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660A - 치열 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660A
KR20110117660A KR1020117017241A KR20117017241A KR20110117660A KR 20110117660 A KR20110117660 A KR 20110117660A KR 1020117017241 A KR1020117017241 A KR 1020117017241A KR 20117017241 A KR20117017241 A KR 20117017241A KR 20110117660 A KR20110117660 A KR 2011011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rch wire
orthodontic bracket
cross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64B1 (ko
Inventor
코우타로 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11011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3Brackets with two or more recesses for 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유효한 삼차원적인 동작, 특히, 치아질 표면의 면에 있어서 유효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과 상기 기판면을 저면으로 하여 아치 와이어를 유지하는 아치 와이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치 와이어에 연접하여 각각의 치아질에 응력을 계속적으로 부여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고,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을 저면으로 하여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 형상이 대략 어묵형이며, 더불어, 상기 아치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고, 인접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아치 와이어로 연접하기 위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래킷{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치열이 좋으면, 사회 생활에서 호감을 주고, 또한, 의학적으로도 양호한 저작력을 주는 것은 물로, 최근 치열 교정을 많이 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은 식생활 문화의 변화에 의해 저작력이 저하되고 있다. 때문에, 현대인의 구강에서 치아가 나는 공간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현대인은 치열 교정을 하지 않으면 치열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영구치가 나는 유년시기부터 치열 교정을 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허 공개2001-1617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10 및 도 11 참조), 이하와 같은 일련의 조작에 의해 치아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이다.
(1) 복수의 치아 표면(141A)에 치열 교정용의 브래킷(143)을 접착한다.
(2) 브래킷(143)에 형성된 요부(145)에 아치 와이어(146)를 끼워 넣고, 브래킷(143) 사이의 아치 와이어(146)를 엇갈리도록 한다.
(3) 상기 아치 와이어(146)가 가지는 탄성력을 치아에 작용시킨다.
이러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143)은 종래에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치아와 금속제 브래킷과의 색조가 상이하여 심미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투명 혹은 치아 색조에 가까운 색으로 착색된 플라스틱 등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143)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열 교정용 브래킷과 아치 와이어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형성된 요부(凹部)(145)에 아치 와이어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단부에 있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아치 와이어를 확실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단부에 있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과 아치 와이어를 감아서 결합시키기 위한 결찰용 와이어(150)를 이용하여 감아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아치 와이어(146)는 브래킷(143)에 형성된 요부(145)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치아를 눌러서 치열을 교정할 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안쪽으로 들어간 치아를 전면으로 꺼내는 치열 교정에서는 아치 와이어(146)가 브래킷(143)에 형성된 요부(145)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결찰용 와이어(150)로 아치 와이어(146)를 브래킷(143)에 묶을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아치 와이어를 감아서 결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이 복잡해지고, 또한 결합시켰을 때 결찰력으로 치아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결찰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고도의 숙련이 필요하다.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표면 상태나 형상이 복잡하면, 음식 찌꺼기 등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 아치 와이어 혹은 결찰용 와이어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에 잔존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음식 찌꺼기는 충치를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
치열 교정은, 치아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치열 교정 시 발생하는 충치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브래킷의 미관 및 결찰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 제2007-105361호 공보)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표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55)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슬롯구멍(252)을 천공하여 구성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발명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치아에 맞추어 교정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슬롯구멍(252)의 관통 방향을 베이스부(255)의 형성 방향과 위치가 바뀌도록 경사지게 천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롯구멍(252)을 베이스부(255)의 형성 방향과 위치를 바꾸어 경사시키는 것으로, 아치 와이어를 설치하는 방향이 직선이 아니고 만곡되게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치아의 앵귤레이션(angulations, 외향 경사)을 교정할 수 있는 취지가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위치를 변경한 슬롯구멍(252)은 하나이다. 치아의 외향 경사를 교정하기 위한 토크는 슬롯구멍(252)에 삽입된 한 개의 아치 와이어의 탄성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 치열 교정은 치아 전체의 치열을 균형 있게 교정할 필요가 있는데, 부분적인 치아의 외향 경사를 교정하기 위해서 높은 토크를 걸면, 다른 치아에 대해서 여분의 응력이 걸리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음식 찌꺼기 등이 잔존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측면에 핀셋을 끼워서 치아의 표면에 마운트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특허문헌 2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핀셋으로 집어 들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 표면에 정확하게 마운트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1-1617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7-105361호 공보
본 발명은, 신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장착이 용이하고, 음식 찌꺼기 등이 잔존하기 어려워서, 충치의 발생 원인이 되지 않으며, 더불어 작업성이 나쁜 결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신규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하는 것으로써, 브래킷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점으로 하는 삼차원적인 회전력을 치아에 부여할 수 있으며, 회전 응력의 조정이 용이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질과 동색의 재질을 이용하여 심미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브래킷을 박리 했을 때 접착제가 치아질 표면에 잔존하지 않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과 상기 기판면을 저면으로서 아치 와이어를 유지하는 아치 와이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치 와이어로 연접되어 개개의 치아질에 응력을 계속적으로 부여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을 저면으로서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단면의 형상이 대략 어묵형인 것과 동시에, 상기 아치 와이어를 삽입 관통시키고, 인접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아치 와이어로 연접하기 위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을 복수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은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3개 이상 형성되며, 보다 유효한 삼차원적인 회전 토크를 치아에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은 하나의 브래킷에 3개가 형성되고, 중심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이 양쪽 옆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보다, 상기 브래킷의 단면에서 브래킷의 양측 단부를 묶는 가상의 가상 기준선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서, 브래킷 전체를 작고 완만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의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수직하는 단면의 형상은 대략 어묵형이다. 상기 형상은, 치아질의 상기 단면과 접착되는 부위의 중심을 가상 중심점으로 하는 R1을 반경으로 하며,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가상 반원상에 적어도 4개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소의 접촉점을 가지며, 대략 어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음식 찌꺼기가 붙는 것이 어렵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브래킷의 단면은,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부근이 브래킷을 치아질 표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의 하부 더불어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상에 가상의 가상 중심점으로부터 반경 R2의 곡률로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다.
또한,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을, 상기 삽입공의 양단부의 상기 기판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다르도록 경사시켜 형성하는 것으로써, 치아의 전후 방향 회전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상기 브래킷의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기판면에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과 대략 평행한 적어도 1줄의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의 잇몸 방향의 폭이 치아의 선단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의 아치 와이어가 설치되는 방향과 수직한 단부는, 브래킷의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기판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통상 무기재료의 소결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결찰 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 아치 와이어는,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에 삽입 관통되는 것으로써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아치 와이어는 결찰 수단에 따라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결찰 고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유효한 삼차원적인 움직임, 특히, 치아질 표면의 면에 있어서의 유효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의하면, 보다 정확한 치열 교정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서로 엇갈리는 아치 와이어를 결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 치아에 가해지던 힘보다 약한 힘을 가하여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형상이 단순하므로 상기 브래킷에 치구(음식 찌꺼기)의 침착이 적다. 이 때문에 구강 위생상에서도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본질적으로 치아질 표면과 같은 색조를 가지고 있어서 심미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경질이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 표면에 대해서 양호한 접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박리할 때 접착제가 치아 표면에 잔존하지 않고, 상기 접착제는 제거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후면(기판면)에 모두 유지된 상태로 박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 (a)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표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c)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삽입공에 있어서, 서로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기판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제용 요홈의 형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다른 모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사용 형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치아 표면에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접착되고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아치 와이어가 삽입 관통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아치 와이어 삽입공이, 상기 삽입공의 양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기판면(또는 치아질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다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 Y-Y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브래킷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브래킷을 사용하여 아치 와이어를 결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다른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종래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다른 모양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슬롯구멍의 관통 방향을 베이스부의 형성 방향과 위치가 변하도록 경사지게 천공한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11)과 아치 와이어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공을 가지는 아치 와이어 유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은, 종래의 브래킷과는 달리, 아치 와이어를 노출시키지 않고, 브래킷(10)에 설치된 복수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설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삽입공이 3개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삽입공이 2개 이상이면 된다. 그러나 치열 교정 시 교정하려고 하는 치아에 삼차원적인 응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공(12)을 중심으로 하고 좌우에 삽입공(14) 및 삽입공(16)을 대칭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어묵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브래킷(10)은,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한 사시도 및 도 2에서 (a)에 도시한 표면도, (b)에 도시한 측면도 및 (c)에 도시한 후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잇몸 방향의 폭 a가 치아 상단부 방향의 폭 b보다 조금 짧은 대략 어묵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의 표면은, 정확하게는 하나의 원호 형상이 아니라 복수의 평면 또는 원호가 연접하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략 어묵형의 형상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X-X선에 따른 단면(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을 저면으로 하여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단면)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은, 상기 브래킷(10)의 상기 단면이, 치아질의 상기 단면과 접착되는 부위의 중심을 가상 중심점 A로 하고 상기 가상 중심점 A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R1의 가상 원호(30)에 적어도 4점, 바람직하게는 6점 P1, P2, P3, P4, P5, P6에서 접촉하도록 평면(31, 32, 33, 34, 35)을 연접하여 모난 어묵형을 형성한다. 덧붙여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평면(31, 32, 33, 34, 35)의 접합부분은 모따기를 해서 모난 어묵형을 보다 반원형의 어묵형이 근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외주면이 반경 R1의 가상 원호(30)와 일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상 원호(30)를 형성하는 반경 R1은, 브래킷(10)을 장착하는 치아의 크기에 의해서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치아의 크기에서 2~3㎜ 정도이다.
이와 같이, 가상 원호(30)에 근사한 어묵형으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해당 브래킷(10)상에 음식 찌꺼기 등이 잔존하기 어렵고, 또한 브래킷(10)의 심미성도 양호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의 개수는 2개 이상 필요하고,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4개가 넘는 삽입공을 제조하는 것은 제조 공정상 곤란하며, 더구나 3개를 넘는 삽입공을 형성하더라도 치열 교정에 미치는 효과는 향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에 설치되는 삽입공의 수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공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10)의 양단부(38, 38)를 어긋나게 엇갈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이, 직선적이고, 기본적으로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대해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1, 도 3, 도 4에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공(12, 14, 16)이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삽입공(12, 14, 16)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다각형,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아치 와이어를 사용하고 치아에 미치는 응력에 방향성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삽입공(12, 14, 16)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방향성을 만들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삽입공을 3개 형성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공(12)의 중심점은 가상 기준선(40)보다 1.0~2.0㎜, 바람직하게는 1.2~1.7㎜ 위쪽에 설치되고(즉, 도 4에서 k1은 1.0~2.0㎜, 바람직하게는 1.2~1.7㎜이다), 삽입공(12)의 양쪽 옆에 있는 삽입공(14, 16)의 중심점의 가상 기준선(40)으로부터의 높이는 0.8~1.8㎜,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즉, 도 4에서 k2는 0.8~1.8㎜,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따라서,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공(12)은 양쪽 옆에 형성된 삽입공(14, 16)보다 삽입공의 높이 h의 1/4~3/4 정도, 상기 가상 기준선(40)에서 보았을 때 위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공(12)의 위치를 높게 해서 삽입공(12)에 메인이 되는 아치 와이어를 삽입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상기 삽입공(14, 16)에 삽입하는 아치 와이어의 굵기와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치아에 삼차원적인 토크 응력을 부여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력의 조정 등에 의해 치아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를 보았을 경우이다), 치아가 잇몸에서 비스듬하게 나 있는 경우의 치열 교정에 유효한 토크 혹은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치열 교정용 브래킷 전체를 작고, 완만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서 보다 음식 찌꺼기가 붙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12, 14, 16)은, 상기 삽입공의 양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기판면(또는 치아질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다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아치 와이어 삽입공(12, 14, 16)을 상기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과 평행이 아니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 말하면, 상기 삽입공(12, 14, 16)을 하부(기판면 쪽)에 평행이동 하여 삽입공의 단부가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에 처음으로 접했을 때 삽입공과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 사이에 예각이 형성되도록 아치 와이어 삽입공(12, 14, 1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12)의 단면도로, 삽입공(12)의 아래쪽 직선(72)과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을 도시한 직선(70)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된다.
이와 같이, 삽입공의 양단부에서 치아질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게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12, 14 또는 16)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아치 와이어에 장력을 걸어서 치아의 전후 방향에 삼차원적인 토크 혹은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뻐드렁니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은 복수개 존재하지만, 복수의 삽입공의 경사 모양(각 삽입공을 평행이동하여 상기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에 접했을 때 형성되는 예각)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경사의 모양이 같으면, 치아에 대해서 일정하게 전후 방향의 토크를 부여할 수 있는 한편, 경사의 모양이 다른 경우에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서 전후 방향의 토크가 다른 복잡한 토크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공의 크기는 사용하는 아치 와이어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높이 h가 0.5~0.8㎜, 폭 w가 0.5~0.7㎜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삽입공의 형상을 바꾸었을 경우에도 상기 크기를 참조하여 삽입공의 크기를 선정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설명에서 가상 기준선(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평면에 배치했을 때 양측 단부인 점 P1 및 점 P6이 접촉하는 면에 대응하는 가상선(양측 단부를 묶는 가상의 선)이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에는 상기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접착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한 줄의 접착제 충전홈이 형성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이 기판면(11)에 3줄의 접착제 충전홈(41, 43, 45)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 충전홈(41, 43, 45)은, 개구부(44)의 주연부에 개구부 안쪽을 향해 돌출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접착제 충전홈(41, 43, 45)은 개구부(44)의 넓이가 접착제 충전홈의 저부(46)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충전홈(41, 43, 45)에 다소 과잉이 되도록 충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기판면(11)은 평탄하지 않고, 상기 브래킷이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11)을 저면으로 하여 아치 와이어가 걸쳐지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단면에서 치아질과 접착되는 부분이 상기 브래킷의 하부이면서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 상에서 가상의 가상 중심 B로부터 반경 R2에 따른 원호 상에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치아 표면이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은데 브래킷을 치아 표면에 접착하기 위해서 접착제가 펴지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 상기 반경 R2는 5~20㎜,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브래킷 내에 형성된 삽입공(12, 14, 16) 내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하므로 아이 와이어는 삽입공(12, 14, 16)의 내주 벽면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로 인해 기존처럼 아치 와이어를 결찰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접착할 때, 상기의 접착제 충전홈(41, 43, 45) 내에 다소 과잉이 되도록 접착제를 충전하고, 상기 브래킷의 후면 전체에 접착제가 널리 펴지도록 브래킷을 치아의 표면에 대해 가압한다. 이와 같이 가압함으로써 접착제 충전홈에 다소 과잉으로 충전된 접착제가 원호 상에 형성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후면과 치아 사이에 공급되고, 상기 브래킷을 치아에 대해 강력하게 접착한다. 그리고 접착중에는 개구부 내주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8)가 접착제 충전홈(41, 43, 45) 내에 있는 접착제를 누락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투묘(投錨, 닻 내림)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철거할 때, 치아 표면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고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철거한다. 이 때에도, 돌출부(48)의 투묘 효과에 의해서, 접착제는 치아 표면에서 남김 없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과 함께 철거되므로 치아 표면에는 접착제가 거의 잔존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기판면에 형성된 접착제 충전홈(41, 43, 45)에 수납할 수 있는 양보다 조금 많은 접착제를 충전하여 치아 표면에 대해 가압하고, 접착제를 치열 교정용 브래킷과 치아 표면 사이의 틈에도 충당함으로써 치아 표면에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접착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접착에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위해성이 없는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각 치아의 표면에 접착한 후,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형성된 삽입공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시키고, 각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삽입된 아치 와이어로 연접한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삽입공이 복수 개, 적합하게는 3개 형성되고, 중심에 있는 삽입공(12)에 메인 아치 와이어(50)을 삽입시킨 후 필요에 따라 삽입공(12)의 양측에 있는 삽입공(14, 16)에 아치 와이어(51, 52)을 삽입시킨다(도 7 참조).
여기서, 메인 아치 와이어(50), 아치 와이어(51), 아치 와이어(52)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메인 아치 와이어(50)를 중심으로 하고, 아치 와이어(51)의 장력을 걸칠 방향과 아치 와이어(52)의 장력을 걸칠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치아에 높은 회전 토크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아치 와이어(50)로서 아치 와이어(51) 및 아치 와이어(52)보다 강성이 높은 와이어를 사용하면, 메인 아치 와이어(50)에 의해서 치아를 전후로 움직이기 위한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아치 와이어(51) 및 아치 와이어(52)의 장력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치아에 회전 토크를 부여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3 개의 아치 와이어의 특성 혹은 장력의 방향성을 바꾸는 것으로써 삼차원적으로 치아의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을 그 삽입공의 양단부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기판면(또는 치아질 표면)으로부터 높이가 다르도록 경사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 아치 와이어에 장력을 거는 것으로써, 보다 유효하게 치아를 전후로 움직이기 위한 토크 또는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아치 와이어(51) 및 아치 와이어(52)의 조정에 의해서 치아에 걸리는 회전 토크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아치 와이어(50)의 조정 및 아치 와이어 삽입공의 경사를 조정 하는 것에 의해서, 매우 적합한 강도로 치아를 전후로 교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의하면, 인접하는 치근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염증 혹은 치근의 괴사 등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치열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무기재료를 소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산화 지르코늄을 틀에 넣어 삽입공 형성용 치구를 설치하여 소결하면 소결에 있어서 높은 정도의 삽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산화 지르코늄을 이용하여 형성된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색조는 치아의 색조에 근사하므로, 지극히 심미성이 좋은 브래킷을 제조할 수 있다. 더불어, 산화 지르코늄 소결체는 강도가 매우 높아서 치아 교정 중에 브래킷이 파손될 위험이 없다.
또한, 치아의 앵귤레이션(angulations)을 교정하기 위해서 특별한 브래킷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한 종류의 브래킷으로 치아의 앵귤레이션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앵귤레이션을 교정하기 위해서 브래킷의 접착 방향을 바꿀 필요는 없고, 잇몸(65)에서 난 치아(60)의 중심선을 따라서 브래킷을 접착하면, 치아 상태를 고려하여 브래킷을 경사지게 접착할 필요가 없다(도 7 참조).
덧붙여서, 상기의 설명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열 교정용 브래킷의 양단부가 수직으로 자른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브래킷을 접착할 때 핀셋으로 브래킷을 뽑아 낼 필요가 있어서, 양단부에 테이퍼(taper)가 있으면 핀셋으로 뽑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핀셋 대신에 진공 핀셋이나 재박리성 접착 치구 등을 이용하면, 특별히 양단부를 수직으로 자른 형태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테이퍼를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그 목적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아치 와이어를 결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치아 표면에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더불어, 해당 브래킷 상에 음식 찌꺼기 등이 잔존하기 어렵고, 충치의 발생 원인이 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복수의 삽입공을 구비하여 복수의 아치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아치 와이어의 종류, 부여하는 장력, 혹은 삽입공의 경사 등을 제어함으로써 치아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면서 치아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삼차원적인 치열 교정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금속 산화물의 소결체, 적합하게는 산화 지르코늄 소결체로 형성되어서 심미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치아의 접착면에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요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브래킷은 요입된 홈 형상의 접착제 충전홈을 가진다. 상기 접착제 충전홈의 개구부가 통로 내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므로, 접착된 브래킷이 치아에서 이탈되지 않고, 또한, 브래킷을 제거할 때에도 접착제가 치아 표면에 잔존하지 않고 브래킷과 함께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삼차원적인 여러 가지 움직임을 치아에 걸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유효하고, 보다 정확한 치열 교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10: 치열 교정용 브래킷
11: 기판면
12: 삽입공
13: 아치 와이어 유지부
14: 삽입공
16: 삽입공
30: 가상 원호
31, 32, 33, 34, 35: 평면
38: 양단부
40: 가상 기준선
41: 접착제 충전홈
43: 접착제 충전홈
45: 접착제 충전홈
44: 개구부
46: 접착제 충전홈의 저부
48: 돌출부
50: 메인 아치 와이어
51: 아치 와이어
52: 아치 와이어
60: 치아
65: 잇몸
70: 기판면 또는 치아질 표면을 도시한 직선
72: 삽입공의 아래 쪽의 직선
141A: 치아의 표면
143: 브래킷
145: 요부
146: 아치 와이어
150: 결찰용 와이어
252: 슬롯구멍
255: 베이스부

Claims (12)

  1.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과 상기 기판면을 저면으로 하여 아치 와이어를 유지하는 아치 와이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치 와이어를 통해 연접되어 개개의 치아질에 응력을 계속적으로 부여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은, 치아질 표면에 접착되는 기판면을 저면으로 하고 아치 와이어가 엇갈리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의 형상이 어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아치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고, 인접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을 아치 와이어로 연접하기 위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이 상기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3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이 하나의 브래킷에 3개 형성되고, 중심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이 양쪽 옆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입공보다, 상기 브래킷의 단면에서의 브래킷의 양측 단부를 묶는 가상의 가상 기준선으로부터 높이가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단면의 형상은, 치아질의 상기 단면과 접착되는 부위의 중심을 가상 중심점으로 하는 R1을 반경으로 하고,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가상 반원상에 적어도 4개소의 접촉점을 가지며, 어묵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단면의 형상은, 치아질의 상기 단면과 접착되는 부위의 중심을 가상 중심점으로 하는 R1을 반경으로 하고,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가상 반원상에 적어도 6개소의 접촉점을 가지며, 어묵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단면은,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부근이 상기 브래킷의 하부인 동시에 상기 단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가상의 가상 중심점으로부터 반경 R2의 곡률로 상부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은,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의 양단부가 상기 기판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다르도록 경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기판면에,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과 평행한 적어도 한 줄의 접착제 충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잇몸 방향의 폭이 치아 선단부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아치 와이어의 설치 방향에 수직하는 단부가, 브래킷의 치아질 표면과 접착되는 기판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무기재료의 소결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는 상기 아치 와이어 삽입공에 삽입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아치 와이어는 결찰 수단에 따라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결찰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20117017241A 2009-04-16 2010-04-14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1252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9754 2009-04-16
JP2009099754 2009-04-16
PCT/JP2010/056645 WO2010119880A1 (ja) 2009-04-16 2010-04-14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660A true KR20110117660A (ko) 2011-10-27
KR101252964B1 KR101252964B1 (ko) 2013-04-15

Family

ID=429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241A KR101252964B1 (ko) 2009-04-16 2010-04-14 치열 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1811B2 (ko)
EP (1) EP2420199B1 (ko)
JP (1) JP5345208B2 (ko)
KR (1) KR101252964B1 (ko)
WO (1) WO20101198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04B1 (ko) * 2014-06-02 2015-01-05 문승수 치열교정용 미니 브라켓 및 치열교정세트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379A1 (en) * 2009-08-05 2011-02-10 Six Month Smiles Inc. Orthodontic bracket system and method
US20110212408A1 (en) * 2009-12-15 2011-09-01 Kalange John T Buccal tube with square or rectangular auxiliary slot
JP5570365B2 (ja) * 2010-09-24 2014-08-13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N103211659A (zh) * 2013-05-13 2013-07-24 张国彬 口腔正畸平衡矫正器之托槽
FR3013212B1 (fr) * 2013-11-18 2016-12-09 Assist Publique - Hopitaux De Paris Dispositif prothetique implantable pour la perte de poids d'un patient obese ou en surpoids comprenant un ballon gastrique gonflable et une prothese duodenale
CN104970889B (zh) * 2015-04-23 2017-07-28 赵喜林 一种牙科正畸治疗托槽
DE102016110161A1 (de) * 2016-06-02 2017-12-07 Yong-min Jo Bracket für eine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WO2022081464A1 (en) * 2020-10-14 2022-04-21 Braces On Demand Inc.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6767B2 (de) 1976-04-15 1979-01-11 Dentaurum Hans-Peter Winkelstroeter Kg, 7536 Ispringen Mehrfach-Bukkal-Röhrchen
NL8301526A (nl) * 1983-04-08 1984-11-01 Paclan B V Barbecue-onderstel.
US5474444A (en) * 1988-09-26 1995-12-12 Wildman; Alexander J. Multiwire arch system
US5022854A (en) 1988-12-16 1991-06-11 Ortho Organizers Orthodontic bracket
US5358402A (en) * 1993-05-13 1994-10-25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Ceramic orthodontic bracket with archwire slot liner
DE9308153U1 (ko) 1993-06-03 1993-07-29 Bernhard Foerster Gmbh, 7530 Pforzheim, De
DE19812184A1 (de) * 1998-03-19 1999-09-23 Norbert Abels Orthodontisches Befestigungselement
JP4386394B2 (ja) 1999-12-10 2009-12-16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部材
EP1226791A1 (de) * 2001-01-26 2002-07-31 Schaulin AG Vorrichtung für die Orthodontie
WO2002064051A1 (en) 2001-02-15 2002-08-22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rigid bracket base and deformable ligation cover
WO2002064050A1 (en) 2001-02-15 2002-08-22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cover to provide dynamic active ligation to arch wire
WO2005007010A1 (en) * 2003-07-21 2005-01-27 Giuseppe Scuzzo Bracket for orthodontics
DE102004009916A1 (de) * 2004-02-20 2005-09-08 Dentaurum J.P. Winkelstroeter Kg Linguales Bracket
US7396230B2 (en) * 2004-04-30 2008-07-08 Norbert Abels Molar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hinged bracket cover
US20060166159A1 (en) * 2005-01-25 2006-07-27 Norbert Abels Laser shaping of green metal body used in manufacturing an orthodontic bracket
JP2007105361A (ja) * 2005-10-17 2007-04-26 Atsushi Otsuk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WO2008031060A2 (en) * 2006-09-07 2008-03-13 Rmo, Inc. Reduced-friction buccal tube and method of use
US8714974B2 (en) * 2007-07-31 2014-05-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04B1 (ko) * 2014-06-02 2015-01-05 문승수 치열교정용 미니 브라켓 및 치열교정세트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11452582B2 (en) 2020-05-08 2022-09-27 Gni Co., Ltd.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1811B2 (en) 2016-05-31
WO2010119880A1 (ja) 2010-10-21
JPWO2010119880A1 (ja) 2012-10-22
EP2420199B1 (en) 2016-09-07
EP2420199A1 (en) 2012-02-22
EP2420199A4 (en) 2014-07-30
KR101252964B1 (ko) 2013-04-15
JP5345208B2 (ja) 2013-11-20
US20120009538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64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JP5570365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5161969A (en) Orthodontic bracket
US6743013B2 (en) Orthodontic appliance providing enhanced adhesive cure
US6893257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placement enhancement structure
US5158452A (en) Orthodontic appliance mounting base
US7140875B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reinforced tiewings
ES2362089T3 (es) Aparato ortodóntico adherible con una base adhesiva de resina polimérica.
US7153130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insert
US6565355B2 (en) Apparatus for precisely locating an orthodontic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surface of a tooth
WO1999042056A1 (fr) Appareillage orthodontique
US9358080B2 (en) Dental separator ring
US20140272749A1 (en) Orthodontic appliances with tapered archwire slots
US20200030061A1 (en) Orthodontic bracket for use on deciduous teeth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KR100839929B1 (ko)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게이지
CN107847302B (zh) 直接牙桥
KR20150134632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2022532858A (ja) 歯列矯正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120288815A1 (en) bondable molar tube
JP3242254U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20050214708A1 (en) Orthodontic device, particularly orthodontic coupling
US10993789B2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US20240016582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correcting misalignment of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