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015B1 -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 Google Patents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015B1
KR101394015B1 KR1020110139968A KR20110139968A KR101394015B1 KR 101394015 B1 KR101394015 B1 KR 101394015B1 KR 1020110139968 A KR1020110139968 A KR 1020110139968A KR 20110139968 A KR20110139968 A KR 20110139968A KR 101394015 B1 KR101394015 B1 KR 10139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pring
wire rope
shaft fix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509A (ko
Inventor
박관근
Original Assignee
박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근 filed Critical 박관근
Priority to KR102011013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0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용 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 네트가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여 운동시 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기용 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항상 감겨 있도록 하여 자외선과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구기용 네트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는 네트를 롤 형태로 권취 되거나 권출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네트를 인출하여 걸이대를 지지대에 걸치는 것만으로 네트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해체시 걸이대를 지지대에서 분리하면 네트가 릴 본체 하부에 설치된 태엽 스프링의 권취력에 의해 권취되면서 릴 본체에 롤 형태로 권취되어 수납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자외선 및 빗물로부터 네트를 보호하여 네트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Winding devices and support of the ball game net}
본 발명은 구기용 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 네트가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여 운동시 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기용 네트는 모서리에 각각 구성되어 있는 줄로 지지대에 단단히 묶어 느슨해지지 않도록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기용 네트는, 그 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따로 보관할 장소가 필요하며, 설치와 해체시 묶고 푸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번거로움 때문에 항상 구기용 네트를 설치해 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자외선과 빗물에 노출되어 네트를 상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기용 네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네트가 권취 되거나 권출됨에 의해 구기용 네트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구기용 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항상 감겨 있도록 하여 자외선과 빗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구기용 네트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 와이어로프 및 하측 와이어로프가 형성된 네트와, 롤러 축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네트의 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그 롤러 축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축 고정 프레임과, 이 축 고정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이 가이드 홈에 설치된 또 다른 롤러 축과, 인장 스프링의 한 끝단이 이 롤러 축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또 다른 끝단은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어 네트의 감김 감속을 위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과, 이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에 축 고정된 릴 본체와 이 릴 본체에 롤 형태로 권취되어 권출 가능하게 수납된 네트와, 릴 본체 밑에 위치하여 하부 축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릴 받침과, 스프링 홀더가 관통되고 태엽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는 스프링 하부 커버와, 스프링 홀더와 하부 스프링 커버가 태엽 스프링에 연결되고, 상기 릴 본체 하부에 형성된 상부 스프링 커버와 하부 스프링 커버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품은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과, 이 하부 받침 좌와 우로 대칭 구성된 하우징과, 상부 축 고정 프레임을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한 네트의 끝단에는 상부와 하부에 요홈이 형성된 걸이대와, 이 걸이대와 독립되어 대응되는 요함부가 구비된 지지대로 구성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는 네트를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권출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네트를 풀어 걸이대를 지지대에 걸치는 것만으로 네트를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해체시 걸이대를 지지대에서 분리하면 네트를 롤 형태로 권취되도록 하여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가 자동으로 수납 보관 되도록 함으로써 자외선 및 빗물로부터 보호하여 네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사시도로서 (a)는 구기용 네트가 권취된 상태, (b)는 구기용 네트가 인출되는 상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구성도중 (a)는 인출이 되기전 상태, (b)는 인출을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는 하우징(2)을 받치는 하부받침(1)과, 와이어로프(23)가 권취되고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에 롤 형태로 권취되거나 풀림으로 설치 또는 해체가 되는 네트의 와이어로프(23)와, 이 와이어로프(23) 끝단에 요홈(20)이 형성된 걸이대(18)와, 이 걸이대(18) 요홈(20)에 맞물리도록 독립 설치된 지지대(19)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24)의 분해 사시도로서, 릴 본체(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 고정시켜 주는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과, 하부 축 고정 프레임(3) 위에 고정되어 릴 본체(10)의 회전축이 되는 릴 받침(4)과, 이 릴 받침(4) 위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원형의 스프링 홀더(5)와, 이 홀더(5)가 관통되는 관통홈(7)을 가진 스프링 하부 커버(6)와, 이 스프링 하부 커버(6)에 수납되어 스프링 홀더(5)와 스프링 하부 커버(6)를 연결하며 권취력을 갖는 태엽 스프링(8)과, 릴 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스프링 하부커버(6)와 결합되어 태엽스프링(8)의 권취력을 릴 본체(10)에 전달하는 스프링 상부커버(9)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의 사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네트(24)의 상측 및 하측 와이어로프(23)의 한 끝단은 릴 본체(10) 삽탈공(11)에 끼워져 고정되며, 네트(24) 인출 방향에 위치하여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 사이에 수직으로 끼워진 롤러 축(14)과, 이 롤러 축(14) 상부와 하부에 끼워져 네트(24)의 와이어로프(23)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5)와, 이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에 형성된 가이드 홈(16)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롤러 축(14)과, 이 롤러 축(14) 양 끝단과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17)과, 네트(24)의 다른 끝단에 요홈(20)이 형성된 걸이대(18)와, 이 걸이대(18) 요홈(20)에 맞물리도록 독립 설치된 지지대(1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사시도로서 (a)는 구기용 네트가 권취된 상태, (b)는 구기용 네트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용 네트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구성도중 (a)는 인출이 되기전 상태, (b)는 인출이 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로서, 회전하는 원형의 릴 본체(10)와, 릴 본체(10) 삽탈공(11)에 끼워진 네트(24)의 와이어로프(23)와, 이 와이어로프(23)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5)와, 와이어 로프(23)의 인출 압력에 반비례하여 늘어나는 인장 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인 구기용 네트의 감김장치 및 지지대(19)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기용 네트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도 3(b)의 도시와 같이 걸이대(18) 손잡이(21)를 잡고서 당기게 된다.
걸이대(18)를 당기게 되면, 릴 본체(10)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로프(23)와 네트(24)가 풀리게 되는데, 네트(24)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와이어로프(23)가 다수의 가이드 롤러(15)를 타고 가지런히 인출이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의 도시와 같이 와이어 로프(23)가 인출될 때 유동형 가이드 롤러(25)가 인출 압력에 의해 인장 스프링(17)이 늘어나며 가이드 홈(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권취 또는 인출시 속도가 감속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릴 본체(10) 하부에 위치하여 릴 본체(10)와 고정 연결된 태엽 스프링(8)은 릴 본체(10)의 회전 방향대로 복원력이 상승하며 감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수의 가이드 롤러(15)를 타고 인출된 와이어로프(23)와 네트(24)는 걸이대(18)와 지지대(19)에 각각 형성된 요홈(20)과 요함부(22)에 걸려 결합이 되며, 네트(24)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걸이대(18)를 지지대(19)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네트(24)는 천천히 권취되게 되는데, 이는 하부 스프링 홀더(5)에 의해 고정된 태엽스프링(8)이 상부의 릴 본체(10)를 회전시켜 네트(24)를 권취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네트(24)의 와이어로프(23)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5)를 타고 권취가 되며, 가이드 홈(16)을 따라 움직이는 중앙의 가이드 롤러(15)는 인장 스프링(17)의 인장력으로 와이어 로프(23)를 곡선으로 휘게 하여 와이어로프(23)가 태엽 스프링(8)의 강한 권취력에 의해 급격히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정속으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1 : 하부받침 2 : 하우징
3 : 하부 축고정 프레임 4 : 릴 받침
5 : 스프링 홀더 6 : 스프링 하부커버
7 : 관통홈 8 : 태엽 스프링
9 : 스프링 상부 커버 10 : 릴 본체
11 : 삽탈공 12 : 상부 축 고정 프레임
13 : 상부커버 14 : 롤러 축
15 : 가이드 롤러 16 : 가이드 홈
17 : 인장 스프링 18 : 걸이대
19 : 지지대 20 : 요홈
21 : 손잡이 22 : 요함부
23 : 와이어로프 24 : 네트
25 : 유동형 가이드 롤러

Claims (2)

  1. 상부 와이어로프(23) 및 하부 와이어로프(23)가 수평 형성된 네트(24)와, 롤러 축(14)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네트(24)의 와이어로프(23)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5)와, 그 롤러 축(14)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축 고정 프레임(12),(3)과, 이 축 고정 프레임(12),(3)에 형성된 가이드 홈(16)과, 이 가이드 홈(16)에 설치된 또 다른 롤러 축(14)과, 상기 롤러 축(14) 상부와 하부에 인장스프링(17)의 끝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각 결합된 인장 스프링(17)의 또 다른 끝단은 상부 및 하부 축 고정프레임(12),(3)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와이어로프(23) 및 네트(24)의 감김 감속을 위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과, 이 상부 및 하부 축 고정 프레임(12),(3)에 축 고정된 릴 본체(10)와 이 릴 본체(10)에 상부와 하부로 나란히 형성된 와이어로프(23) 끝단이 상기 릴 본체(10)의 삽탈공(11)에 고정되어 롤 형태로 권취되어 권출 가능하게 수납된 와이어로프(23) 및 네트(24)와, 상기한 하부 축 고정 프레임(3)에 나사로 고정 결합되는 릴받침(4)과, 상기 릴받침(4) 상부의 스프링 홀더(5)에 원형의 관통홈(7)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스프링 하부 커버(6)와, 원형으로 말려 중앙에 형성된 끝단이 상기한 스프링 홀더(5)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8)과, 상기 태엽 스프링(8)의 중심 끝단을 축으로 권취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태엽 스프링(8) 가장자리에 형성된 또 다른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가장자리에 절개부를 갖는 스프링 하부 커버(6)와, 상기한 스프링 하부커버(6)가 상기 릴 본체(10) 하부에 한 몸으로 부착 형성된 스프링 상부 커버(9) 안으로 수납되어 나사 고정 결합되며,
    상기한 하부 축 고정 프레임(3)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1)과, 릴 본체(10) 좌와 우로 대칭 구성된 하우징(2)과, 상부 축 고정 프레임(12)을 덮는 상부 커버(13)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로 연결 형성된 와이어로프의(23)의 끝단에는 상부와 하부에 요홈(20)이 형성된 걸이대(18)와, 이 걸이대(18)와 독립되어 대응되는 요함부(22)가 구비된 지지대(1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2. 삭제
KR1020110139968A 2011-12-22 2011-12-22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KR10139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68A KR101394015B1 (ko) 2011-12-22 2011-12-22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68A KR101394015B1 (ko) 2011-12-22 2011-12-22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09A KR20130072509A (ko) 2013-07-02
KR101394015B1 true KR101394015B1 (ko) 2014-05-12

Family

ID=4898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68A KR101394015B1 (ko) 2011-12-22 2011-12-22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95B1 (ko) * 2018-05-04 2019-08-13 류진하 연습용 탁구대
CN109105273B (zh) * 2018-08-17 2021-12-28 长江大学 一种野生动物软释放笼
CN112274889A (zh) * 2020-10-30 2021-01-29 重庆邮电大学 一种网球用的隔网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57Y1 (ko) 2009-05-09 2009-12-21 이운용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KR20100048812A (ko) * 2008-11-01 2010-05-11 권우희 운동경기용 네트의 고정장치
KR101062439B1 (ko) 2011-02-10 2011-09-05 안희욱 롤 스크린 형태의 네트 내장형 스포츠 지주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812A (ko) * 2008-11-01 2010-05-11 권우희 운동경기용 네트의 고정장치
KR200447057Y1 (ko) 2009-05-09 2009-12-21 이운용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KR101062439B1 (ko) 2011-02-10 2011-09-05 안희욱 롤 스크린 형태의 네트 내장형 스포츠 지주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09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015B1 (ko)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KR101154419B1 (ko) 전선권취장치
RU25347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резания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947668B1 (ko) 어류 조획기
CN210594840U (zh) 一种钢丝绳解绳装置
US9216878B1 (en) Spool support system
CN210052011U (zh) 一种纱幕投影装置
MX2011006467A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para entrenar una parte del cuerpo de un usuario.
KR20190124394A (ko) 화물고정용 벨트일체형 자동바
KR20230009143A (ko) 차량 도어용 빗물차단장치
KR20180065147A (ko) 줄감기용 장치
JP6554904B2 (ja) クリールスタンド
CN215275676U (zh) 一种足球训练器
KR20220021987A (ko)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2014767B1 (ko)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JP2006288167A (ja) ケーブル架線用補助装置及びケーブル保持装置並びにケーブル架線方法
JP2010030767A (ja) ホース巻取り装置
US20130056577A1 (en) Toolbox with integrated cable reel dispenser
CN219050236U (zh) 一种拉力器
CN117822165B (zh) 经编网布整经机构及整经方法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CN218248429U (zh) 卷放装置
KR200262300Y1 (ko) 커버링기용 절단심사홀더장치
JP4011783B2 (ja) ケーブルの繰出装置
CN205399280U (zh) 电力施工警示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