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136A -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136A
KR20110120136A KR1020100039676A KR20100039676A KR20110120136A KR 20110120136 A KR20110120136 A KR 20110120136A KR 1020100039676 A KR1020100039676 A KR 1020100039676A KR 20100039676 A KR20100039676 A KR 20100039676A KR 20110120136 A KR20110120136 A KR 2011012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boundary line
amount
image
furna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038B1 (ko
Inventor
이성희
배진수
반성준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3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0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로에 담긴 용강량과 잔탄량 및 출강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로부터 용강 높이를 구하고, 상기 용강 높이와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기반하여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 체적으로부터 용강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Measurement system of molten metal volume using furnace camera system}
본 발명은 전기로에 담긴 용강량을 측정하기 위한 용강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강을 담고 있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로에 담긴 용강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로 조업은 전극봉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열로 고철을 용해하는 것으로, 직류 전기로의 경우, 하부 전극을 보호하고, 노체 보호 및 고철 용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출강 시에 잔탕을 남기고 있다. 또한 잔류하는 용강은 고철의 장입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내화물의 손상을 막아 전기로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이유들로 일정한 양 이상의 잔탕량은 유지되어야 하기에 잔탕량을 추정하는 방법들이 아래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첫째, 장입되는 고철의 양에 실수율을 곱해 총 용강량을 계산하고 출강 후 래들에 담긴 용강의 양을 로드셀로 측정하여 출강량을 산출해 빼는 과정을 통해 잔탕량을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수율의 편차가 고철의 질과 조업상황에 따라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조업수가 늘어갈수록 잔탕량 예측이 부정확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국내출원번호 제10-2000-0082015호의 '직류 전기로의 잔탕량 추정 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의 종점에서 3번의 측온을 실시하여 총 용강량을 계산한 후에 출강량을 빼는 방법이 있다. 이는 여러 번의 측온을 실시해야 하는 것과 마지막 측온 전에 상당양의 강철편을 인위적으로 용강에 투입해야만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강을 담고 있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로에 담긴 용강량을 측정함으로써, 조업수에 관련없을 뿐 만 아니라 추가적인 대기 시간과 투입물 없이도 신뢰성있는 용강량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강량뿐 만 아니라 잔탄량 및 출강량까지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로부터 용강 높이를 구하고, 상기 용강 높이와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기반하여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 체적으로부터 용강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강과 상기 노체의 밝기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에지 검출 알고리즘 또는 선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경계선 검출 후보군들을 선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후보군들중에서 가장 큰 화소수를 가지는 후보군을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는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과 경동 직후에 추출된 경계선과의 교차점을 찾고, 이를 포함하는 경계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선 영역에 포함된 상기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에서 노체 바닥과 노체 벽 사이의 경계선까지의 수직 거리를 구하고 평균하여, 상기 용강 높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 높이와 상기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출강 이전의 용강량을 총 용강량으로 획득하는 단계; 출강 시의 용강량을 잔탕량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용강량에서 상기 잔탕량을 감하여 출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면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는 출력하는 영상전송부; 및 상기 영상전송부를 거쳐 전송되는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분석하여 용강량을 파악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및 장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로에 담긴 용강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업수에 관련없을 뿐 만 아니라 추가적인 대기 시간과 투입물 없이도 신뢰성있는 용강량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용강량뿐 만 아니라 잔탄량 및 출강량까지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업자에게 통보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탕량 및 출강량의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그 결과, 전극과 내화물이 보호되어 전기로의 수명이 연장되고 아크 조업이 안정되어 조업시간 단축과 생산성 향상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및 도5는 전기로의 출강 시에 경동이 발생하여 변화되는 용강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용강량 측정 장치(20)는 노체(11)의 상부측에 투입되는 카메라(21), 영상전송부(22), 영상분석부(23), 및 모니터링부(24)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는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카메라(21)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전기로 조업이 출강단계로 들어가기 전에는 전기로의 바깥쪽에 대기되다가 출강단계로 들어서면 전기로의 내부로 투입되어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아크와 슬래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되도록 한다.
참고로, 도2의 (a) 내지 (f)는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예들로, 이들을 살펴보면, 용강량 및 경동량에 따라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은 실시간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면에는 아크와 슬래그 등으로 인한 많은 노이즈가 동반되며 불균일성이 발생하므로, 다음과 같은 영상 처리 과정이 동반되어야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계산이 가능해진다.
영상전송부(22)는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분석부(23)가 분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즉,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면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여, 영상분석부(23)에 실시간 전송한다.
영상분석부(23)는 영상전송부(22)를 거쳐 전송된 영상에서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그로부터 전기로의 내부에 담긴 용강량을 계산한다. 또한, 영상분석부(23)는 출강 이전에 용강량을 총 용강량으로 획득하고 출강 시의 용강량을 잔탕량을 획득한 후, 총 용강량에서 잔탕량을 감함으로써 출강량도 산출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24)는 화면, 스피커 등과 같은 다양한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출력 장치를 통해 영상분석부(23)의 분석 결과(예를 들어, 용강량, 출강량 등)를 이미지, 문자, 또는 소리 등의 형태로 조업자에게 알려준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로, 전기로의 조업이 출강 단계가 되면, 노 바깥쪽에 대기하던 카메라(21)가 전기로의 내부로 투입되어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한다. 이에 카메라(21)는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한다.
단계 S2는 영상 변환 단계로, 단계 S1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 추출이 용이한 영상으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 담긴 용강(10)은 1,600℃가 넘는 고온체로 강한 빛을 내는 광원이고 전기로의 노체(11)는 조업 중 튄 슬래그가 붙어있는 반사체이기 때문에 용강(10)과 노체(11)간 밝기 차이는 매우 크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 내부 영상에 대해 H.S.I(Hue. Saturation. Intensity) 변환을 실행한 후, 노이즈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색상(Hue)과 채도(Saturation) 성분은 제거하고 명도(Intensity) 성분만이 남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의 방법 외에도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R.G.B(Red. Green. Blue) 영상으로 분리하거나 C.M.Y(Cyan, Magenta, Yellow) 영상으로 변환한 후,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는 방법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3은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우선, 에지 검출 알고리즘 또는 선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계선 검출 후보군들을 선출한다. 그리고 선출된 경계선 검출 후보군들 각각에 대한 화소수를 구하고, 경계선 검출 후보군들 중에서 가장 큰 화소수를 가지는 후보군을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으로 최종 선택한다.
이때, 에지 검출 알고리즘의 예로는 소벨 에지 검출(sobel edge detection), 프르윗 에지 검출(prewitt edge detection), 캐니 에지 검출(canny edge detection), 로버츠 에지 검출(Roberts cross edge detection), 라플라시안 에지 검출(laplacian edge detection) 등이 있으며, 선 검출 알고리즘의 예로는 허프 변환(hough) 등이 있다. 이들 알고리즘을 이용한 에지 또는 선 검출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따르도록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4은 용강(10)의 높이 및 체적을 계산하는 단계로, 우선 단계 S3를 통해 획득된 용강(10)과 노체(11) 사이의 경계선에서 용강 높이 계산에 사용할 경계선 영역 R을 추출한다.
출강 이전에 총 용강 높이를 계산할 때는 경계선의 어느 영역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로의 출강 시에는 경동이 발생하여 담긴 용강의 형상이 변화되므로, 경동에 무관하게 용강 높이로 여기고 측정할 수 있는 경계선 영역을 선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즉, 총 용강 높이 계산에 쓰이는 경계선)과 경동 직후에 추출된 경계선과의 교차점을 찾아, 전기로 바닥에 수직한 직선을 구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ε의 여유범위를 두어 경계선 영역을 설정한다.
출강 시에 용강량 높이를 구하는 데 쓰일 경계선 영역은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R의 범위에 속한 것으로, xi∈R을 만족하도록 한다. 이때, xi 는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에 존재하는 각 화소의 위치 정보이며, Hbefore와 Hafter는 각각 출강 전, 후의 용강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경계선 영역 R에 포함된 경계선 부분에서 높이를 구하게 되면, 경동이 없는 경우의 용탕 높이를 구하는 것과 같기에 높이 측정을 위한 대표값으로 적절하며 용강량 계산에도 용이하다. 이에 경계선 영역 R에 포함된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에서 노체 바닥과 노체 벽 사이의 경계선까지의 수직 거리(hi)를 이하의 수학식1에 따라 계산한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는 경계선 영역 R에 포함된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 상에 위치된 화소의 위치 정보이고,
Figure pat00003
는 노체 바닥과 노체 벽 사이의 경계선 중에
Figure pat00004
와 수직선 상에 있는 화소의 위치 정보이고,
Figure pat00005
은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이고, L은 경계선 영역 R에 속하는 화소수이다.
그리고 나서, 영상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이고 실시간 계산시에 변동성을 작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학식2와 같이 상기의 높이 결과를 평균하여 최종 용강 높이(H[m])를 산출한다.
[수학식2]
Figure pat00006
이때,
Figure pat00007
는 영상에서의 화소간 거리를 실제 거리정보로 변환시켜주는 함수로 카메라의 위치와 촬영 각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2에 따라 용강 높이가 결정되면,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수학식3을 통해 용강 체적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3]
Figure pat00008
상기 수학식3은
Figure pat00009
는 전기로의 최소 용강 체적, πabH은 타원형 기둥의 체적 합, a는 바닥과 수평한 타원 단면의 단축의 반값(도1의 2a 참고), b는 바닥과 수평한 타원 단면의 장축의 반값을 의미한다(도4의 2b 참고).
일반적으로 전기로의 바닥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평면이 아니고 또한 잔탕을 남기는 경우는 바닥이 드러나게 출강을 하지 않으므로, 노체 바닥과 노체 벽 사이의 경계면 아래에 존재하는 체적을 전기로의 구조에 따라 미리 계산하여 정의한 후에 최소 용강 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5은 단계 S4를 통해 획득된 용강 체적을 이용하여 용강량을 계산하는 단계로, 단계 S5에서는 이하의 수학식4에서와 같이 용강 체적을 이용하여 용강량을 계산한다.
[수학식4]
Figure pat00010
이때, ρ는 용강의 밀도로, 생산하는 강종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진다.
그리고 출강 이전에 측정한 총 용강 높이를 사용하여 구한 체적으로부터 용강량을 구하여 총 용강량을 측정하거나, 출강 시에 측정한 용강 높이를 사용하여 구한 체적으로부터 용강량을 구하여 잔탕량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총 용강량에서 잔탕량을 빼면 출강량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출강 이전에 총 용강량과 출강 시의 잔탕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총 용강량에서 잔탕량을 감하여 출강량까지도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용강 11: 노체
20: 용강량 측정 장치 21: 카메라
22: 영상전송부 23: 영상분석부
24: 모니터링부

Claims (6)

  1.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로부터 용강 높이를 구하고, 상기 용강 높이와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기반하여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 체적으로부터 용강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강과 상기 노체의 밝기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을 추출하는 단계는
    에지 검출 알고리즘 또는 선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경계선 검출 후보군들을 선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후보군들중에서 가장 큰 화소수를 가지는 후보군을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는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과 경동 직후에 추출된 경계선과의 교차점을 찾고, 이를 포함하는 경계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선 영역에 포함된 상기 경동 이전에 추출된 경계선에서 노체 바닥과 노체 벽 사이의 경계선까지의 수직 거리를 구하고 평균하여, 상기 용강 높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용강 높이와 상기 전기로의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용강 체적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출강 이전의 용강량을 총 용강량으로 획득하는 단계;
    출강 시의 용강량을 잔탕량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용강량에서 상기 잔탕량을 감하여 출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방법.
  6. 전기로의 내부를 촬영하여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이 표시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면에 존재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상대적으로 경계선이 분명한 영상만을 선택하는 출력하는 영상전송부; 및
    상기 영상전송부를 거쳐 전송되는 영상에서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용강과 노체 사이의 경계선을 분석하여 용강량을 파악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KR1020100039676A 2010-04-28 2010-04-28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KR10114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676A KR101143038B1 (ko) 2010-04-28 2010-04-28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676A KR101143038B1 (ko) 2010-04-28 2010-04-28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136A true KR20110120136A (ko) 2011-11-03
KR101143038B1 KR101143038B1 (ko) 2012-05-08

Family

ID=4539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676A KR101143038B1 (ko) 2010-04-28 2010-04-28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0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98B1 (ko) *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 코드를 이용한 자동 수위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536242B1 (ko) * 2014-09-15 2015-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기로의 용강 레벨 측정 장치
KR20160057530A (ko) 2014-11-13 2016-05-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수냉형 인젝터를 이용한 슬래그의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126626A (ko) * 2016-05-10 2017-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탱크의 볼륨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2225816B1 (ko) * 2019-11-26 2021-03-10 동국제강주식회사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03B1 (ko) 2017-09-29 2019-04-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래그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62990B1 (ko) 2020-11-06 2022-02-15 동국제강주식회사 전기로 내 용강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내 용강량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931A (ja) * 1993-12-20 1995-07-14 Aichi Steel Works Ltd ノロ高さ測定装置
KR20020052617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직류 전기로의 잔탕량 추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98B1 (ko) * 2012-08-17 2014-03-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큐알 코드를 이용한 자동 수위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536242B1 (ko) * 2014-09-15 2015-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기로의 용강 레벨 측정 장치
KR20160057530A (ko) 2014-11-13 2016-05-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수냉형 인젝터를 이용한 슬래그의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126626A (ko) * 2016-05-10 2017-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탱크의 볼륨 계산 장치 및 방법
KR102225816B1 (ko) * 2019-11-26 2021-03-10 동국제강주식회사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038B1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038B1 (ko)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US2015027899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generating color image data
JP6414102B2 (ja) 精錬炉排出流の判定装置、精錬炉排出流の判定方法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6795045B2 (ja) 溶鋼流中のスラグ検出のためのヒストグラム作成方法
EP1637868A1 (en) Impurity measuring method and device
JP201120381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複眼デジタルカメラ
JP4714607B2 (ja) 高炉出銑流測定システム、高炉出銑流測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60489A (zh) 一种转炉出钢中的台车自动走行方法和系统
KR102225816B1 (ko)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JP6164173B2 (ja) 転炉排出流判定装置、転炉排出流判定方法、溶銑予備処理方法、及び転炉予備処理の操業方法
CN111485055A (zh) 转炉出钢过程中的合金溜槽自动对中方法和系统
CN102088539A (zh) 一种预拍照画质评价方法和系统
CN103916590A (zh) 摄像装置、摄像系统以及摄像方法
EP2252046B1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microscope system
JP5786803B2 (ja) 高炉出銑口径測定方法、高炉出銑口径測定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95141A (ja) 画像速度算出装置及び画像速度算出方法
KR101367673B1 (ko)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JP6795046B2 (ja) 溶鋼流中のスラグ検出のためのヒストグラム作成方法
CN114623935A (zh) 基于红外热成像仪成像数据的钢包准投准停模型应用方法
KR20240019361A (ko) 용접 현상의 거동의 계측 방법, 계측 장치, 용접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70035262A (ko) 블레이드 균열 정보 저장방법 및 블레이드 균열 예측방법
JP2007134986A (ja) ショット境界検出装置
KR100403472B1 (ko) 스테인레스 브이오디공정에서의 나탕 면적 측정장치 및 방법
JPH09182953A (ja) スラグ検知方法
KR102102472B1 (ko) 용선 생산 설비용 고로의 용융물 배출 출선구의 단면적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