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57Y1 -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57Y1
KR200447057Y1 KR20090005623U KR20090005623U KR200447057Y1 KR 200447057 Y1 KR200447057 Y1 KR 200447057Y1 KR 20090005623 U KR20090005623 U KR 20090005623U KR 20090005623 U KR20090005623 U KR 20090005623U KR 200447057 Y1 KR200447057 Y1 KR 200447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table tennis
housing
assembl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용
Original Assignee
이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용 filed Critical 이운용
Priority to KR2009000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63B67/045Supports for table tennis 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탁구대의 양쪽 코트를 구분토록 설치하되, 별도의 장력조절이 필요없이도 최적의 네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쪽 코트의 구분목적으로 탁구대 상에 배치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각 양측을 잡아당겨 권취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탁구대의 중앙부 양단 모서리에 각각 고정 장착시키게 된 한 쌍의 지주클램프;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클램프는, 상기 네트의 일부를 내재수용할 수 있게 된 조립식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네트의 일 측을 감아 권취하기 위한 권취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상기 탁구대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죔쇠의 조립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탁구, 탁구대, 네트, 네트어셈블리, 클램프, 장력조절, 권취

Description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Table tennis net assembly of monolithic type}
본 고안은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탁구대의 양쪽 코트를 구분토록 설치하되, 별도의 장력조절이 필요없이도 최적의 네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탁구(卓球, Table tennis / Ping-pong)라 함은, 직사각형의 나무로 만든 대(臺)의 중앙에 그물(Net)을 치고 상대편 지역에 라켓으로 공을 쳐 넘겨 승부를 가리는 스포츠를 말한다.
이러한 탁구경기는, 19세기 말경 영국에서 창안되었으며, 1898년 영국인 제임스 기브스(James Gibbs)가 셀룰로이드(Celluloid)로 만든 지금의 탁구공을 사용하면서부터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는 1924년 처음으로 소개된 이후 1945년 대한탁구협회가 창설됐다.
특히, 1988년 서울에서 개최된 올림픽에서의 정식종목 채택과 아울러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의 선전에 힘입어 급진적인 보급과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후 나 이와 기호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주로 노년층의 여가활동 및 건강증진을 위한 국민 생활체육으로써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탁구경기를 위한 구비장비로써는, 탁구대를 포함하여 네트어셈블리(Net assembly)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로써, 종래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구조로 탁구대의 양쪽 코트 사이에 가로질러 위치되는 한편 양측 단 상,하부에 고정끈(911)이 연결결합된 네트(910)와, 상기의 각 고정끈(911)들을 적정 장력으로 잡아당긴 후 묶음 함으로써 상기 네트(910)가 탁구대 상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클램프(920)로 구성되되,
상기 클램프(920)는, 탁구대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집게형 죔쇠(921)와, 상기 죔쇠(921)의 일 상단에 수직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끈(911)을 묶어놓을 수 있도록 한 지주대(922)의 일체식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 고안에 따르면, 상술한 탁구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집게(921)를 이용하여 상기의 클램프(920)들을 고정설치한 후, 그들을 사이에 상기 네트(91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끈(911)들을 상기한 지주대(922)에 묶어놓는 것으로 인해 상기 네트(910)가 탁구대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부양식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탁구대 상에 상기 네트(910)를 장시간 설치해 놓을 경우의 자중(自 重)이나 경기 중 외력의 영향을 받아 탁구대가 비틀릴 경우, 결국 네트(910)의 장력이 느슨해져 중앙부위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고정끈(911)을 잡아당겨 다시 묶거나 상기 클램프(920)를 정 위치로 조절하는 등의 작업을 재차 실시해야만 네트(910)의 장력을 정상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고정끈(911)의 반복적 묶음 행위 또는 상기한 클램프(920)의 위치조절 행위의 영향으로, 상기 고정끈(911)이 쉽게 끊어질 수밖에 없어 결국엔 상기 네트(910)를 새것으로 교환해야만 하는 등의 추가 구매비용 지출의 부담이 뒤따랐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네트(910)와 클램프(920)의 분리구조로 인한 부속물 분실우려의 문제점과 아울러, 금속 봉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주대(922)에 의해 경기 도중 상처를 입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트의 양측을 두루마리 식으로 자동 권취시킬 수 있는 네트권취장치가 내재결합된 한 쌍의 지주형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각 측 부로부터 지속적인 상승 작용의 특성을 발휘하되 사용자 누름에 의해 강제 하강하는 죔쇠와 상기 하우징 아래에 마련되는 사이 공간 내로 탁구대의 모서리를 투입시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는, 양쪽 코트의 구분목적으로 탁구대 상에 배치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각 양측을 잡아당겨 권취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탁구대의 중앙부 양단 모서리에 각각 고정 장착시키게 된 한 쌍의 지주클램프;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클램프는, 상기 네트의 일부를 내재수용할 수 있게 된 조립식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네트의 일 측을 감아 권취하기 위한 권취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상기 탁구대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죔쇠의 조립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는, 평소 보관시에는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네트가 내재 수용되는 반면 탁구대에 설치시킬 때에는 한 쌍의 지주클램프를 각각 양방향으로 이격시키는 것만으로 네트의 노출 및 탁구대 코트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율적 보관성 및 사용성 증대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네트의 양측을 각각 두루마리식으로 말아넣기 위한 권취장치에 의해, 별도 장력조절이 필요없이도 네트를 탁구대 상에 간단히 배치 및 그 배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하여,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는 탁구대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일 측으로부터 지속적 상승력을 발휘하는 상기 죔쇠를 이용하여 탁구대의 바닥면을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을 통해 상기 지주클램프를 간편히 고정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상기한 하우징을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굴곡형 케이스 구조로 이룸으로써, 운동시의 신체 접촉으로 인한 상처 발생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수려한 디자인에 의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네트와 지주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죔쇠의 작동관계를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A)는, 양쪽 코트를 구분하는 목적으로 탁구대 상에 배치되는 네트(1)와, 탁구대를 가로지를 수 있는 장력(張力) 부여를 위하여 상기 네트(1)의 양측을 각각 자동 수용토록 한 권취작용 발휘상태로 탁구대의 중앙부 양단 모서리에 장착시키게 된 한 쌍의 지주클램프(2)(2')로 구성된다.
네트(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탁구대 코트를 양쪽으로 구분하기 위한 그물망(Net)인 것으로, 상대편 지역(코트)에 라켓으로 공을 쳐 넘길 수 있는 기준의 경계수단으로써 활용된다.
지주클램프(2)(2')는, 상기 네트(1)를 양측을 탁구대 상에 부양배치 및 유지고정을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1)의 일부를 내재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네트(1)의 일 측을 말아서 보관토록 한 권취장치(20)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이 상기한 탁구대 상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죔쇠(3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상술한 네트(1) 일부의 수용보관이 가능한 네트권취공간(10a)이 마련되고, 상기 네트권취공간(10a)의 상측 부에는 상기 권취장치(20)의 일부를 조립결합시킬 수 있는 수용체조립공간(10b)이 마련된다. 더하여, 상기 네트권취공간(10a)의 후측 부에는 상기 죔쇠(30)를 감싸도록 조립결합하기 위한 죔쇠조립공간(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죔쇠조립공간(10c) 측과 대향하는 상기 네트권취공간(10a)의 일 측에는, 상기 네트(1)의 진출,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방형 개방홈(10a-1)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의 상,하측 단에는, 상기 네트권취공간(10a)의 밀폐를 위한 상단판(11)과 하단판(12)이 형성된다. 아울러, 차후 후술될 상기 권취장치(20)의 회전축 조립을 위해, 상기 상,하단판(11)(12)의 중앙에는 제1축고정공(11a) 및 제2축고정공(12a)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판(12)의 후단부 상면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권취장치(20)의 가이드봉 하 말단을 끼움고정시키기 위한 돌기편(121)이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장치(20)는, 상기 네트(1)의 일 선단이 부착결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한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이 일 방향 회동할 수 있도록 그의 상측에 연계조립되는 권취스프링(22)과, 상기 권취스프링(22)을 매립수용한 채로 상기 하우징(10)의 수용체조립공간(10b)에 끼움조립되는 스프링수용체(2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21)의 최상단에는, 상기 권취스프링(22)의 일 측을 삽입 시키는 연계결합을 위한 절개홈(21a)이 횡단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스프링(22)의 양 선단에는, 상기한 회전축(21)의 절개홈(21a) 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된 제1고리부(231) 및 상기 스프링수용체(23)와 연계결합시키기 위한 제2고리부(23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수용체(23)에는, 상술한 권취스프링(22)을 매립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조립공간(23a)이 마련된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21)의 최상단을 끼움조립할 수 있게 된 통공(22b)이 상기 스프링조립공간(23a)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조립공간(23a) 내에 롤 형태로 말려있는 상기 권취스프링(22)의 제2고리부(232)를 끼움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끼움홈(22c)이 상기 스프링조립공간(23a)과 연이어지도록 가장자리 일 측에 절개형성되어 있다.
상기 죔쇠(30)는, 상기 하우징(10)이 탁구대 상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 발휘되는 상승작용에 의해 상술한 탁구대의 바닥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된 승강편(31)과, 상기 승강편(31)의 승강 이동안내를 위한 가이드봉(32)과, 상기 승강편(31)이 상기 가이드봉(32)을 따라 항시 상승토록 한 복원스프링(3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편(31)에는, 상기한 탁구대의 바닥면을 압박할 수 있게 된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311)가 하 말단으로부터 "ㄴ"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11)의 상단에는, 탁구대의 바닥면과 효과적으로 밀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한 탁구대의 표면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압착패드(312)가 일체로 부착 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편(31)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봉(32)을 감쌀 수 있으면서도 상기 권취스프링(22)의 상단을 가압하기 위한 축고리(313)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축고리(313)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311) 상면까지 이르는 스프링배치공간(31a)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봉(32)의 최말단에는, 상기 하단판(12) 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블럭형의 체결베이스(3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베이스(321)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하단판(12)의 돌기편(121)이 삽입 가능한 내향홈(321a)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14)은 상기 하우징 상,하단부의 마감을 위하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네트권취공간(10a) 내부에 상기 권취장치(20)가 수용조립되고, 상기 죔쇠(30)는 상기 죔쇠조립공간(10c) 내로 내재조립됨으로써, 단일 체의 상기 지주클램프(2)가 구조화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동일 구성조합을 통해 또 하나의 지주클램프(2')가 추가로 더 구비됨으로써 한 쌍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네트(1)의 양측 선단 각각이 상기 지주클램프(2)(2') 각각의 내부에 조립된 상기 권취장치(20)의 각 회전축(21) 둘레에 부착된 후, 상기 권취스 프링(22)에 의해 상기 회전축(21)이 항시적으로 일 방향 회동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따라, 상기한 네트(1)의 양측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권취 및 수용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탁구대의 코트를 양쪽으로 구분하도록 한 상기 네트(1)를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지주클램프(2)(2')를 상호 대향 방향으로 이격시켜 그들 사이로 상기 네트(1)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즉, 상기 회전축(21)이 상기한 권취스프링(22)의 작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로부터 상기 네트(1)를 풀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지주클램프(2)(2')들을 탁구대의 코트 중앙부 양단 각 모서리에 고정결합함을 통해 상기 네트(1)가 탁구대를 가로지르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주클램프(2)(2')들을 탁구대에 고정결합하기 위하여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승강편(31)의 최상단을 누름 하여 그가 아래로 강제 하강토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과 상기 압착패드(312) 사이로 마련된 이격공간 안에 탁구대의 모서리부위를 투입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한 승강편(31)의 하강시 상기 축고리(313)의 바닥면에 의해 상기 복원스프링(33)은 수축된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압착패드(312) 사이로 탁구대의 모서리부위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승강편(31)의 누름 가압을 중지시켜줌으로 인해 상기 복원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상기 축고리(313)가 밀려 올라가는 것과 동시에 상기 승강편(31)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승강편(31)의 지지플레이트(311) 상에 부착 거치된 상기 압착패드(312)가 탁구대의 바닥면을 압박하게 됨에 따라, 상기 지주클램프(2)(2')의 고정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취스프링(22)에 의한 상기 회전축(21)의 일 방향 회동작용의 지속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1)에 장력이 자동 부여됨으로써, 최적의 네트(1) 설치 및 그 설치상태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기존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네트와 지주클램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에 있어서, 죔쇠의 작동관계를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네트어셈블리, 1 : 네트, 2, 2' : 지주클램프
10 : 하우징, 10a : 네트권취공간, 10a-1: 개방홈
10b : 수용체조립공간, 10c : 죔쇠조립공간, 11 : 상단판
11a : 제1축고정공, 12 : 하단판, 12a : 제2축고정공
13 : 상부덮개, 14 : 하부덮개, 20 : 권취장치
21 : 회전축, 21a : 절개홈, 22 : 권취스프링
23 : 스프링수용체, 23a : 스프링조립공간, 23b : 통공
23c : 끼움홈, 30 : 죔쇠, 31 : 승강편
31a : 스프링배치공간, 32 : 가이드봉, 33 : 복원스프링
121 : 돌기편, 231 : 제1고리부, 232 : 제2고리부
311 : 지지플레이트, 312 : 압착패드, 313 : 축고리
321 : 체결베이스, 321a : 내향홈

Claims (6)

  1. 양쪽 코트의 구분목적으로 탁구대 상에 배치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각 양측을 잡아당겨 권취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탁구대의 중앙부 양단 모서리에 각각 고정 장착시키게 된 한 쌍의 지주클램프;로 구성되되,
    상기 지주클램프는, 상기 네트의 일부를 내재수용할 수 있게 된 조립식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네트의 일 측을 감아 권취하기 위한 권취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상기 탁구대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죔쇠의 조립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네트 일부의 수용보관이 가능한 네트권취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네트권취공간의 상측 부에는 상기 권취장치의 일부를 조립결합시킬 수 있는 수용체조립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네트권취공간의 후측 부에는 상기 죔쇠를 감싸도록 조립결합하기 위한 죔쇠조립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네트권취공간에 수직조립된 상태로, 상기 네트 일 측을 권취시킬 수 있는 회동이 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 방향 회동력 발휘를 위해,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연계조립되는 권취스프링과,
    상기 권취스프링을 매립수용한 채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체조립공간에 끼움조립되는 스프링수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죔쇠는, 상기 하우징 죔쇠조립공간 내에서 상승 및 하강 이동작용함으로써, 상기 탁구대의 바닥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된 승강편과,
    상기 승강편의 승강 이동안내를 위한 가이드봉과,
    상기 승강편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항시 상승력을 발휘하도록 한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편의 하 말단으로부터 "ㄴ"자형으로 연이어지는 원판형 지지플레이 트가 일체로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탁구대의 바닥면을 밀착 가압하는 압착패드가 더 부착 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KR20090005623U 2009-05-09 2009-05-09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KR200447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623U KR200447057Y1 (ko) 2009-05-09 2009-05-09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623U KR200447057Y1 (ko) 2009-05-09 2009-05-09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57Y1 true KR200447057Y1 (ko) 2009-12-21

Family

ID=4605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5623U KR200447057Y1 (ko) 2009-05-09 2009-05-09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5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39B1 (ko) * 2011-02-10 2011-09-05 안희욱 롤 스크린 형태의 네트 내장형 스포츠 지주대
GB2496439A (en) * 2011-11-14 2013-05-15 Eric Harvey Table-Tennis Net Apparatus
KR101394015B1 (ko) 2011-12-22 2014-05-12 박관근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KR101709011B1 (ko) * 2015-08-25 2017-02-21 주식회사 엑시옴 네트 고정장치
CN108744447A (zh) * 2018-06-29 2018-11-06 泰山医学院 一种体育运动用便携式组装球网
WO2020207674A1 (de) * 2019-04-09 2020-10-15 Uwe Neitzel Netzhalter und tischtennis-netzgarnitur mit netzhalter
RU2809152C2 (ru) * 2019-04-09 2023-12-07 Уве НАЙТЦЕЛЬ Держатель сетки и комплект сетки для игры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с держателем сетк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703Y1 (ko) * 1988-05-30 1991-07-01 휘 린 탁구 네트 자동권취수납 및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703Y1 (ko) * 1988-05-30 1991-07-01 휘 린 탁구 네트 자동권취수납 및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39B1 (ko) * 2011-02-10 2011-09-05 안희욱 롤 스크린 형태의 네트 내장형 스포츠 지주대
GB2496439A (en) * 2011-11-14 2013-05-15 Eric Harvey Table-Tennis Net Apparatus
KR101394015B1 (ko) 2011-12-22 2014-05-12 박관근 구기용 네트의 감김 장치 및 지지대
KR101709011B1 (ko) * 2015-08-25 2017-02-21 주식회사 엑시옴 네트 고정장치
CN108744447A (zh) * 2018-06-29 2018-11-06 泰山医学院 一种体育运动用便携式组装球网
WO2020207674A1 (de) * 2019-04-09 2020-10-15 Uwe Neitzel Netzhalter und tischtennis-netzgarnitur mit netzhalter
CN113677407A (zh) * 2019-04-09 2021-11-19 乌韦·奈策尔 网架和具有网架的乒乓球网套件
RU2809152C2 (ru) * 2019-04-09 2023-12-07 Уве НАЙТЦЕЛЬ Держатель сетки и комплект сетки для игры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с держателем сет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057Y1 (ko) 일체형 탁구 네트어셈블리
US7264245B2 (en) Portable ball retriever
US2705039A (en) Cover for golf-club woods
US6202840B1 (en) Golf club securing and protection device for a golf bag
US8986173B1 (en) Dumbbell with resistance bands
EP2455140A1 (en) Rebound net for training sports
US4203597A (en) Throatless tennis racquet
US11850502B2 (en) Fitness system, fitness assembly arrangement and functional fitness elements
US20120088594A1 (en) Single loop net with pegs
US4265448A (en) Racquet safety tether assembly
US7037219B2 (en) Soccer training device
US4927154A (en) Golf practice device
AU657187B2 (en) Ball racket
US6357547B1 (en) Pole hitching device
KR200453743Y1 (ko) 라켓 헤드 커버
US2806700A (en) Apparatus having a captive element
CN210751191U (zh) 可调节弹性足球训练装置及底座
KR102357503B1 (ko) 이동식 운동용 네트장치
CN206823088U (zh) 一种多功能便于携带的羽毛球拍
KR102369728B1 (ko)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11158381U (zh) 一种防跌落哑铃放置台架
KR20130014793A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배드민턴 라켓줄 고정구
KR20190000946U (ko) 개인 연습용 공 틀
US6506133B1 (en) Racket with apparatus for enhancing elasticity of network
CN209449788U (zh) 一种舞蹈教学专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