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521A -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521A
KR20110117521A KR1020100037026A KR20100037026A KR20110117521A KR 20110117521 A KR20110117521 A KR 20110117521A KR 1020100037026 A KR1020100037026 A KR 1020100037026A KR 20100037026 A KR20100037026 A KR 20100037026A KR 20110117521 A KR20110117521 A KR 2011011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rigger
vehicle
control unit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희
Original Assignee
김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희 filed Critical 김현희
Priority to KR102010003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521A/ko
Publication of KR2011011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웃트리거를 외부에서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밸브와, 아웃트리거의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와 수직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리모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사다리 또는 보조장비를 통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원활하고 정밀한 아웃트리거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서도 차량의 수평상태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어 작업환경에 상관없이 차량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LEVEL ADJUSTING APPARATUS OF OUTRIGGER}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감지한 후 신속하고 정밀하게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한 작업 또는 차량의 상부에 사다리와 같은 물품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업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웃트리거란 차량의 좌,우 측면에 지지대 역활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을 통한 작업 또는 차량의 상부에 사다리나 기타 물품등을 올려 놓은 경우에도 차량의 안정화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예컨대, 소방차량 또는 차량의 상부에 물품이나 사다리등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작업차량과 같은 경우에는 차량이 견고하게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차량 또는 차량의 상부에 올려놓은 물품을 통하여 원활하게 작업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을 지면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웃트리거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수평 및 수직상태를 조절하여 지면에 위치된 차량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조절해야 함으로써 이를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고, 조절하는대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지면에 놓여진 차량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아웃트리거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웃트리거를 외부에서 조절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밸브와, 아웃트리거의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와 수직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리모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아웃트리거의 수직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아웃트리거와 차량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사다리 또는 보조장비를 통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원활하고 정밀한 아웃트리거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서도 차량의 수평상태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어 작업환경에 상관없이 차량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의 개략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0)와, 상기 감지센서(1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웃트리거(10)를 외부에서 조절하는 컨트롤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200)는 아웃트리거(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밸브(210)와, 아웃트리거(10)의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밸브(22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310)와, 상기 송신부(31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210)와 수직조절밸브(220)를 작동시키는 리모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량(20)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10)에 감지센서(100), 제어부(200), 컨트롤부(300)가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됨으로써 차량(20) 설치된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작업자가 외부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100)는 아웃트리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선(L)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서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센서(110)와, 아웃트리거의 수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센서(120)와, 아웃트리거와 차량(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3센서(130)로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제1센서(110)는 지면의 상부에 놓인 차량(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그 신호를 보내는 것이며, 상기 제2센서(120)는 지면의 상부에 놓인 차량(20)의 수직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그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제3센서는 상술한 제1센서(110)와, 제2센서(12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하여 차량(20)과 아웃트리거(10) 전체의 수평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200)로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술한 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차량(20)과 아웃트리거(10)의 수평 및 수직상태 정보를 종합한 후 그 신호에 따라 차량(20)과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컨트롤부(300)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3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20)과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200)만을 통하여 차량(20)에 설치된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제어부(20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컨트롤부(300)를 통하여 차량(20)에 설치된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아웃트리거(10)의 제어는 유압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아웃트리거(10)의 설명은 종래의 아웃트리거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웃트리거(10)를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감지센서(100)를 통하여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200)와 컨트롤부(300)를 통하여 그 수직 및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아웃트리거(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밸브(210)와, 상기 아웃트리거(10)의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밸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수평조절밸트(210)와, 수직조절밸브(220)를 통하여 아웃트리거의 유압장치(미도시)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20)에 설치된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310)와, 상기 송신부(31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210)와 수직조절밸브(220)를 작동시키는 리모컨(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부는 상술한 리모컨(32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210)와 수직조절밸브(22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는 즉, 상기 리모컨(320)을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310)가 구비된 컨트롤부(30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후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별도의 센서(미도시)를 송신부(310)와 리모컨(320)에 설치하여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차량(20)에 설치된 아웃트리거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아웃트리거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아웃트리거 20: 차량
100: 감지센서 110: 제1센서
120: 제2센서 130: 제3센서
200: 제어부 210: 수평조절벨브
220: 수직조절벨브 300: 컨트롤부
310: 송신부 320: 리모컨

Claims (2)

  1. 차량(2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0)와,
    상기 감지센서(1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하여 아웃트리거(10)의 수직 및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아웃트리거(10)를 외부에서 조절하는 컨트롤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200)는 아웃트리거(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밸브(210)와, 아웃트리거(10)의 수직상태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밸브(22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300)는 상기 제어부(2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부(310)와, 상기 송신부(31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수평조절밸브(210)와 수직조절밸브(220)를 작동시키는 리모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00)는
    아웃트리거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110)와,
    아웃트리거의 수직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120)와,
    아웃트리거와 차량(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제3센서(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KR1020100037026A 2010-04-21 2010-04-21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KR20110117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26A KR20110117521A (ko) 2010-04-21 2010-04-21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26A KR20110117521A (ko) 2010-04-21 2010-04-21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21A true KR20110117521A (ko) 2011-10-27

Family

ID=4503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26A KR20110117521A (ko) 2010-04-21 2010-04-21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75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704A1 (de) 2011-11-11 2013-05-16 Hyundai Motor Co. Massenträgheitserhöhungsvorrichtung für Schwungrad eines Verbrennungsmotors
KR20190027113A (ko) * 2017-09-06 2019-03-14 강경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의 크린룸용 이동식 크레인
CN114326432A (zh) * 2021-12-10 2022-04-12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交叉耦合控制的特种车辆快速调平方法
CN116182038A (zh) * 2023-02-28 2023-05-30 中国人民解放军93210部队 一种自动调平装置及其调平方法
KR102638163B1 (ko) 2023-09-07 2024-02-19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704A1 (de) 2011-11-11 2013-05-16 Hyundai Motor Co. Massenträgheitserhöhungsvorrichtung für Schwungrad eines Verbrennungsmotors
KR20190027113A (ko) * 2017-09-06 2019-03-14 강경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의 크린룸용 이동식 크레인
CN114326432A (zh) * 2021-12-10 2022-04-12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交叉耦合控制的特种车辆快速调平方法
CN114326432B (zh) * 2021-12-10 2023-09-05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交叉耦合控制的特种车辆快速调平方法
CN116182038A (zh) * 2023-02-28 2023-05-30 中国人民解放军93210部队 一种自动调平装置及其调平方法
KR102638163B1 (ko) 2023-09-07 2024-02-19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30497A3 (en) Determination of remote control operator position
KR20110117521A (ko)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AU2015213293B2 (en) Automatic dust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I126857B (en) Crane control
KR101704264B1 (ko) 자동 정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20623A3 (en) Modular sensing device for controlling a self-propelled device
SE0201387D0 (sv) Suspensin leveling system
WO2009111363A3 (en) Semi-autonomous excavation control system
CA2456381A1 (en) Vehicle leveling system
WO2006042236A3 (en) System for automatically moving access barriers and methods for adjusting system sensitivity
SE0402696D0 (sv) Industrial robot system
US20180245304A1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work machine with a ground pressure limitation
WO2007024772A3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oving access barriers initiated by mobile transmitter devices
WO2006124381A3 (en) Controlling systems through user tapping
CN202054551U (zh) 塔式起重机及其吊钩调平装置
KR102125781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KR101303087B1 (ko) 고소작업차용 안전장치
GB2576840A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ligning roof bolts
CN105308521A (zh) 具有组合的信号评估的手动操作设备
JP6814944B2 (ja) 溶接条件設定方法および溶接条件設定装置
JP6770259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380938B1 (ko) 6축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원격조종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897651B (zh) 履带架的吊装系统
JP6661967B2 (ja) 無線通信装置
KR20180113865A (ko) 농작업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