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16B1 -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16B1
KR102225816B1 KR1020190152995A KR20190152995A KR102225816B1 KR 102225816 B1 KR102225816 B1 KR 102225816B1 KR 1020190152995 A KR1020190152995 A KR 1020190152995A KR 20190152995 A KR20190152995 A KR 20190152995A KR 102225816 B1 KR102225816 B1 KR 10222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area
electric furnace
dissolution rate
thermal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816B9 (ko
Inventor
김영환
엄형식
표영석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16B1/ko
Publication of KR10222581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1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2005/5288Measuring or samp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로 내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촬영하면서 제강 조업 시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함으로서 스크랩 용해율에 따른 전력 투입 패턴 변경을 통한 전력원단위 저감 및 조업 시간을 단축하여 전기로 제강 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회수율을 향상시키며, WCP 수냉자켓 누수 사전 조치가 가능하고, WCP 수냉자켓 누수 발생 시 신속한 대처로 조업 사고 발생 시 조업 손실을 최소화하며 열간에서 전기로 내 관찰을 통해 WCP 수냉자켓 누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로 출강 시에 전기로 내에 남아있는 잔탕을 촬영하면서 잔탕량을 계산함으로서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잔탕량을 조절하여 제강 조업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Electric arc furnace operation apparatus for measuring melting rate of scrap and amount of residual molten iron, and electric arc furnace operation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스크랩을 용해 시의 스크랩의 용해 상태와 출강 시의 잔탕을 열화상 카메라로 확인하고 스크랩의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여 제강 조업을 제어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電氣爐, electric furnace)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 쇠를 녹이는 가열로를 뜻하며, 이 녹이는 과정을 제강(製鋼)이라 하고, 제강의 공정에 있어서 쇠가 용융에 의해 녹은 것을 용강이라 한다.
전기로는 내부에 철스크랩을 장입하고, 전열(電熱)을 이용하여 피용융재인 철 스크랩을 가열하는 노로, 전극부로부터 철 스크랩에 아크 형태로 전류를 흘려보내 철 스크랩을 가열시킨다.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로내 스크랩 용해상황은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블랙박스와 같은 상황이며, 스크랩의 용해 상태는 보조적인 지표에 의해 판단하고 제어해 왔다.
전기로 내 스크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보조적인 지표는 측벽(Side wall)의 냉각수 판넬 온도 변화, 2차 전압과 전류의 변화, 전극 위치 변화, 육안관찰 등이 있다.
특히, 육안관찰의 경우에는 스크랩의 장입을 위해 전기로 루프 오픈 시에 발생되는 용강의 높은 열과 가스(Gas), 분진(Dust) 등 관찰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물질이 발생되어 열간에서 관찰자가 육안으로는 로내 상태(스크랩 용해율)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로 내 스크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보조적인 지표는 실시간 로내의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방법이 아니므로 스크랩의 용해 상태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스크랩의 용해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2차 스크랩 장입, 버너의 작동, 승열기를 위한 산소 취입과 분탄 투입 등의 조업 제어는 기존에 경험적이거나 보조적인 지표에 의해 판단 후 패턴으로 설정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제강조업 당 장입되는 스크랩에 따른 용해성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므로 제강 조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육안관찰 등의 확인 방법에 의해서는 전기로 제강 조업 중에 스크랩의 용해율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므로 전기로 제강 조업 중의 스크랩 용해율과는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패턴으로 전력이 투입되어 전력투입 효율성도 감소한다.
또한, 전기로 제강 조업 중에 WCP 수냉자켓 누수에 따른 스크랩 미용해가 발생된 것을 확인하기 어렵고, 전기로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WCP 수냉자켓 누수 발생 시 신속한 대처로 조업 사고 발생 시에 조업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랩의 용해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2차 스크랩 장입, 버너의 작동, 승열기를 위한 산소 취입과 분탄 투입 등의 제강 조업 제어는 기존에 경험적이거나 보조적인 지표에 의해 판단한 후에 패턴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제강 조업 당 장입되는 스크랩에 따른 용해성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므로 제강 조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용해 초반에는 버너에 의한 스크랩 예열이 필요하며, 스크랩이 적열되어 용해 직전에는 랜스 모드로 변경하여 용해성 향상을 통해 용융시키고 탈탄에 의한 반응열에 의해 용강을 승온시키는 작업을 하게 되므로, 전기로 제강 조업의 일련의 과정에서 용강의 용해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경우 버너에서 랜스 모드로 전환해야 할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여 불필요한 버너의 사용을 막을 수 있으며 에너지 투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용강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나, 현재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용강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해 에너지 투입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50703호 '전기로의 용강 온도 측정장치'(2010년 10월 22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로 제강 조업 중 열간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로 내 관찰을 통한 스크랩의 용해율을 파악하여 스크랩 용해율에 따른 전력 투입 패턴 변경을 통한 전력원단위 저감 및 조업 시간 단축과 함께 스크랩 미용해 발생 여부 상시 관찰에 의한 WCP 수냉자켓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화상 카메라로 출강 시에 전기로 내에 남아있는 잔탕을 촬영하면서 잔탕량을 계산함으로서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잔탕량을 조절하여 제강 조업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제강 조업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용해율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율 판단부는 상기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상기 전체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을 구분하는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 상기 탕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 상기 스크랩 영역에서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개별 스크랩을 구분하는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 및 상기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하는 용해율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율 연산부는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율 연산부는
Figure 112021019552784-pat00001
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이 80%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기로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기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상기 전체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을 구분하는 1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상기 탕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2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상기 스크랩 영역에서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개별 스크랩을 구분하는 3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및 상기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하는 용해율 연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율 연산단계는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해율 연산단계는
Figure 112019121562977-pat00003
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이 80%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기로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력 패턴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제강 조업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로의 잔탕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전기로의 상단에서부터 탕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탕면거리 계산부; 및 상기 탕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탕량을 계산하는 잔탕량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잔탕량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전기로에 대한 출강 후의 잔탕량이 14톤 내지 18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전기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탕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로의 잔탕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잔탕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전기로의 상단에서부터 탕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단계; 및 상기 탕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잔탕량을 계산하는 잔탕량 계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잔탕량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전기로에 대한 출강 후의 잔탕량이 14톤 내지 18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잔탕량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제1열화상 카메라와 마주보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 제강 조업에서 스크랩을 용해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열화상 카메라로 확인하여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스크랩 용해율에 따른 전력 투입 패턴 변경을 통한 전력원단위 저감 및 조업 시간 단축을 단축함으로써 전기로 제강 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하게 판단된 스크랩 용해율에 따른 버너와 랜스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스크랩을 균일 용해시키고 보조에너지의 투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용해 스크랩 발생 시 다음 제강 조업에서 미용해 스크랩 제거를 위한 과열 조업을 방지하여 열간보수재의 수명을 향상시키며, 제강 조업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강 조업에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로 출강 시에 전기로 내에 남아있는 잔탕을 촬영하면서 잔탕량을 계산함으로서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잔탕량을 조절하여 제강 조업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로내 스크랩 용해율을 측정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전기로 내부의 영상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영상 처리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계산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표시한 영상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단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전기로 내 잔탕의 영상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은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전기로 내 잔탕의 영상에서 잔탕량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계산된 잔탕량을 표시한 영상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12는 잔탕량과 전기로에 투입되는 전력원단위 또는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단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로내 스크랩 용해율을 측정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기로(100) 내에서 용해되는 스크랩과 용강 또는 출강 시의 잔탕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200)를 포함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는 전기로(100)의 로벽 또는 전기로(10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기로(100) 내 스크랩의 용해 상태 또는 용강의 출강 시 전기로(100)에 남아있는 용강인 잔탕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는 온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현하여 우리 눈으로 그 온도를 볼 수 있게 한 카메라로 공지의 열화상 카메라(200)로, 상기 열화상 카메라(200)는 도 3과 같은 전기로(100) 내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는 전기로(100)의 로벽 또는 전기로(10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되고, 이외에도 전기로(100) 내에서 스크랩이 용해되면서 형성되는 용강을 촬영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단일의 열화상 카메라만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기로(100) 내부의 스크랩의 용해 상태 또는 출강 시의 잔탕을 충분히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열화상 카메라(200)는 전기로(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열화상 카메라(201)와, 상기 제1열화상 카메라(201)와 마주보는 상기 전기로(10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열화상 카메라(202)로 구성되어 특정한 열화상 카메라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보완하여 전기로 내 용강과, 용강의 출강 시 전기로(100)에 남아있는 용강인 잔탕을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열화상 카메라(201)와 제2열화상 카메라(202) 각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정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200)는 제강 조업 제어부(300)에 연결되고,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열화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스크랩의 용해 상태(스크랩의 용해율)과 잔탕량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으로 전기로(100)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제강 조업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강 조업 중에 전기로(100) 내 스크랩의 용해 상태로서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로 제강 조업 중 전기로(100) 내 스크랩과 용강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에는 스크랩과 탕면(용강의 표면)뿐만 아니라 제강 조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열화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용해율 판단부(3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율 판단부(310)는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311),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313),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315) 및 용해율 연산부(317)로 구성된다.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311)는 열화상 카메라(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으로부터 이진화된 영상을 획득한다.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311)는 상기 영상에 대해 이진화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전기로(100) 로벽 등을 제외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 스크랩 및 탕면만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을 선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및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도 4의 (b)에서 검은색으로 표현된 부분)과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도 4의 (b)에서 흰색으로 표현된 부분)을 구분한다.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313)는 분진, 스크랩 및 탕면만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서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311)에 의해 구분된 탕면 영역을 제외한 영역(스크랩 및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전체 영역 중 탕면과 분진 영역을 제외한 스크랩 영역을 구분한다. 이 때,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은 명암대비 극대화 기법을 적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하여 형상 간의 경계를 구분하는 공지의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315)는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311)에 의해 구분된 스크랩 영역에서 개별 스크랩을 구분함으로써, 분진, 스크랩 및 탕면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서 보다 정확하게 스크랩으로만 이루어진 영역을 구분한다. 이 때,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315)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세로의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311)에 의해 구분된 스크랩 영역에서 개별 스크랩을 구분할 수 있다.
용해율 연산부(317)는 분진, 스크랩 및 탕면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서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315)에 의해 구분된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한다. 이 때, 용해율 연산부(317)에 의해 선정되는 최종 스크랩 영역은 열화상 카메라(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전체 영역에서 분진 및 탕면 등이 제거된 스크랩이 존재하는 영역만을 나타낸다. 용해율 연산부(317)는 스크랩이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탕면 영역으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전체 영역에서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탕면 영역으로 선정하고, 이러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한다. 이 때,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은 전기로(100)에 장입된 총 스크랩에서 제강 조업으로 전극봉에 의해 발생된 아크(Arc)열에 의해 용강으로 변화된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용해율 연산부(317)는 하기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21562977-pat00004
여기서, 스크랩 용해 상수는 제강 조업 중 열화상 카메라(20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대한 촬영 환경이 용해율 판단부(310)에서의 스크랩의 용해율 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해 기설정되는 보정값(상수)으로서, 단위는 %이다. 용해율 판단부(310)에서 스크랩의 용해율 계산에서 이용되는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의 개별적인 촬영 환경으로서, 제강 조업 중 전기로(100) 내 발생되는 분진의 정도(분진량), 카메라의 해상도 등의 요인이 스크랩의 용해율 계산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스크랩의 용해율 계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상쇄하기 위한 보정값으로서 개별적인 촬영 환경에 따라 미리 실험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한 보정값인 스크랩 용해 상수를 스크랩의 용해율 계산에 적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용해율 연산부(317)에 의해 계산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350)를 포함한다. 표시부(350)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계산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해당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용해율 연산부(317)에 의해 계산되는 스크랩의 용해율이 제강 조업 중 특정 시점에서 기설정된 용해율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확인하여 전기로(100)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기로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기로 내 스크랩의 용해율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로, 스크랩의 용해율과는 상관없이 제강 조업을 위한 전기로 승온 전력의 투입 패턴이 일정하여 전력 투입의 효율성이 낮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 내 스크랩의 용해율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제강 조업 중의 특정 시점에서 예상보다 전기로 내 스크랩의 용해율이 낮은 경우에 전기로 투입 전력을 높이는 등 전력 투입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투입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기준으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전력 투입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 전기로 제어부(370)는 용해율 연산부(317)에 의해 계산되는 스크랩의 용해율이 기설정된 스크랩의 용해율로서 80%에 도달하도록 전기로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단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일 실시예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전기로(100)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S100), 열화상 카메라(200)로 촬영된 영상으로 전기로(100)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0),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S300), 스크랩의 용해율이 기설정된 스크랩의 용해율에 도달하도록 전기로(100)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력 패턴 변경 단계(S400)를 포함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로 전기로(100)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S100)는 전기로(100)의 로벽 또는 전기로(10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200)로 전기로(100) 내 스크랩의 용해 상태 또는 용강의 출강 시 전기로(100)에 남아있는 용강인 잔탕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이 때, 열화상 카메라(200)는 전기로(100)의 상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2대의 열화상 카메라인 제1열화상 카메라(201)와 제2열화상 카메라(202)로 구성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전기로(100) 내부의 스크랩의 용해 상태 또는 출강 시의 잔탕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정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열화상 카메라(200)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은 제강 조업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그 다음으로, 전기로(100)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0)는 S100 단계에서 전달된 실시간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전기로(100) 내의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00 단계는 먼저 열화상 카메라(200)로 촬영된 실시간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전체 영역을 선정한 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을 구분한다(1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S201). 그리고,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S201 단계에서 구분된 탕면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스크랩 영역을 구분한다(2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S203). 그 다음으로, 상기 S201 단계에서 구분된 스크랩 영역에서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개별 스크랩을 구분하고(3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S205),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전체 영역 중에서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한다(용해율 연산단계, S207). 상기 S207 단계에서는 전체 영역에서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9121562977-pat0000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은 전기로(100)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S200 단계에서 계산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표시 단계, S300). 이 때, 상기 S300 단계에서는 표시부(350)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과 함께 현재 계산된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은 특정한 제강 조업 시점에서의 스크랩의 용해율을 기설정하고, 현재 전기로(100) 내 장입되어 있는 스크랩의 용해율이 기설정된 스크랩의 용해율에 도달하도록 전기로(100)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전력 패턴 변경 단계, S400) 이 때, 상기 S400 단계에서 기설정되는 스크랩의 용해율은 8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스크랩의 용해율이 80%에 도달하도록 전기로(100)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랩의 용해율과는 상관없이 일정한 패턴으로 전력을 투입하였던 기존 방식보다 전력 투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강 조업 제어부(300)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출강 시의 전기로(100)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잔탕량 판단부(330)를 포함한다. 이 때, 잔탕량 판단부(330)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출강 시의 전기로(100) 내의 잔탕량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잔탕량 판단부(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탕면거리 계산부(331)와 잔탕량 연산부(333)를 포함한다.
탕면거리 계산부(331)는 제강 조업 중 용강의 출강 과정에서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을 열화상 카메라(200)로부터 전달받는다. 탕면거리 계산부(331)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탕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탕면까지의 거리는, 도 9를 참조하면 전기로(100) 내 출강구(110)를 통한 용강의 출강 후, 잔탕(400)의 탕면(B)과 전기로(100) 내벽이 만나는 일 지점(P1)으로부터 전기로(100) 내벽 상단의 기설정된 지점(P2)을 만나는 잔탕의 탕면(B)과의 수평면까지의 수직높이(H)를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탕면거리 계산부(331)는 용강의 출강 과정에서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400)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에서 잔탕(400)의 탕면(B)을 확인하고, 상기 탕면(B)과 전기로(100) 내벽이 만나는 일 지점(P1)을 선정한 후에 전기로(100) 내벽 상단의 일 지점(P2)을 포함하는 탕면(B)과의 수평면까지 수직거리(탕면거리, B)를 계산한다. 이 때, 영상에서 특정한 지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은 2대 이상의 카메라로 획득된 깊이 맵(depth map) 영상과 좌표계를 이용한 기존에 공지된 영상 처리 기업을 적용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잔탕량 연산부(333)는 탕면거리 계산부(331)에서 계산된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탕면(B)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강 조업 중 용강의 출강 과정에서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의 잔탕량을 계산한다. 잔탕량 연산부(333)는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탕면(B)까지의 거리 별로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을 표 1에 예시적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수치화하여 미리 저장한다.
거리(mm)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잔탕량(톤) 3.7 8.1 13.3 19.2 25.9 33.4
잔탕량 연산부(333)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탕면(B)까지의 거리 별로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잔탕의 영상으로부터 탕면거리 계산부(331)에 의해 계산된 탕면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한편, 제강 조업 제어부(300)의 표시부(350)는 잔탕량 연산부(333)에 의해 계산된 잔탕량을 외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잔탕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계산된 잔탕량을 해당 잔당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강 조업 제어부(300)의 전기로 제어부(370)는 잔탕량 연산부(333)에 의해 계산되는 잔탕량이 기설정된 잔탕량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전기로(100)에 대한 출강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로(100) 내 용강의 출강 후에 스크랩의 추가 장입이 이루어지는데, 도 12를 참조하면 스크랩의 추가 장입 전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에 따라 전기로(100)에 투입되는 전력원단위와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도 12에서와 같이, 출강 후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이 14톤 내지 18톤의 범위 내에 포함될 때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이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로(100)에 대한 출강 후 잔탕량 연산부(333)에 의해 실시간으로 계산된 현재 잔탕량이 14톤 내지 18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제강 조업 제어부(300)가 전기로(100)의 출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단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열화상 카메라(200)로 전기로(100) 내에 잔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S110), 열화상 카메라(200)로 촬영된 영상으로 전기로(100)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단계(S210), 잔탕량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S310), 잔탕량이 기설정된 잔탕량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전기로(100)의 출강을 제어하는 잔탕량 조절 단계(S410)를 포함한다.
열화상 카메라(200)로 전기로(100) 내에 잔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S110)는 전기로(100)의 로벽 또는 전기로(10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200)로 제강 조업 중 출강 시에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용강인 잔탕(400)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이 때, 열화상 카메라(200)는 전기로(100)의 상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2대의 열화상 카메라인 제1열화상 카메라(201)와 제2열화상 카메라(202)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전기로(100)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단계(S210)는 S100 단계에서 전달된 실시간 잔탕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로(100)의 잔탕량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10 단계는 먼저 열화상 카메라(200)로 촬영된 실시간 잔탕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잔탕(400)의 탕면(B)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거리 계산 단계, S211). 그리고, 상기 S211 단계에서 계산된 전기로(100)의 상단에서부터 잔탕(400)의 탕면(B)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용강인 잔탕(400)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잔탕량 계산 단계, S2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은 전기로(100) 내의 잔탕량을 확인하는 S210 단계에서 계산된 잔탕량을 외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표시 단계, S310). 이 때, 상기 S310 단계에서는 표시부(350)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200)로 실시간으로 촬영된 잔탕 영상과 함께 현재 계산된 잔탕량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은 출강 후 스크랩의 추가 장입 및 제강 조업에 전기로(100)에 투입되는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이는데 최적인 잔탕량의 범위를 기설정하고, 출강 시에 현재 전기로(100) 내에 남아 있는 잔탕량이 기설정된 잔탕량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전기로(100)에 대한 출강을 제어할 수 있다(잔탕량 조절 단계, S410) 이 때, 상기 S410 단계에서 기설정되는 잔턍량의 범위는 14톤 내지 18톤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출강 후 전기로(100) 내에 남아있는 잔탕량이 14톤 내지 18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전기로(100)의 출강을 제어함으로써 전력원단위를 최소화하면서 제강 조업시간(통전시간, 정련시간)을 줄여 제강 조업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전기로 200 : 열화상 카메라
300 : 제강 조업 제어부 310 : 용해율 판단부 311 :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
311 :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 313 :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
315 :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 317 : 용해율 연산부
330 : 잔탕량 판단부 331 : 탕면거리 계산부
333 : 잔탕량 연산부 400 : 잔탕
S100 : 촬영 단계
S201 : 1차 스크랩 영역 추출 단계
S203 : 2차 스크랩 영역 추출 단계
S205 : 3차 스크랩 영역 추출 단계
S207 : 용해율 연산단계
S300 : 표시 단계
S400 : 전력 패턴 변경 단계
S211 : 거리 계산 단계
S213 : 잔탕량 계산 단계
S410 : 잔탕량 조절 단계

Claims (24)

  1.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제강 조업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용해율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해율 판단부는,
    상기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상기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과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과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을 구분하는 제1스크랩 영역 추출부;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스크랩과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분진 영역을 제외한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제2스크랩 영역 추출부;
    상기 스크랩 영역에서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개별 스크랩을 구분하는 제3스크랩 영역 추출부; 및
    상기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전체 영역에서 분진 및 탕면 등이 제거된 스크랩이 존재하는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하고, 전체 영역에서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탕면 영역으로 처리하는 용해율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율 연산부는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해율 연산부는
    Figure 112019121562977-pat00006
    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강 조업 제어부는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이 80%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기로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기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8.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로 내에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으로 상기 전기로 내에 장입된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고,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중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의 면적으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며,
    상기 스크랩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해 특정한 픽셀값을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여, 상기 분진, 스크랩 및 탕면으로 이루어진 전체 영역을 선정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과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과 스크랩의 용해가 이루어진 탕면 영역을 구분하는 1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스크랩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스크랩과 분진으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분진 영역을 제외한 스크랩 영역을 구분하는 2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상기 스크랩 영역에서 격자 라인 필터를 이용하여 개별 스크랩을 구분하는 3차 스크랩 영역 추출단계; 및
    상기 개별 스크랩을 제외한 영역을 필터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전체 영역에서 분진 및 탕면 등이 제거된 스크랩이 존재하는 최종 스크랩 영역을 선정하고, 전체 영역에서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탕면 영역으로 처리하는 용해율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해율 연산단계는,
    상기 전체 영역에서 상기 최종 스크랩 영역을 제외한 탕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해율 연산단계는,
    Figure 112019121562977-pat00007
    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을 외부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의 용해율이 80%에 도달하도록 상기 전기로에 대한 전력 투입 패턴을 변경하는 전력 패턴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제1열화상 카메라와 마주보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24. 청구항 8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제1열화상 카메라와 마주보는 상기 전기로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방법.
KR1020190152995A 2019-11-26 2019-11-26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KR10222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95A KR102225816B1 (ko) 2019-11-26 2019-11-26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95A KR102225816B1 (ko) 2019-11-26 2019-11-26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816B1 true KR102225816B1 (ko) 2021-03-10
KR102225816B9 KR102225816B9 (ko) 2021-11-12

Family

ID=7514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95A KR102225816B1 (ko) 2019-11-26 2019-11-26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8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58A1 (ko) * 2021-09-29 2023-04-06 에이블맥스(주) Dc전기로의 멜트다운 판정정도 향상방법
WO2023172743A3 (en) * 2022-03-10 2023-11-02 Ami International Sapi De C.V. Continuously charged electric arc furnace system
CN116984274A (zh) * 2023-09-27 2023-11-03 苏州弘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的电炉生产智能控制方法及系统
WO2023172742A3 (en) * 2022-03-10 2023-11-16 Ami International Sapi De C.V. Batchwise-charged electric arc furnac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218A (ja) * 1994-04-18 1995-10-31 Nippon Steel Corp スクラップ溶け落ち判定装置
KR200450703Y1 (ko) 2008-09-29 2010-10-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용강 온도 측정장치
KR20110120136A (ko) *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KR20190110179A (ko) * 2018-03-20 2019-09-30 동국제강주식회사 스크랩 용해율 판단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스크랩 용해율 판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218A (ja) * 1994-04-18 1995-10-31 Nippon Steel Corp スクラップ溶け落ち判定装置
KR200450703Y1 (ko) 2008-09-29 2010-10-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용강 온도 측정장치
KR20110120136A (ko) *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KR20190110179A (ko) * 2018-03-20 2019-09-30 동국제강주식회사 스크랩 용해율 판단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스크랩 용해율 판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58A1 (ko) * 2021-09-29 2023-04-06 에이블맥스(주) Dc전기로의 멜트다운 판정정도 향상방법
WO2023172743A3 (en) * 2022-03-10 2023-11-02 Ami International Sapi De C.V. Continuously charged electric arc furnace system
WO2023172742A3 (en) * 2022-03-10 2023-11-16 Ami International Sapi De C.V. Batchwise-charged electric arc furnace system
CN116984274A (zh) * 2023-09-27 2023-11-03 苏州弘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的电炉生产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6984274B (zh) * 2023-09-27 2023-12-12 苏州弘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技术的电炉生产智能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816B9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816B1 (ko) 스크랩 용해율과 잔탕량을 측정하는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CN110413013B (zh) 一种智能吹氩系统及其控制方法
JP6687125B2 (ja) 溶融金属表面のスラグ体積評価方法
CN104392213B (zh) 一种适用于熔炼过程中的图像信息状态识别系统
JP6764315B2 (ja) 電気炉の運転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気炉ならびに電気炉の運転制御方法
JP6164173B2 (ja) 転炉排出流判定装置、転炉排出流判定方法、溶銑予備処理方法、及び転炉予備処理の操業方法
KR101143038B1 (ko) 전기로의 내부 영상을 이용한 용강량 측정 장치
CN106795573B (zh) 用于确定氧气吹炼过程中的点火时间点的方法和设备
JP2017066510A (ja) 高炉における溶銑温度予測方法
KR102115393B1 (ko) 스크랩 용해율 판단장치, 이를 구비한 전기로 제강 조업 장치, 스크랩 용해율 판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강 조업 방법
CN112461846B (zh) 工件缺陷检测方法及装置
KR102098770B1 (ko) 전기로에서 탕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74172A (ko)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JP4244818B2 (ja) 流下ガラス流下速度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KR101499945B1 (ko) 전기로 조업에서 산소랜스와 용강간 거리 제어방법
JP2009002765A (ja) 耐火物のプロファイル測定方法及び耐火物の厚み測定方法
KR101538145B1 (ko) 고로 철피 관리 시스템
KR101445774B1 (ko) 전기로 슬래그 중 산화철 함량의 분석방법
KR102362990B1 (ko) 전기로 내 용강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내 용강량 측정방법
KR100403472B1 (ko) 스테인레스 브이오디공정에서의 나탕 면적 측정장치 및 방법
CN115997096A (zh) 用于监测和控制炉的系统和方法
CN114623935A (zh) 基于红外热成像仪成像数据的钢包准投准停模型应用方法
KR102514756B1 (ko) 용선 온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79598A (ja) 底吹き転炉の炉底羽口健全性評価方法、炉底羽口寿命延長方法及び底吹き転炉の操業方法
JP6010972B2 (ja) 地金付着度測定方法および地金付着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