10)이 원형으로 말려서 삽입되도록 바디(20)에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권취부(30)에 삽입되어 바디(20)에 권취되는 요비선(10)은 바디(20)로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바디(20)에서 풀리면서 바디(20)에서 배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거나, 또는 바디(20)에서 배출되었던 부위가 바디(20)로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권취부(30)의 일단으로 요비선(10)을 삽입하면 바디(20)에 권취되어 있던 요비선(10)이 바디(20)에서 회전되면서 점차 풀리게 되어 바디(20)에서 배출되는 요비선(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요비선(10)을 권취부(30)의 타단으로 삽입하면 요비선(10)이 삽입과 동시에 권취부(30)를 따라 회전되면서 바디(20)에서 풀려 있던 요비선(10) 부위가 바디(20)로 인입되면서 권취된다.
더하여, 바디(20)에서 회전됨에 따라 권취부(30)에 권취 또는 권취부(30)에서 풀리는 요비선(10)은 유도부(40)를 통해 권취부(30)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유도부(40)는 바디(20)에서 회전되는 요비선(10)을 권취부(30)측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요비선(10)이 바디(20) 또는 권취부(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유도부(40)는 권취부(3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권취부(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부(30)에서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유도부(40)의 단부에는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부재(50)가 결합된다.
안전부재(50)는 탄력성을 가지며, 접착제를 통해 유도부(40)에 결합되어 유도부(40)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즉, 안전부재(50)는 요비선(10)을 바디(20)로 인입하는 과정에서 유도부(40)에 작업자의 손이 부딪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한편, 요비선(10)은 권취부(30)를 통과하여 바디(20)에 권취될 때 일단이 권취부(30)에 통과되어 다른 부위에 체결 고정된 후 권취부(30)에 권취된다. 이는 요비선(10)이 바디(20)에서 완전하게 풀리더라도 바디(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요비선(10)은 일단이 결속부재(7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속부재(70)는 요비선(10)의 일단에 접합되는 고정구(71)와, 이 고정구(71)에 요비선(10)의 다른 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밴드(73)와, 이 결속밴드(73) 및 고정구(71)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체결구(75)로 구성된다.
고정구(71)는 요비선(10)의 일단이 삽입된 후 프레싱 가공에 의해 요비선(10)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고정구(71)에는 체결구(75)가 관통되는 관통구멍(71a)이 형성된다.
결속밴드(73)는 양단부에 체결구(75)가 관통되는 관통구멍(73a)이 형성되며, 요비선(10)의 다른 부위를 고정구(71)에 지지시킨다.
체결구(75)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며, 결속밴드(73)를 통해 고정구(71)에 지지된 요비선(10)을 완전하게 결속시킨다. 이러한, 체결구(75)는 볼트가 고정구(71) 및 결속밴드(73)의 관통구멍(71a, 73a)을 관통한 후 볼트에 너트가 체결되면서 고정구(71), 요비선(10) 및 결속밴드(73)를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한편, 요비선(10)에는 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구멍(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비선용 권취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바디(20)에 권취되어 있는 요비선(10)을 풀기 위해서는 요비선(10)의 타단(전선 결속부위)이 바디(20)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바디(20)에서 요비선(10)을 인입 회전시킨다. 그러면, 바디(20)에서 요비선(10)이 회전되면서 바디(20)에 권취되어 있던 요비선(10)이 풀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요비선(10)을 사용할 때 요비선(10)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이 방지되어 요비선(10)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20)에서 요비선(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풀려있던 요비선(10)이 바디(20)로 인입되면서 권취부(30)에 권취된다.
이로 인하여, 바디(20)에 요비선(10)을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고, 요비선(10)의 이동시 요비선(10)이 바디(20)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40)에 안전부재(50)가 결합되어 있어 요비선(10)을 풀거나 권취할 때 작업자의 손이 바디(20)에 부딪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은 요비선 거치단계(S10)와, 제1 요비선 삽입단계(S20)와, 요비선 고정단계(S30) 및 제2 요비선 삽입단계(S40)를 포함한다.
요비선 거치단계(S10)는 권선기(도시생략)에 의해 원형으로 감겨진 요비선(10)을 지지프레임(1)에 거치한다. 지지프레임(1)은 베이스플레이트(1a)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a)에 사각 형태로 결합되어 원형으로 감긴 요비선(10)을 지지하는 지지바(1b)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의 지지바(1b)에 요비선(10)을 지지하는 것은 권취기구(3)로 요비선(10)을 권취할 때 요비선(1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요비선(10)이 삽입되는 권취기구(3)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요비선 거치단계(S10)에서는 지지프레임(1)에 요비선(10)을 복수개 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권취기구(3)는 요비선(10)이 삽입되도록 관에 의해 반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더하여, 권취기구(3)는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유도부(40)가 형성된다. 이는 권취기구(3)로 요비선(10)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제1 요비선 삽입단계(S20)는 요비선(10)의 일단부가 반원 형태의 권취기구(3)로 삽입되어 배출되도록 요비선(10)의 일단을 권취기구(3)로 삽입한 후 권취기구(3)를 요비선(10)을 따라 회전시킨다.
요비선 고정단계(S30)는 권취기구(3)의 이동에 따라 권취기구(3)로 삽입된 요비선(10)의 일단이 권취기구(3)에서 노출되면, 노출된 요비선(10)의 일단부를 권취기구(3)의 다음 회전에 따라 삽입될 요비선 부위에 고정시킨다. 이는 요비선(10)이 권취기구(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요비선 삽입단계(S40)는 일단부가 고정된 요비선(10)을 따라 권취기구(3)를 계속 회전시켜 권취기구(3)에 요비선(10)을 완전하게 삽입 권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은 원형으로 감긴 요비선(10)을 지지프레임(1)에 거치한 상태에서 권취기구(3)를 원형으로 감긴 요비선(10)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권취기구(3)에 요비선(10)을 권취한다.
따라서 요비선(1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면 권취기구(3)에 요비선(10)을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지지프레임 3 : 권취기구
10 : 요비선 20 : 바디
30 : 귄취부 40 : 유도부
50 : 안전부재 60 : 파지부
70 : 결속부재

Claims (7)

  1. 바디; 및
    요비선이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에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요비선이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요비선이 상기 바디에서 배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요비선을 가이드하는 권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비선이 상기 권취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비선을 상기 권취부로 인입할 때 충돌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안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비선은 일단이 상기 권취부를 통과한 후 다른 부위에 체결된 후 상기 귄취부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용 권취기구.
  5. 원형으로 감겨진 요비선을 지지프레임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요비선의 일단부가 반원 형태의 권취기구로 삽입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권취기구를 상기 요비선을 따라 회전시키는 제1 요비선 삽입단계;
    상기 권취기구의 다음 회전에 따라 삽입될 상기 요비선 부위에 상기 요비선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요비선 고정단계; 및
    상기 권취기구를 상기 요비선을 따라 계속 회전시켜 상기 권취기구의 내부로 상기 요비선을 삽입하는 제2 요비선 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구는 반원 형태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구는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구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KR1020110034251A 2011-04-13 2011-04-13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KR20120116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51A KR20120116669A (ko) 2011-04-13 2011-04-13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51A KR20120116669A (ko) 2011-04-13 2011-04-13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669A true KR20120116669A (ko) 2012-10-23

Family

ID=4728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251A KR20120116669A (ko) 2011-04-13 2011-04-13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6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39U (ko) * 2016-09-19 2018-03-28 김종만 전선 입선용 인출선
KR200487253Y1 (ko) * 2017-04-20 2018-08-28 김선기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CN110584572A (zh) * 2014-06-05 2019-12-20 捷锐士阿希迈公司(以奥林巴斯美国外科技术名义) 可移除的斜角导丝储存装置
WO2020246783A1 (ko) * 2019-06-07 2020-12-10 김선기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572A (zh) * 2014-06-05 2019-12-20 捷锐士阿希迈公司(以奥林巴斯美国外科技术名义) 可移除的斜角导丝储存装置
KR20180000839U (ko) * 2016-09-19 2018-03-28 김종만 전선 입선용 인출선
KR200487253Y1 (ko) * 2017-04-20 2018-08-28 김선기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WO2020246783A1 (ko) * 2019-06-07 2020-12-10 김선기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669A (ko)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CN111776886A (zh) 一种电缆收放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40346B1 (ko) 전선 유도용 요비선
KR20220002001A (ko) 요비선의 꼬임 및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권취기구
CN1251819C (zh) 钢筋捆扎机和用于该机器的卷盘
CN205087716U (zh) 一种齿轮传动的线材卷绕装置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CN211364310U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的线缆拉伸装置
JP5391248B2 (ja) ケーブル保護部材
RU1645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матывания длинномерного упругого изделия
CN211077950U (zh) 一种放线器
CN208577275U (zh) 一种绝缘线卷线器
KR200468209Y1 (ko) 용접 와이어용 릴의 보호캡 조립체
CN202492243U (zh) 一种高强度电缆绕线盘
CN201927953U (zh) 一种结构改良的捆线带
CN218887514U (zh) 一种羊角天线
CN215047640U (zh) 一种全铝绞线加工用带有限位机构的收卷装置
JP6567330B2 (ja) 紐状体巻き取り装置
KR200468466Y1 (ko) 낚시대용 줄감개
KR20120000149U (ko) 콜게이트 고정용 클립 장치
CN214192092U (zh) 一种电缆放线车
WO2020230881A1 (ja) 延線用治具、電線・ケーブル及び電線・ケーブルの延線方法
CN209127809U (zh) 一种数据线加工用自动绕扎线机
JP2013091553A (ja) 収納具
JP3159772U (ja) 金属線材の引き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