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027B1 - 전선관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관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1027B1 KR102321027B1 KR1020190070700A KR20190070700A KR102321027B1 KR 102321027 B1 KR102321027 B1 KR 102321027B1 KR 1020190070700 A KR1020190070700 A KR 1020190070700A KR 20190070700 A KR20190070700 A KR 20190070700A KR 102321027 B1 KR102321027 B1 KR 1023210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it
- connector
- band
- box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전선관을 스위치박스 또는 배전함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일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 박스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연결부와 박스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관연결구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마련되어 있는 밴드; 상기 결합홈과 끼움편에 각각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연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의 주벽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 설치되는 전선관을 스위치박스 또는 배전함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전선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에 전등 또는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선관이 널리 이용된다. 전선관은 플렉시블한 소재에 의한 주름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충격성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전선관은 벽이나 기둥에 매립되기도 하고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전선관의 말단에는 스위치박스, 배전함 또는 콘센트박스 등의 전기기구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들 전기기구와 전선관의 연결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연결하거나 나사로 조일 수 있는 철밴드를 이용하여 연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1547호와 같은 커넥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 종래기술은 커넥터 상하측에 결합되는 피복보호구 및 패킹이 주름관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각각 수밀된 상태로 안정감 있게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기술은 전선관과 커넥터 연결부위 간의 수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전선관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전선관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선관의 결합상태를 안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58961호는 벽체에 매입되는 접속함에 다수의 전선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전선관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함에 형성된 체결구멍으로 끼워지며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요철식 주름관체로 된 고정구와, 외측 환테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의 주름관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결부가 구비되고 타측은 나사부가 형성된 커플링과,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의 나사부와 체결되며 타측은 주름관체로 된 전선관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체결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종래의 전선관 커넥터는 설치과정에서 나사식으로 조임으로써 전선관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며 2~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나사식으로 조여야 하므로 스패너 등의 보조공구가 필요하고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스패너를 사용하기 어려워서 설치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부품수가 적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도 빠른 시간에 전선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전선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가 마련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 박스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연결부와 박스연결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관연결구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끼움편이 마련되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삽입홈과 끼움편에 각각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연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의 주벽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 거동을 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박스연결구의 결합홈은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
상기 외측편과 평행하게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밴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내측편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외측편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의 커넥터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스패너나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손의 힘으로도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하는데 특별한 공구가 필요치 아니한 전선관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관 커넥터(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선관연결구(3), 박스연결구(5)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대(7)를 포함한다.
전선관 커넥터(1)의 일측은 전선관(100)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3)가 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200)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210)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5)가 된다.
그리고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와 박스연결구(5)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은 모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와 박스연결구(5)가 약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쪽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마련되는 띠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전선관연결구(3)는 양 단부가 호스밴드 또는 허리띠처럼 서로 결합되어 링 형상이 되는 밴드(9)를 포함한다. 전선관연결구(3)는 밴드(9)의 내경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밴드(9)의 일측에는 결합홈(11)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끼움편(13)이 마련되어 있다. 밴드(9)의 양쪽에 각각 톱니 형태로 된 결착돌기(15,17)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관연결구의 결합홈(11)은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19)과, 외측편(19)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내측편(21)을 포함한다. 내측편(21)은 외측편(19)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 내측편(21)과 외측편(19) 사이의 공간이 결합홈(11)이 되는 것이다. 내측편(21)은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적어도 끝부분은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외측편(19)은 내측편(21)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외측편(19) 자체가 벌어지지는 않는다. 제1결착돌기(15)는 상기 외측편(19)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1결착돌기(15)와 치합하는 제2결착돌기(17)는 끼움편(13)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결착돌기(15,17)는 래칫과 같이 이빨의 방향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끼움편(13)을 결합홈(11)에 압입하여 끼울 때는 용이하게 삽입되지만 반대로 빠지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전선관(100)을 밴드(9)의 내측에 끼워 넣은 다음에 밴드(9)의 양단을 압박하게 되면 밴드(9)가 조여지면서 전선관(100)에 강하게 밀착되고 이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9)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일측 잡이대(23)는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끼움편(13)의 후단에 판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잡이대(23,25)는 손이나 플라이어(집게) 등으로 잡기에 편하도록 평평한 잡이면(23a,25a)을 제공하며, 이 잡이면(23a,25a)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밴드(9)의 내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관(100)의 외면을 국부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의 형태로 돌출된 가압구(27)가 1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압구(27)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결대(7)가 설치된 위치에 마련된다(도 7 참조). 그래서 가압구(27)는 연결대(7)는 전선관연결구(3), 연결대(7) 및 박스연결구(5)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가압구(27)의 능선(27a)은 전선관(100)의 연장방향과 같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의 가압구(27)가 마련된다. 가압구(27)의 연결대(7)에 마련된 부분은 연결대(7)의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의 역할을 한다.
또한 밴드(9)의 내면에는 주름진 전선관(100)의 골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29)가 밴드(9)의 원주방향을 따라 1곳 이상에 마련된다(도 7 참조). 도시된 바에 의하면 2개의 스토퍼(29)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9)는 단면이 ""와 같이 전선관(100)의 골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스토퍼(29)는 가압구(27)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하, 박스연결구(5)를 도 5와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박스연결구(5)는 전선관(100)을 구멍(211)이 타공된 플레이트(210)에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박스연결구(5)는 링 또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의 구멍(211)에 적은 유격을 갖고 끼워지는 외경을 가진다.
후크(31)가 원통형으로 된 박스연결구(5)의 주벽(33) 상에 설치된다. 후크(31)는 반경방향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거동하며 화살표 형태의 걸림구(35)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 후크(31)는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2개가 나란히 마련된다. 그리고 후크(31)의 반대쪽으로는 지지대(37)가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대(37)가 있는 쪽을 먼저 플레이트의 구멍(211)에 끼운 다음 반대쪽에 힘을 가함으로써 후크(31)가 찰칵하면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박스연결구(5)의 중간 지점에는 도넛 형상의 제한판(39)이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이 제한판(39)은 전선관(100)의 끝이 닿는 부분으로서 전선관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한판(39)의 중심에 있는 전선통과공(39a)으로는 전선(110)이 통과된다. 제한판(39)의 중심부에는 단턱(41)이 마련되어 있어 전선관(100)이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박스연결구(5)의 측면에는 전선관(100)이 제한판(39)까지 삽입이 되었는지를 볼 수 있는 투시공(43)이 마련될 수 있다.
박스연결구(5)는 플레이트(210)에 삽입되는 삽입부(5a)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b)로 구성되며 이들의 경계에는 지지판(45)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편(19)의 선단에는 지레작용대(2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도구(T)의 끝을 지레작용대(20)의 저면에 대고, 타측 잡이대(25)를 지레받침대로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도구(T)를 회전시키게 되면 밴드(9)를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전선관 커넥터 3 : 전선관연결구
5 : 박스연결구 7 : 연결대
9 : 밴드 11 : 결합홈
13 : 끼움편 15,17 : 결착돌기
19 : 외측편 20 : 지레작용대
21 : 내측편 23,25 : 잡이대
27 : 가압구 29 : 스토퍼
31 : 후크 35 : 걸림구
37 : 지지대 39 : 제한판
43 : 투시공 45 : 지지판
5 : 박스연결구 7 : 연결대
9 : 밴드 11 : 결합홈
13 : 끼움편 15,17 : 결착돌기
19 : 외측편 20 : 지레작용대
21 : 내측편 23,25 : 잡이대
27 : 가압구 29 : 스토퍼
31 : 후크 35 : 걸림구
37 : 지지대 39 : 제한판
43 : 투시공 45 : 지지판
Claims (6)
- 일측은 전선관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관연결구(3)가 마련되고; 타측은 스위치박스, 분전함 박스 등에 마련된 플레이트와의 연결을 위한 박스연결구(5)가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연결구(3)와 박스연결구(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7)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관연결구(3)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결합홈(11)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끼움편(13)이 마련되어 있는 밴드(9)와, 톱니 형태로 마련되는 결착돌기(15,17)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연결구(5)는 상기 플레이트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원통의 주벽에 반경방향으로 탄성적 거동을 하는 후크(31)를 포함하는 전선관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박스연결구(5)의 결합홈(11)은,
상기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외측편(19);
상기 외측편(19)과 평행하게 이격된 것으로서 상기 외측편(19)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밴드(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는 내측편(21)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결착돌기(15,17)는 상기 외측편(19)의 내면 및 상기 끼움편(13)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9)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상기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 잡이대(23)는 상기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상기 끼움편(13)의 후단에 판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9)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선관의 외면을 국부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해 "∧"의 형태로 돌출된 가압구(27)가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9)를 좀 더 편리하게 조이기 위한 잡이대(23,25)가 상기 밴드(9)의 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 잡이대(23)는 상기 외측편(19)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고, 타측 잡이대(25)는 상기 끼움편(13)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밴드(9)를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외측편(19)의 선단에는 지레작용대(2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잡이대(23,25) 중 타측 잡이대(25)는 지레받침대로 이용할 수 있게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ko) | 2019-06-14 | 2019-06-14 | 전선관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ko) | 2019-06-14 | 2019-06-14 | 전선관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2997A KR20200142997A (ko) | 2020-12-23 |
KR102321027B1 true KR102321027B1 (ko) | 2021-11-03 |
Family
ID=7408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700A KR102321027B1 (ko) | 2019-06-14 | 2019-06-14 | 전선관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102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8142A (ko) * | 2021-11-26 | 2023-06-02 | 이준성 | 전선관 연결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05480A (ja) | 2006-05-12 | 2007-11-22 | Nec Lighting Ltd | コネクタ、電気機器、照明器具 |
JP2018088382A (ja) * | 2016-11-30 | 2018-06-07 | 株式会社Subaru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934Y1 (ko) * | 2007-05-28 | 2009-03-26 | 대신산전 주식회사 | 배선관용 커넥터 |
KR200446280Y1 (ko) * | 2007-10-09 | 2009-10-14 | 이용운 |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
KR20160000451U (ko) * | 2014-07-29 | 2016-02-12 | (주)현대배관 | 전기배선관 커넥터 |
UA121222C2 (uk) | 2014-09-10 | 2020-04-27 | Вашингтон Юніверсіті | Композиції та способи для лікування передракових уражень шкіри |
KR101753361B1 (ko) * | 2015-04-08 | 2017-07-05 | (주)이산솔루션 | 청소 로봇을 이용한 스마트 청소 시스템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0700A patent/KR1023210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05480A (ja) | 2006-05-12 | 2007-11-22 | Nec Lighting Ltd | コネクタ、電気機器、照明器具 |
JP2018088382A (ja) * | 2016-11-30 | 2018-06-07 | 株式会社Subaru | コネクタ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8142A (ko) * | 2021-11-26 | 2023-06-02 | 이준성 | 전선관 연결구 |
KR102587313B1 (ko) | 2021-11-26 | 2023-10-12 | 이준성 | 전선관 연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2997A (ko) | 2020-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95564A (en) | Saddle tee for irrigation pipe | |
US4667910A (en) | Devices for suspension of objects | |
US10316991B2 (en) |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 |
WO1982001296A1 (en) | Cable clamp | |
KR102321027B1 (ko) | 전선관 커넥터 | |
US5752681A (en) | Pipe and cable clamp with base part and receiving strap | |
KR20170106604A (ko) |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 |
JP6398711B2 (ja)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KR200454874Y1 (ko) | 케이블타이 | |
KR102316303B1 (ko) | 전선 연결용 커버판 | |
KR20100096613A (ko) | 관연결구조 | |
CN109307107B (zh) | 一种多功能紧固卡箍 | |
US3600008A (en) | Self-locking outlet box connector | |
JP6979425B2 (ja) | 抜け防止コネクタ | |
KR200456526Y1 (ko) |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 |
JP3223511U (ja) | 抜け防止コネクタ | |
JP2554387Y2 (ja) | ケーブルグランドの保持具 | |
KR200321022Y1 (ko) | 전선관 고정체를 갖는 커넥터 | |
KR200394793Y1 (ko) | 착탈식 고정부재 | |
CN203415928U (zh) | 线缆固定装置 | |
JP2017189055A (ja) | 分線金物留め具 | |
KR200242565Y1 (ko) | 커플링용 캡너트 록킹장치 | |
KR830000330Y1 (ko) | 관체(管體)부착 금구 | |
FI90481B (sv) | Förfarande och klammer för att till ett byggelement låsa ett flexibelt installationsrör | |
JPH011249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