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53Y1 -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53Y1
KR200487253Y1 KR2020170001995U KR20170001995U KR200487253Y1 KR 200487253 Y1 KR200487253 Y1 KR 200487253Y1 KR 2020170001995 U KR2020170001995 U KR 2020170001995U KR 20170001995 U KR20170001995 U KR 20170001995U KR 200487253 Y1 KR200487253 Y1 KR 200487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ertion hole
tube
wire rod
y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2020170001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lines, e.g. needles, rods or ta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ortable tools

Abstract

본 고안은 요비선을 권취할 때 꼬이고 엉키는 문제를 해소하여 요비선 설치 및 해체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반고리 형태로 된 관체; 상기 관체의 일측 외면에 마련되는 삽입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삽입공을 통해 요비선과 같은 선재를 끼워넣음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선재가 유입되어 상기 관체를 채움으로써 상기 관체에 인입되는 선재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Apparatus For Preventing Twist of Wire Follow}
본 고안은 요비선 꼬임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요비선을 권취할 때 꼬이고 엉키는 문제를 해소하여 요비선 설치 및 해체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는 전력 및 신호의 공급과 분배를 위한 전선 및 통신선이 건물 곳곳에 설치된다. 전선 및 통신선은 통상적으로 보호관에 의해 삽입되어 보호된다. 보호관은 시멘트 벽체에 매립되는 것이 보통이다. 보호관에 선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로서 요비선이 사용된다. 통상 요비선으로는 전화선이나 통신선 등과 비교하여 강인하여 휨이 적은 피아노선 또는 스프링강선이 사용된다.
요비선은 길이가 길어서 보통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래서 권취된 요비선을 풀어가며 사용하거나 사용을 마친 요비선은 다시 링형태로 감아서 보관하곤 한다. 그런데 요비선을 감는 과정에서 이들이 꼬이는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요비선 설치작업에 임할 때 꼬이고 엉켜있는 요비선을 풀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시간은 길어지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도 높아진다.
비단 요비선 뿐만 아니라 와이어 형태로 된 기다란 선재를 링형상으로 감아서 보관하고자 할 때는 위에 지적한 문제가 항상 수반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094호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삽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직진성을 향상시켜 관에 삽입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유도용 요비선을 제안한다. 이것은 본 고안의 제안 대상이 되는 것이며 요비선의 실제 사용할 때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요비선을 보관할 때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02170호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선(線)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선(線)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선(線)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선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5709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02170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요비선과 같은 각종 선재를 링형상으로 둘둘 말아서 보관하기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요비선 등의 꼬임을 방지하여 재사용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고안은 선재의 끝단부가 꼬임 방지기구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비선 꼬임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반고리 형태로 된 관체; 상기 관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삽입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삽입공을 통해 요비선과 같은 선재를 끼워넣음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선재가 유입되어 관체를 채움으로써 상기 관체에 인입되는 선재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꼬임방지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삽입공이 마련된 일측 끝에 대응되는 타측 끝에서 돌출되는 선재 끝부분과 제일 먼저 관체에 삽입된 선재를 서로 고정시켜주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재의 끝이 상기 삽입공으로 인입되어 잡기가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체에 선재걸이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재걸이수단은 상기 삽입공에 마련되되, 상기 관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선재가 통과되는 직경을 가지는 튜브이며 상기 선재를 튜브에 감아 걸거나 선재를 꺾어 걸어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체는 2개 이상의 단위 관체를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관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관체에 요비선을 끼워넣게 되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요비선이 투입되며 감기게 됨으로써 요비선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선재걸이수단에 의하면 선재의 끝이 관체 내부로 인입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은 선재의 끝단부가 꼬임 방지기구에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 사항과 그에 의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비선 꼬임방지 기구는 요비선을 위하여 안출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와이어, 통신선, 전력선, 철사 등 각종의 기다란 선재(W)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대표하여 선재(W)라 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꼬임 방지기구는 반고리 형태로 된 관체(10)와 관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삽입공(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관체(10)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적어도 내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잦은 사용에 의해 표면이 긁힘으로써 거칠게 되는 것은 적절치 아니하므로 긁힘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직관 형태로 제작한 다음 둥글게 절곡 성형한 것일 수도 있고, 처음부터 반고리 형태로 사출 성형한 것일 수도 있다. 관체(10)의 벽두께는 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1 ~3mm가 적당하며, 관체(10)의 반경은 150 ~ 250mm 가 적당하다. 관체(10)의 원호각(K, 도 2 참조)은 70 ~ 110°가 적당하다. 때에 따라 관체(10)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줄이고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라믹 등으로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체(10)의 외면에는 문고리와 같은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관체가 직경이 커서 한손으로 잡기 어려울 경우,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체(10)의 양쪽 끝(11,12), 특히 한쪽 끝(11)은 나팔과 같이 약간 정도로 확관되어 있는 것이 선재(W)를 처음 삽입할 때 유리할 것이다. 선재(W)의 끝을 관체(10)에 삽입할 때 직경이 넓으면 유리하기 때문이다.
관체(1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조립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조립식 훌라후프와 같이 2개 이상의 단위 관체를 나사식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관체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체(10)의 일측에는 삽입공(20)이 마련된다. 삽입공(20)은 특히 관체(10)의 외측면에 마련된다. 삽입공(20)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공(20)이 관체(10)의 일측 단부에서 30 ~100mm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사용하기에 좀 더 편리하다. 삽입공(20)은 사출시 만들어질 수도 있고 관체(10)를 만든 다음 펀칭으로 따낼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공(20)을 통해 요비선과 같은 선재(W)를 끼워넣음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선재(W)가 관체(1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관체(10)에 채워지는 선재(W')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체(10)의 삽입공(20)이 마련된 일측 끝(11)에 대응되는 타측 끝(12)에서 돌출되는 선재(W') 끝부분과 제일 먼저 관체(10)에 삽입된 선재(W')를 서로 고정시켜주는 고정구(40)가 구비된다.
선재(W)를 빠른 속도로 넣다 보면 선재(W')끝이 삽입공(20)으로 들어가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재(W')의 끝이 상기 삽입공(20)으로 인입되어 잡기가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체(10)에 선재걸이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선재걸이수단은 삽입공(20)에 마련되되, 상기 관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재(W)가 통과되는 직경을 가지는 튜브(30)일 수 있다.
튜브(30)만을 관체(10)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는 않으며 강도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튜브(30)는 받침판(32)을 통해 관체의 외표면에 접착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선재(W)를 튜브(20)에 감아 걸거나 선재(W)의 끝을 접거나 꺾어 튜브(30)에 걸어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선재의 유입단(31)의 유입구 방향과 관체의 연장방향 간의 사잇각을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 30°정도로 하는 것이 작업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선재(W)를 넣을 때 저항이 적기 때문이다. 나아가 튜브(30)는 약간의 각도로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튜브(30)의 유입단(31)에는 선재(W)를 끼워 걸어놓을 수 있도록 슬릿(slit)을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요비선 꼬임 방지기구는 사용시 삽입공(20)을 통해 선재(W)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관체(10)의 삽입공(20)이 마련된 일측 끝(11)에 대응되는 타측 끝(12)에서 돌출되는 선재(W) 끝부분과 제일 먼저 관체(10)에 삽입된 선재(W)가 고정구(40)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삽입공(20)으로 인출되는 선재(W)의 끝단부가 완전히 삽입공(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재(W)를 삽입공(20)을 통해 삽입시 선재(W)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관체 20 : 삽입공
30 : 튜브 32 : 받침판
W : 선재

Claims (4)

  1. 요비선 꼬임방지 기구에 있어서,
    반고리 형태로 양쪽 끝(11, 12)이 구비된 관체(10);
    요비선과 같은 선재(W)를 끼워넣음으로써 일정한 위치에서 선재(W)가 유입되어 관체(10)를 채움으로써 관체(10)에 인입되는 선재(W')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관체(10)의 일측 끝(11) 외면에 마련되는 삽입공(20);
    상기 삽입공(20)으로 인출되는 선재(W)의 끝단부가 완전히 삽입공(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재(W)를 삽입공(20)을 통해 삽입시 선재(W)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체(10)의 삽입공(20)이 마련된 일측 끝(11)에 대응되는 타측 끝(12)에서 돌출되는 선재(W') 끝부분과 제일 먼저 관체(10)에 삽입된 선재(W')를 서로 고정시켜주는 고정구(40);
    상기 선재(W)의 끝이 삽입공(20)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체(10)에 선재걸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선재걸이수단은 삽입공(20)이 구비된 관체(10)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받침판(32)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32)의 상부에 관체(10)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선재(W)가 통과되는 직경을 가지는 유입관(31)이 구비된 튜브(30)로서;
    상기 선재(W)를 튜브(30)에 감아 걸거나 선재(W)를 꺾어 걸어놓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비선 꼬임방지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995U 2017-04-20 2017-04-20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KR200487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5U KR200487253Y1 (ko) 2017-04-20 2017-04-20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5U KR200487253Y1 (ko) 2017-04-20 2017-04-20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53Y1 true KR200487253Y1 (ko) 2018-08-28

Family

ID=6340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95U KR200487253Y1 (ko) 2017-04-20 2017-04-20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320B1 (ko) 2019-06-07 2019-11-04 김선기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KR20210007531A (ko) 2019-07-12 2021-01-20 김영환 안내선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170A (ko) 2006-02-10 2008-11-2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국의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취소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57094A (ko) 2011-04-21 2011-05-31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120116669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환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KR20160077690A (ko) * 2014-12-24 2016-07-04 김성환 케이블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170A (ko) 2006-02-10 2008-11-2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국의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취소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16669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환 요비선용 권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요비선 권취방법
KR20110057094A (ko) 2011-04-21 2011-05-31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160077690A (ko) * 2014-12-24 2016-07-04 김성환 케이블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320B1 (ko) 2019-06-07 2019-11-04 김선기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KR20210007531A (ko) 2019-07-12 2021-01-20 김영환 안내선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7757B2 (ja) 管内への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これの布設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配線・配管用の管
KR200487253Y1 (ko) 요비선의 꼬임 방지기구
DE60100040D1 (de) Flexible kastenförmige metallkarkasse und eine biegsame rohrleitung mit einer solchen karkasse
US6915817B2 (en) Moveable hose retractor for a pull-out faucet
AU2015200237B2 (en) Cable gland
JP2003509604A5 (ko)
CN104505779A (zh) 拖链可调式穿线槽
JP2006330261A (ja) 施工性改良光ドロップケーブル
ITUD940195A1 (it) Combinazione di un tubo flessibile per aria e di un bocchettone di allacciamento e bocchettone di allacciamento per detta
JP2000120922A (ja) コンジットパイプ配管用ガイド部材とその配管方法
KR102040320B1 (ko)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KR102321027B1 (ko) 전선관 커넥터
US2162340A (en) Bracket for attaching conduits to walls
KR20200087058A (ko) 전선 가이드장치
KR200294305Y1 (ko) 케이블용 클램핑기구
KR200462989Y1 (ko) 광케이블용 케이블 행거
KR200225726Y1 (ko) 휨 성이 자유로운 옷걸이
KR102129938B1 (ko) 전선 거치대
KR20180000839U (ko) 전선 입선용 인출선
SE509302C2 (sv) Sätt att tillverka ett stelt rep
KR200213897Y1 (ko) 전선통과 전선통 장치대
KR200187599Y1 (ko)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KR101972097B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JP3264908B2 (ja) 配線・配管布設用シュータ
KR20120025353A (ko) 요철凹凸 전선 및 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