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73B1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7673B1 KR101367673B1 KR1020120072012A KR20120072012A KR101367673B1 KR 101367673 B1 KR101367673 B1 KR 101367673B1 KR 1020120072012 A KR1020120072012 A KR 1020120072012A KR 20120072012 A KR20120072012 A KR 20120072012A KR 101367673 B1 KR101367673 B1 KR 101367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motion estimation
- motion
- block
- se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판단 단계(S300)에 의해서 판단된 영역에 대해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시스템에 대해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0 : 제 1 카메라 100 : 제 1 영상 산출부
20 : 제 2 카메라 200 : 제 2 영상 산출부
300 : 영역 분할부
400 : 객체 추출부
500 : 영역 판단부
600 : 영역 설정부
700 : 움직임 벡터 설정부
Claims (7)
- 제 1 카메라를 통해서,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S100);
상기 영상 획득 단계(S100)에서 획득한 상기 깊이 영상을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들을 배경영역, 객체내부영역 및 경계영역으로 그룹화 및 라벨링하는 영상 가공 단계(S200);
상기 객체에 대한 움직임 추정 블록과, 상기 객체에 대한 움직임 탐색 블록을 추출하고, 상기 움직임 추정 블록과, 상기 움직임 탐색 블록의 배경영역, 객체내부영역 및 경계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 단계(S300);
상기 영역 판단 단계(S30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움직임 추정 블록과, 상기 움직임 탐색 블록들이 객체내부영역 또는 경계영역일 경우, 움직임 추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S400); 및
상기 영역 설정 단계(S400)에서 설정된 상기 움직임 추정 블록과, 상기 움직임 탐색 블록의 움직임 추정 영역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설정하는 움직임 벡터 설정 단계(S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가공 단계(S200)는
분할한 블록들을 상기 영상 획득 단계(S100)에서 획득한 상기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화 및 라벨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판단 단계(S300)는
제 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컬러 영상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컬러 영상과 상기 영상 가공 단계(S200)에서 라벨링한 영상을 매칭하여 상기 움직임 추정 블록과 움직임 탐색 블록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 제 1 카메라(10)를 통해서,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제 1 영상 산출부(100);
제 2 카메라(20)를 통해서, 객체의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컬러 영상을 획득하는 제 2 영상 산출부(200);
상기 제 1 영상 산출부(100)에서 획득한 상기 깊이 영상을 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300);
상기 영역 분할부(300)에서 분할된 블록들을 상기 제 1 영상 산출부(100)에서 획득한 상기 거리 정보를 토대로, 배경영역, 객체내부영역 및 경계영역으로 그룹화 및 라벨링하는 객체 추출부(400);
상기 객체에 대한 움직임 추정 블록과, 상기 객체에 대한 움직임 탐색 블록의 배경영역, 객체내부영역 및 경계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500);
상기 영역 판단부(5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움직임 추청 블록과, 상기 움직임 탐색 블록들이 객체내부영역 또는 경계영역인 경우, 움직임 추정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600); 및
상기 영역 설정부(600)에서 설정된 움직임 추정 영역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설정하는 움직임 벡터 설정부(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판단부(500)는
상기 제 2 영상 산출부(200)에서 획득한 상기 컬러 영상과, 상기 객체 추출부(400)에서 라벨링한 영상을 매칭하여 상기 움직임 추정 블록과 움직임 탐색 블록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2012A KR101367673B1 (ko) | 2012-07-03 | 2012-07-03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2012A KR101367673B1 (ko) | 2012-07-03 | 2012-07-03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092A KR20140007092A (ko) | 2014-01-17 |
KR101367673B1 true KR101367673B1 (ko) | 2014-03-03 |
Family
ID=501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20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7673B1 (ko) | 2012-07-03 | 2012-07-03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76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083B1 (ko) | 2015-06-02 | 2022-02-0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움직이는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
KR101709751B1 (ko) * | 2015-11-24 | 2017-02-24 |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
KR102507248B1 (ko) | 2015-12-02 | 2023-03-06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에고모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
CN113537097B (zh) * | 2021-07-21 | 2023-08-22 |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 针对图像的信息提取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031A (ko) * | 1996-10-09 | 2000-07-25 | 더 트러스티스 오브 컬럼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 3차원 깊이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 세그먼테이션과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0327952B1 (ko) | 1998-12-15 | 2002-05-09 | 안재기 | 영역분할기반동영상압축부호화방법및장치 |
KR100544677B1 (ko) | 2003-12-26 | 2006-0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시점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객체 추적 장치및 그 방법 |
-
2012
- 2012-07-03 KR KR1020120072012A patent/KR10136767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031A (ko) * | 1996-10-09 | 2000-07-25 | 더 트러스티스 오브 컬럼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 3차원 깊이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와 비디오 세그먼테이션과 압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0327952B1 (ko) | 1998-12-15 | 2002-05-09 | 안재기 | 영역분할기반동영상압축부호화방법및장치 |
KR100544677B1 (ko) | 2003-12-26 | 2006-01-2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시점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객체 추적 장치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092A (ko) | 2014-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6139B1 (ko) |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움직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 |
KR101310213B1 (ko) | 깊이 영상의 품질 개선 방법 및 장치 | |
US10867166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CN110036258B (zh) |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 |
TWI670684B (zh) | 運動目標即時檢測與跟蹤方法及目標檢測裝置 | |
US965285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identifies image are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4373840B2 (ja) | 動物体追跡方法、動物体追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ならびに、動物体追跡装置 | |
US20110243383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1113253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TWI425445B (zh) | 用於判斷一移動平台之自我運動量的方法以及偵測系統 | |
CN104685513A (zh) | 根据使用阵列源捕捉的低分辨率图像的基于特征的高分辨率运动估计 | |
KR20190060774A (ko) | 블록의 모션 벡터에 기초한 이미지의 블록의 분산 결정 | |
KR101367673B1 (ko)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색상 영상 시퀀스에 대한 움직임 추정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설정 시스템 | |
KR101624801B1 (ko) | 전경 물체 추출을 위한 매팅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
CN110598795A (zh) | 图像差异检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 |
CN102088539A (zh) | 一种预拍照画质评价方法和系统 | |
JP5173549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 |
KR20130064556A (ko) | 다중 검출 방식을 이용한 얼굴 검출 장치 및 방법 | |
CN110188640B (zh) | 人脸识别方法、装置、服务器和计算机可读介质 | |
TWI503790B (zh) | 多重目標影像辨識與追蹤方法 | |
KR20150033047A (ko) |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371826B1 (ko) | 신축 움직임 추정장치 및 그 추정방법 | |
KR101521269B1 (ko) | 영상에서 눈 또는 비를 검출하는 방법 | |
JP5754931B2 (ja) |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328564B1 (ko) | 깊이 카메라 정보를 이용한 양자화 계단 크기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