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28B1 -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28B1
KR102369728B1 KR1020200119198A KR20200119198A KR102369728B1 KR 102369728 B1 KR102369728 B1 KR 102369728B1 KR 1020200119198 A KR1020200119198 A KR 1020200119198A KR 20200119198 A KR20200119198 A KR 20200119198A KR 102369728 B1 KR102369728 B1 KR 10236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astening member
fastening
strings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세
Original Assignee
최백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백세 filed Critical 최백세
Priority to KR102020011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의 크기에 관계없이 혼자서도 반복하여 공을 차거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홀로 공차기 장치는 공(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끈(12)을 한데로 매듭하거나, 결합되어 이루어진 안착부(11), 끈(12)들이 상기 공(1)의 상면부에 밀착하도록 하는 체결부(14) 및 연결부(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간단한 장치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공의 크키와 무관하게 아무데서나 공을 통하여 홀로 축구연습을 하거나 운동을 할 수 있는 있으며, 누구든지 손쉽게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Alone ball kick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의 크기에 관계없이 혼자서도 반복하여 공을 차거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공이나 족구공 등의 발로 차는 원형의 공을 가지고 연습을 하거나 놀이로 활용할 때 공의 회수를 위해 최소한 2인 이상의 플레이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혼자서 축구공을 사용하여 공차기 연습이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기술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310302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200)을 넣을 수 있는 공수납주머니(210)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하도록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착구(230)와 상기 공수납주머니(210)와 장착구(23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20)을 두고 상기 연결수단(22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길이가변수단(221)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일정거리 안에서 공을 발 또는 무릎으로 차면서 운동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공수납주머니(210)와 연결수단(220)이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수납주머니(210)에 공을 넣은 후 공이 빠지지 않도록 조임수단(211)이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조임수단(211)은 상기 공수납주머니(210)와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하면 양 구성간의 균열이 발생하거나 이탈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국내 등록실용 제0310302호(2003.03.31) 공을 이용한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든지 장소에 불문하고 공차기 연습을 하거나 운동을 할 수 있는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는 공(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하단에 공을 안착시키는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에서 연장되어 공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끈(12)을 갖는 상부(15)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15)의 끝단은 개방되면서 상기 복수의 끈(12)을 연결한 연결부(13)를 갖고, 상기 상부(15)는 상기 공(1)의 상부면을 묶어주는 체결부(14)를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끈(12)은 다수의 압착부(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14)는 상기 상부(15)의 상기 복수의 끈(12)을 매듭시켜서 형성하거나, 상기 복수의 끈(12)을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끈(12)을 안내하는 투입부(31), 상기 투입부(31)를 통과한 상기 끈(12)을 압착시키는 고착부(33) 및 상기 투입부(31)와 상기 고착부(3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착부(33)에 고정된 상기 끈(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0)는 각각 노끈, 나일론, 그래핀 섬유 등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끝단에 손잡이(21) 및 길이조절기(22)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홀로 공차기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15)의 개방된 연결부(13)를 통하여 공(1)을 투입한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상기 연결부(13)에 마주하는 끝단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상기 공(1)을 안착하는 안착단계; 상기 공(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1)의 상부면을 결착하는 체결단계; 및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상기 연결부(13)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단계는 상기 상부(15)을 구성하는 복수의 끈(12)을 서로 매듭하여 느슨한 상태의 체결부(1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부(14)를 형성한 후, 상기 공(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공(1)과 체결부(14)를 더욱 밀착시키는 밀착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단계는 결합부재(30)를 통하여 복수의 끈(12)을 서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공(1)에 상기 결합부재(30)를 밀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간단한 장치로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든지 공의 크키와 무관하게 아무데서나 공을 통하여 홀로 축구연습을 하거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손쉽게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홀로 공차기 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을 제1 체결부재에 안착시키는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밀착시키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밀착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단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 공차기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홀로 공차기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끈(12)을 한데로 매듭하거나, 결합되어 이루어진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에서 연장된 복수의 끈(12)으로 구성된 상부(1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끈(12)은 공(1) 둘레를 여러 방향에서 감싸고, 상방으로 충분히 여유길이를 갖도록 하여 그 끝단은 상기 복수의 끈(12)을 연결한 연결부(13)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공(1)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끈(12)에는 중간 중간에 끈(12)들이 공에 더 밀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압착부(16)를 둘 수 있다. 상기의 압착부(16)는 후술하는 체결부(14)에 의해 끈(12)이 공에 밀착될 때 더욱 공(1)과 복수의 끈(12)이 조일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수의 끈(12)으로 구성된 상부(15)는 공의 상면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1 체결부재(10)에서 공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끈(12)을 결합하여 상기 끈(12)들이 상기 공(1)의 상면부에 밀착하도록 체결부(14)를 형성한다.
상기의 체결부(14)는 상기 상부(15)의 복수의 끈(12)의 중간부분 즉, 공의 상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끈을 매듭한 후 조여줌으로써 견고하게 공의 상단부를 잡아줄 수 있다.
이 때, 공의 크기는 농구공부터 야구공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므로 제1 체결부재(10)의 안착부(11)에 원하는 크기의 공을 안착시킨 후, 상부(15)를 구성하는 복수의 끈(12)을 서로 매듭하여 충분히 느슨한 상태의 체결부(14)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1)에 휴대용 펌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공(1)과 체결부(14)를 단단히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공이 제1 체결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체결부(14)를 매듭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결합부재(30)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확대 도시된 상기 결합부재(30)는 충분히 공기압이 유지된 공을 체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결합부재(30)는 각각의 끈(12)을 결속시키기 위하여 끈(12)의 수만큼 형성된 투입부(31)를 통하여 각각의 끈(12)을 통과시킨 후, 상기 투입부(31)를 통과한 끈(12)을 고착부(33)로 이동시켜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투입부(31)와 상기 고착부(33)사이에는 이탈방지부(32)를 형성하여 끈(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의 결합부재(30)는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진 탄성고무나 그래핀 소재 등으로 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0)를 각각 노끈, 나일론, PP(polypropylene) 등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스스로 손쉽게 홀로 공차기 장치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체결부재(10)에 공을 안착시키고, 체결부(14)로 공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끈(12)을 조여준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연결부(13)에 제2 체결부재(20)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끝단에는 운동하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21)를 두거나, 통상적인 길이조절기(22)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체결부재(10)와 제2 체결부재(2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15)의 개방된 연결부(13)를 통하여 공(1)을 투입한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상기 연결부(13)에 마주하는 끝단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상기 공(1)을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실행한다.
그후 도 5와 같이 상기 공(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1)의 상부면을 결착하는 체결단계를 거친 후, 도 8과 같이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연결부(13)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과 같이 상기 체결단계에서 공기압이 충분하지 못한 공은 상부(15)를 구성하는 복수의 끈(12)을 서로 매듭하여 느슨한 상태의 체결부(1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부(14)를 형성한 후, 도 7과 같이 상기 공(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공(1)과 체결부(14)를 더욱 밀착시키는 밀착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공기압이 충분히 확보된 공은 상기 체결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결합부재(30)를 통하여 복수의 끈(12)을 서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부재(30)를 이동하여 상기 공(1)에 상기 결합부재(30)를 밀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누구든지 현장에서 손쉽게 홀로 공차기 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체결부의 내구성이 확보됨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공이 이탈하거나 고장나는 경우 없이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 : 공 10 : 제1 체결부재
11 : 안착부 12 : 끈
13 : 연결부 14 : 체결부
15 : 상부 16 : 압착부
20 : 제2 체결부재 21 : 손잡이
22 : 길이조절기 30 : 결합부재
31 : 투입부 32 : 이탈방지부
33 : 고착부

Claims (14)

  1. 공(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10)는 하단에 공을 안착시키는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에서 연장되어 공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끈(12)을 갖는 상부(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15)는 상기 공(1)의 상부면을 묶어주는 체결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4)는 상기 복수의 끈(12)을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끈(12)을 안내하는 투입부(31), 상기 투입부(31)를 통과한 상기 끈(12)을 압착시키는 고착부(33) 및 상기 투입부(31)와 상기 고착부(3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착부(33)에 고정된 상기 끈(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15)의 끝단은 개방되면서 상기 복수의 끈(12)을 연결한 연결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끈(12)은 다수의 압착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10)와 상기 제2 체결부재(20)는 각각 노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끝단에 손잡이(2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20)의 끝단에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기(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 체결부재(10)의 상부(15)의 개방된 연결부(13)를 통하여 공(1)을 투입한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상기 연결부(13)에 마주하는 끝단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상기 공(1)을 안착하는 안착단계;
    상기 공(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끈(12)을 안내하는 투입부(31), 상기 투입부(31)를 통과한 상기 끈(12)을 압착시키는 고착부(33) 및 상기 투입부(31)와 상기 고착부(3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착부(33)에 고정된 상기 끈(1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로 구성된 결합부재(30)를 통하여 복수의 상기 끈(12)을 서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부재(30)를 이동하여 상기 공(1)에 상기 결합부재(30)를 밀착시켜 상기 공(1)의 상부면을 결착하는 체결단계; 및
    상기 제1 체결부재(10)의 상기 연결부(13)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체결부재(20)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 공차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00119198A 2020-09-16 2020-09-16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98A KR102369728B1 (ko) 2020-09-16 2020-09-16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98A KR102369728B1 (ko) 2020-09-16 2020-09-16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728B1 true KR102369728B1 (ko) 2022-03-02

Family

ID=8081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98A KR102369728B1 (ko) 2020-09-16 2020-09-16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302B1 (ko) 1999-12-23 2001-09-28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에서의 멀티캐스트레이블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레이블 교환경로 설정방법
JP3415836B2 (ja) * 1991-01-18 2003-06-09 ヴァーティジァ,スカット、オウ ゲームボール訓練装置/支持体
JP2005073962A (ja) * 2003-08-29 2005-03-24 Okutouretan:Kk 球形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ボール、洗濯物干し具、ボール入れ及びブイ用保護体
KR20150004051U (ko) * 2014-04-28 2015-11-05 신신상사 주식회사 밴드형 볼 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5836B2 (ja) * 1991-01-18 2003-06-09 ヴァーティジァ,スカット、オウ ゲームボール訓練装置/支持体
KR100310302B1 (ko) 1999-12-23 2001-09-28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에서의 멀티캐스트레이블을 이용한 멀티캐스트 레이블 교환경로 설정방법
JP2005073962A (ja) * 2003-08-29 2005-03-24 Okutouretan:Kk 球形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ボール、洗濯物干し具、ボール入れ及びブイ用保護体
KR20150004051U (ko) * 2014-04-28 2015-11-05 신신상사 주식회사 밴드형 볼 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484B1 (en) Apparatus for soccer training
JP3415836B2 (ja) ゲームボール訓練装置/支持体
US7749110B2 (en) Racquet sport training system
US7621829B2 (en) Goalie training device
US20090075763A1 (en) Ball training apparatus
US20060063616A1 (en) Ball retrieval device
US20170080317A1 (en) Catch and throw ball training device
US20090197711A1 (en) Lacrosse ball and stick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76041A (en) Elastic returnable practice ball
US4174107A (en) Tethered ball tennis practice device
US20100077532A1 (en) Sports training glove
US20090298619A1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35710B1 (ko) 테니스 연습기구
US20070142136A1 (en) Coil ball
KR102369728B1 (ko) 홀로 공차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342987B2 (en) Football holder for place kicking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football holder for place kicking
US20160310815A1 (en) Elastic tethered practice balls
US50319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l catch training
US20110152012A1 (en) Device for practicing throwing a ball
US20030134698A1 (en) Bunt aid
US20030130074A1 (en) Padded athletic training device
US8968120B2 (en) Baseball and softball fielding aid
CA2895421A1 (en) Catch and throw ball training device
EP2092965A2 (en) Ball training apparatus
US20120108366A1 (e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rowing of an Object such as a Base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